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624A - 외과용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외과용 스테이플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1624A KR20230101624A KR1020210191891A KR20210191891A KR20230101624A KR 20230101624 A KR20230101624 A KR 20230101624A KR 1020210191891 A KR1020210191891 A KR 1020210191891A KR 20210191891 A KR20210191891 A KR 20210191891A KR 20230101624 A KR20230101624 A KR 202301016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gical stapler
- staple
- trigger
- present
- stapl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8 penetrate the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 A61B17/0684—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having a forming anvil staying above the tissue during stap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17/064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penetrating the tissue, deformable to clos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1—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artri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머에 의해 스테이플이 환자의 절개된 피부를 봉합할 때 스테이플이 포머에서 이탈되지 않아서 외과용 스테이플러가 고장이 나는 것이 방지되고, 개개의 스테이플이 용이하게 분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머에 의해 스테이플이 환자의 절개된 피부를 봉합할 때 스테이플이 포머에서 이탈되지 않아서 외과용 스테이플러가 고장이 나는 것이 방지되고, 개개의 스테이플이 용이하게 분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0은 핸들이고, 20은 트리거이며, 30은 스테이플러 스택이고, 40은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을 한 개씩 분리하여 밀어내기 위한 포밍 블레이드이다.
상기 스테이플(1a)은 한 쌍의 평행한 각부(脚部)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스테이플 접합체(1)는 다수개(통상 15∼50개)의 스테이플(1a)을 접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은 양측벽(11)과 상면벽(12)에 의하여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측벽(11)과 상면벽(12)의 선단은 선단벽(13)으로, 후단은 후단벽(1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벽(11)의 하측 연부에는 선단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힌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은 상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벽(14)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벽(12)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창(16)에는 스테이플(1a)의 잔존 개수를 표시하는 눈금과 수자가 인쇄된다. 상기 후단벽(14)에는 다수개의 걸림공(17)이 천공되고, 양측벽(11) 내측면에는 캠(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는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10)의 힌지홈(15)에 삽입되어 트리거(20)의 회동 지점이 되는 힌지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선단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의 상단이 끼워지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후단부에는 탄성각(23)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 탄성각(23)의 상단에는 상기 핸들(10)의 걸림공(17)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24)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 내면에 형성된 캠(18)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핀(25)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미 설명 부호 26은 상기 트리거(20)를 핸들(10)에 대하여 상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이다.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은 상기 핸들(10)의 선단부측 저면과 트리거(20)의 선단부측 상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에 의하여 그 내부에 다수개(통상 15 ∼ 50개)의 스테이플(1a)이 접합 연결된 스테이플 접합체(1)가 장전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 접합체(1)를 선단측으로 이송하는 스테이플 이송대(33)가 탄성부재(34)에 의하여 선단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는 선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34)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31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받침편(35)과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의 후단면 사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4)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편(35)에 후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는 지지된 안내봉(36)에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플 이송대(33)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창(16)을 통해 투시되는 인디케이터(37)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7)는 상기 스택 커버(32)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32a)과 트리거(2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20b)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엔빌 지지 및 포밍 블레이드 안내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는 상술한 내장 부품들을 조립한 후 초음파 접착 방법에 의하여 접착되어 하나의 부분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의 선단에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엔빌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을 결착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외면과 스택 커버(32)의 양측면에는 결착용 클립(39)이 위치하는 클립 안내홈(11a)(3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밍 블레이드(40)는 트리거(20)의 선단면에 형성된 삽입홈(20a)에 상단절곡부(41)가 삽입됨과 아울러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하단부 양측에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는 누름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를 안내하는 블레이드 안내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 안내부재(50)는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체(51)와, 이 지지체(51)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블레이드 안내편(5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의 전방에는 최선단의 스테이플(1a)이 취출된 후 포밍 블레이드(40)가 복귀하기 전까지 스테이플 접합체(1)의 선단이 포밍 블레이드(4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리테이너(6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61)와 이 수직고정부(6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된 탄성부(6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핸들(10)과 트리거(20)의 후반부를 쥐어 누르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20)가 탄성부재(26)의 탄성을 이기면서 힌지홈(15)과 이에 삽입된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 선단의 삽입홈(20a)에 삽입된 포밍 블레이드(40)가 블레이드 안내부재(50)의 안내편(5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42)가 스테이플 접합체(1)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테이플(1a)이 스테이플 접합체(1)로부터 분리되면서 추출되기 시작하고, 추출되는 스테이플(1a)의 연결부가 엔빌부(38)에 이르면 연결부의 중간부가 엔빌부(38)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름에 따라 도 4c와 같이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테이플(1a)이 계속 추출되면서 그 각부가 봉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파고 들어가게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1a)의 연결부가 누름돌기(42)의 내측단과 엔빌부(38)의 양측단 경계 부분에서 절곡되어 결국 스테이플(1a)의 양측 각부가 안으로 오무라지면서 봉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 트리거(20)가 도 4a의 상태에서 회동하기 시작하면 그 후단부에 형성된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24)가 핸들(10)의 후단벽(14)에 형성된 걸림공(17) 중 하측에 위치한 것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상승하게 되고 핸들(10)과 트리거(20)를 완전히 쥐어 누르기 전에 그 힘을 제거하면 스토퍼(24)는 걸림공(17)중 어느 하나에 걸린 상태이므로 탄성부재(26)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트리거(20)가 복귀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도 4b 참조).
