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163A - 외과용 봉합기 - Google Patents

외과용 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163A
KR20090110163A KR1020080035806A KR20080035806A KR20090110163A KR 20090110163 A KR20090110163 A KR 20090110163A KR 1020080035806 A KR1020080035806 A KR 1020080035806A KR 20080035806 A KR20080035806 A KR 20080035806A KR 20090110163 A KR20090110163 A KR 2009011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former
anvil
bend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김상근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김영권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08003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163A/ko
Publication of KR2009011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벽과 상면벽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탄력 지지된 트리거와,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가 장전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스태플 접합체를 전진 이송시키는 스태플 이송대가 내장된 카트리지와, 포머 및 앤빌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각각 상기 카트리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포머가 스태플을 밴딩시키는 전후과정동안 상기 포머를 안내하여 주기위하여 중앙부분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턱과; 상기 가이드턱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포머에 의해 밀리는 스태플이 걸려 밴딩되는 스태플밴딩턱과;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턱이 형성된 반대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지지바에 의해 지지된 평행한 양측 하단은 측면에서 볼때 경사진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양측 상단은 절곡되어 상기 앤빌에 고정설치된 착탈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앤빌의 조립 상대물인 상기 포머는 상기 앤빌의 중앙의 가이드턱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가이드턱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태플의 밴딩시 프레임,카트리지 및 트리거의 유격에 상관없이 스태플을 밴딩하여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합기, 스태플, 앤빌, 포머

Description

외과용 봉합기{Surgical Stapler}
본 발명은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앤빌과 포머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스태플의 밴딩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스태플의 사각모양으로 정확하게 밴딩되도록 하며, 스태플이 밴딩 작업후에도 원활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스태플의 밴딩 작업시 스태플이 앞,뒤 또는 전후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용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
외과용 봉합기는 외과 수술시 절개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1회용 의료기구이다. 외과용 봉합기와 관련한 종래기술은 이미 개시된 바 있다(대한민국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0-0046780호, 2000. 7. 25).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0은 핸들이고, 20은 트리거이며, 30은 스태플러 스택이고, 40은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을 한 개씩 분리하여 밀어내기 위한 포밍 블레이드이다.
상기 스태플(1a)은 한 쌍의 평행한 각부(脚部)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대 략 "ㄷ"자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스태플 접합체(1)는 다수개(통상 15∼50개)의 스태플(1a)을 접착제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스태플러 스택(30)에 장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은 양측벽(11)과 상면벽(12)에 의하여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측벽(11)과 상면벽(12)의 선단은 선단벽(13)으로, 후단은 후단벽(1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측벽(11)의 하측 연부에는 선단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힌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은 상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벽(14)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벽(12)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에 장전된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창(16)에는 스태플(1a)의 잔존 개수를 표시하는 눈금과 수자가 인쇄된다.
