KR101573874B1 - 외과용 봉합기 - Google Patents

외과용 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874B1
KR101573874B1 KR1020100005058A KR20100005058A KR101573874B1 KR 101573874 B1 KR101573874 B1 KR 101573874B1 KR 1020100005058 A KR1020100005058 A KR 1020100005058A KR 20100005058 A KR20100005058 A KR 20100005058A KR 101573874 B1 KR101573874 B1 KR 10157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trigger
cartridge
present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330A (ko
Inventor
동국 김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국 filed Critical 김동국
Priority to KR102010000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8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거에 상부 및 하부의 권선수가 다른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외과의사가 트리거를 잡아당기는 경우 트리거를 당기는 정도에 따른 서로 다른 탄성을 부여하여 수술의 봉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카트리지 내부의 스테이플이 장착되는 부분을 스테이플의 두께만큼의 빈공간으로 구성하지 않고 공간을 확대시키고 상하부에 둥근모양의 돌기를 형성시켜서 상하부 원형돌기의 접선 부분사이에 스테이플이 장착되게 구성하고, 트리거의 앞부분에 포머가 끼워지는 삽입홈에 금속의 보강대를 삽입하여 삽입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과용 봉합기{Surgical Stapler}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거에 상부 및 하부의 권선수가 다른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외과의사가 트리거를 잡아당기는 경우 트리거를 당기는 정도에 따른 서로 다른 탄성을 부여하여 수술의 봉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카트리지 내부의 스테이플이 장착되는 부분을 스테이플의 두께만큼의 빈공간으로 구성하지 않고 공간을 확대시키고 상하부에 둥근모양의 돌기를 형성시켜서 상하부 원형돌기의 접선 부분사이에 스테이플이 장착되게 구성하고, 트리거의 앞부분에 포머가 끼워지는 삽입홈에 금속의 보강대를 삽입하여 삽입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외과용 봉합기는 외과 수술시 절개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1회용 의료기구이다. 외과용 봉합기와 관련한 종래기술은 이미 개시된 바 있다(대한민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0-0046780호, 2000. 7. 25).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0은 핸들이고, 20은 트리거이며, 30은 스테이플러 스택이고, 40은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을 한 개씩 분리하여 밀어내기 위한 포밍 블레이드이다.
상기 스테이플(1a)은 한 쌍의 평행한 각부(脚部)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스테이플 접합체(1)는 다수개(통상 15∼50개)의 스테이플(1a)을 접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은 양측벽(11)과 상면벽(12)에 의하여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측벽(11)과 상면벽(12)의 선단은 선단벽(13)으로, 후단은 후단벽(1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벽(11)의 하측 연부에는 선단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힌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은 상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벽(14)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벽(12)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창(16)에는 스테이플(1a)의 잔존 개수를 표시하는 눈금과 수자가 인쇄된다. 상기 후단벽(14)에는 다수개의 걸림공(17)이 천공되고, 양측벽(11) 내측면에는 캠(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는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10)의 힌지홈(15)에 삽입되어 트리거(20)의 회동 지점이 되는 힌지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선단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의 상단이 끼워지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후단부에는 탄성각(23)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 탄성각(23)의 상단에는 상기 핸들(10)의 걸림공(17)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24)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 내면에 형성된 캠(18)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핀(25)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미 설명 부호 26은 상기 트리거(20)를 핸들(10)에 대하여 상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이다.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은 상기 핸들(10)의 선단부측 저면과 트리거(20)의 선단부측 상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에 의하여 그 내부에 다수개(통상 15 ∼ 50개)의 스테이플(1a)이 접합 연결된 스테이플 접합체(1)가 장전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 접합체(1)를 선단측으로 이송하는 스테이플 이송대(33)가 탄성부재(34)에 의하여 선단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는 선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34)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31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받침편(35)과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의 후단면 사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4)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편(35)에 후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는 지지된 