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12Y1 - 항균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항균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012Y1
KR200340012Y1 KR20-2003-0032428U KR20030032428U KR200340012Y1 KR 200340012 Y1 KR200340012 Y1 KR 200340012Y1 KR 20030032428 U KR20030032428 U KR 20030032428U KR 200340012 Y1 KR200340012 Y1 KR 200340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water supply
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노미노루
스미야마노리히꼬
오오에히로까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oducing oligodynamic substances to disinfect the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이온 용출 유닛(100)은 케이스(110) 안에 전극(113, 114)을 가진다. 케이스(110)에는 급수 호스(180)를 접속하는 유입구(111)와, 세탁기(1)의 급수 밸브(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출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10) 안으로 물을 흘려 보내면서, 전극(113, 114)에 대해서 전원 유닛(101)에 의해 전압을 인가하면, 수중에 금속 이온이 용출 된다. 금속 이온을 함유한 물을 세탁조(30)에서 받아, 이 물로 세탁물을 헹궈서 세탁물에 항균처리를 행한다. 케이스(110)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113, 114)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전극(113, 114)의 감모 상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교환 타이밍을 판단한다.

Description

항균 처리 장치 {ANTIBIOTIC TREATMENT DEVICE}
본 고안은 세탁물을 금속 이온으로 항균 처리할 수 있는 항균 처리 장치에관한 것이다.
세탁기로 세탁을 행할 때, 물(특히 헹굼수)에 마무리 물질이 흔히 가해진다. 마무리 물질로서 일반적인 것은 유연제나 풀제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세탁물에 항균성을 갖게 하는 마무리 처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탁물은 위생상의 관점에서는 햇볕 말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여성취업율의 향상이나 핵가족화의 진행에 의해, 낮 동안은 집에 아무도 없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실내 말림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다. 낮 동안에 누군가가 집에 있는 가정에 있어서도, 우천 시에는 실내 말림을 하게 된다.
실내 말림의 경우, 햇볕 말림에 비해서 세탁물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워진다. 장마철과 같은 고습 시나 저온 시 등, 세탁물의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 이 경향은 현저하다. 번식상황에 따라서는 세탁물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는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상적으로 실내 말림을 할 수밖에 없는 가정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서, 옷감에 항균 처리를 실시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강하다.
최근에는 섬유에 항균방취가공이나 제균가공을 한 의류도 많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가정내의 섬유 제품을 모두 항균방취가공필의 것에서 갖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항균방취가공의 효과는 세탁을 거듭함에 따라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세탁시마다, 세탁물을 항균 처리하고자 하는 생각이 생겨났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74487호 공보』에는 은 이온, 구리 이온 등 살균력을 가지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기기를 장비한 전기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93691호 공보』에는 전계의 발생에 의해 세정액을 살균하도록 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76484호 공보』에는 세정물에 은 이온을 첨가하는 은 이온 첨가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세탁 공정에 있어서 항균처리를 행하는 수법 중에서는 금속 이온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도 크고 실용적이다. 금속 이온은 한 쌍의 전극을 물에 담그고, 이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측의 전극으로 용출된다. 예를 들면 양극이 은인 경우, 전압인가 시에 Ag→Ag++e-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에 은 이온 Ag+가 용출된다. 탈수 후, 세탁물이 마를 때까지의 동안은 금속(예를 들면 은)은 이온으로서 존재하고, 살균작용을 발휘한다. 세탁물이 마른 후, 은은 이온이 아니라 은염으로서 존재하는데, 다시 물에 담그면 다시 이온화하여, 살균력을 회복한다. 즉, 이것은 세탁물의 표면에 항균 코팅을 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항균처리(항균 코팅)를 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전극을 케이스 내에 넣은 이온 용출 유닛을 세탁기에 설치하면 좋다고 결론지어진다. 그렇지만, 세탁기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이온 용출 유닛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세탁기의 대형화로 연결되지 않도록 궁리해 낸다고 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을 내장한 세탁기 이외에는 항균처리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소비자에 대해서 충분히 편익을 제공하고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은 사용을 계속하는 중에 감소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한다. 사용이 장기에 걸치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안정해지거나, 소정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그 때문에, 장기간 사용한 이온 용출 유닛은 통째로, 또는 전극만이라도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
그렇지만, 이온 용출 유닛이 세탁기 내에 갖추어져 있는 것에서는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으면 교환할 수 없어서, 사용자에 있어서는 대단히 부담이 큰 작업이 된다. 작업의 수고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세탁기에 이온 용출 유닛을 출납하기 위한 액세스 개구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세탁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세탁물의 항균처리를 위해 물에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유닛을, 종래 구조의 세탁기에 간단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온 용출 유닛의 교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급수 장치(예를 들면 세탁기)가 원래,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급수 장치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항균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1)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의 전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는 급수 호스를 접속하는 유입구와, 세탁기의 급수 밸브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기의 급수부에 대해서 이온 용출 유닛을 외장하므로, 세탁기의 구조 그 자체는 종래대로도 좋다. 즉, 기존의 세탁기를 항균처리기능첨부의 세탁기로 전용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 후의 이온 용출 유닛 교환작업도 지극히 간단하다.
(2)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의 전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수몰 가능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는 상기 전극에 물을 유도하는 통수구를 상기 수몰 가능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를 수몰시켜, 통수구로 케이스 내로 물을 도입해서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하므로, 이온 용출 유닛을 부착하거나 보유하거나 하는 특별한 구조를 세탁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이온 용출 유닛에 급수 호스를 접속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세탁조에 모은 물 속에서 이온 용출작업을 행하므로, 균질한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금속 이온이 균일하게 부착되어, 얼룩이 없는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해서 이온 용출 유닛의 능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는 낡은 유닛을 버리고, 새로운 유닛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어, 유닛의 교환에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을 수몰시킬 수 있는 것은 세탁기의 세탁조만이 아니다.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양동이, 세면기, 컵 등을 이용해서 금속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항균처리하고 싶은 것이 손수건 1장이라고 했을 경우, 손수건 1장을 담그기에 충분할 만큼의 소량의 금속 이온 함유수를 작은 용기 안에서 생성할 수 있어서 수자원을 낭비 할 일이 없다.
(3) 상기와 같은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것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 또는 상용전원은 들어와 있지만, 콘센트 수가 충분치 않은 집이라도, 항균처리를 행할 수 있다.
(4) 상기와 같은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극에의 통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통전 시간의 제어에 의해, 세탁물을 담그는 수량에 맞는 양의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고, 필요한 금속 이온 농도를 확보하여, 항균처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5) 상기와 같은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의 전극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의 내부의 전극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전극의 감모상황으로부터 이온 용출 유닛의 교환 타이밍을 판단하여, 심각한 기능 저하를 초래하기 전에 유닛의 교환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을 항상 충분한 항균처리능력을 발휘하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6)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는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항균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에서,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로)상기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의 이온 발생부로서는 예를 들면, (a)한 쌍의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유닛이나, (b)카트리지 내에 금속 이온 용출재(은 용출재이면 유화 은 등)를 장전하고, 카트리지 내에 물을 통하게 함으로써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급수 장치(예를 들면 세탁기)의 외부에, 이온 발생부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급수 장치로서 이온 발생부를 최초부터 가지고 있지 않은 기존의 것이더라도,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급수 장치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장치의 쓸데없는 개비가 불필요하고, 기존의 급수 장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부는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제거가 자유롭기 때문에, 그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7)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적어도2개의)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한 쌍의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이 용출되어, 유닛 본체 내를 흐르는 물에 그 금속 이온이 첨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 이온 첨가수가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급수 장치를 통해서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므로, 급수대상에 있어서 금속 이온에 의한 효과(예를 들면 항균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극의 수는 한 쌍(2매)이상 있으면 좋다. 3매나 4매의 전극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이들 전극에의 전압인가에 의해, 금속 이온을 용출하고, 금속 이온에 의한 소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a)상기 유닛 본체를, 수도의 수도꼭지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1 호스 또는 상기 수도꼭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부와, (b)상기 유닛 본체를, 상기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2의 호스 또는 상기 급수 장치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더 가지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제1 접속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제1 호스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온 용출 유닛을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제2의 호스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온 용출 유닛을 급수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접속방법의 조합에 의해, 수도의 수도꼭지로 급수 장치에 이르는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이온 용출 유닛을 설치할 때의 접속의 배리에이션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이온 용출 유닛의 설치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9)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유닛 본체와 일체로성형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전극과 유닛 본체를 따로따로 구성할 경우, 전극을 유닛 본체 내에 장전하기 위해서, 유닛 본체를 적어도2개의 바스켓으로 분리해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2개의 분리 바스켓의 접합 부분으로 누수가 생길 가능성이 있어, 밀봉성의 저하가 염려된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전극과 유닛 본체를 일체로 성형하면, 상기의 접합 부분에 상당하는 개소가 없기 때문에, 누수의 문제가 생길 일도 없고, 유닛 본체에 있어서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10)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물의 유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닛 본체에의 물의 유입 방향이 예를 들면 수직방향이어도, 그 물의 유출방향을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 장치와 이온 용출 유닛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라도, 이온 용출 유닛과 급수 장치를 접속하는 제2의 호스를 무리하게 구부리지 않고, 용이하게 끌고 다닐 수 있다.
(11)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의 전압 발생부로서는 예를 들면 내장되는 전지(배터리)나, 가정용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 접속 코드 및 AC어댑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의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해서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에서, 전극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킨다고 하는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12)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검지수단이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면, 예를 들면, 그러한 수류가 만났을 때에 비로소, 구동 유닛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금속 이온을 첨가하고 싶은 물이 흘렀을 때만, 필요한 만큼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고, 안정되게 소망되는 농도의 금속 이온을 첨가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수류가 없을 때, 즉, 금속 이온이 첨가되는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도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뿐이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동 유닛에서 그러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검지수단이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량을 검지하면, 예를 들면, 구동 유닛이 그 유량에 따라서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급수 장치의 설치지역에 따라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변화되거나,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의도적으로 변화시켰을 경우라도, 구동 유닛이 상기 유량에 따라서 금속 이온 용출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어느 유량이라도,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항균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량에 과부족이 생기지 않고, 소망의 항균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13)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내포되는 자석과,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기초하여,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유닛 본체 내부를 물이 통과함으로써 회전자가 회전하면, 그 회전자에 내포된 자석도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자석의 발생하는 자기(자속, 자계)가 변화된다. 따라서, 이 자기변화의 유무를 자기검지부가 검지함으로써, 유닛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수류의 유무, 즉 유닛 본체 내부를 물이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자기변화가 단위시간당 몇 회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자기검지부가 검지함으로써, 회전자의 단위시간당의 회전수를 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유닛 본체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수단이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자, 자석, 자기검지부를 포함해서 구성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14)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수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인가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유닛 본체 내부를 물이 흐르기 시작했을 때에(즉, 금속 이온의 물에의 첨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닛 본체 내에 수류가 없을 때에(즉, 금속 이온의 물에의 첨가가 불필요할 때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같이, 구동 유닛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5)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유량을 검지했을 때, 그 검지한 유량에 따라,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상기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급수 장치의 설치지역이나 설치장소에 따라 수도의 수도꼭지로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다른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동 유닛이 유닛 본체 내의 물의 유량에 따라서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금속 이온 용출량을 상기 유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므로, 급수 장치의 설치지역이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항균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량에 과부족이 생기지 않고, 소망의 항균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16)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유닛 본체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유닛 본체내의 전극의 소모에 의해, 유닛 본체를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라도, 검지수단까지 교환하지 않아도 해결되어, 검지수단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검지수단이 고장 등에 의해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는 유닛 본체내의 전극까지 교환할 필요가 없어서, 전극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17)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를 검지하는 진동 센서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센서가 상기 시기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급수 장치가 세탁기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기에서는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공정의 각 세탁 공정이 실행된다. 그리고, 각 세탁 공정의 운전의 방법의 차이(예를 들면 세탁조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 각 세탁 공정마다, 급수 장치의 진동상태가 다르다.
한편, 금속 이온의 용출은 상기의 세탁 공정으로 말하면, 적어도 헹굼 공정 이후에 행하여지면 좋다. 왜냐하면, 세탁 공정에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물에 공급해도, 다음의 헹굼 공정에서 금속 이온을 첨가하지 않은 물을 사용하면 금속 이온이 흘러 버려,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부착시킬 수 없고, 먼저 공급한 금속 이온이 쓸데없게 되어 버려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헹굼 공정이,효율적으로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부착시킬 수 있는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가 된다.
또한, 진동 센서는 이하의 방법으로,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해서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진동 센서는 급수 장치를 구성하는 세탁조, 교반 부재(펄세이터), 모터 등의 회전수의 차이로부터 생기는 진동주기의 차이에 의해,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예를 들면, 헹굼 공정)을 검지한다.
제어부는 진동 센서가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해서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상기의 예에서는 헹굼 공정의 운전기간)를 검지했을 때,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킴으로써,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에 자동적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 전극에의 전압인가를 ON/OFF 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수동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다 유효한 공정으로만 금속 이온을 용출할 수 있다.