이때,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핀(25)이 핸들(10)의 양측벽(11) 내면에 형성된 캠(18)의 후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가 완전히 눌려진 상태에서는 도 4c와 같이 스토퍼(24)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이르게 되고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 이르게 된다. 이때 탄성각(23)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접촉하는 스토퍼(24)에 의해 전방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넘어가게 됨과 아울러 스토퍼(24)는 후단벽(14) 및 걸림공(17)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봉합이 완료된 상태로서 이후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트리거(20)는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된다.
한편,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도 6a와 같이 리테니어(60)의 탄성부(62)가 포밍 블레이트(40)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로 되며,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하여 스테이플(1a)를 추출한 후 상승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도 6b와 같이 탄성부(62)가 스테이플 접합체(1)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포밍 블레이드(40)의 상승 복귀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최초 제작 시 상기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스테이플 접합체(1)를 장전함에 있어서는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에 따라 받침편(35)을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걸림턱(31a)중 어느 하나에 걸어서 스테이플 이송대(33)에 전진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조절한 상태로 조립한다.
즉, 장전되는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가 많을 경우,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약화시키고,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가 적을 경우,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스테이플 접합체(1)의 스테이플(1a) 개수, 즉 스테이플 접합체(1)의 길이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진 이송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스테이플 잼을 배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규격의 스테이플러 스택(30)에 스테이플(1a)의 개수가 다른, 즉 전체 길이가 다른 스테이플 접합체(1)를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포밍 블레이드(40)와 엔빌부(38)를 이용한 스테이플(1a)의 밴딩(bending)시 스테이플(1a)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는 봉합 후에 환자의 봉합부위 역시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단차가 생기게 되어 흉터가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처부위가 사고에 의한 경우에는 상처부위가 일정치 않으므로 봉합시에 스테이플(1a)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지 않게 되면 봉합되는 상처부위가 미관상 좋지 않게 봉합되어 흉터가 안좋게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테이플(1a)이 밴딩후에 수술부위에서 착탈이(빠지지 않는 현상) 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즉 즉 절개부위의 봉합 후 봉합이 안되어 상처부위가 빠른시간에 아물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인해 봉합상처부위의 치료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테이플(1a)이 포밍 블레이드(40)과 엔빌부(38)의 힘의 작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좌우로 치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개부위의 봉합 후 상처가 치료되어 스테이플 제거기로 스테이플(1a)을 제거할 때 스테이플(1a)이 좌우로 드러나면면서 제거가 되는데 이때 앞,뒤 혹은 좌우로 휘어져 봉합된 경우에는 스테이플이 환자의 봉합부위에 상처를 내면서 제거되므로 치료시간이 늦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테이플이 벤딩시에 포머에서 이탈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과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디인 바디프레임 (127); 및
상기 바디프레임 (127) 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쥐고 손가락으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안쪽으로 삽입되는 트리거 (141) 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앞부분에는 외과용 스테이플 (136) 가 로딩되어 있는 카트리지 (114) 가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겨서 트리거 (141) 가 상기 바디프레임 (127) 으로 삽입이 되면 카트리지 (114) 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포머 (122) 가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136) 을 한개씩 아래방향으로 밀면서 벤딩하면서 절개된 환자의 피부를 봉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의하면, 일반적인 스테이플러는 보통 종이를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플러가 종이를 관통하여 종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은 용이하게 수행이 된다. 그러나 외과용 스테이플러를 가지고 수술로 인하여 환자의 절개된 피부를 관통하여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는 것은 종이를 봉합하는 것보다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외과용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기 위해 포머 (122) 에 의해 스테이플로 피부를 관통하고 봉합할 때, 사람이 피부가 관통되기 어려운 성질로 인하여 스테이플 (136) 이 피부를 관통하지 못하고 포머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상당히 자주 발생한다. 