안내봉(36)에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창(16)을 통해 투시되는 인디케이터(37)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7)는 상기 스택 커버(32)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32a)과 트리거(2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20b)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엔빌 지지 및 포밍 블레이드 안내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는 상술한 내장 부품들을 조립한 후 초음파 접착 방법에 의하여 접착되어 하나의 부분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의 선단에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엔빌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을 결착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외면과 스택 커버(32)의 양측면에는 결착용 클립(39)이 위치하는 클립 안내홈(11a)(3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밍 블레이드(40)는 트리거(20)의 선단면에 형성된 삽입홈(20a)에 상단절곡부(41)가 삽입됨과 아울러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하단부 양측에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는 누름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를 안내하는 블레이드 안내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 안내부재(50)는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체(51)와, 이 지지체(51)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블레이드 안내편(5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의 전방에는 최선단의 스테이플(1a)이 취출된 후 포밍 블레이드(40)가 복귀하기 전까지 스테이플 접합체(1)의 선단이 포밍 블레이드(4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리테이너(6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61)와 이 수직고정부(6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된 탄성부(6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핸들(10)과 트리거(20)의 후반부를 쥐어 누르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20)가 탄성부재(26)의 탄성을 이기면서 힌지홈(15)과 이에 삽입된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 선단의 삽입홈(20a)에 삽입된 포밍 블레이드(40)가 블레이드 안내부재(50)의 안내편(5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42)가 스테이플 접합체(1)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테이플(1a)이 스테이플 접합체(1)로부터 분리되면서 추출되기 시작하고, 추출되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가 엔빌부(38)에 이르면 연결부의 중간부가 엔빌부(38)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름에 따라 도 4c와 같이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테이플(1a)이 계속 추출되면서 그 각부가 봉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파고 들어가게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1a)의 연결부가 누름돌기(42)의 내측단과 엔빌부(38)의 양측단 경계 부분에서 절곡되어 결국 스테이플(1a)의 양측 각부가 안으로 오무라지면서 봉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 트리거(20)가 도 4a의 상태에서 회동하기 시작하면 그 후단부에 형성된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24)가 핸들(10)의 후단벽(14)에 형성된 걸림공(17) 중 하측에 위치한 것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상승하게 되고 핸들(10)과 트리거(20)를 완전히 쥐어 누르기 전에 그 힘을 제거하면 스토퍼(24)는 걸림공(17)중 어느 하나에 걸린 상태이므로 탄성부재(26)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트리거(20)가 복귀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도 4b 참조).
이때,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핀(25)이 핸들(10)의 양측벽(11) 내면에 형성된 캠(18)의 후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가 완전히 눌려진 상태에서는 도 4c와 같이 스토퍼(24)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이르게 되고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 이르게 된다. 이때 탄성각(23)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접촉하는 스토퍼(24)에 의해 전방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넘어가게 됨과 아울러 스토퍼(24)는 후단벽(14) 및 걸림공(17)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봉합이 완료된 상태로서 이후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트리거(20)는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된다.
한편,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도 6a와 같이 리테니어(60)의 탄성부(62)가 포밍 블레이트(40)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로 되며,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하여 스테이플(1a)를 추출한 후 상승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도 6b와 같이 탄성부(62)가 스테이플 접합체(1)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포밍 블레이드(40)의 상승 복귀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최초 제작 시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스테이플 접합체(1)를 장전함에 있어서는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에 따라 받침편(35)을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걸림턱(31a)중 어느 하나에 걸어서 스테이플 이송대(33)에 전진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조절한 상태로 조립한다.