상기 후단벽(14)에는 다수개의 걸림공(17)이 천공되고, 양측벽(11) 내측면에는 캠(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는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10)의 힌지홈(15)에 삽입되어 트리거(20)의 회동 지점이 되는 힌지돌기(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선단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의 상단이 끼워지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20)의 후단부에는 탄성각(23)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 탄성각(23)의 상단에는 상기 핸들(10)의 걸림공(17)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24)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 내면에 형성된 캠(18)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핀(25)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미 설명 부호 26은 상기 트리거(20)를 핸들(10)에 대하여 상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이다.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은 상기 핸들(10)의 선단부측 저면과 트리거(20)의 선단부측 상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에 의하여 그 내부에 다수개(통상 15 ∼ 50개)의 스태플(1a)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1)가 장전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스태플 접합체(1)를 선단측으로 이송하는 스태플 이송대(33)가 탄성부재(34)에 의하여 선단측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태플 이송대(33)는 선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태플 이송대(33)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34)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31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받침편(35)과 상기 스태플 이송대(33)의 후단면 사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4)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 편(35)에 후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는 지지된 안내봉(36)에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스태플 이송대(33)의 후단부에는 상기 인디케이터창(16)을 통해 투시되는 인디케이터(37)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7)는 상기 스택 커버(32)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32a)과 트리거(2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20b)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앤빌 지지 및 포밍 블레이드 안내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와 스택 커버(32)는 상술한 내장 부품들을 조립한 후 초음파 접착 방법에 의하여 접착되어 하나의 부분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택 베이스(31)의 선단에는 스태플(1a)의 연결부 중간부를 지지하는 앤빌부(38)가 형성된다.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을 결착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10)의 양측벽(11) 외면과 스택 커버(32)의 양측면에는 결착용 클립(39)이 위치하는 클립 안내홈(11a)(3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밍 블레이드(40)는 트리거(20)의 선단면에 형성된 삽입홈(20a)에 상단절곡부(41)가 삽입됨과 아울러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하단부 양측에는 스태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는 누름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는 포밍 블레이드(40)를 안내하는 블레이드 안 내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블레이드 안내부재(50)는 상기 스택 커버(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체(51)와, 이 지지체(51)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진 블레이드 안내편(5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의 전방에는 최선단의 스태플(1a)이 취출된 후 포밍 블레이드(40)가 복귀하기 전까지 스태플 접합체(1)의 선단이 포밍 블레이드(4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리테이너(6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상기 핸들(10)의 선단벽(13)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61)와 이 수직고정부(6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된 탄성부(6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핸들(10)과 트리거(20)의 후반부를 쥐어 누르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20)가 탄성부재(26)의 탄성을 이기면서 힌지홈(15)과 이에 삽입된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 선단의 삽입홈(20a)에 삽입된 포밍 블레이드(40)가 블레이드 안내부재(50)의 안내편(52)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42)가 스태플 접합체(1)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스태플(1a)의 연결부 양측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태플(1a)이 스태플 접합체(1)로부터 분리되면서 추출되기 시작하고, 추출되는 스태플(1a)의 연결부가 앤빌부(38)에 이르면 연결부의 중간부가 앤빌부(38)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름에 따라 도 4c와 같이 포밍 블레이드(4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태플(1a)이 계속 추출되면서 그 각부가 봉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파고 들어가게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플(1a)의 연결부가 누름돌기(42)의 내측단과 앤빌부(38)의 양측단 경계 부분에서 절곡되어 결국 스태플(1a)의 양측 각부가 안으로 오무라지면서 봉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 트리거(20)가 도 4a의 상태에서 회동하기 시작하면 그 후단부에 형성된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24)가 핸들(10)의 후단벽(14)에 형성된 걸림공(17) 중 하측에 위치한 것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상승하게 되고 핸들(10)과 트리거(20)를 완전히 쥐어 누르기 전에 그 힘을 제거하면 스토퍼(24)는 걸림공(17)중 어느 하나에 걸린 상태이므로 탄성부재(26)의 탄성에도 불구하고 트리거(20)가 복귀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도 4b 참조).
이때, 탄성각(23)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핀(25)이 핸들(10)의 양측벽(11) 내면에 형성된 캠(18)의 후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계속하여 핸들(10)과 트리거(20)가 완전히 눌려진 상태에서는 도 4c와 같이 스토퍼(24)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이르게 되고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 이르게 된다.
이때 탄성각(23)은 후단벽(14)의 최상단에 접촉하는 스토퍼(24)에 의해 전방 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핀(25)은 캠(18)의 최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넘어가게 됨과 아울러 스토퍼(24)는 후단벽(14) 및 걸림공(17)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봉합이 완료된 상태로서 이후 핸들(10)과 트리거(20)를 쥐어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트리거(20)는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된다.