(18)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구동 유닛의 배치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급수 장치의 외면이나, 급수 장치 근방의 벽 등을 상정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이 급수 장치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과 함께 구동 유닛을 나중에 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존의 급수 장치가 이온 용출 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이온 용출 유닛 및 구동 유닛을 구비한 급수 장치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급수 장치의 쓸데없는 개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급수 장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은 급수 장치외부에 설치되므로, 고장이나 전지수명이 다 했을 때의 구동 유닛의 수리나 전지교환도 용이하다.
(19)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대상으로서의 세탁물에 물을 급수하는 세탁기인 구성이어도 좋다.
급수 장치가 세탁기이면, 세탁기에 대해서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세탁기에서도, 금속 이온의 용출이 가능한 세탁기와 동등한 것을 실현할 수 있는 등, 세탁기에 있어서 상술한 본 고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2는 급수구의 모형적 수직 단면도.
도3은 세탁 공정 전체의 플로우 챠트.
도4는 세탁 공정의 플로우 챠트.
도5는 헹굼 공정의 플로우 챠트.
도6은 탈수 공정의 플로우 챠트.
도7은 이온 용출 유닛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8은 이온 용출 유닛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형적 수평 단면도.
도9는 이온 용출 유닛 구동회로의 회로구성도.
도10은 이온 용출 유닛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항균 처리 장치를 세탁기에 적용했을 경우의 해당 항균 처리 장치의 접속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12는 상기 항균처치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과, 수도의 수도꼭지를 연통 접속하는 제1 호스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3은 상기 제1 호스의 제1 접속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4는 수도의 수도꼭지와 접속한 상기 제1 접속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5의 (a) 및 도15의 (b)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과 접속되는 상기 제1 호스의 제2 접속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6은 상기 제1 호스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7은 상기 제1의 호스를 접속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상기 제1 호스를 통해서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했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의 정면도.
도19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
도20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
도21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
도23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제1 접속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4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이 구비하는 검지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5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유닛 본체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6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7의 (a) 내지 도27의 (d)는 상기 항균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유닛의 외관구성을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28은 상기 구동 유닛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29는 상기 구동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10 : 외 하우징
11 : 상면판
12 : 백 패널
13 : 베이스
14a, 14b : 다리부
15 : 투입구
16 : 뚜껑
17 : 힌지부
20 : 수조
〔실시의 형태1〕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도1 내지 도9에 근거해서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세탁기(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세탁기(1)는 전자동형의 것이고, 외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외하우징(10)은 직방체형상으로,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상면 및 저면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외하우징(10)의 상면 개구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상면판(11)이 포개져 있다. 상면판(11)은 이 외하우징(10)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도1에 있어서, 좌측을 세탁기(1)의 정면, 우측을 배면으로 한다. 배면측에위치하는 상면판(11)의 상면에는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의 백 패널(12)이 포개져 있다. 백 패널(12)은 상면판(11)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외하우징(10)의 저면 개구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13)가 포개져 있다. 베이스(13)는 외하우징(10)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기술해 온 나사의 도시는 모두 생략하고 있다.
베이스(13)의 네 구석에는 외하우징(10)을 바닥 위에 떠받치기 위한 다리부(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의 다리부(14b)는 베이스(13)에 일체로 성형한 고정다리이다. 정면측의 다리부(14a)는 높이 가변의 나사 다리이며, 이것을 돌려서 세탁기(1)의 높이 조절이 행하여진다.
상면판(11)에는 후술하는 세탁조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15)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세탁물 투입구(15)를 위에서 덮도록, 뚜껑(16)이 설치되어 있다. 뚜껑(16)은 상면판(11)에 힌지부(17)로 결합되어, 수직면 내에서 회전 운동한다.
외하우징(10)의 내부에는 수조(20)와, 탈수조를 겸하는 세탁조(30)가 배치되어 있다. 수조(20)도 세탁조(30)도,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컵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각각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수조(20)를 바깥쪽, 세탁조(30)를 안쪽으로 하는 형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조(20)는 서스펜션부재(21)에 의해 매어 달려 있다. 서스펜션부재(21)는 수조(20)의 외면 하부와 외하우징(10)의 내면 코너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합계 4개소에 배치되어, 수조(20)를 수평면 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세탁조(30)는 상방을 향하여 완만한 테이퍼로 넓어지는 주벽을 가지고 있다. 이 주벽에는 그 최상부에 환상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탈수 구멍(31)을 제외하고,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는 없다. 즉 세탁조(30)는 이른바 「구멍 없음」타입이다. 세탁조(30)의 상부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세탁물의 탈수를 위해 세탁조(30)를 고속 회전시켰을 때에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환상의 밸런서(32)가 장착되어 있다. 세탁조(30)의 내부 저면에는 조내에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을 생기게 하기 위한 펄세이터(33)가 배치되어 있다.
수조(20)의 하면에는 구동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다. 구동 유닛(40)은 모터(41), 클러치 기구(42), 및 브레이크 기구(43)를 포함하고, 그 중심부로부터 탈수축(44) 및 펄세이터 축(45)을 상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탈수축(44) 및 펄세이터 축(45)은 탈수축(44)을 바깥쪽, 펄세이터 축(45)을 안쪽으로 하는 2중 축 구조로 되어 있고, 수조(20) 안에 들어간 후, 탈수축(44)은 세탁조(30)에 연결되어서 이것을 떠받치고 있다. 펄세이터 축(45)은 다시 세탁조(30) 안으로 들어가고, 펄세이터(33)에 연결되서 이것을 떠받치고 있다. 탈수축(44)과 수조(20) 사이, 및 탈수축(44)과 펄세이터 축(45) 사이에는 누수를 막기 위한 밀봉부재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백 패널(12)의 아래의 공간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급수 밸브(50)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관(51) 및 급수관(52)은 급수 밸브(50)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접속관(51)은 백 패널(12)의 상면을 향해서 돌출하고, 여기에 이온 용출 유닛(1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급수관(52)은 백 패널(12) 밑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상의 급수구(53)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구(53)는 세탁조(30)의 내부에 면하는 위치에 있고, 도2에 도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2는 급수구(53)의 모형적 수직 단면도이며, 정면측에서 본 형태로 되어 있다. 급수구(53)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는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좌측의 구획은 세제실(54)이며, 세제를 넣어 두는 준비공간이 된다. 우측의 구획은 마무리제실(55)이며, 세탁용의 마무리제를 넣어 두는 준비공간이 된다. 세제실(54)의 저부 정면측에는 세탁조(30)에 주수하는 가로로 긴 주수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마무리제실(55)에는 사이펀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펀부(57)는 마무리제실(55)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올라가는 내관(57a)과, 내관(57a)에 씌워지는 캡상의 외관(57b)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관(57a)과 외관(57b)의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틈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57a)의 저부는 세탁조(30)의 내부를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외관(57b)의 하단은 마무리제실(55)의 저면과 소정의 틈을 유지하고, 여기가 물의 입구가 된다. 내관(57a)의 상단을 초과하는 레벨까지 마무리제실(55)에 물이 쏟아 부어지면, 사이펀의 작용이 일어나고, 물은 사이펀부(57)를 통과해서 마무리제실(55)로부터 빨아내어져, 세탁조(30)로 낙하한다.
급수 밸브(50)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관(51)은 메인 급수 밸브(50a) 및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쪽에 공통이다. 급수관(52)은 메인 급수 밸브(50a)에 접속된 메인 급수관(52a)과 서브 급수밸브(50b)에 접속된 서브 급수관(52b)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급수관(52a)은 세제실(54)에 접속되고, 서브 급수관(52b)은 마무리제실(55)에 접속되어 있다. 즉, 메인 급수관(52a)으로부터 세제실(54)을 통과하여 세탁조(30)에 쏟아지는 경로와, 서브 급수관(52b)으로부터 마무리제실(55)를 통과하여 세탁조(30)에 쏟아지는 경로는 다른 계통으로 되어 있다.
도1로 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수조(20)의 저부에는 수조(20) 및 세탁조(30) 안의 물을 외하우징(10)의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호스(60)가 부착되어 있다. 배수 호스(60)에는 배수관(61) 및 배수관(62)으로부터 물이 흘러 들어간다. 배수관(61)은 수조(20)의 저면의 외주쪽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62)은 수조(20)의 저면의 중심쪽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수조(20)의 내부 저면에는 배수관(62)의 접속개소를 안쪽으로 에워싸도록 환상의 격벽(63)이 고정되어 있다. 격벽(63)의 상부에는 환상의 밀봉부재(6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밀봉부재(64)가 세탁조(30)의 저부 외면에 고정한 디스크(65)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수조(20)와 세탁조(30) 사이에 독립된 배수공간(66)이 형성된다. 배수공간(66)은 세탁조(30)의 저부에 만든 배수구(67)를 통해서 세탁조(30)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배수관(62)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배수밸브(68)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관(62)의 배수밸브(68)의 상류측에 닿는 개소에는 에어 트랩(69)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 트랩(69)으로부터는 도압관(70)이 연장되어 나와 있다. 도압관(70)의 상단에는 수위 스위치(71)가 접속되어 있다.
외하우징(10)의 정면측에는 제어부(80)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80)는 상면판(11) 밑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판(11)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표시부(81)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지령을 받고, 구동 유닛(40), 급수 밸브(50), 및 배수밸브(68)에 동작지령을 발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조작/표시부(81)에 표시지령을 발한다.
세탁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뚜껑(16)을 열고, 세탁물 투입구(15)로 세탁조(30) 안에 세탁물을 투입한다.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는 세제를 넣는다. 필요하면, 급수구(53)의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를 넣는다. 또한, 마무리제는 세탁 공정의 도중에 넣어도 좋다.
세제의 투입준비를 갖춘 후, 뚜껑(16)을 닫고, 조작/표시부(81)의 조작 버튼 군을 조작해서 세탁조건을 고른다. 최후에 시작 버튼을 누르면, 도3 내지 도6의 플로우 챠트에 따라 세탁 공정이 수행된다.
도3은 세탁의 전체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스텝 S201에서는 설정한 시각에 세탁을 시작하는 이른바 예약운전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약운전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206으로 진행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2로 진행된다.
스텝 S206으로 진행된 경우는 운전개시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의 확인이 행하여진다. 운전개시시각이 되면 스텝 S202로 진행된다.
스텝 S202에서는 세탁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을 되어 있으면 스텝 S300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0의 세탁 공정의 내용은 별도의도4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세탁 공정 종료 후,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세탁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2에서 즉시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203에서는 헹굼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00으로 진행된다. 스텝 S400의 헹굼 공정의 내용은 별도의 도5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헹굼 공정 종료 후, 스텝 S204로 진행된다. 헹굼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3에서 즉시 스텝 S204로 진행된다.
스텝 S204에서는 탈수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500으로 진행된다.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의 내용은 별도의 도6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탈수 공정 종료 후, 스텝 S205로 진행된다. 탈수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4에서 즉시 스텝 S205로 진행된다.
스텝 S205에서는 제어부(80)(특히 그 중에 포함되는 연산장치(마이크로컴퓨터))의 종료처리가, 순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세탁 공정이 완료한 것을 종료음으로 보고한다. 전부 종료된 후, 세탁기(1)는 다음의 세탁 공정에 대비해서 전원 OFF상태로 대기한다.
계속해서 도4 내지 도6에 근거해서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개별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는 세탁 공정의 플로우 챠트이다. 스텝 S301에서는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고 있는 세탁조(30) 내의 수위 데이터의 인식이 행하여진다. 스텝 S302에서는 용량 센싱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302에서 즉시 스텝 S3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8에서는 펄세이터(33)의 회전부하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한다.
용량 센싱 후, 스텝 S3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3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열리고, 메인 급수관(52a) 및 급수구를 통해서 세탁조(30)에 물이 쏟아진다.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 넣어진 세제도 물에 섞여서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배수밸브(68)는 닫혀 있다. 수위 스위치(71)가 설정수위를 검지하면, 메인 급수 밸브(50a)를 닫는다. 그리고 스텝 S304로 진행된다.
스텝 S304에서는 친숙 운전을 행한다. 즉, 펄세이터(33)가 반전 회전하여, 세탁물을 물 속에서 동요시켜서, 세탁물을 물에 친숙해지게 한다. 이것에 의해,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또한, 세탁물의 각처에 붙어 있는 공기를 떼어 낸다. 친숙 운전의 결과,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는 수위가 당초보다 떨어졌을 때는 스텝 S305에서 메인 급수 밸브(50a)를 열어서 물을 보급하고, 설정수위를 회복시킨다.
또한, 「포질 센싱」을 행하는 세탁 코스를 골라 넣으면, 친숙 운전과 함께 포질 센싱이 실시된다. 친숙 운전을 행한 후, 설정수위로부터의 수위변화를 검출하고, 수위가 규정값 이상으로 저하되어 있으면, 흡수성이 높은 포질이라고 판단한다.