즉, 장전되는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가 많을 경우,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약화시키고,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가 적을 경우,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진 이송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스테이플 잼을 배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규격의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스테이플(1a)의 개수가 다른, 즉 전체 길이가 다른 스테이플 접합체(1)를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포밍 블레이드(40)와 엔빌부(38)를 이용한 스테이플(1a)의 밴딩(bending)시 스테이플(1a)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는 봉합 후에 환자의 봉합부위 역시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단차가 생기게 되어 흉터가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처부위가 사고에 의한 경우에는 상처부위가 일정치 않으므로 봉합시에 스테이플(1a)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지 않게 되면 봉합되는 상처부위가 미관상 좋지 않게 봉합되어 흉터가 안좋게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테이플(1a)이 밴딩후에 수술부위에서 착탈이(빠지지 않는 현상) 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즉 즉 절개부위의 봉합 후 봉합이 안되어 상처부위가 빠른시간에 아물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인해 봉합상처부위의 치료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테이플(1a)이 포밍 블레이드(40)과 엔빌부(38)의 힘의 작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좌우로 치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개부위의 봉합 후 상처가 치료되어 스테이플 제거기로 스테이플(1a)을 제거할 때 스테이플(1a)이 좌우로 드러나면면서 제거가 되는데 이때 앞,뒤 혹은 좌우로 휘어져 봉합된 경우에는 스테이플이 환자의 봉합부위에 상처를 내면서 제거되므로 치료시간이 늦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봉합기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디인 프레임 (127); 및 상기 프레임 (127) 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쥐고 손가락으로 손잡이 (220) 를 잡아당기면 안쪽으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 (139) 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트리거 (141)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윗부분에는 코일스프링 (200) 이 삽입되는 스프링안착홈 (230) 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홈 (230) 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 (200) 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트리거 (141) 의 손잡이를 잡아당길때 트리거에 탄성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일스프링 (200) 은 상부 (202) 의 권선수가 하부 (204) 의 권선수보다 더 많도록 구성되어 권선수가 더 많은 상부 (202) 의 스프링강도가 하부 (204) 의 스프링강도 보다 더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앞부분에는 스테이플 (136) 이 장착되는 카트리지 (114) 가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 (141) 의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 개씩의 원형 모양의 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136) 이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원형 모양의 돌기 사이이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테이플 (136) 의 양끝의 밑면에는 각각 홈 (26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앞부분에는 삽입홈 (22)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 (22) 에는 '⊃' 모양의 금속의 보강대 (240) 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손잡이 (220) 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각 안착되도록 물결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 의하면, 트리거를 잡아당기는 경우 프레임에 탄성을 주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트리거의 스프링안착홈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이때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은 상부는 권선수가 많고, 하부는 권선수 작도록 구성되어 외과의사가 트리거를 잡아당기는 경우 처음에는 강도가 약하게 작용하고 최대당김길이의 1/2 을 넘으면 트리거를 당기는 강도가 강하게 작용하여 외과의사의 손에 서로 다른 감각을 부여하여 수술부위의 봉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트리거의 앞부분의 밑면에 설치되는 카트리지의 내부에 스테이플을 장착시킴에 있어서, 스테이플이 장착되는 부분을 스테이플의 두께만큼의 빈공간으로 구성하지 않고 공간을 확대시키고 상하부에 둥근모양의 돌기를 형성시켜서 상하부 원형돌기의 접선 부분사이에 스테이플이 장착되게 구성하도록 하여 카트리지의 사출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스테이플의 두께가 0.4mm 정도의 두께이기 때문에 스테이플이 장착되도록 스테이플의 두께만큼 카트리지의 내부를 사출성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는데 카트리지의 내부를 확장하고, 다만 카트리지의 내부에 장작된 스테이플의 지지를 위해 상하로 2 개씩 원형의 돌기부분을 만들어 돌기의 접선에 의해서면 스테이플을 지지하게 하여 카트리지 내부의 공간이 더 확보가 되어 사출성형이 용이하게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소재의 트리거의 앞부분에 금속의 포머가 끼워지는 삽입홈에 금속의 보강대를 삽입하여 삽입홈의 수명, 즉 트리거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였고, 트리거 (141) 의 손잡이의 모양을 각각의 손가락이 안착되도록 물결모양으로 구성되어 사용에 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플러 