한편,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도 6a와 같이 리테니어(60)의 탄성부(62)가 포밍 블레이트(40)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려나간 상태로 되며, 포밍 블레이드(40)가 완전히 하강하여 스태플(1a)를 추출한 후 상승 복귀하는 과정에서는 도 6b와 같이 탄성부(62)가 스태플 접합체(1)의 선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포밍 블레이드(40)의 상승 복귀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최초 제작 시 상기 스태플러 스택(30)에 스태플 접합체(1)를 장전함에 있어서는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에 따라 받침편(35)을 스택 베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걸림턱(31a)중 어느 하나에 걸어서 스태플 이송대(33)에 전진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조절한 상태로 조립한다.
즉, 장전되는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가 많을 경우,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약화시키고, 스태플 접합체(1)의 스태플(1a) 개수가 적을 경우,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받침편(35)을 후방측 걸림턱(31a)에 걸어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스태플 접합체(1)의 스 태플(1a) 개수, 즉 스태플 접합체(1)의 길이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진 이송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스태플 잼을 배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규격의 스태플러 스택(30)에 스태플(1a)의 개수가 다른, 즉 전체 길이가 다른 스태플 접합체(1)를 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포밍 블레이드(40)와 앤빌부(38)를 이용한 스태플(1a)의 밴딩(bending)시 스태플(1a)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는 봉합 후에 환자의 봉합부위 역시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단차가 생기게 되어 흉터가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처부위가 사고에 의한 경우에는 상처부위가 일정치 않으므로 봉합시에 스태플(1a)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지 않게 되면 봉합되는 상처부위가 미관상 좋지 않게 봉합되어 흉터가 안좋게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태플(1a)이 밴딩후에 수술부위에서 착탈이(빠지지 않는 현상) 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즉 즉 절개부위의 봉합 후 봉합이 안되어 상처부위가 빠른시간에 아물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인해 봉합상처부위의 치료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태플(1a)이 포밍 블레이드(40)과 앤빌부(38)의 힘의 작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좌우로 치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개부위의 봉합 후 상처가 치료되어 스태플 제거기로 스태플(1a)을 제거할 때 스태플(1a)이 좌우로 드러나면면서 제거가 되는데 이때 앞,뒤 혹은 좌우로 휘어져 봉합된 경우에는 스태플이 환자의 봉합부위에 상처를 내면서 제거되므로 치료시간이 늦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 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앤빌과 포머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스태플의 밴딩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스태플의 사각모양으로 정확하게 밴딩되도록 하는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태플이 밴딩 작업후에도 원활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태플의 밴딩 작업시 스태플이 앞,뒤 또는 전후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용 봉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벽과 상면벽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에 대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전반부 저부에 결합되어 양측 각부와 이들 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가 장전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스태플 접합체를 전진 이송시키는 스태플 이송대가 내장된 카트리지와, 상기 트리거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스태플을 눌러 추출하는 포머 및 앤빌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스태플을 밴딩 직전에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포머와 결합되어 스태플을 밴딩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각각 상기 카트리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포머가 스태플을 밴딩시키는 전후과정동안 상기 포머를 안내하여 주기위하여 중앙부분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턱과; 상기 가이드턱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포머에 의해 밀리는 스태플이 걸려 밴딩되는 스태플밴딩턱과;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턱이 