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977Y1 - 수술용 스테플 - Google Patents

수술용 스테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977Y1
KR200273977Y1 KR2020010036586U KR20010036586U KR200273977Y1 KR 200273977 Y1 KR200273977 Y1 KR 200273977Y1 KR 2020010036586 U KR2020010036586 U KR 2020010036586U KR 20010036586 U KR20010036586 U KR 20010036586U KR 200273977 Y1 KR200273977 Y1 KR 200273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skin
surgical
stapler
movable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훈
최현칠
Original Assignee
(주) 아프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프지마 filed Critical (주) 아프지마
Priority to KR2020010036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97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술용 스테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시 상처부위를 봉합시키는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스테플에 있어서, 스테플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요홈이 형성된 수술용 스테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테플은 피부에 삽입되는 양단부의 날이 원추식 바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테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은 힘에 의해서도 스테플이 성형 발출되어, 시술자가 안정적으로 피부봉합 시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곡부의 요홈이 스테플 성형후 탄성을 흡수하여 탄성에 의해 성형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피부를 꿰뚫는 부분이 바늘형으로 형성되어 시술시 최소한의 상처만 형성됨으로써 시술후 흉터가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스테플{surgical staple}
본 고안은 수술용 스테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시 상처부위를 봉합시키는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스테플에 있어서, 스테플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요홈이 형성된 수술용 스테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술시 상처부위를 봉합시키는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스테플에 있어서, 피부에 삽입되는 양단부의 날이 원추식 바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테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란 외과수술이나 성형수술시에 절개된 피부부위를 봉합사와 바늘로 봉합시키던 종래방식을 개선시킨 것으로, 스테플(staple)을 이용하여 피부를 봉합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모양과 작용구조는 사무용 스테플러와 유사하다.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20-2001-0024884에도 기재되어 있다.
이하, 상기 선출원의 내용을 참조하여 종래기술방식의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1은 상기 선출원한 실용신안 20-2001-0024884에 도시된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스킨 스테플러는 집게형상으로 구성되며 크게, 상부 손잡이(100)와, 하부 손잡이(200), 그리고 카트리지(300)로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300)는 저면의 스테플공급부와, 상기 스테플공급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절곡부로 구성된다.
카트리지(300)의 절곡부는 스테플을 압지시키는 가동철편(340)의 가이드역할을 하는 가동철편상부가이드(367)가 구성되고, 이 가동철편상부가이드(367)의 위에는 절단편(366)이 결합된다.
상기 상하부손잡이(100,200)는 사용자의 악력으로 스테플러를 가동하기 위한 손잡이로서 상기 상하부손잡이(100,200)를 잡고 오므리면 상부손잡이(100)와 하부손잡이(200)가 회동되어 상기 가동철편(340)에 힘을 가하게 되고, 상기가동철편(340)은 스테플(325)을 압지시켜 피부의 봉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철편(340)은 스프링(345)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이 제공되어 악력이 중단되면 후퇴되어 위치가 복원된다
이하 도2와 함께 종래기술방식에 있어서의 스테플(325)의 압지, 발출운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종래기술방식에 있어서 스킨 스테플러의 작용도로써, 내측에서 조감한 도면이다.
도2에는 스테플을 압지시키는 경로를 형성시키는 상부 가동철편가이드(367)와 스테플(325)에 압지력을 전달시키는 가동철편(34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동철편가이드에는 스테플의 성형을 안내시키고 발출되게 하는 절단편(366)이 용접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동철편은 후단이 ㄱ형으로 절곡되고, 전단은 ㄷ자형으로 돌출된 가동철편머리(340-a)가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형 가동철편머리(340-a)는 스테플의 양단을 가압시켜 전진시키는데, 이때 상기 스테플은 상부가동철편가이드(367)에 용접결합된 절단편(366)의형 절곡부(366-a)와 상기 가동철편머리(340-a) 사이에 끼어진 상태에서 압력을 받게 된다.
상기 가동철편머리(340-a)의 단부는 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철편머리(340-a)가 상기 스테플을 압지하면서 전진되면, 상기 스테플은 최초에는 절단편의형 절곡부(366-a)의 지지를 받아 가동철편머리(340-a)에 물리게 되어압지점(A)을 형성시키는 데, 상기 압지점(A)은 상기 가동철편(340)의 전진에 따라 상기 가동철편머리(340-a)의 단부 경사와 상기 절단편(366)의형 절곡부(366-a)의 상승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되어, 상기 절단편(366)의형 절곡부(366-a)의 상승이 종료되면 가동철편머리(340-a)의 내측과 상부 가동철편가이드(367)의 스테플저지부(367-a)에 최종 압지점(B)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상기 가동철편(340)의 전진운동이 계속되면, 스테플저지부(367-a)의 지지를 받아 상기 최종압지점(B)에서 절곡되게 된다.
스테플 절곡완료후, 가동철편(340)이 후퇴되면 상기 절단편(366)의형 절곡부(366-a)는 철편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강 복귀되어 절곡된 스테플을 치게되고, 이에 의해 절곡된 스테플은 스테플저지부(367-a)의 하측으로 탈출된다.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방식의 스테플의 발침및 성형은 인용한 선출원 실용신안에서 뿐만 아니라 종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플은 가동철편에 의하여 압지됨으로써 절곡 성형되는데, 가동철편으로 압지되는 힘이 상당 필요하다.
그런데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는 인체에 사용되는 것으로써, 스테플을 압지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힘이 필요하게 되면 스테플이 봉합시키는 부위가 힘에 의해 흔들리게 되어 상처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3의 도면과 함께 종래기술방식의 수술용 스테플을 확대하여 살펴보면 스테플이 성형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성형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방식의 수술용 스테플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직선으로 절개된 칼날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방식의 수술용 스테플이 인체의 상처부위를 봉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면 봉합부위가 상기 칼날에 의하여 찢어지므로 봉합흉터가 크게 남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은 힘에 의해서도 절곡성형되는 수술용 스테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성형후 탄성복원력을 흡수하도록 하여 성형상태가 보존되는 수술용 스테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부에 봉합시 상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수술용 스테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방식의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기술방식에 있어서 스킨 스테플러의 작용도
도3은 종래기술방식의 수술용 스테플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 니들 12 : 요홈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술시 상처부위를 봉합시키는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스테플에 있어서, 스테플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요홈이 형성된 수술용 스테플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테플은, 피부에 삽입되는 양단부의 날이 원추식 바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테플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의 평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고안의 스테플은 스테플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요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는 앞서 종래기술방식을 설명한 부분에서 설명하였던 가동철편에 의하여 압지되고, 스테플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ㅁ형상으로 절곡되는 압지점(B)이다.
상기 절곡부의 요홈(12)은 작은 힘에 의해서도 절곡되게 하며, 절곡후에도 절곡부의 탄성을 흡수하여 탄성에 의해 성형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따라서 성형후 모양이 안정적으로 보존되고 절곡에 필요한 힘이 적어 수술시 손쉽게 봉합시술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스테플에는 또한 피부부위와 최초로 만나게 되는 양단부(11)가 바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처를 봉합시키기 위하여 피부를 꿰뚫는 부분이 원추식 바늘형으로 되어 시술시 작은 상처가 형성됨으로써 시술후 흉터가 작게 남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작은 힘에 의해서도 스테플이 성형 발출되어, 시술자가 안정적으로 피부봉합 시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곡부의 요홈이 스테플 성형후 탄성을 흡수하여 탄성에 의해 성형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피부를 꿰뚫는 부분이 바늘형으로 형성되어 시술시 최소한의 상처만형성됨으로써 시술후 흉터가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수술시 상처부위를 봉합시키는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의 스테플에 있어서,
    스테플러의 가압력에 의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요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테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플은
    피부에 삽입되는 양단부(11)의 날이 원추식 바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테플.
  3. 삭제
KR2020010036586U 2001-11-27 2001-11-27 수술용 스테플 KR200273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86U KR200273977Y1 (ko) 2001-11-27 2001-11-27 수술용 스테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86U KR200273977Y1 (ko) 2001-11-27 2001-11-27 수술용 스테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977Y1 true KR200273977Y1 (ko) 2002-05-01