스택과 포밍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former)와 엔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엔빌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착탈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와 엔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의 정면도, 평면도 및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포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착탈스프링이 결합된 엔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프레임과 트리거부의 결합 전의 정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내부에 스테이플이 끼워져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트리거의 앞부분에 형성된 삽입홈에 보강대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former)와 엔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엔빌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착탈스프링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와 엔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의 정면도, 평면도 및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포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착탈스프링이 결합된 엔빌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9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5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의 스테이플밴딩턱과 스테이플의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엔빌의 스테이플밴딩턱과 스테이플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엔빌(119)과 포머(122)의 결합시 가이드가 사출몰드된 카트리지(114)에 포머(122) 폭만큼 홈을 내어 결합시켰으나 상기 사출몰드된 카트리지(114)의 수축율의 변화로 스테이플이 밴딩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는 엔빌(119)의 상단 양쪽을 연장시킨 후 밴딩하여 카트리지(114) 상부턱에 걸어서 안착시켜 포머(122)의 좌,우 폭을 잡아주어 가이드하게 되므로 밴딩 스테이플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며, 엔빌(119) 중간에 가이드턱(116)을 설치하고 포머(122)의 중심에 가이드턱 홈(122a)을 내어 서로 가이드시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7 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형상은 종래기술의 외과용 봉합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참조부호 122는 포머를 나타내며, 127은 프레임을 나타내며, 128은 장력스프링보호스토퍼를 나타내며, 트리거(141)가 프레임(127)내에 장력스프링(129)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트리거(141)는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134)이 프레임(127)의 가이드바(133)를 지나 스프링안내가이드(131) 및 1차패드(132)를 거쳐 이동된다.
참조부호 130은 2차패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39는 트리거(141)가 회전하는 중심축인 동시에 상기 트리거(141)의 헤드부에 삽입고정된 포머(122)의 회전 중심축이 된다.
상기 카트리지(114)는 어셈블리안내홈(140)을 구비하며 복수개의 스테이플(136)을 스테이플착탈홈(135)내에 내장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플(136)은 압력스프링(138)에 의해 스테이플이송바(137)를 통해 전방(도면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힘을 받고 있다.
상기 포머(122)는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경사면(114-1)에 안착된 엔빌(119)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카트리지 (114) 내에 안착된 스테이플(136)의 한개씩 하방으로 밀어서 상기 카트리지 (114) 의 스테이플착탈홈 (135) 을 통해 배출시키면서 이를 통해 환자의 수술부위를 봉합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14)의 선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시 그 부분을 환자의 수술부위에 접촉시킨 후에 트리거(141)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봉합기의 엔빌(119) 상에 포머(122)가 얹혀져 있는 상태로서, 상기 포머(122)는 상기 엔빌의 상단부 양측에 연장형성된 엔빌고정턱(11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포머(122)는 중앙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턱홈(122a)가 상기 엔빌(119)의 가이드턱(116)을 따라 역시 가이드되면서 이동되게 된다. 상기 포머(122)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엔빌(119)의 스탬플밴딩턱(117)까지 이동되는데 이때 스테이플(136)은 상기 포머(122)의 하방 양단부에 의해 절곡되면서 오므라들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엔빌(119)의 하방 양단부는 상기 카트리지(114)의 엔빌가이드홈(112)에 고정되는 엔빌고정턱이 형성된다(118). 한편 상기 포머(122)는 하반부 일정각도 만큼의 스테이플밴딩안착각도(120)를 가지게 된다. 상기 포머(122)의 하단부에는 종단면이 반원형상인 스테이플밴딩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플(136)을 홀딩하면서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 엔빌(119)는 착탈스프링(126)이 일체로 고정(점용접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착탈스프링(126)은 11자 형태로 평행하게 늘어선 구조이고, 착탈스프링(126)의 중간부분이 착탈스프링좌우지지대(123)에 의해 지지되어있고, 착탈스프링(126)의 상단부(124)가 절곡되어 상기 엔빌(119)에 상단부에 걸쳐져있고, 상기 착탈스프링(126)의 하단부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엔빌(119)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포머(122)의 양하단부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착탈탄성절곡부(125)를 이룬다(도 10 내지 도 13 참조).