형성된 반대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지지바에 의해 지지된 평행한 양측 하단은 측면에서 볼때 경사진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양측 상단은 절곡되어 상기 앤빌에 고정설치된 착탈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앤빌의 조립 상대물인 상기 포머는 상기 앤빌의 중앙의 가이드턱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가이드턱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태플의 밴딩시 프레임,카트리지 및 트리거의 유격에 상관없이 스태플을 밴딩하여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머의 중간 상층부는 측면에서 볼때 6~8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밴딩시 상기 포머가 하강할 때 전체 조립에서 오는 유격을 상기 포머 상층부 예각의 텐션으로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머의 날 끝단부는 45도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스태플의 밴딩시 외경을 잡아 주어 밴딩시 스태플이 봉합기 조립에서 나타나는 유격에도 스태플이 상기 포머의 날 부위 한 가운데로 타고나와 밴딩이 원할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스태플은, 중앙에 상기 앤빌의 턱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돌기에 맞게 안착되도록 요철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태플의 지름은 상기 앤빌 턱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상기 스태플 밴딩후에 상기 앤빌에서 상기 착탈스프링에 의해 밴딩된 스태플이 잘 착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 의하면, 앤빌의 턱에 설치된 돌기를 통해 스태플과 서로 맞물리게 되어 스태플이 밴딩 직전에 좌우로 치우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앤빌의 중앙에 가이드턱을 형성하고 포머에는 가이드턱 홈을 형성함으로써 앤빌과 포머가 스태플의 밴딩작업시 서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스태플을 사각형상으로 정확하게 밴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태플의 지름을 앤빌 턱의 두께보다 작게하여 스태플의 밴딩후에 앤빌에서 착탈스프링에 의해 밴딩된 스태플이 잘 착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태플과 앤빌이 요철에 의해 서로 맞닿아 있으므로 스태플의 밴딩시에 스태플이 앞뒤로 미세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스태플이 밴딩 후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머의 중간 상층부에 6~8도 정도의 예각을 주어 밴딩시 포머가 하강할 때 전체 조립에서 오는 유격을 포머 상층부 예각의 텐션으로 최소한으로 줄여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머의 날 끝단부에 45도 각도를 주어 스태플의 밴딩시 외경을 잡아주어 밴딩시 스태플이 봉합기 조립에서 나타나는 유격에도 스태플이 포머 날 부위 한 가운데로 타고나와 밴딩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former)와 앤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앤빌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착탈스프링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와 앤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의 정면도, 평면도 및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포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착탈스프링이 결합된 앤빌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9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5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의 스태플밴딩턱과 스태플의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의 스태플밴딩턱과 스태플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앤빌(119)과 포머(122)의 결합시 가이드가 사출몰드된 카트리지(114)에 포머(122) 폭만큼 홈을 내어 결합시켰으나 상기 사출몰드된 카트리지(114)의 수축율의 변화로 스태플이 밴딩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는 앤빌(119)의 상단 양쪽을 연장시킨 후 밴딩하여 카트리지(114) 상부턱에 걸어서 안착시켜 포머(122)의 좌,우 폭을 잡아주어 가이드하게 되므로 밴딩 스태플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며, 앤빌(119) 중간에 가이드턱(116)을 설치하고 포머(122)의 중심에 가이드턱 홈(122a)을 내어 서로 가이드시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체적인 형상은 종래기술의 외과용 봉합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참조부호 122는 포머를 나타내며, 127은 프레임을 나타내며, 128은 장력스프링보호스토퍼를 나타내며, 트리거(141)가 프레임(127)내에 장력스프링(129)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트리거(141)는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134)이 프레임(127)의 가이드바(133)를 지나 스프링안내가이드(131) 및 1차패드(132)를 거쳐 이동된다. 참조부호 130은 2차패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39는 트리거(141)가 회전하는 중심축인 동시에 상기 트리거(141)의 헤드부에 삽입고정된 포머(122)의 회전 중심축이 된다. 