스텝 S305에서 안정된 설정수위가 얻어진 후, 스텝 S306으로 옮겨간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모터(41)가 펄세이터(33)를 소정의 패턴으로 회전시켜, 세탁조(30) 안에 세탁을 위한 주수류를 형성한다. 이 주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이 행하여진다. 탈수축(44)에는 브레이크 장치(43)에 의해 제동이 걸려 있어, 세탁물 및 세탁물이 움직여도 세탁조(30)는 회전하지 않는다.
주수류의 기간이 경과한 후, 스텝 S307로 진행된다. 스텝 S307에서는 펄세이터(33)가 조금씩 반전해서 세탁물을 풀어, 세탁조(30) 안에 세탁물이 균형 있게 배분되도록 한다. 이것은 세탁조(30)의 탈수회전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계속해서 도5의 플로우 챠트에 근거해서 헹굼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최초에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이 필요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도6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탈수 후, 스텝 S401로 진행된다. 스텝 S401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열리고,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행하여진다.
급수 후, 스텝 S402로 진행된다. 스텝 S402에서는 친숙 운전이 행하여진다. 친숙 운전은 세탁 공정의 스텝 S304에서 행하여진 것과 같은 것이다.
친숙 운전 후, 스텝 S403으로 진행된다. 친숙 운전의 결과,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는 수위가 당초보다 떨어져 있을 때는 메인 급수 밸브(50a)를 열어서 물을 보급하고, 설정수위를 회복시킨다.
스텝 S403에서 설정수위를 회복한 후, 스텝 S404로 진행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모터(41)가 펄세이터(33)를 소정의 패턴으로 회전시켜, 세탁조(30) 안에 헹굼을 위한 주수류를 형성한다. 이 주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행하여진다. 탈수축(44)에는 브레이크 장치(43)에 의해 제동이 걸려 있어, 헹굼수 및 세탁물이 움직여도 세탁조(30)는 회전하지 않는다.
주수류의 기간이 경과한 후, 스텝 S405로 옮겨간다. 스텝 S405에서는 펄세이터(33)가 조금씩 반전해서 세탁물을 푼다. 이것에 의해, 세탁조(30) 안에 세탁물이 균형있게 배분되도록 하고, 탈수회전에 대비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세탁조(30) 안에 헹굼수를 모아 두고 헹굼을 행하는 「저수 헹굼」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세탁조(30)를 저속회전시키면서 급수구(53)로 물을 쏟아 붓는 「샤워 주수」를 행하는 수도 있다. 어느 쪽을 채용할지, 또는 양쪽 모두 채용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계속해서, 도6의 플로우 챠트에 근거해서 탈수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01에서 배수밸브(68)를 연다. 세탁조(30) 안의 세탁물은 배수공간(66)을 통해서 배수된다. 배수밸브(68)는 탈수 공정 중에는 열린 채로이다.
세탁물에서 대부분의 세탁수가 빠진 상태에서, 클러치 장치(42) 및 브레이크 장치(43)가 전환된다. 클러치 장치(42) 및 브레이크 장치(43)의 전환 타이밍은 배수개시 전, 또는 배수와 동시라도 좋다. 그러면, 모터(41)가 이번에는 탈수축(44)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세탁조(30)가 탈수회전을 행한다. 펄세이터(33)도 세탁조(30)와 함께 회전한다.
세탁조(3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은 원심력으로 세탁조(30)의 내주벽에 밀어붙여진다.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었던 세탁수도 세탁조(30)의 주벽내면에 모여들지만, 전술한 대로, 세탁조(30)는 테이퍼 상으로 위쪽으로 넓어져 있으므로, 원심력을 받은 세탁물은 세탁조(30)의 내면을 상승한다. 세탁수는 세탁조(30)의 상단에 겨우 도착해서 탈수 구멍(31)으로 방출된다. 탈수 구멍(31)을 벗어난 세탁수는 수조(20)의 내면에 세게 내리쳐지고, 수조(20)의 내면을 타고 수조(20)의 저부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배수관(61)과, 거기에 이어지는 배수 호스(60)를 통과하여, 상기 세탁수는 외하우징(10) 밖으로 배출된다.
도6의 플로우에서는 스텝 S502에서 비교적 저속의 탈수운전을 행한 후, 스텝 S503에서 고속의 탈수운전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텝 S503 후, 스텝 S504로 이행한다. 스텝 S504에서는 모터(41)에의 통전을 끊고, 정지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급수 밸브(50)에는 접속관(51)을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100)이 연결된다. 이하, 도7 내지 도9에 근거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와 기능, 및 세탁기(1)에 부착되어 완수하는 역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 및 도8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단면도이고, 도7은 수직 단면도, 도8은 모형적으로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합성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통형의 케이스(110)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10)는 통형상의 축선을 수평하게 해서 배치되는 것이며, 한 쪽에서는 통상의 유입구(111)가 상향으로 돌출하고, 다른 쪽에서는 통상의 유출구(112)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유입구(111)는 외면에 수 나사부(111a)를 가지고, 유출구(112)는 내면에 암 나사부(112a)를 가지고 있다. 유출구(112)의 암 나사부(112a)를 접속관(51)의 외면에 설치한 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케이스(110)는 접속관(51)에 접속되어, 급수 밸브(50)에 연통된다. 암 나사부(112a)의 가장 속 부분에는 오링(O링)(112b)이 배치되어 있다. 오링(112b)은 접속관(51)의 선단에 밀착해서 수밀부를 형성하고 있다.
유입부(111)의 수 나사부(111a)에는 너트상의 접속구(111b)가 나사 결합한다(도1 참조). 접속구(111b)는 급수 호스(180)의 일단을 유입구(111)에 접속 고정한다. 급수 호스(180)의 타단은 수도의 수도꼭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접속관(51)에 대한 유출구(112)의 접속양태나, 유입구(111)에 대한 급수 호스(180)의 접속양태는 상기와 같은 나사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체부 링이나 콜레트 척 방식의 접속도구 등,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 주변 관계의 접속의 기구이면 무엇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탁기(1)의 백 패널(12)의 상면에 돌출한 접속관(51)에 유출구(112)를 접속하고 있지만, 유출구(112)의 접속대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급수 밸브(50)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어떠한 구성요소도 유출구(112)의 접속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세탁기(1)의 구조 여하에 따라서는 직접 급수 밸브(50)에 유출구(112)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는 급수 밸브(50)에 대해서 유출구(112)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고, 그 착탈은 세탁기(1)의 외부에서 행하여진다고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면 된다.
케이스(110)는 유입구(111)가 있는 쪽의 단이 개구부가 되어 있고, 여기로 2매의 판상 전극(113, 114)이 삽입된다. 전극(113, 114)은 항균성을 가지는 금속 이온의 기초가 되는 금속, 즉 은 구리, 아연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극(113, 114)의 크기는 예를 들면 2cm×5cm, 두께 1mm정도로 할 수 있다.
전극(113, 114)은 각각 일단에 단자(115, 116)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조합되는 원판상의 캡(117)에 단자(115, 116)를 관통시킴으로써, 전극(113, 114)은 서로 간격을 두고 캡(117)에 고정된다.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캡(117)으로 뚜껑을 덮으면, 전극(113, 114)은 케이스(110)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케이스(110)안에 고정된다.
캡(117)에는 돔형의 방수 캡(118)이 고정되어 있다. 전원 유닛(101)(도1 참조)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급전 케이블(119)이 방수 캡(118) 안에 들어간다. 급전 케이블(119)은 그 내부에 절연 심선(119a, 119b)을 가지고 있다. 방수 캡(118) 안에서, 절연 심선(119a)은 단자(115)에 접속되어 있고, 절연 심선(119b)은 단자(116)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10)와 캡(117) 사이, 캡(117)과 전극(115, 116) 사이, 캡(117)과 방수 캡(118) 사이, 및 방수 캡(118)과 급전 케이블(119) 사이에는 적절히 방수 밀봉 처리가 되어, 방수 캡(118) 안으로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전원 유닛(101)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회로를 내장하지만, 이 회로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 유닛(101)으로부터는 급전 케이블(119) 외에, 상용전원에 접속하는 전원 코드(102)가 연장되어 나온다.
케이스(110)의 내부에서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출구(112)를 향해서 전극(113, 11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물이 흐른다. 케이스(110) 안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극(113, 114)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113, 114)의 양극측에서 전극 구성 금속의 금속 이온이 용출된다.
도9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회로(120)의 회로구성도이다. 상용전원(121)에는 트랜스(122)가 전원 스위치(132)를 통해서 접속되어, 100V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된다. 전원 스위치(132)의 액츄에이터부는 전원 유닛(101)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어서, 밖에서 조작 가능하다. 트랜스(122)의 출력전압은 전파정류회로(123)에 의해 정류된 후, 정전압 회로(124)에서 정전압으로 한다. 정전압 회로(124)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류 회로(125)는 후술하는 전극구동회로(150)에 대해서, 전극구동회로(150) 내의 저항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상용전원(121)에는 트랜스(122)와 병렬로 정류 다이오드(126)가 접속된다. 정류 다이오드(126)의 출력전압은 콘덴서(127)에 의해 평활화 된 후, 정전압 회로(128)에 의해 정전압으로 되어, 마이크로컴퓨터(130)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0)는 트랜스(122)의 일차측 코일의 일단과 상용전원(121) 사이에 접속된 트라이액(129)을 기동 제어한다.
전극구동회로(150)는 NPN형 트랜지스터 Q1 내지 Q4와 다이오드 D1, D2, 저항 R1 내지 R7을 도와 같이 접속해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1과 다이오드 D1은 포토커플러(151)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 Q2와 다이오드 D2는 포토커플러(152)를 구성한다. 즉, 다이오드 D1, D2는 포토다이오드이며, 트랜지스터 Q1, Q2는 포토 트랜지스터이다.
지금, 마이크로컴퓨터(130)로부터 라인 L1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주어지고,라인 L2에 로우 레벨의 전압 또는 OFF(제로 전압)가 주어지면, 다이오드 D2가 ON이되고, 거기에 부수해서 트랜지스터 Q2도 ON이 된다. 트랜지스터 Q2가 ON이 되면, 저항 R3, R4, R7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리고, 트랜지스터 Q3은 ON이 된다.
한편, 다이오드 D1은 OFF므로, 트랜지스터 Q1은 OFF가 되고, 트랜지스터 Q4도 OFF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양극측의 전극(113)으로부터 음극측의 전극(114)을 향해서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양이온의 금속 이온과 음 이온이 발생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장시간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도9에서 양극측이 되어 있는 전극(113)이 감소하는 동시에, 음극측이 되어 있는 전극(114)에는 수중의 불순물이 스케일로서 고착된다. 이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성능저하를 초래하므로, 강제적 전극세정모드로 전극구동회로(150)를 운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강제적 전극세정모드에서는 라인 L1, L2의 전압을 반대로 하여, 전극(113, 114)을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마이크로컴퓨터(130)가 제어를 전환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Q1, Q4가 ON이 되고, 트랜지스터 Q2, Q3이 OFF가 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0)는 카운터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소정 카운트수에 달할 때마다 상술의 전환을 행한다.
전극구동회로(150) 내의 저항의 변화, 특히 전극(113, 114)의 저항변화에 의해, 전극사이를 흐르는 전류값이 감소하는 등의 사태가 생겼을 경우는 정전류 회로(125)가 그 출력전압을 높여, 전류의 감소를 방지한다. 그렇지만, 누적사용시간이 길어지면, 이온 용출 유닛(100)이 수명이 다하고, 강제적 전극세정모드로의 전환이나,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전압상승을 실시해도 전류감소를 막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회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 114)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저항 R7에 생기는 전압에 의해 감시하고, 그 전류가 소정의 최소 전류값에 이르면, 그것을 전류 검지 회로(160)가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최소 전류값을 검출했다고 하는 정보는 포토커플러(163)를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 D3으로부터 포토 트랜지스터 Q5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3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0)는 라인 L3을 통해서 경고보고수단(131)을 구동하고, 소정의 경고보고를 행하게 한다. 경고보고수단(131)은 LED나 액정 패널 등 적당한 표시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극구동회로(150) 내에서의 쇼트 등의 사고에 대해서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 전류값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는 전류 검지 회로(161)가 준비되어 있고, 이 전류 검지 회로(161)의 출력에 근거해서 마이크로컴퓨터(130)는 경고표시수단(131)을 구동한다. 또한,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전압이 미리 정해진 최소값 이하가 되면, 전압검지회로(162)가 이것을 검지하고,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130)가 경고보고수단(131)을 구동한다.
마이크로컴퓨터(130)에는 타이머(133)가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133)는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 외면에 조작부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적당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과 전원 유닛(101)으로 이루어지는 항균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이온 용출 유닛(100)의 유출구(112)를 세탁기(1)의 접속관(51)에 부착한다. 유입구(111)에는 급수 호스(180)를 접속한다. 급수 호스(180)의 타단을 접속한 수도꼭지를 열고, 이온 용출 유닛(100)의 케이스(110)안을 물이 흐르도록 한다. 실제로 물이 흐르는 것은 급수 밸브(50)가 열렸을 때이다. 전원 유닛(101)의 전원 코드(102)를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접속한다. 전원 유닛(101)은 적당한 설치수단으로 세탁기(1)의 측면 또는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면 좋다.