도 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14)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114)는 엔빌고정가이드(110)를 통해 상기 프레임(127)의 전방부의 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물론 상기 엔빌(119)과 포머(122)가 장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됨을 물론이다. 상기 카트리지(114)에서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 안내기둥(111)은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종래 외과용 봉합기의 핵심 가이드부분을 포머(122)와 카트리지(114)와 결합시켜 스텐레스 소재의 엔빌(119)과 스텐레스 소재의 포머(122)를 결합시켜 개선하여 종래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122)와 카트리지(114)로 가이드한 것을 엔빌(119)과 포머(122)를 이용하여 가이드하게 되므로 서로 밀착된 일심동체로 포머(122)와 엔빌(119)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테이플이 좌우로 치우치는 현상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또한 포머(122)가 직선을 이루어 아래로 슬라이딩 된 후 스테이플(136)이 엔빌(119) 스테이플밴딩턱(117)에서 밴딩이 되는데 밴딩후 착탈스프링(126)이 포머(122)가 상승되면 밴딩된 스테이플(136)을 안쪽으로 밀어내어 착탈시킨다.
종래 외과용 봉합기는 엔빌(119)과 카트리지(114) 그리고 프레임(127)과 트리거(141)의 유격과 스테이플(136)의 소재 두께로 엔빌(119) 스테이플밴딩턱(117)에 밴딩시 많은 힘이 전달되는데 고정 가이드도 없어 트리거(141)를 바닥까지 당겨도 좌,우 흔들림으로 스테이플(136)이 사각 모양의 밴딩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밴딩이 되어도 좌,우 힘이 대칭으로 양분되지 못하여 어느 한쪽이 꼭 끼이게 되면 착탈스프링(126)의 다리 형상이 11자로 대칭되어 같은 힘이 전달되어 착탈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외과용 봉합기는 엔빌(119)과 포머(122)를 합체하여(기존은 포머(122)와 카트리지(114) 합체임) 유격에서 오는 틈새거리를 좁혀 항상 스테이플(136) 밴딩 후 대칭이 되게 하여 좌,우로 꼭끼이는 현상을 제거하였고 착탈스프링(126)의 11자 형상의 중간에 보강 대를 연결하여 혹 한쪽으로 꼭 끼이는 현상을 해소한다.
또한, 포머(122)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착탈스프링(126)을 포머(122)가 밀어주고 스테이플(136)이 엔빌(119)의 스테이플밴딩턱(117)에 안착되어 포머(122)가 밴딩을 하여 완성한다.
종래 외과용 봉합기에서는 착탈스프링(126)위에 스테이플이 위치하거나 엔빌(119)벽에 위치한다. 착탈스프링(126)위에 있는 것은 착탈스프링(126)의 각도에 따라 스테이플의 위치가 변하여 밴딩시 대칭이 되기 어렵다. 또 스테이플(136)이 엔빌(119)벽에 위치하면 포머(122)가 누르기 전까지 완전한 가이드가 안되어 스테이플(136)이 앞,뒤로 돌지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외과용 봉합기에서는 스테이플(136) 중앙부에 5개의 요철과 엔빌(119) 턱에 같은 요철모양의 돌기를 주어 포머(122)가 아래로 하강하면 카트리지(114) 출구에서 스테이플(136)이 나와 엔빌(119) 스테이플밴딩턱(117)에 안착되어 포머(122)가 스테이플(136)을 밴딩하면 아래쪽에는 5개의 요철이 스테이플(136)을 중앙에 안착하여 프레임(127)과 카트리지(114)의 조립 유격을 보강하여 밴딩시 스테이플(136)이 휘돌아(구르는) 앞,뒤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좌,우 비대칭되는 것을 잡아주고 또한 포머(122)의 초입부에 45도 각을 주어 스테이플(136)을 잡아주도록 하였다.