카트리지(114)는 어셈블리안내홈(140)을 구비하며 복수개의 스태플(136)을 스태플착탈홈(135)내에 내장하고 있다. 상기 스태플(136)은 압력스프링(138)에 의해 스태플이송바(137)를 통해 전방(도면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힘을 받고 있다. 상기 포머(122)는 상기 카트리지의 전방경사면(114-1)에 안착된 앤빌(119)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카트리지(114)내에 안착된 스태플(136)의 한개씩 하방으로 밀어서 상기 카트리지(114)의 스태플착탈홈(135)을 통해 배출시키면서 이를 통해 환자의 수술부위를 봉합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14)의 선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시 그 부분을 환자의 수술부위에 접촉시킨 후에 트리거(141)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봉합기의 앤빌(119) 상에 포머(122)가 얹혀져 있는 상태로서, 상기 포머(122)는 상기 앤빌의 상단부 양측에 연장형성된 앤빌고정턱(11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포머(122)는 중앙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턱홈(122a)가 상기 앤빌(119)의 가이드턱(116)을 따라 역시 가이드되면서 이 동되게 된다. 상기 포머(122)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앤빌(119)의 스탬플밴딩턱(117)까지 이동되는데 이때 스태플(136)은 상기 포머(122)의 하방 양단부에 의해 절곡되면서 오므라들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앤빌(119)의 하방 양단부는 상기 카트리지(114)의 앤빌가이드홈(112)에 고정되는 앤빌고정턱이 형성된다(118). 한편 상기 포머(122)는 하반부 일정각도 만큼의 스태플밴딩안착각도(120)를 가지게 된다. 상기 포머(122)의 하단부에는 종단면이 반원형상인 스태플밴딩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태플(136)을 홀딩하면서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 앤빌(119)는 착탈스프링(126)이 일체로 고정(점용접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착탈스프링(126)은 11자 형태로 평행하게 늘어선 구조이고, 착탈스프링(126)의 중간부분이 착탈스프링좌우지지대(123)에 의해 지지되어있고, 착탈스프링(126)의 상단부(124)가 절곡되어 상기 앤빌(119)에 상단부에 걸쳐져있고, 상기 착탈스프링(126)의 하단부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앤빌(119)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포머(122)의 양하단부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착탈탄성절곡부(125)를 이룬다(도 10 내지 도 13 참조).
도 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14)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114)는 앤빌고정가이드(110)를 통해 상기 프레임(127)의 전방부의 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물론 상기 앤빌(119)과 포머(122)가 장착된 상태로 끼워지게 됨을 물론이다. 상기 카트리지(114)에서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 안내기둥(111)은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종래 외과용 봉합기의 핵심 가이드부분을 포머(122)와 카트리지(114)와 결합 시켜 스텐레스소재의 앤빌(119)과 스텐레스소재 포머(122)를 결합시켜 개선하여 종래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122)와 카트리지(114)로 가이드한 것을 앤빌(119)과 포머(122)를 이용하여 가이드하게 되므로 서로 밀착된 일심동체로 포머(122)와 앤빌(119)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태플이 좌우로 치우치는 현상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또한 포머(122)가 직선을 이루어 아래로 슬라이딩 된 후 스태플(136)이 앤빌(119) 스태플밴딩턱(117)에서 밴딩이 되는데 밴딩후 착탈스프링(126)이 포머(122)가 상승되면 밴딩된 스태플(136)을 안쪽으로 밀어내어 착탈시킨다.
종래 외과용 봉합기는 앤빌(119)과 카트리지(114) 그리고 프레임(127)과 트리거(141)의 유격과 스태플(136)의 소재 두께로 앤빌(119) 스태플밴딩턱(117)에 밴딩시 많은 힘이 전달되는데 고정 가이드도 없어 트리거(141)를 바닥까지 당겨도 좌,우 흔들림으로 스태플(136)이 사각 모양의 밴딩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밴딩이 되어도 좌,우 힘이 대칭으로 양분되지 못하여 어느 한쪽이 꼭 끼이게 되면 착탈스프링(126)의 다리 형상이 11자로 대칭되어 같은 힘이 전달되어 착탈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외과용 봉합기는 앤빌(119)과 포머(122)를 합체하여(기존은 포머(122)와 카트리지(114) 합체임) 유격에서 오는 틈새거리를 좁혀 항상 스태플(136) 밴딩 후 대칭이 되게 하여 좌,우로 꼭끼이는 현상을 제거하였고 착탈스프링(126)의 11자 형상의 중간에 보강 대를 연결하여 혹 한쪽으로 꼭 끼이는 현상을 해소하며 또한 스태플(136)의 중앙 부분에 3 내지 5개의 사다리꼴 또는 반원형상의 요철(136a,136b,136c,136d)과 앤빌(119) 스태플밴딩턱(117)에 같은 대응 되는 형상(117a,117b,117c,117c)을 만들어 주어 밴딩시 서로 상,하 안착된 후 밴딩이 되도록 하여 대칭을 이루어 착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포머(122)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착탈스프링(126)을 포머(122)가 밀어주고 스태플(136)이 앤빌(119)의 스태플밴딩턱(117)에 안착되어 포머(122)가 밴딩을 하여 완성한다.