금속 이온은 헹굼 공정으로 투입된다. 도5의 플로우 챠트에서 스텝 S401(급수)의 단계에 들어가면, 전원 스위치(132)를 ON으로 하여, 전극(113, 114)에 통전하고,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수중에 용출시킨다. 전극 구성 금속이 은인 경우, 양극측의 전극에 있어서 Ag→Ag++e-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에 은 이온 Ag+가 용출된다. 전극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직류이다. 금속 이온 함유수는 급수구(53)로부터 세탁조(30)에 투입된다.
어느 정도의 시간을 통전 하느냐는 타이머(133)에 의해 설정된다. 헹굼수 중의 금속 이온 농도를 소정 레벨로 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헹굼수의 수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래서, 헹굼수의 양을 적당히 가늠해서 타이머(133)의 시간설정을 행 얻어. 이때, 헹굼수의 양과, 그 수량에 대해서 필요시 되는 통전 시간을 대비시킨 환산표를 준비해 두면 좋다. 환산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표면에 밀봉 첩부하고, 인쇄, 각인 등 적당한 수단으로 표시해 두면 좋다. 전원 유닛(101)쪽에 환산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스텝 S401(급수)에 있어서의 헹굼수의 주입은 메인 급수 밸브(50a)로 행하여진다. 헹굼수의 주입이 완료하기 전에 이온의 용출이 끝나 있도록 주수의 유량이 설정된다. 소정농도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소정량의 헹굼수가 세탁조(30)에 모여있는 상황에서, 메인 급수 밸브(50a)를 닫고, 급수를 종료시킨다. 이후, 스텝 S402 이하의 헹굼 공정이 실행되고, 그것에 계속해서 도6의 플로우 챠트를 따라 탈수 공정이 실행된다.
헹굼 공정 중에 헹굼수가 교반되고 있는 동안, 세탁물과 금속 이온의 접촉이 촉진된다. 금속 이온은 점차 세탁물의 섬유에 부착되고, 세탁물의 표면에 항균 코팅이 형성된다.
마무리제를 투입하게 될 경우, 그 투입작업은 스텝 S404(주수류)의 최후 쪽에서 실행된다. 그 때는 서브 급수 밸브(50b)를 열고, 급수구(53)의 마무리제실(55)에 물을 흘린다.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가 넣어져 있으면, 그 마무리제는 사이펀부(57)로 물과 함께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마무리제실(55) 안의 수위가 소정높이에 달해서 비로소 사이펀 효과가 생기므로, 시기가 다가와서 물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될 때까지, 액체의 마무리제를 마무리제실(55)에 보유해 둘 수 있다.
소정량(사이펀부(57)에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게 하기에 충분한 양이거나, 그 이상)의 물을 마무리제실(55)에 주입한 상황에서 서브 급수 밸브(50b)를 닫는다.마무리제가 투입된 헹굼수는 소정시간 교반되어, 세탁물과 마무리제의 접촉이 촉진된다. 소정시간 경과 후, 스텝 S405(밸런스)로 진행된다.
마무리제의 투입은 금속 이온을 함유한 헹굼수에 의한 헹굼의 개시 후, 소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려서 실행된다. 그 때문에,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동시에 헹굼수에 투입하면, 금속 이온이 유연제 성분과 반응해서 항균성이 감쇄된다. 그러나, 마무리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하면, 금속 이온이 세탁물에 충분히 부착된 후에 마무리제가 투입되게 되고,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 성분의 반응이 방해되어, 금속 이온의 항균효과를 세탁물에 남길 수 있다.
전극(113, 114)을 구성하는 금속은 은 구리, 또는 은과 구리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은 이온은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구리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구리 이온은 방 곰팡이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은과 구리의 합금으로부터는 은 이온과 구리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다.
은 이온은 양이온이며, 세탁물은 수중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있으므로, 은 이온은 세탁물에 전기적으로 흡착된다. 세탁물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은 이온은 전기적으로 중화된다. 그 때문에, 은 이온은 마무리제(유연제)의 성분인 염화물 이온(음 이온)과는 반응하기 어려워진다. 단, 은 이온은 시간을 두고서 세탁물에 흡착되어 가므로, 마무리제 투입까지 어느 정도 시간을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은 이온 투입 후의 교반시간으로서는 10분을 확보한다. 마무리제 투입 후의 교반시간은 3분 정도로 충분하다.
금속 이온은 메인 급수관(52a)으로부터 세제실(54)을 통과하여 세탁조(30)에투입된다. 마무리제는 마무리제실(55)로부터 세탁조(30)에 투입된다. 이렇게 금속 이온을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와, 마무리제를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가 다른 계통이기 때문에, 마무리제를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를 금속 이온이 통과하고, 이 경로에 잔류하고 있던 마무리제에 금속 이온이 접촉해서 화합물이 되어, 항균력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서는 세탁기(1)가 헹굼 공정에 들어가고 나서 전원 스위치(132)를 ON으로 하고, 타이머(133)를 시간 설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사용자에 있어서 불편하다.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케이스(110) 안에 유량 스위치를 설치해 둔다. 사용자는 최초에 전원 유닛(101)의 전원 스위치(132)를 ON으로 하고, 타이머(133)를 시간 설정한 후, 세탁기(1)의 스타트 키를 밀어서 세탁 공정을 시작한다. 급수 밸브(50)(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 2번째의 대량 주수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스텝 S305의 보급수의 주수는 제외한다), 즉, 스텝 S401의 헹굼수의 주수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유량 스위치가 검지하면, 마이크로컴퓨터(130)가 동작을 시작하고, 타이머(133)로 설정된 시간만큼 전극(133, 134)에 통전된다.
전극(113, 114)은 금속 이온의 용출을 계속하는 동안에 감모되고,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한다. 사용이 장기에 걸치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안정해지거나, 소정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그 때문에, 전극(113, 114)이 내용한계에 달한 시점에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새로운 유닛으로 교환 할 필요가 있다.
전극(113, 114)이 내용한계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시행되어 있다.
전극(113, 114)의 단자(115, 116)가 있는 쪽의 단을 「근원」, 그 반대측의 단을 「선단」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전극(113, 114)은 병렬이기는 하지만 평행하지 않고,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단일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하면, 전극(113, 114)은 간격이 좁은 부분으로부터 금속 이온으로서 용출하므로, 전극(113, 114)은 선단으로부터 녹아 가게 된다. 따라서, 근원에서 선단까지의 길이에 착안하면, 전극(113, 114)의 체적이 어느 정도 감소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전극(113, 114)의 근원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를 알기 위해서, 케이스(110)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케이스(110)의 측면(정면) 또는 상면을 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투시부로 한다. 이 투시부를 통해서 전극(113, 114)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보아서 확인하고, 이온 용출 유닛(100)이 교환의 시기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케이스(110)에 투시부를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케이스(110) 전체를 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하여, 전극(113, 114)의 전체를 바라볼 수 있게 해도 좋다. 또는 케이스(110)의 정면에 투명판을 끼워 넣은 슬릿을 설치하고, 이 슬릿을 통해서 전극(113, 114)을 들여다보도록 해도 좋다.
투시부를 형성하는 재료는 완전히 투명일 필요는 없고, 반투명이라도 좋다. 요는 내부의 전극(113, 114)의 크기(길이)를 파악할 수 있으면 된다.
투시부에는 전극(113, 114)의 감소를 판정하는 눈금을 설치해 두면 좋다. 전극(113, 114)의 근원에서 선단까지의 길이가 감소를 측정하는 척도가 되므로, 전극의 선단에서 전극의 근원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늘어서는 눈금을 만들어 두면 된다. 그 눈금 중,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교환의 목표가 되는 눈금은 특히 대형으로 하거나, 또는 형상을 바꾸어 두고, 교환시기를 한눈에 판정할 수 있게 해 두면 좋다.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뿐이며, 전원 유닛(101)의 교환은 필요 없다. 그래서, 급전 케이블(119)의 도중에 착탈이 자유로운 커넥터부를 설치해 두고, 이온 용출 유닛(100)쪽만 신품으로 교환하고, 전원 유닛(101)은 종전의 것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 두면 좋다.
전원 유닛(101)은 상용전원이 아니라 전지를 전원으로 할 수도 있다. 전지는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 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 예를 들면 캠프지라든가, 상용전원은 들어와 있지만 콘센트의 개수가 부족한 집에 있어서도 항균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2〕
계속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를 도10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10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수직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내지는 기능을 동일하게 하는 구성요소에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의 케이스(110)에는 그 일단에 격자상의통수구(110a)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1과 같이 「유입구」 「유출구」로 기능 분화한 개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통수구(110a)의 개개의 개구의 크기는 손가락 등이 전극(113, 114)에 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훅(110b)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방수 캡(118)의 내부에는 물이 침입하지 않게 되어 있고, 이온 용출 유닛(100)을 전부 수몰시킬 수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적어도 케이스(110)의 절반 이상을 세탁조(30)의 헹굼수 속에 수몰시켜서 이용한다. 이렇게 하면 통수구(110a)로 케이스(110)안에 물이 침입한다. 침입한 물은 전극(113, 114)에 인도되어 이것을 적신다. 여기에서, 전극(113, 114)에 전압을 인가하고,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한다. 금속 이온을 함유한 물은 통수구(110a)로 흘러 나간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단순히 수중에 넣어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훅(110b)을 탈수 구멍(31)에 걸어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훅(110b)에 끈 등을 걸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을 매어 달아도 좋다. 훅(110b)을 무엇인지에 걸고, 케이스(110)를 수직하게 해서 이용할 경우, 케이스(110) 안에서 공기가 빠져 나오지 않으면, 전극(113, 114)이 물에 잠기지 않으므로, 케이스(110)의 캡(117)에 가까운 쪽의 단에 공기 제거 구멍을 설치해 두면 좋다.
제2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은 케이스(110)를 수몰시켜, 통수구(110a)로 케이스(110)안에 물을 도입해서 전극(113, 114)을 물에 담그고,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온 용출 유닛(100)을 부착하거나 보유하거나 하는 특별한 구조를 세탁기(1)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급수 호스(180)를 접속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세탁조(30)에 모은 물 속에서 이온 용출작업을 행하므로, 균질한 이온 함유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금속 이온이 균일하게 부착되고, 얼룩이 없는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장기간 사용해서 이온 용출 유닛(100)의 능력이 저하했을 경우는 낡은 유닛을 버리고, 새로운 유닛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해결되고, 유닛의 교환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수몰시킬 수 있는 것은 세탁기(1)의 세탁조(30) 뿐만이 아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의 케이스(110)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이기만 하면 무엇이라도 좋으므로, 예를 들면 양동이, 세면기, 컵 등을 이용해서 금속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항균처리하고 싶은 것이 손수건 1장인 경우, 손수건 1장을 담그기에 충분할 만큼의 소량의 금속 이온 함유수를 작은 용기 안에 생성할 수 있어서 수자원을 낭비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원 유닛(101)을 전지로 구동하는 것으로 하면, 항균 처리 장치는 완전한 휴대성을 획득한다. 그 때문에, 야외활동의 장소에 지참해서 의류 그 외의 것을 항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 용도가 확대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수량과 그 수량에 대해서 적량의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데 필요한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시간을 대비시킨 환산표를이온 용출 유닛(100) 또는 전원 유닛(101)의 표면에 형성해 두면 좋다. 사용자는 이 환산표에 근거해서 타이머를 설정하고, 적정농도의 금속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3〕
다음에,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11 내지 도29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1·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균 처리 장치(200)를 세탁기(1)에 적용했을 경우의 해당 항균 처리 장치(200)의 접속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항균 처리 장치(200)는 이온 용출 유닛(300)과, 구동 유닛(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온 용출 유닛(300)은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에 의해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이다.
이온 용출 유닛(300)은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제1 호스(202)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세탁기(1)와 제2의 호스(20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제1 호스(202), 이온 용출 유닛(300), 제2의 호스(203)를 순서대로 통해 세탁기(1)에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배치로부터, 이온 용출 유닛(300)은 세탁기(1)의 외부로서, 수도꼭지(201)로부터 세탁기(1)에의 물의 공급로에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1)의 내부가 아니고, 세탁기(1)의 외부에 이온 용출 유닛(300)을 나중에 부착해서 배치할 수 있게 한 점에,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구동 유닛(400)은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세탁기(1)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유닛(400)은 세탁기(1) 근방의 벽이나 세탁기(1) 외면에 첩부된 훅에 의해, 걸어서 배치되어, 그 제거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외주부는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어, 방수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물을 다루는 기기(세탁기(1))의 옆에 구동 유닛(400)이 배치되는 외에, 누수가 생기는 장소, 물이 튀는 위험한 장소, 습도의 높은 장소 등에 구동 유닛(400)이 배치될 경우라도, 구동 유닛(400)의 내부회로에 물이나 습기 등에 의한 악영향을 주지 않고, 구동 유닛(400)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400)을 세탁기(1) 외면에 배치할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훅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즉, 구동 유닛(400)의 이면, 즉, 구동 유닛(400)에 있어서의 세탁기(1)와의 대향면측에, 내부회로에의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자력을 가지는 자석을 배치하고, 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구동 유닛(400)을 세탁기(1)의 외면에 제거가 자유롭게 접촉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구동 유닛(400)은 코드(500)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구동 유닛(400)으로부터 코드(500)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이온 용출 유닛(300), 구동 유닛(40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우선,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제1 호스)
도12는 제1 호스(202)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 호스(202)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하는 것이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본체(210)와, 제1 접속부(211)와, 제2 접속부(212)로 구성되어 있다.