수술현장에는 외과용 스테이플이 제대로 벤딩되지 못하고 외과용 스테이플러속에 재밍 (jamming)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스테이플이 피부을 봉합하는 대신에 한쪽에 관통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서로 접착되어 있는 개개의 스테이플 (136) 이 포머 (122) 에 의해 분리되어야 할 시점에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도 종종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플러 스택과 포밍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바디프레임에서 트리거가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의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의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에 카트리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의 앞부분에 카트리지가 결합된 모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플러 스택과 포밍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바디프레임에서 트리거가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의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의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에 카트리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의 앞부분에 카트리지가 결합된 모습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바디프레임에서 트리거가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앞부분에 포머(122) 와 엔빌 (119) 이 설치된 트리거 (141) 가 바디프레임 (127) 의 속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기본구조는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카트리지에 엔빌과 포머가 결합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엔빌부 (119) 가 포머 (122) 가 외과용 스테이플 (136) 이 로딩되는 카트리지 (114) 의 앞부분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 역시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의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의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 (122) 와 엔빌 (119) 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러의 포머와 엔빌이 설치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에 카트리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의 앞부분에 카트리지가 결합된 모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트리지에 홈이 구성되고, 트리거의 앞부분에 형성된 돌기에 카트리지의 홈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2: 삽입홈
114: 카트리지
119: 엔빌
122: 포머
127: 바디프레임
136: 스테이플
141: 트리거
114: 카트리지
119: 엔빌
122: 포머
127: 바디프레임
136: 스테이플
141: 트리거
Claims (1)
- 외과용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러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디인 바디프레임 (127); 및
상기 바디프레임 (127) 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쥐고 손가락으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안쪽으로 삽입되는 트리거 (141) 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141) 의 앞부분에는 외과용 스테이플 (136) 가 로딩되어 있는 카트리지 (114) 가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겨서 트리거 (141) 가 상기 바디프레임 (127) 으로 삽입이 되면 카트리지 (114) 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포머 (122) 가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136) 을 한개씩 아래방향으로 밀면서 벤딩하면서 절개된 환자의 피부를 봉합하는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891A KR20230101624A (ko) | 2021-12-29 | 2021-12-29 | 외과용 스테이플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891A KR20230101624A (ko) | 2021-12-29 | 2021-12-29 | 외과용 스테이플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1624A true KR20230101624A (ko) | 2023-07-06 |
Family
ID=8718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1891A KR20230101624A (ko) | 2021-12-29 | 2021-12-29 | 외과용 스테이플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162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6780A (ko) | 1998-12-31 | 2000-07-25 | 김상일 | 외과용 봉합기 |
-
2021
- 2021-12-29 KR KR1020210191891A patent/KR2023010162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6780A (ko) | 1998-12-31 | 2000-07-25 | 김상일 | 외과용 봉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37049B2 (ja) | 外科用ステープル留め器 | |
US5456400A (en) | Apparatus and clip for fastening body tissue | |
US7909039B2 (en) | Operating staple and intraluminal stapler for operation having the operating staple | |
JPS6236694B2 (ko) | ||
US4583670A (en) | Surgical stapling | |
US10758227B2 (en) | Delivering bioabsorbable fasteners | |
US5049152A (en) | Hemostatic clip applicator | |
US4406392A (en) |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 |
US20080172053A1 (en) | Connective tissue repair system | |
JPH07108295B2 (ja) | 手術用ステ−プラ | |
JP2005526549A (ja) | I字形状の外科的ファスナーを保持し搬送し配置するための器具 | |
CN107157538B (zh) | 一种直线切割吻合器 | |
CN109394292B (zh) | 血管施夹器的施夹装置 | |
TWI653025B (zh) | 血管施夾裝置 | |
KR20230101624A (ko) | 외과용 스테이플러 | |
CA1174932A (en) |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 |
KR20230072349A (ko) | 외과용 봉합기 | |
WO2006077878A1 (ja) | 医療用ステープル | |
KR20000046780A (ko) | 외과용 봉합기 | |
TW201932075A (zh) | 血管施夾裝置 | |
CN212879781U (zh) | 医用虹膜缝合器 | |
JP3200050B2 (ja) | 外科用皮膚縫合ステープラ | |
JP3200049B2 (ja) | 皮膚縫合用ステープル | |
KR20090110163A (ko) | 외과용 봉합기 | |
KR101573874B1 (ko) | 외과용 봉합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