종래 외과용 봉합기에서는 착탈스프링(126)위에 스태플이 위치하거나 앤빌(119)벽에 위치한다. 착탈스프링(126)위에 있는 것은 착탈스프링(126)의 각도에 따라 스태플의 위치가 변하여 밴딩시 대칭이 되기 어렵다. 또 스태플(136)이 앤빌(119)벽에 위치하면 포머(122)가 누르기 전까지 완전한 가이드가 안되어 스태플(136)이 앞,뒤로 돌지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외과용 봉합기에서는 스태플(136) 중앙부에 5개의 요철과 앤빌(119) 턱에 같은 요철모양의 돌기를 주어 포머(122)가 아래로 하강하면 카트리지(114) 출구에서 스태플(136)이 나와 앤빌(119) 스태플밴딩턱(117)에 안착되어 포머(122)가 스태플(136)을 밴딩하면 아래쪽에는 5개의 요철이 스태플(136)을 중앙에 안착하여 프레임(127)과 카트리지(114)의 조립 유격을 보강하여 밴딩시 스태플(136)이 휘돌아(구르는) 앞,뒤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좌,우 비대칭되는 것을 잡아주고 또한 포머(122)의 초입부에 45도 각을 주어 스태플(136)을 잡아주도록 하였다.
상기 스태플(136)과 포머(122)에 5개의 요철은 스태플(136)을 포머(122)가 밴딩시에 스태플(136)이 앞,뒤로 미세하게 휘도는 것을 막아 스태플(136)이 밴딩후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태플러 스택과 포밍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에 의한 외과용 봉합기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former)와 앤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앤빌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착탈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포머와 앤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의 정면도, 평면도 및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포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착탈스프링이 결합된 앤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로서 도 19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과 포머가 카트리지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리거와 프레임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의 스태플밴딩턱과 스태플의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에서 앤빌의 스태플밴딩턱과 스태플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앤빌고정가이드
111: 카트리지가이드안내기둥
112: 앤빌가이드홈
114: 카트리지
115: 앤빌고정턱
116: 가이드턱가이드턱태플밴딩턱
118: 앤빌고정턱
119: 앤빌
120: 스태플밴딩안착각도
121: 스태플밴딩안착홈
122: 포머
123: 착탈스프링좌우지지대
124: 착탈스프링상단부
125: 스프링착탈탄성절곡부
126: 착탈스프링
127: 프레임
128: 장력스프링보호스토퍼
129: 장력스프링
130: 2차패드
131: 스프링안내가이드
132: 1차패드
133: 가이드바
134: 스프링
135: 스태플착탈홈
136: 스태플
137: 스태플이송바
138: 압력스프링
139: 포머의 중심축
140: 어셈블리안내홈
141: 트리거

Claims (5)

  1. 양측벽과 상면벽에 의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에 대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의 전반부 저부에 결합되어 양측 각부와 이들 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스태플이 접합 연결된 스태플 접합체가 장전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스태플 접합체를 전진 이송시키는 스태플 이송대가 내장된 카트리지와, 상기 트리거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스태플을 눌러 추출하는 포머 및 앤빌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외과용 봉합기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스태플을 밴딩 직전에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포머와 결합되어 스태플을 밴딩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각각 상기 카트리지에 끼워지도록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포머가 스태플을 밴딩시키는 전후과정동안 상기 포머를 안내하여 주기위하여 중앙부분에 돌출형성된 가이드턱과;
    상기 가이드턱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포머에 의해 밀리는 스태플이 걸려 밴딩되는 스태플밴딩턱과;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턱이 형성된 반대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지지바에 의해 지지된 평행한 양측 하단은 측면에서 볼때 경사진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양측 상단은 절곡되어 상기 앤빌에 고정설치된 착탈스프링을 포함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앤빌의 조립 상대물인 상기 포머는 상기 앤빌의 중앙의 가이드턱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가이드턱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태플의 밴딩시 프레임,카트리지 및 트리거의 유격에 상관없이 