Family

ID=7311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86U KR200273977Y1 (ko) 2001-11-27 2001-11-27 수술용 스테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9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74B1 (ko) * 2010-01-20 2015-12-02 김동국 외과용 봉합기
KR101605051B1 (ko) 2013-12-26 2016-03-21 메드테크인테리어 스테이플 및 이를 이용하는 문합기
WO2022026738A1 (en) * 2020-07-29 2022-02-03 Magstape Llc Biometallic alloy surgical staples an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74B1 (ko) * 2010-01-20 2015-12-02 김동국 외과용 봉합기
KR101605051B1 (ko) 2013-12-26 2016-03-21 메드테크인테리어 스테이플 및 이를 이용하는 문합기
WO2022026738A1 (en) * 2020-07-29 2022-02-03 Magstape Llc Biometallic alloy surgical staple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49071U (zh) 直线型切割缝合器
US4391401A (en) Surgical staplers and staple
US5196023A (en) Surgical needle holder and cutter for an endo-suture, endo-ligature or the like
US4256251A (en) Surgical staplers and staple
CN103654898B (zh) 直线型缝切器
KR900002917B1 (ko) 1회용 스테이플러
JPS58138448A (ja) 多重挾子装填器
JPS58138449A (ja) 結「あ」用挾子装填器の先端部分の形状
JPS58138446A (ja) 結「あ」用挾子カ−トリツジ
JPS61501131A (ja) 外科用クリップを付ける装置
PL1550410T3 (pl) Chirurgiczne narzędzie do cięcia i zszywania z bolcami i szczelinami do prowadzenia noża
CN101991453A (zh) 直线型切割缝合器
CA2467885A1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having a spent cartridge lockout
CN113476089A (zh) 一种腔镜吻合器组件的切割闭合装置
KR200273977Y1 (ko) 수술용 스테플
CN210903169U (zh) 一种医疗器械
US5010648A (en) Gray hair cutter
CN113440195A (zh) 一种具有稳定结构的吻合器防二次击发机构及吻合器
CN203609466U (zh) 直线型缝切器
CN103829987B (zh) 腔镜下可一次性闭合肠管的直线切割闭合器
CN214387568U (zh) 一种腔镜切割吻合器和钉匣
KR200266963Y1 (ko) 수술용 스킨 스테플러
CN103169516B (zh) 外科手术用直线型缝切器
CN202426587U (zh) 外科手术用直线型缝切器
CN210843326U (zh) 腹腔镜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