상기 스테이플(136)과 포머(122)에 5개의 요철은 스테이플(136)을 포머(122)가 밴딩시에 스테이플(136)이 앞,뒤로 미세하게 휘도는 것을 막아 스테이플(136)이 밴딩후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하였다.
도 25 에서 도 31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프레임과 트리거부의 결합 전의 정면도이다.
도 2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트리거 (141) 에서 사용자의 손이 닫는 부분에는 각각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손잡이 (220) 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141) 가 프레임 (127) 의 안쪽내부로 삽입되고 회전하게 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회전중심축 (139) 은 프레임 (127) 안쪽에 형성된 중심축 안착홈 (250) 에 끼워지게 구성된다. 중심축 안착홈 (250) 이 프레임 (127) 의 안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물질 등이 끼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141) 의 윗부분에는 코일스프링 (230) 이 끼워지는 스프링안착홈 (230) 이 형성된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6 을 참조하면, 트리거 (141) 의 상단에 형성된 스프링안착홈 (230) 에 코일스프링 (200) 이 끼워진 구성하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트리거 (141) 의 손잡이 (220) 를 잡아당기는 경우에 트리거 (141) 에 일정한 탄성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200) 의 상부 (202) 는 권선수가 많아 조밀하게 구성되고, 코일스프링 (200) 의 하부 (204) 는 권선수가 상부보다 적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 (200) 의 상부 (202) 는 권선수가 많게 구성되고, 하부 (204) 는 권선수가 적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본 발명의 주 사용자인 외과의사는 수술이 끝나고 수술부위를 봉합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적은 힘으로 트리거 (141) 의 손잡이 (220) 를 잡아당겨서 포머 (112) 에 의해 스테이플 (136) 의 끝단부분이 최적의 수술봉합부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인 외과의사가 최적의 수술봉합부위에 스테이플 (136) 의 끝단부분이 위치했다고 판단하는 순간에 처음보다 더 강한 힘으로 손잡이 (220) 를 당기는 경우에 맨 앞부분에 위치하는 하나의 스테이플 (136) 이 카트리지 (114) 를 빠져나와 수술봉합부위를 봉합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27 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가이드 안내기둥 (111) 이 카트리지 (111) 와 스테이플 이송바 (137) 를 관통하여, 스테이플 이송바 (137) 가 압력스프링 (138) 에 의해 압력을 받는 상태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어 있다.
카트리지 (114) 내부의 스테이플 이송바 (137) 의 앞부분에는 다수개의 스테이플 (136) 이 장착되어 있다. 외과의사가 사용시에는 카트리지 가이드 안내기둥 (111) 을 빼고 외과용 봉합기를 사용한다. 카트리지 가이드 안내기둥 (111) 이 스테이플 이송바 (137) 와 카트리지 (114) 로부터 이탈되면 압력스프링 (138) 의 텐션에 의해 스테이플 이송바 (137) 가 스테이플 (136) 을 도면 27 의 왼쪽으로 밀게된다.