스태플을 밴딩하여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외과용 봉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머의 중간 상층부는 측면에서 볼때 6~8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밴딩시 상기 포머가 하강할 때 전체 조립에서 오는 유격을 상기 포머 상층부 예각의 텐션으로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머의 날 끝단부는 45도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스태플의 밴딩시 외경을 잡아 주어 밴딩시 스태플이 봉합기 조립에서 나타나는 유격에도 스태플이 상기 포머의 날 부위 한 가운데로 타고나와 밴딩이 원할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봉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과용 봉합기의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상기 앤빌의 턱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 의 돌기에 맞게 안착되도록 요철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플의 지름은 상기 앤빌 턱의 두께보다 작게 하여 상기 스태플 밴딩후에 상기 앤빌에서 상기 착탈스프링에 의해 밴딩된 스태플이 잘 착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플.
KR1020080035806A 2008-04-17 2008-04-17 외과용 봉합기 KR20090110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06A KR20090110163A (ko) 2008-04-17 2008-04-17 외과용 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806A KR20090110163A (ko) 2008-04-17 2008-04-17 외과용 봉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63A true KR20090110163A (ko) 2009-10-21

Family

ID=4153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806A KR20090110163A (ko) 2008-04-17 2008-04-17 외과용 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1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26B1 (ko) * 2009-10-16 2014-06-03 김영권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의 신규한 구조
CN108635076A (zh) * 2018-07-05 2018-10-12 王量 一种兽用皮肤缝合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26B1 (ko) * 2009-10-16 2014-06-03 김영권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의 신규한 구조
CN108635076A (zh) * 2018-07-05 2018-10-12 王量 一种兽用皮肤缝合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49071U (zh) 直线型切割缝合器
CN101991453B (zh) 直线型切割缝合器
CN102068290B (zh) 直线型切割缝合器
US7909039B2 (en) Operating staple and intraluminal stapler for operation having the operating staple
RU2445021C2 (ru) Кассеты для скобок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кобок с разными высотами сформированных скобок
CA1245936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with dual staple height mechanism
EP3241502B1 (en) Stapling head assembly and sutur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endoscopic surgery
US20100065604A1 (en) Lockout mechanism for a surgical stapler
US8205780B2 (en) Apparatus for forming variable height surgical fasteners
US4522327A (en) Surgical fastener applying apparatus
US20070185504A1 (en) Medical clip feeding mechanism
US3078465A (en) Instrument for stitching gastric stump
JPS6236694B2 (ko)
EP0669104A1 (en) Anvil pockets for surgical stapler
JP2005526549A (ja) I字形状の外科的ファスナーを保持し搬送し配置するための器具
KR20100091982A (ko)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
KR20090110163A (ko) 외과용 봉합기
CN107157538B (zh) 一种直线切割吻合器
KR20110041945A (ko) 외과용 봉합기 포머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3A (ko)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7A (ko) 외과용 봉합기 탄성부재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4A (ko) 외과용 봉합기 스태플 이송대의 신규한 구조
KR20110041946A (ko) 외과용 봉합기 앤빌의 신규한 구조
CN202122595U (zh) 直线型切割缝合器
KR101573874B1 (ko) 외과용 봉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