(1-1. 제1 접속부)
제1 접속부(211)는 호스 본체(2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고,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연통 접속된다. 제1 접속부(211)는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선, 체결부(221)에 대해서 설명한다. 체결부(221)는 금구(231)와, 나사 결합부(232)로 구성되어 있다.
금구(231)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의 선단에 부착되는 대략 원통상의 고정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금구(231)의 외면의 위쪽에는 4개의 비스가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고, 금구(231)를 수도꼭지(201)에 끼워서 이들 비스로 조여 붙임으로써, 금구(231)가 수도꼭지(201)에 고정된다. 따라서, 간단한 공구의 이용으로 금구(231)를 수도꼭지(201)에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 금구(231)의 외면으로서, 비스 위치보다도 아래쪽에는 나사 홈이 새겨져 있다. 또한, 금구(231)의 내부에는 밀봉용의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가 내장되어 있다.
나사 결합부(232)는 금구(231)의 외면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 홈이 내면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232a)와, 제1 원통부(232a)의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2 원통부(232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원통부(232a) 및 제2 원통부(232b)에 있어서의 호스 본체(210)측의 개구부를, 도넛상의 원반의 외주 및 내주를 따르도록 해당 원반 위에 접합함으로써, 나사 결합부(232)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부(232)의 저부에는 제2 원통부(232b)와 연통하는 접속관(23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접속관(233)은 가동수단(222)에 삽통되었을 때, 체결부(221)안을 지나는 물을, 접속관(233)을 통해서 가동수단(222)에 유도한다. 이 접속관(233)의 외면에는 가동수단(222)의 후술하는 강철공(241a)이 약간 빠지는 홈부(233a)(도1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결합부(232)의 제1 원통부(232a)의 외면에는 가동수단(222)의 후술하는 걸림부(244)에 의해 걸리는 날밑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수단(222)은 삽통부(241)와, 가동부(242)와, 접속부(243)와, 걸림부(244)로 구성되어 있다.
삽통부(241)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안쪽에 상기의 접속관(233)이 삽통된다. 삽통부(241)의 내경은 접속관(233)의 외경과 거의 같다. 이삽통부(241)의 벽부에는 삽통부(241)의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이하, 반경방향이라고 기재한다)으로 이동 가능한 소직경의 강철공(241a)이, 벽부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4개소 설치되어 있다. 이 강철공(241a)은 상기 벽부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242)는 삽통부(241)를 밖에서 약간의 틈을 통해서 덮는 동시에,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부분이며, 거의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이 가동부(242)는 유수 방향의 상류측(호스 본체(210)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용수철 등의 압박 수단(245)(도 14 참조)에 의해 압박되어 있고, 하류측(호스 본체(210)측)에는 이것을 수동으로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부(243)는 호스 본체(210)와 연통 접속되는 부분이다. 걸림부(244)는 가동부(242)의 외면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고, 접속관(233)의 삽통부(241)에의 삽통을 완료시켰을 때, 체결부(221)의 날밑부(234)를 건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1 호스(202)를 수도꼭지(201)에 고정할 때는 우선, 체결부(221)를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고정한다. 즉, 금구(231)를 비스 고정에 의해 수도꼭지(201)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 금구(231)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부(232)의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해서, 이것들을 고정한다.
그 후, 가동수단(222)의 가동부(242)를 수동으로 유수 방향 하류측으로 밀어 내려서 유지하면서, 체결부(221)의 접속관(233)에 삽통부(241)를 집어넣는다. 이때, 강철공(241a)에는 삽통부(241)의 반경방향으로 조금도 누름력이 결려 있지 않으므로, 접속관(233)은 강철공(241a)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쫓아 보내면서, 삽통부(241)의 안쪽으로 삽통된다.
삽통이 완료된 시점에서 가동부(242)로부터 손을 떼면,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수단(245)의 압박력에 의해, 가동부(242)는 체결부(22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부(242)의 내면이 삽통부(241)의 강철공(241a)과 접촉하고, 강철공(241a)에 대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누름력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강철공(241a)이, 삽통부(241)에 삽통된 접속관(233)의 홈부(233a)에 빠져서 눌러,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이 서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때 동시에, 체결부(221)의 날밑부(234)가, 가동수단(222)의 걸림부(244)에 의해 걸려, 체결부(221)로부터의 가동수단(222)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을 분리할 때는 수동에 의해 걸림부(244)과 날밑부(234)의 걸림을 해제하면서, 가동부(242)를 수동으로 유수 방향 하류측으로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242)에 의한 강철공(241a)에의 누름이 해제되므로, 강철공(241a)에 의한 접속관(233)의 누름이 해제된다. 따라서, 삽통부(241)로부터 접속관(233)을 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속부(211)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부착되는 체결부(221)와, 이 체결부(221)의 접속관(233)에 대해서 삽탈 가능한 가동수단(222)을 가지고 있고, 가동수단(222)은 (a)접속관(233)이 삽통되는 삽통부(241)와, (b)호스 본체(210)와 연결되어 접속관(233)의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접속관(233)의 삽통부(241)에의 삽통 시에 이동함으로써,삽통부(241)에 설치된 누름부재(강철공(241a))를 접속관(233)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가동부(242)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동수단(222)을 이용함으로써, 가동수단(222)의 원 터치로 체결부(221)와 호스 본체(210)를 연통 접속하거나, 분리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주부)이나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이들 양자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유수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서 가동부(242)를 압박 하는 압박 수단(245)을 가동수단(222)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그 압박력에 의해 가동부(242)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부(242)의 유수 방향 상류측에의 이동에 의해, 강철공(241a)을 접속관(233)에 용이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그 결과, 접속관(233)과 가동수단(222)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동수단(222)으로서는 나사식으로 가동부(242)를 이동시키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단쪽이 사용성이 좋고, 느슨해질 걱정도 없고 고정이 확실하다.
또, 이상에서는 체결부(221)에 있어서, 금구(231)와 나사 결합부(232)가 분리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말했지만, 이것들은 처음부터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는 금구(231)를 수도꼭지(201)의 선단에 삽입하고, 비스를 조여 붙이는 것만으로, 체결부(221)를 수도꼭지(201)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는 원래, 금구(231)에 상당하는 것이 고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체결부(221)로서는 금구(231)를 필요로 하지 않고,나사 결합부(232)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금구(231)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가 삭감되므로,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제1 접속부(211)의 체결부(221)는 (a)금구(231)와 나사 결합부(232)가 분리 가능 또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b)수도의 수도꼭지(201)에 부착된 금구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 결합부(232)만으로 구성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따라서는 상술한 나사 결합부(232)에 상당하는 것이 미리 형성된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접속부(211)를 가동수단(222)만으로 구성함으로써, 그러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도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체결부(221)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1-2. 제2 접속부)
제1 호스(202)의 제2 접속부(212)는 호스 본체(2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과 연통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접속부(212)는 상술한 제1 접속부(211)의 가동수단(222)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할 때는 이하와 같이 하면 좋다. 우선, 도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부(242)를 호스 본체(210)측(유수 방향 상류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서 유지한 채, 제1 호스(202)에 있어서의 제2 접속부(212)의 가동수단(222)의 삽통부(241)의 안쪽에,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1 접속부(302)를 삽통한다.
그리고, 도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통이 완료한 시점에서,가동부(242)로부터 손을 떼고, 압박 수단(245)의 압박력에 의해 가동부(242)를 이온 용출 유닛(30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242)가 강철공(241a)을 삽통부(241)의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서 누르고, 강철공(241a)이 제1 접속부(302)의 접속관(302a)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302c)(도15의 (a) 참조)에 빠져서 제1 접속부(302)를 누르게 된다. 이 결과, 제2 접속부(212)와 제1 접속부(302)가 고정된다.
또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분리할 때는 가동부(242)를 호스 본체(210)측(유수 방향 상류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강철공(241a)에 의한 제1 접속부(302)의 누름을 해제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삽통부(241)로부터 제1 접속부(302)를 뺄 수 있고,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접속부(212)가 가동수단(222)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가동수단(222)의 원 터치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하거나, 분리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양자를 누구나 간단히 착탈할 수 있는 등, 제1 접속부(211)를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2의 호스)
도11에 도시한 제2의 호스(203)는 이온 용출 유닛(300)과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를 연통 접속하는 것이다. 제2의 호스(203)는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본체와, 이 호스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의 호스(203)의 호스 본체는 제1 호스(202)의 호스 본체(210)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제2의 호스(203)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제1 호스(202)의 제1 접속부(211) 또는 제2 접속부(212)를 구성하는 가동수단(222)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할 경우와 완전히 같은 방법에 의해, 가동수단(222)의 원 터치에 의해, 제2의 호스(203)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용이하게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제2의 호스(203)와 세탁기(1)를 용이하게 접속 또는 분리 및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는 고무나 수지 등으로 플렉시블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와 연통 접속되어 있는 부분에 진동(충격파)이 가해지거나, 외력(고압)이 걸리거나 했을 경우라도, 제1 호스(202) 또는 제2의 호스(203)의 유연성에 의해, 그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와 접속되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고장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연통 접속부분에서의 누수의 걱정도 거의 없고, 이온 용출 유닛(3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가, 모두, 그 양단에 가동수단(222)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 본체(210)의 일단(예를 들면 제2 접속부(212))에, 호스 본체(210) 내부의 유수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내면에 나사 홈을 자른 캡식의 접속부를 설치하고,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 캡식의 접속부는 호스 본체(210)의 양단 (제1 접속부(211) 및 제2 접속부(212))에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의 접속대상(수도꼭지(201), 이온 용출 유닛(300), 세탁기(1))에 있어서의 피접속부가, 외면에 나사 홈을 자른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의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를 이용하면, 상기 캡상의 접속부의 회전에 의해, 서로의 접속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12의 구성에 비교해서, 접속부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품 비용을 낮출 수도 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구성형태에 따라, 제1 호스(202)를 이온 용출 유닛(300)에 직접 접속하거나, 제1 호스(202)를 나사식이나 록식의 체결부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3. 이온 용출 유닛)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7은 제1 호스(202)를 접속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18 내지 도20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1 호스(202)를 통해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접속했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정면도, 이온 용출 유닛(300)의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 및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온 용출 유닛(300)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으로 이접 가능한 2개의 바스켓을 접합해서 이루어지는 케이스(300a)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300a)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제1 호스(202)의 접속부가 숨겨져,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21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이온 용출 유닛(300)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22는 이온 용출 유닛(300)을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이온 용출 유닛(300)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300)은 유닛 본체(301)와, 제1 접속부(302)와, 제2 접속부(303)를 가지고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제1 접속부)
제1 접속부(302)는 상술한 제1 호스(202)와 유닛 본체(301)를 연통 접속하는 것이며, 유닛 본체(30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접속부(302)는 접속관(302a)과, 날밑부(302b)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관(302a)은 제1 호스(202)의 제2 접속부(212)의 삽통부(241)에 삽통되는 것이다. 날밑부(302b)는 접속관(302a)이 삽통부(241)에 삽통되었을 때, 제1 호스(202)의 걸림부(244)에 의해 걸리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제1 호스(202)의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여기에서, 제1 접속부(302)는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도23은 제1 접속부(302)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제1 접속부(302)는 금구(304)와, 나사 결합부(305)로 구성되어 있다. 금구(304)는 제1 호스(202)의제1 접속부(211)의 금구(231)와 완전히 같은 구성이다.
또한, 나사 결합부(305)는 상기 제1 접속부(211)의 나사 결합부(232)와 완전히 같은 구성이다. 즉, 나사 결합부(305)는 금구(304)의 외면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 홈이 내면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305a)와, 제1 원통부(305a)의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2 원통부(30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원통부(305a) 및 제2 원통부(305b)에 있어서의 유닛 본체(301)측의 개구부를, 도넛상 원반의 외주 및 내주를 따르도록 해당 원반 위에 접합함으로써, 나사 결합부(305)가 구성된다.