도 2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내부에 스테이플이 끼워져 설치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 (a) 는 종래의 카트리지 (114) 를 스테이플 (136) 이 끼워지고 배출되는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8 및 도 29 (b) 는 종래의 카트리지의 정면에서 바라보이는 구조를 개선한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8 (a) 에 도시된 종래의 카트리지 (114) 의 정면의 구성을 살펴보면, 스테이플 (136) 이 끼워지는 틈새 (260) 의 길이 (B) 가 스테이플 (136) 의 두께만큼 구성되었다. 외과용 봉합기에 사용되는 스테이플 (136) 의 두께는 주로 0.4mm 또는 0.5mm 로 그 두께가 매우 얇게 구성된다. 따라서 스테이플 (136) 이 끼워지는 틈새 (260) 의 길이 (B) 도 스테이플 (136) 의 두께와 +5% 의 오차범위만을 가지고 구성되어야만 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틈새 (260) 를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길이 (B) 와 동일한 판모양의 금속판이 틈새 (260) 를 형성하기 위하여 삽입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성형 방법에서는 스테이플 (136) 이 끼워지는 틈새 (260) 를 사출성형하는 것은 틈새 (260) 의 길이 (B) 가 0.4mm 내지 0.5mm 로 매우 짧기 때문에, 스테이플 (136) 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직선의 깊은 틈새 (260) 를 형성하는게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28 (b) 와 같이 본 발명의 틈새 (261) 의 구성을 직선대신에 곡선모양으로 구성하여 도 29 (b) 와 같이 스테이플 (136) 이 개선된 틈새 (261) 에 끼워져 안착된 경우에는 스테이플 (136) 의 위, 아래 및 측면부분이 도 29 (a) 의 종래구조와 같이 안정적으로 카트리지 (114) 안으로 끼워져 안착된다.
본 발명의 틈새 (261) 의 길이 (C) 는 종래의 틈새 (260) 의 길이 (B) 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스테이플 (136) 이 안착되는 틈새 (261) 를 사출성형하는 것이 보다 더 용이하다.
도 29 (b) 와 같이 상하로 각각 2 개씩 형성된 원형의 돌기의 접선부분에 스테이플 (136) 의 상하면 및 좌우측 안쪽면이 지지를 받기 때문에 도 29 (a) 와 같이 좁고 길쭉한 틈새 (260) 에 의한 지지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도 3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 (136) 의 양쪽 끝단부의 하향으로 반원형의 홈 (260)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머 (122) 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스테이플 (136) 을 눌러서 스테이플 (136) 의 양쪽 끝단부를 벤딩하는 경우에 스테이플 (136) 에 형성된 홈 (260) 때문에 도 30 (b) 와 같이 스테이플 벤딩턱 (117) 에 스테이플 (136) 의 가운데 부분이 지지되면서 스테이플 (136) 의 양끝단이 안쪽으로 벤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3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트리거의 앞부분에 형성된 삽입홈에 보강대가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리거 (141) 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금속성 물질로 구성되는 포머 (122) 가 삽입홈 (22) 에 끼워져서 오랜기간동안 사용되다보면 금속으로 구성된 포머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트리거의 삽입홈 (22) 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삽입홈이 벌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보강대 (240) 를 플라스틱 재질의 삽입홈 (22) 에 삽입하고 고정함으로써, 금속으로 구성된 포머 (122) 에 의해 삽입홈 (22) 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22: 삽입홈
110: 엔빌고정가이드
111: 카트리지가이드안내기둥
112: 엔빌가이드홈
114: 카트리지
115: 엔빌고정턱
116: 가이드턱
117: 스테이플밴딩턱
118: 엔빌고정턱
119: 엔빌
120: 스테이플밴딩안착각도
121: 스테이플밴딩안착홈
122: 포머
123: 착탈스프링좌우지지대
124: 착탈스프링상단부
125: 스프링착탈탄성절곡부
126: 착탈스프링
127: 프레임
128: 장력스프링보호스토퍼
129: 장력스프링
130: 2차패드
131: 스프링안내가이드
132: 1차패드
133: 가이드바
134: 스프링
135: 스테이플착탈홈
136: 스테이플
137: 스테이플이송바
138: 압력스프링
139: 포머의 중심축
140: 어셈블리안내홈
141: 트리거
200: 코일스프링
230: 스프링안착홈
240: 보강대
261: 틈새

Claims (6)

  1.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봉합기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디인 프레임 (127); 및