나사 결합부(305)의 저부에는 제2 원통부(305b)와 연통하는 유닛 본체(3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원통부(305b)는 제1 호스(202)의 가동수단(222)의 삽통부(241)에 삽통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원통부(305b)를 제1 호스(202)의 삽통부(241)에 삽통해서 고정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제1 호스(202)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1 호스(202)를 통해서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수도꼭지(201)에 금구(304)를 나사 고정하고, 금구(304)의 나사 홈을 제1 원통부(305a)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호스(202)를 이용하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직접, 수도꼭지(201)에 연통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접속부(302)의 구성에 따르면, 수도꼭지(201)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함에 있어서, 제1 호스(202)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을 경우의 양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3-2. 제2 접속부)
도21 및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접속부(303)는 상술한 제2의 호스(203)(도11 참조)와 유닛 본체(301)를 연통 접속하는 것으로, 유닛 본체(30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접속부(303)는 접속관(303a)과, 날밑부(303b)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관(303a)은 제2의 호스(203)의 제1 접속부의 삽통부에 삽통된다. 날밑부(303b)는 접속관(303a)이 상기 삽통부에 삽통되었을 때, 제2의 호스(203)의 걸림부에 의해 걸리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제2의 호스(203)의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접속관(303a)은 세탁기(1)의 접속관(51)(도1 참조)에 끼워 맞춤 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관(303a)을 제2의 호스(203)의 삽통부(241)에 삽통해서 고정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제2의 호스(203)가 접속된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2의 호스(203)를 통해서 세탁기(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접속관(303a)을 세탁기(1)의 접속관(51)에 끼워 넣으면,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를 직접 연통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접속부(303)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를 연통 접속함에 있어서, 제2의 호스(203)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을 경우의 양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온 용출 유닛(300)에 상술의 제1 접속부(302) 및 제2 접속부(303)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간단히,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1 호스(202) 또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2의 호스(203) 또는 세탁기(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3-3. 유닛 본체)
유닛 본체(301)는 절연재료(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그 내부를 흘러, 세탁기(1)에 공급된다. 유닛 본체(301)는 한 쌍의 전극(311, 312)을 내포하고 있는 동시에, 전극(311, 312)의 각각 대응하는 단자부(313, 314)와, 검지부(315)를 가지고 있다.
(3-3-1. 전극)
전극(311, 312)은 예를 들면 1cm×3cm, 두께 O.5mm정도의 평판상의 은 플레이트로 각각 구성되어 있고, 유닛 본체(301) 내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 상류측(도21 및 도22에서는 위쪽)으로부터 하류측(도21 및 도22에서는 아래쪽)을 향해서 서로의 대향면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유닛 본체(301)안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구동 유닛(400)으로부터, 코드(500) 및 단자부(313, 314)를 통해서 한 쌍의 전극(311, 312)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이 용출된다. 그리고, 유닛 본체(301) 내부를 흐르는 물에 상기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그 물이 금속 이온 첨가수로서 세탁기(1)에 공급되게 된다.
전극(311, 312)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은 구리, 아연 또는 그들의 합금인것이 바람직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은 이온, 아연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아연 이온은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구리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구리 이온은 방 곰팡이성이 뛰어나다. 또한, 이들의 합금으로부터는 성분금속의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으므로, 뛰어난 살균효과 및 방 곰팡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극(311, 312)을 적당한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금속 이온 고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쪽의 전극(311, 312)을 반드시 같은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또, 한 쪽의 전극을 불용성의 전극(예를 들면 티탄)이나 탄소전극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에서, 전극(311, 312)을 은 전극으로 했을 경우의 항균 기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땀을 흘렸을 때, 의류가 냄새나는 것은 균의 번식이 원인이다. 땀은 원래 무취이며,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글리세리드를 그 성분의 하나로서 포함하고 있지만, 균이 그 글리세리드를 분해함으로써, 글리세리드로부터 분해된 지방산이 냄새를 풍긴다.
그러나, 전극(311, 312)이 은 전극인 경우, 이들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측의 전극에 있어서 Ag→Ag++e-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에 은 이온이 용출된다. 이 은 이온이 냄새의 원인이 되는 균에게 작용함으로써, 균이 불활성화 되므로, 땀성분(글리세리드)이 분해되지 않고,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것이다.
또한, 상기의 불활성화란, 살균, 제균, 멸균, 분해, 제거 등의 작용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의 전극(311, 312)은 유닛(301)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광 경화형 수지 안에 전극(311, 312)을 배치하고,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먼저 금형에 전극(311, 312)을 배치·보유하고, 거기에 수지를 따라 넣어서 냉각·경화시키는 방법(삽입 성형)에 의해, 전극(311, 312)과 일체화된 유닛 본체(301)가 형성된다. 또한, 이 일체로 성형에 의해, 전극(311, 312)은 유닛 본체(301)안에서는 그 내벽의 일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를, 복수의 바스켓의 접합으로 구성했을 경우에는 그 접합 부분으로 내부의 물이 외부로 샐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유닛 본체(301)를, 전극(311, 312)을 내부에 포함한 채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접합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라고 하는 문제는 전무해서, 유닛 본체(301)의 밀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금속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의 용출에 의해, 전극(311, 312)은 점차 소모되어 줄어들어 간다. 그러면, 전극(311, 312)사이의 거리가 넓어지고, 전극(311, 312)의 표면적도 좁아진다. 이 경우, 소정의 금속 이온 용출량을 확보하기 위해, 전극(311, 312)에 같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전압이 상승한다. 그러나, 공급할 수 있는 전압에도 상한이 있고, 전압이 상한까지 달하면, 이번에는 전극(311, 312)에 흐르게 하는 전류가 내려간다. 그렇게 하면, 용출하는 금속 이온량이 감소하고, 소정농도의 금속 이온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된 단계에서, 전극(311, 312)을 새 것으로 교환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 같이, 전극(311, 312)은 유닛 본체(301)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 본체(301)마다 새 것으로 교환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유닛 본체(301)는 1회용 타입의 것이다. 이렇게 유닛으로서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전극교환 시에 있어서의 전극의 오조립이나, 전극의 변형 등을 막고, 교환이 사용자에게도 안심하고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본체(301)가 한 쌍(2매)의 전극(311, 312)을 가지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전극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매 이상의 복수매의 전극을 유닛 본체(301)가 가지고 있어도, 이들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3-3-2. 단자부)
단자부(313, 314)는 전극(311, 312)과 구동 유닛(4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며, 유닛 본체(301)의 측벽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313, 314)의 일단은 전극(311, 312)과 예를 들면 은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구동 유닛(400)과 코드(50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은납땜이란, 예를 들면 은과 구리와 아연 등의 은합금을 땜납재로 하여, 모재의 금속을 녹이지 않고서, 모재보다도 저온에서 용융되는 땜납재를 녹여서 금속을 모재에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부(313, 314)는 적어도 유닛 본체(301)와의 관통부분의 단면이 원형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유닛 본체(301) 내의 내압(수압)이 상기 관통부분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걸리고, 높은 수압에 대해서도 누수가 생기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그 결과, 안심하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채용해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생산 편차도 거의 없고, 생산의 여유도를 업시킬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부(313, 314)는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단면 원형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313, 314)에 있어서의 유닛 본체(301)와의 관통부분이, O링 등의 밀봉부재(313a, 314a)(도19 참조)에 의해 밀봉 되어 있다. 단자부(313, 314)가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밀봉부재(313a, 314a)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상기 관통부분에서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3-3-3. 검지부)
검지부(315)는 유닛 본체(301)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본체(301) 내의 유수 방향에 있어서 전극(311, 312)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검지부(315)는 회전자(316)(도24 참조)와, 자석(317)과, 자기 검지부(318)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도24는 회전자(316)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회전자(316)는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며, 물이 흐르는 방향에 회전축부(321)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축부(321)는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물을 받는 2매의 날개(322)가,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회전축부(321)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유닛 본체(301) 안을 흐르는 물이, 각 날개(322)에 닿으면서 흐름으로써, 각 날개(322)가 회전축부(321)를 축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힘을 받고, 이것에 의해 회전자(316) 전체가 회전축부(32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자(316)는 컵상의 수용부(323)를 2개 가지고 있고, 각 수용부(323)에 있어서의 개구부(323a)와는 반대측의 저부가,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회전축부(321)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상기의 자석(317)은 2개의 수용부(323)의 적어도 한 쪽에 내포되어 있다. 자석(317)이 한 쪽의 수용부(323)에만 수용되어 있을 때는 다른 쪽의 수용부(323)에는 자석(317)과 동등한 무게의 추(319)가 내포되어, 회전자(316)의 회전 시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수용부(323)의 개구부(323a)는 도시하지 않은 뚜껑에 의해 닫혀 있다.
자기 검지부(318)(도22 참조)는 회전자(316)의 회전에 의한 자석(317)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유닛 본체(301) 안에서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것이며, 유닛 본체(301)측에 설치되어 있다. 자기 검지부(318)는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의 벽을 형성하는 수지를 통하여, 자석(317)의 자기변화를 비접촉으로 검지하는 홀IC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유닛 본체(301)안을 물이 흐름으로써 회전자(316)가 회전하면, 자석(317)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자속, 자계)도 변화된다. 이 자기변화를 자기 검지부(318)가 비접촉으로 검지함으로써,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자기변화가 단위시간당 몇 회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자기 검지부(318)가 검지함으로써, 회전자(316)의 단위시간당의 회전수를 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유닛 본체(301)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할 수 있다.
즉, 검지부(315)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석(317)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유닛 본체(301)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부(315)가,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316)(회전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유량이 적은 경우라도, 물의 흐름의 유무를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회전자(316)의 회전수는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변화되므로, 자기 검지부(318)는 그 유량에 따른 검지신호를 검지하고, 물의 유량을 정밀도 높게 검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검지부(315)는 유닛 본체(30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유닛 본체 315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검지부(315)와 유닛 본체(301)를 별체로 구성해 두고, 이들을 조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닛 본체(301) 내의 전극(311, 312)의 소모에 의해, 유닛 본체(301)를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라도, 검지부(315)까지도 교환하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검지부(315)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유닛 교환 시에 발생하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검지부(315)의 설치위치는 유닛 본체(301)에 있어서의 전극(311, 312)의 상술한 유수 방향 상류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류측이어도 좋다. 또한, 검지부(315)는 후술하는 유출방향 가변부(306)(도26 참조)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검지부(315)는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세탁기(1)에 이르는 물의 공급로 상이면, 제1 접속부(302)에 설치되어도 좋고, 제2 접속부(303)에 설치되어도 좋고, 나아가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외부(예를 들면 제1 호스(202)나 제2의 호스(203))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회전자(316)의 회전축부(321)를, 물이 흐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하고, 회전자(316)를 수차와 같이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지부(315)를, 회전자(316)를 이용한 회전검지식으로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플로우식에서 구성해도 물론 상관없다.
플로우식이란, 용수철로 지지된 이동체가 유수 경로 중에 있어서, 물이 흐르면 그 흐름에 밀려서 이동체가 움직이고, 그 이동체의 움직임을 적당한 센서로 검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검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이동체내에 자석을 넣고, 물이 흘렀을 때에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에 자기검지부(홀IC)를 놓아두면, 자기검지에 의해, 물의 흐름을 검지할 수 있다. 이렇게 검지부(315)를 플로우식으로 구성하면, 자기검지는 회전자(316)의 회전속도에 따른 것이 아니고, 물의 흐름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자기변화의 검지로 좋으므로, 자기검지부(홀IC)를 응답속도가 느린 것으로 구성해도, 수류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검지부(315)는 물의 흐름에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이동체에 내포되는 자석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석의 자기를 검지함으로써,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고 할 수 있다.
(3-4. 효과)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항균 처리 장치는 급수 장치(예를 들면 세탁기(1))에 의해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예를 들면 이온 용출 유닛(300))를 구비한 항균 처리 장치(200)로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로부터,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상기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온 발생부가, 한 쌍의 전극(311, 312)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301)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 구성되고, 이온 용출 유닛(300)이, (a)유닛 본체(301)를, 수도의 수도꼭지(201), 또는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1 호스(202)와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부(302)와, (b)유닛 본체(301)를, 상기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2의 호스, 또는 그 급수 장치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공급로에 대해서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세탁기(1)의 외부에, 이온 발생부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세탁기(1)로서 이온 발생부를 최초부터 가지고 있지 않은 기존의 것이라도,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세탁기(1)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세탁기(1)로의 개비라고 하는 세탁기(1)의 쓸데없는 개비가 불필요하고, 기존의 세탁기(1)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부는 세탁기(1)에의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제거가 자유롭기 때문에, 그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이, 상술의 제1 접속부(302) 및 제2 접속부(303)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을 세탁기(1)외부에서 이하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첫번째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수도의 수도꼭지(201), 제1 호스(202), 이온 용출 유닛(300), 제2의 호스(203), 세탁기(1)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하는 방법(도11의 접속방법)이다.
두번째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수도의 수도꼭지(201), 이온 용출 유닛(300), 제2의 호스(203), 세탁기(1)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세번째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수도의 수도꼭지(201), 제1 호스(202), 이온 용출 유닛(300), 세탁기(1)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이온 용출 유닛(300)이 제1 접속부(302) 및 제2 접속부(303)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세탁기(1)에 이르는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을 설치할 때의 접속의 배리에이션이 증가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이온 용출 유닛(300)의 설치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3-5. 이온 용출 유닛의 다른 구성)
(3-5-1. 유닛 본체의 형상)
이상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유닛 본체(300)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에 따라 수직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유닛 본체(30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301)는 전극(311, 312)으로부터 유수 방향 하류측의 부분을 예를 들면 90도 절곡함으로써,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을 변화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즉, 유닛 본체(301)는 유닛 본체(301)에 흘러들어 오는 물의 유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25는 이온 용출 유닛(300)을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직접 접속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수직방향에서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와 접속되는 제2의 호스(203)의 끌고 돌아다니기가 편해진다. 즉, 세탁기(1)의 접속관(51)과 이온 용출 유닛(300)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라도, 제2의 호스(203)를 억지로 굽히지 않고, 우회시키도록 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를 접속할 수 있어서, 제2의 호스(203)에의 물리적인 부담이 적어진다.
(3-5-2. 유출방향 가변부)
또, 유닛 본체(301)를 굽히지 않고,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301)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변화시키는 유출방향 가변부(306)를, 유닛 본체(301)에 대해서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유출방향 가변부(306)는 거의 90도에 구부러진 통상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출방향 가변부(306)의 일단은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에는 제2의 호스(203)(도11 참조)가 끼워진다.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어, 유닛 본체(301) 내부를 수직 하향으로 흐르는 물은 유출방향 가변부(306)에서 거의 90도 방향 전환되어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제2의 호스(203)를 통해서 세탁기(1)에 공급되므로, 세탁기(1)의 주변 벽 등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2의 호스(203)를 자유롭게 끌고 돌아다닐 수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이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출방향 가변부(306)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그 설치장소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더욱 이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유출방향 가변부(306)에 후술하는 구동 유닛(400)의 상태 표시부(402)(도27 참조)를 유닛화한 것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유출방향 가변부(306)를 회전시키면, 상태 표시부(402)를 사용자가 보기 쉬운 위치로 할 수 있고, 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출방향 가변부(306)의 외면에,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의 날밑부(303b)를 거는 걸림부(306a)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유출방향 가변부(306)의 제2 접속부(303)로부터의 빠짐을 확실하게방지할 수 있다.
(3-5-3. 유닛 본체의 경사배치)
상술한 구성의 유닛 본체(301)는 그 내부를 물이 수직 하향으로 흐르는 배치가 되어 있지만, 이 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구성, 즉, 내부를 흐르는 물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흐르도록, 유닛 본체(301)를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물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흐른다고 하는 개념에는 물이 수평방향(옆으로 향함)으로 흐르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극(311, 312)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유닛 본체(301), 나아가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높이 방향(수직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수 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한 경우와 동등한 금속 이온의 용출능력을 확보한 채로,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세탁기(1) 사이의 높이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주변의 기기나 벽에 닿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이온 용출 유닛(300)의 설치장소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다.
(3-5-4. 제1의 필터)
도21 및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300)의 유닛 본체(301) 내의 전극(311, 312)보다도 유수 방향의 상류측에,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의 필터(33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중의 쓰레기나 금속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제1의필터(331)로 막을 수 있으므로, 그러한 불순물이 전극(311, 312)에 부착되거나, 전극(311, 312) 사이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순물의 부착에 의한 폐해(예를 들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의 필터(331)는 특히, 이온 용출 유닛(300)에의 물의 유입구, 즉, 제1 접속부(302)에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온 용출 유닛(300)을 공급로로부터 제거했을 때, 사용자가 제1의 필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관리가 쉽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에 제1의 필터(331)를 꺼내기 위한 취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해서, 그러한 취출부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부품점수를 억제할 수 있고, 그 취출부에 필요한 밀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누수의 쓸데없는 걱정도 없이 해결된다.
또, 제1의 필터(331)는 검지부(315)보다도 유수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중의 쓰레기나 금속 찌꺼기 등의 불순물이, 검지부(315)에 부착되거나, 끼이거나 해서, 검지부(315)에서의 검지에 폐해가 생기고, 작동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필터(331)는 상술한 이온 용출 유닛(300) 내로 한정되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300)과 수도꼭지(201) 사이의 물의 공급로상(예를 들면 제1 호스(202)안)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5-5. 제2의 필터)
이온 용출 유닛(300)의 유닛 본체(301) 내의 전극(311, 312)보다도 유수 방향의 하류측에,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2의 필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제2의 필터는 이온 용출 유닛(300)안에 설치되어도 좋고,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 사이의 물의 공급로상(예를 들면 제2의 호스(203)안)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의 금속파편이 하류측으로 흐르더라도, 그것을 제2의 필터로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파편이 하류의 기기(세탁기(1))나 물품(세탁물)에 닿아서, 폐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필터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의 물의 유출구, 즉, 제2 접속부(303)에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온 용출 유닛(300)을 공급로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의 필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관리가 하기 쉽다. 또, 이온 용출 유닛(300)에 제2의 필터를 꺼내기 위한 취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그러한 취출부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부품점수를 억제할 수 있고, 그 취출부에 필요한 밀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누수의 쓸데없는 걱정도 없이 해결된다.
또한, 제2의 필터는 전극(311, 312)보다도 유수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검지부(315)보다도 유수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제2의 필터는 전극(311, 312)과 그 유수 방향 하류측의 검지부(315)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제2의 필터에 의해, 전극(311, 312)의 금속파편이 하류측으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파편이 검지부(315)에 닿아서검지부(315)가 동작불량이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3-5-6.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유닛 본체로부터의 분리)
상술한 제1 접속부(302)는 전극(311, 312)을 내포하는 유닛 본체(301)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2 접속부(303)는 마찬가지로 유닛 본체(301)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극(311, 312)의 소모에 의해, 유닛 본체(301)를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라도, 제1 접속부(302)나 제2 접속부(303)까지도 교환하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제1 접속부(302)나 제2 접속부(303)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유닛 교환 시에 발생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다.
(3-5-7. 발전기)
본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300)은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내장하고 있어도 좋다. 이때, 상기 회전자는 검지부(315)의 회전자(316)여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유닛 본체(301)안을 물이 흘렀을 때만, 자가발전에 의해, 전극(311, 312)에 자동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금속 이온을 자동적으로 용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3-5-8. 이온 발생부의 그 밖의 구성)
이상에서는 이온 발생부로서,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전극(311, 312)을 구비한 이온 용출 유닛(300)을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용출부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 내에 금속 이온 용출재(은 용출재이면 유화 은 등)를 장전하고, 카트리지 내에 물을 통하게 하는것만으로(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4. 구동 유닛)
다음에, 구동 유닛(40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7의 (a) 내지 도27의 (d)는 구동 유닛(400)의 외관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8은 구동 유닛(400)의 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내부의 기본적인 회로구성은 실시의 형태1의 도9로 도시한 전원 유닛(101)의 구동회로(120)와 거의 같다.
구동 유닛(400)은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하는 것이며, 조작부(401)와, 상태 표시부(402)와, 전압 발생부(403)와, 변압 회로(404)와, 전원전압 검지부(405)와, 전류 검지 회로(406)와, 제어부(407)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407)는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배면에는 벽이나 세탁기(1)에 첩부된 훅이 삽입되는 구멍(400a)(도27의 (c) 및 도27의 (d)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4-1. 조작부)
조작부(401)는 구동 유닛(400)의 운전의 ON/OFF를 전환하는 조작을 사용자가 행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나 레버,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부(401)를 구동 유닛(400)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구동 유닛(400)을 조작하기 쉬운 좋아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구동 유닛(400)의 운전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2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식의 손잡이에 의해 조작부(401)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과 같은 조작부(401)의 물리적인 상태변화로 구동 유닛(400)의 동작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의 ON/OFF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러한 표시에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지 않는다. 특히, 배터리 구동의 경우에는 그렇게 쓸데없이 소비되는 전력을 배터리 구동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401)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 유닛(400)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변화가 물리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물리적인 상태변화로서는 상기한 손잡이의 회전 외에, 버튼의 요철, 레버의 넘어짐, 버튼의 색이나 문자의 변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4-2. 상태 표시부)
상태 표시부(402)는 구동 유닛(400)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표시부(402)는 배터리 수명표시 램프(402a) 및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은 후술하는 제어부(407)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배터리 수명 램프(402a)는 후술하는 전원전압 검지부(405)에서 전압 발생부(403)의 배터리 수명이 검지되었을 때에 점멸하는 램프이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운전 ON상태 및 OFF상태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이 있는 경우, 배터리의 소비를 제압하기 위해서, 배터리 수명 램프(402a)는 소등한 채이다.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는 후술하는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이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되어, 금속 이온인 은 이온이 용출되어 있는 때에 점멸하는 램프다. 은 이온의 용출은 통상,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설치해서 은 이온의 용출을 사용자에게 알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은 이온의 용출이 확실하게 행하여져 있는 것, 및 그 용출시기를 간단히 인식할 수 있고,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200)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이 은 이온의 용출에 의해 소모되고, 상술한 이유에 의해, 전극(311, 312)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해 오면, 전극(311, 312)의 수명(교환시기)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후술하는 전류 검지 회로(406)가 전극(311, 312)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진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407)는 전극(311, 312)이 소모되어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 점멸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유닛 본체(301))의 교환이 필요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서, 그 교환작업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전극(311, 312)의 소모 시는 사용자가 소망의 항균처리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없어지는 것보다도, 이온 용출 유닛(300)의 교환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것을 우선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407)는 조작부(401)의 조작에 의해 구동 유닛(400)의 운전이 OFF가 될 때까지, 또는 배터리가 없어질 때까지, 은 이온 표시 램프(402b)의 점멸표시를 계속시킨다.
또, 구동 유닛(400)과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접속하는 코드(500)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진 경우, 구동 유닛(400)의 운전이 ON인데 불구하고, 코드(500)를 통해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전극(311, 312)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전류 검지 회로(406)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07)는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 점멸시켜서, 이상 상태인 취지를 사용자에게 보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7)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이상 사태(배터리 수명, 전극(311, 312)의 소모, 코드(500)의 빠짐 등)이 생겼을 때, 메인 전원(배터리)이 끊어질 때까지, 배터리 수명표시 램프(402a) 및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를 계속해서 표시(점멸 또는 급속 점멸)시키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이상 사태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알릴 수 있고, 적절한 대응(배터리 교환, 유닛 본체(301)의 교환, 코드(500)의 재접속)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경고음을 발하는 경고수단(예를 들면 부저)을 구동 유닛(400)에 설치하고, 전원전압 검지부(405)로부터의 이상검지신호(배터리 수명검지신호)나, 전류 검지 회로(406)로부터의 이상검지신호(전극(311, 312)의 전류저하신호)에 근거하여, 상술의 금속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태가 생겼을 때, 제어부(407)가 경고수단으로 경고소리를 발생시켜, 그 이상 사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해도 물론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구동 유닛(400)이 상태 표시부(402)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상태 표시부(402)의 표시에 의해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상태 표시부(402)는 구동 유닛(400)으로부터 분리되는 표시 유닛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구동 유닛(400)은 세탁기(1)의 측면에 설치하고, 표시 유닛은 세탁기(1)의 정면에 설치하도록 하여, 표시 유닛만을 시인성의 좋은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표시 유닛은 이온 용출 유닛(300)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온 용출 유닛(300)이라고 하는 동작 상태를 감시해야 할 대상에 상기의 표시 유닛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상태 표시부(4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명표시 램프(402a) 및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라고 하는 각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램프를 복수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태 표시부(402)는 1개의 표시부(표시 램프)로, 표시의 방법을 각 동작 상태에 따라서 변화시킴으로써, 복수의 상태표시를 겸용하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상태 표시부(402)는 각 동작 상태에 따라서 1개의 표시 램프를 점등, 점멸, 급속 점멸 등 시키는 등 하여, 표시의 방법을 변화시키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은 이온 용출 램프(402b)가, 전원 ON상태에서는 점등, 은 이온 용출 중에는 점멸, 은 이온 이상 상태에서는 급속 점멸이 되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좋다. 이 경우, 단수의 부품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부품점수(예를 들면 표시 램프에 이용할 수 있는 LED의 수)를 억제하고, 구동 유닛(400)으로서의 비용 및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많은 표시부를 확인할 필요도 없고, 동작 상태의 확인을 하기 쉽다. 또한, 단수의 표시부이면, 구동 유닛(400)에서 표시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으므로, 구동 유닛(400)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1개의 표시 램프로 상태표시를 지나치게 겸용하면, 도리어 사용자가 동작 상태를 인식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어서, 표시 램프의 수는 예를 들면, 표시해야 할 동작 상태의 수와, 사용자의 시인성을 고려해서 설정되면 좋다. 이점에서는 표시 램프를 2개 설치하는 도27의 (b)의 구성은 표시해야 할 동작 상태의 수와, 사용자의 시인성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402)의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는 점등 또는 점멸하고 나서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경과 후에 소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전압 발생부(403)를 건전지(배터리)(403a)로 구성했을 경우에, 건전지(403a)의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하고, 건전지(403a)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311, 312)으로부터 소망량의 은 이온을 용출하기 위해서는 전극(311, 312)에 약 20mA의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LED를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LED 1개라도 약 3mA라고 하는 상당한 전류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LED를 장시간 점등시키면, 순식간에 전지가 없어질 우려가 있다. 그결과, 본래, 이온 용출 유닛(300)에서의 은 이온의 용출에 사용되어야 할 건전지(403a)를, 그 이외의 용도(LED의 표시)에도 병용함으로써, 건전지(403a)가 빨리 소모되어, 은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러나, 상태 표시부(402)의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를 소정시간 경과 후에 소등함으로써, 건전지(403a)와 같은 한계가 있는 에너지를, 금속 이온의 용출에만 유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런닝코스트의 삭감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전원을 넣은 직후에, 정상적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 회로 체크에 의해 확인되었을 때에 이러한 점등·소등을 하도록 구성해 두면, 사용자가 전원을 넣었을 때에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후의 소등에 의해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에 이상이 발견되면, 급속 점멸 등에 의해 즉석에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게 하는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는 확실하게 이상을 알 수 있다.