    상기 프레임 (127) 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쥐고 손가락으로 손잡이 (220) 를 잡아당기면 안쪽으로 삽입되는, 회전중심축 (139) 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트리거 (141)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윗부분에는 코일스프링 (200) 이 삽입되는 스프링안착홈 (230) 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홈 (230) 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 (200) 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트리거 (141) 의 손잡이를 잡아당길때 트리거에 텐션을 가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앞부분에는 스테이플 (136) 이 장착되는 카트리지 (114) 가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 (114) 의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2 개씩의 원형 모양의 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136) 이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원형 모양의 돌기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카트리지 (114) 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스테이플 (136) 이 상기 카트리지 (114) 속으로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2개의 원형모양의 각각의 돌기가 상기 스테이플 (136) 과 접하는 각각의 지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의 2 개의 원형모양의 각각의 돌기가 상기 스테이플 (136) 과 접하는 각각의 지점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136) 의 양끝의 밑면에는 각각 홈 (26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141) 의 앞부분에는 삽입홈 (22)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 (22) 에는 '⊃' 모양의 금속의 보강대 (240) 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141) 의 손잡이 (220) 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각각 안착되도록 물결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KR1020100005058A 2010-01-20 2010-01-20 외과용 봉합기 KR10157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58A KR101573874B1 (ko) 2010-01-20 2010-01-20 외과용 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58A KR101573874B1 (ko) 2010-01-20 2010-01-20 외과용 봉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30A KR20110085330A (ko) 2011-07-27
KR101573874B1 true KR101573874B1 (ko) 2015-12-02

Family

ID=449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58A KR101573874B1 (ko) 2010-01-20 2010-01-20 외과용 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470A (ko) 2020-05-26 2021-12-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문합용 계란 형상의 봉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30Y1 (ko) 2001-08-17 2001-12-13 김광훈 카트리지식 스킨 스테플러
KR200273977Y1 (ko) * 2001-11-27 2002-05-01 (주) 아프지마 수술용 스테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30Y1 (ko) 2001-08-17 2001-12-13 김광훈 카트리지식 스킨 스테플러
KR200273977Y1 (ko) * 2001-11-27 2002-05-01 (주) 아프지마 수술용 스테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470A (ko) 2020-05-26 2021-12-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문합용 계란 형상의 봉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30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287B2 (en)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A1245936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with dual staple height mechanism
US9814463B2 (en)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N110680437B (zh) 手术紧固件施加装置
US20070233126A1 (en) Operating Staple and Intraluminal Stapler for Operation Having the Operating Staple
JPS6236694B2 (ko)
WO2013151888A1 (en) Surgical staple cartridge with bendable tip
MXPA04011774A (es) Dispositivo de engrapado quirurgico.
WO1979000970A1 (en) Improved surgical staplers and staple
JPS58138446A (ja) 結「あ」用挾子カ−トリツジ
CN109316218B (zh) 外科吻合器及其钉仓组件
US4527725A (en) Stapler with retractable anvil
WO2011105543A1 (ja) 医療用ステープラー及びマガジン
KR101573874B1 (ko) 외과용 봉합기
US20180344320A1 (en) Linear cutter stapler
KR20090110163A (ko) 외과용 봉합기
KR101402126B1 (ko)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의 신규한 구조
KR101365064B1 (ko) 외과용 봉합기 포머의 신규한 구조
JP5447342B2 (ja) 医療用ステープラ
CN214387566U (zh) 一种防误激发腔镜吻合器
KR20110041947A (ko) 외과용 봉합기 탄성부재의 신규한 구조
US20240023956A1 (en) Surgical stapling apparatus
KR20110041944A (ko)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 이송대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6A (ko) 외과용 봉합기 앤빌의 신규한 구조
KR20230101624A (ko) 외과용 스테이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