(4-3. 전압 발생부)
전압 발생부(403)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해야 할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압 발생부(403)로서는 건전지(403a)나, 가정용 콘센트(상용전원)에 끼워 넣어지는 플러그(전원 커넥터) 및 접속 코드(403b)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AC어댑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는 제어부(407)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후술하는 변압 회로(404) 및코드(500)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에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전압 발생부(403)를 건전지(403a)로 구성해서 전지구동으로 함으로써, 사용장소를 고르지 않고, 구동 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나, 상용전원은 이용할 수 있어도 콘센트의 개수가 모자라는 장소여도, 구동 유닛(40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용전원의 유무를 걱정하지 않고,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구동 유닛(400)을 사용하여,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압 발생부(403)는 건전지(403a)나, 상기의 플러그 및 접속 코드(403b)나, AC어댑터를 모두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지구동과 상용전원에 의한 구동의 양자로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환경 하에서는 건전지(403a)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는 한편,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는 상기의 플러그 및 접속 코드(403b)나 AC어댑터에 의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환경에 따라서 최적의 전원을 선택하여,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다.
또, 전지구동뿐만 아니라, 상용전원이라도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지 떨어짐에 의해 구동 유닛(400)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전압 발생부(403)를 충전지로 구성하고, 상기의 플러그 및 접속코드(403b)와 AC어댑터에 의해, 상기 충전지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충전기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압 발생부(403)로서의 상기의 플러그는 구동 유닛(400)과 접속 코드(403b)를 통해서 접속되어도 좋지만, 구동 유닛(400)의 본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속 코드(403b)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구동 유닛(400)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 유닛(400)전체로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4-4. 변압 회로)
변압 회로(404)는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압(승압 또는 강압)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에 공급하는 회로이다. 구동 유닛(400)이 이러한 변압 회로(404)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1.5V의 전압을 출력하는 일반적인 건전지(403a)로 전압 발생부(403)를 구성한 경우라도,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데 충분한 전압(예를 들면 20V정도)을 얻을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출력 9V나 12V의 건전지(403a)로 전압 발생부(403)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출력 1.5V의 건전지에 비교해서 가격이 높은 데다가, 런닝코스트가 높아서,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0)에 변압 회로(404)를 설치함으로써, 그러한 부적합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압 발생부(403)로서 상용전원을 이용한 경우 등은 변압 회로(404)가 AC 1OOV를 예를 들면 20V정도로 강압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데 적합한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변압 회로(404)는 부하(전극(311, 312)의 저항)에 따라서 인가전압을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전극(311, 312)은 정전류 구동이므로, 항상 높은 전압이 출력되고 있으면, 전극(311, 312)에 인가된 전압 중,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데 필요한 전압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전압은 정전류 회로의 열 등에 의해 에너지 소비되어, 쓸데없는 전력을 소비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에 따라서 인가전압을 변화시키면, 그러한 전력 로스를 억제할 수 있고, 전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5. 전원전압 검지부)
전원전압 검지부(405)는 전압 발생부(403)의 출력전압을 감시함으로써, 배터리 수명 또는 전원이상을 검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전압 검지부(405)는 전압 발생부(403)의 출력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아진 경우, 배터리 수명 또는 전원이상이라고 판단하고, 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상태 표시부(402)의 배터리 수명 램프(402a)를 점멸표시시켜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이것에 의해, 전압 발생부(403)가 건전지(403a)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전지수명이 오고, 현재, 교환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403a)를 그대로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에 의한 액 누출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있다.
또한, 전압 발생부(403)의 전압 발생원이 건전지(403a)이든 상용전원이든, 전압 발생부(403)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어떠한 원인으로 저하하면, 예를 들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 저하가 일어나는 등, 이온 용출 유닛(300)이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전원전압 검지부(405)에서 전압 발생부(403)의 출력전압이 항상 감시되고 있으므로, 그러한 부적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적절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4-6.전류 검지 회로)
전류 검지 회로(406)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고, 해당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졌을 때, 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해당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졌을 때는 금속 이온의 용출에 의해, 전극(311, 312)이 소모하고, 수명이 가까이 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7)는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점멸시켜서, 전극(311, 312)의 수명을 사용자에게 보고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유닛 본체(301))의 교환을 사용자에게 촉구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311, 312)의 소모에 의해, 전극(311, 312)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줄어들고, 금속 이온에 의한 소망의 효과(예를 들면 항균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혹은 그 효과가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류 검지 회로(406)에서 검지한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때는 회로나 전극(311, 312)이 쇼트하는 등의 이상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류 검지 회로(406)가 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407)에 출력하고, 제어부(407)의 제어에 의해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4-7. 제어부)
(4-7-1. 제1의 제어)
제어부(40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자기 검지부(318)에 의한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의 유무에 따라,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를 제어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7)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자기 검지부(318)가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를 검지했을 때,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키는 한편, 자기 검지부(318)가 상기 수류를 검지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고 있다.
유닛 본체(301)안에 수류가 없을 때는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물을 사용자 또는 기기가 필요로 하고 있지 않고, 물을 흐르게 하고 있는 상태가 아닌, 또는 유닛 본체(301)안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전압인가에 의해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은 이온)을 용출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에는 구동 유닛(400)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된다.
그러나, 제어부(407)가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유닛 본체(301) 내부를 물이 흐르기 시작했을 때, 즉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물을 필요하게 되고, 유닛 본체(301)안에 물이 존재하여 흐르고 있는 때에만,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정말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만,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므로, 구동 유닛(400)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311, 312)의 주변이, 용출된 금속 이온으로 고농도가 되고, 다음 금속 이온의 용출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 쓸데없이 많은 금속 이온이 첨가된 물이 생성되어, 전극(311, 312)의 고가인 금속이 필요 없어질 우려나, 불필요하게 고농도의 금속 이온의 첨가된 물이 생성되어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제어에 따르면, 상기 물의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극(311, 3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걱정도 없다. 또한, 세탁기(1)와 같은 자동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기기에 있어서는 기기의 급수에 맞춘 금속 이온의 자동용출도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기기의 급수에 맞춰서 금속의 용출을 제어할 수고를 줄일 수 있다.
(4-7-2. 제2의 제어)
제어부(407)는 자기 검지부(318)가 유닛 본체(301)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했을 때, 그 검지한 유량에 따라, 전극(311, 312)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전극(311, 312)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세탁기(1)의 설치되는 지역이나 장소 등에 따라 다르다. 상기 유량이 많은 곳과 적은 곳에서, 같은 양의 금속 이온을 용출하도록 전압을 전극(311, 312)에 인가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같은 시간에서의 수량이 다르고, 물의 유량에 의해 금속 이온 농도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 및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한 경우, 같은 양의 세탁물에 부착되는 금속 이온량이 다르기 때문에, 세탁기(1)의 설치장소에 따라서는 금속 이온량이 적기 때문에 세탁물에 대한 효과(예를 들면 항균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거나, 금속 이온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금속화합물의 세탁물에의 부착에 의해, 세탁물이 더럽혀지거나 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어부(407)가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유닛 본체(301)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른 양의 금속 이온을, 전극(311, 312)으로부터 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세탁기(1)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용출시키는 금속 이온의 양에 과부족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결과, 세탁기(1)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세탁물의 양에 따른, 금속 이온에 의한 소망의 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금속 이온의 용출과다에 의한 세탁물의 더러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유량에 따라, 금속 이온의 단위시간당의 용출량을 변경함으로써, 유량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소정의 금속 이온 농도의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자는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금속 이온이 은 이온이면, 안정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4-7-3. 제3의 제어)
제어부(407)는 전압 발생부(403)로부터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은 경우,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계속해서 용출시키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가 대단히 고농도가 되고, 전극(311, 312)이 빨리 소모하거나, 금속화합물이 부착됨으로써 세탁물이 더럽혀질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따르면, 가령 유량이 적어도 적당한 상황에서 금속 이온의 용출이 정지되므로,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전극(311, 312)의 수명이 극단적으로 빨라지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소정시간 경과의 카운트는 소정시간 이상 전압인가를 정지했을 경우에 제로로 리셋 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세탁조(30)의 수량을 소정수량으로 하는데 복수회로 나누어서 급수하거나, 사용자가 급수의 도중에 일시 정지한 경우라도, 무턱대고 시간이 리셋 되지 않으므로, 소정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금속 이온이 필요이상으로 용출되어, 지나치게 고농도가 되는 등의 불량의 걱정이 없다.
(4-8. 기타의 구성)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200)는 도28에 도시한 구동 유닛(400) 대신에,도29에 도시하는 구동 유닛(400')을 이용해도 좋다. 이 구동 유닛(400')은 구동 유닛(400)의 구성에 부가해서, 농도 설정부(408)와, 급수 수량 설정부(409)와, 용출 횟수 카운트부(410)와,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 기억부(413)와, 진동 센서(414) 중, 적어도 어느 것인가를 가지고 있다.
(4-8-1. 농도 설정부)
농도 설정부(408)는 사용자가 금속 이온(은 이온)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농도 설정부(408)에서 설정된 농도에 따라,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경하고, 그것을 전극(311, 312)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407)는 농도 설정부(408)에서 설정된 농도에 따라, 전극(311, 312)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경하거나,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 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농도 설정부(408)에서의 농도설정에 의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금속 이온 첨가물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소망의 항균능력에 맞춘 금속 이온 농도를 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200)의 사용성 및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4-8-2. 급수 수량 설정부)
급수 수량 설정부(409)는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에의 급수 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수량 설정부(409)에 의해 설정된 급수 수량에 따라,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시간, 즉,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한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 시간(전극(311, 312))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한다.
세탁기(1)에 급수하는 수량에 의해, 세탁물의 항균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 농도로서 소정농도를 얻기 위한 금속 이온 용출량도 결정된다. 금속 이온의 용출량은 기본적으로 패러데이의 법칙을 따르므로, 전압인가에 의해 전극(311, 312)에 소정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을 상기 급수 수량에 맞춰서 변경하면, 유량검지수단(검지부(315)) 등의 비용이 드는 것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소망농도의 금속 이온 첨가수를 안정되게 세탁기(1)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이온의 용출시간의 변경은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 할 때의 토털 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고,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교대로 ON/OFF 할 경우에는 그 ON시간과 OFF시간의 비율(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4-8-3. 용출 횟수 카운트부)
용출 횟수 카운트부(410)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 있어서의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로서는 (a)전압 발생부(403)로부터 전극(311, 312)에 교대로 전압을 인가 할 경우에는 그 어느 쪽인가가 ON이 되는 횟수여도 좋고, (b)전극(311, 312)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을 시작하고 나서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의 전체를 1회로 한 횟수여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가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 상태 표시부(402)의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점멸시킨다.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전극(311, 312)이 점차 소모하므로, 카운터부(408)가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전극(311, 312)의 수명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7)에 의한 은 이온 표시 램프(402b)의 급속점멸에 의해, 전극(311, 312)의 수명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서, 유닛 본체(301)의 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용출 횟수 카운트부(410)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그러한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4-8-4. 급수 횟수 카운트부)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검지부(315)에서의 수류유무의 검지에 근거하여,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에의 급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검지부(315)가 최초에 유닛 본체(301)안에서의 수류를 검지했을 때,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는 이것을 1회째의 급수 횟수로서 카운트하고, 검지부(315)가 한번 수류 없음을 검지하고 나서 다시 수류 있음을 검지했을 경우에, 이것을 2회째의 급수 횟수로서 카운트한다.
이러한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을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에서 카운트한 급수 횟수가,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에 대응하는 횟수(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에 대응하는 횟수)가 된 이후(예를 들면 급수 횟수가 3회째 이후)에,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한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킨다.
세탁기(1)에서는 보통으로 세탁 공정을 운전하면, 처음에는 세탁 공정이 실행되고, 그 후, 헹굼 공정이 실행된다. 세탁기(1)에의 급수는 각 세탁 공정마다, 각 공정의 소정수량을 급수하는 메인 급수와, 천에 물이 배어드는 것에 의한 수위저하를 보충하기 위해서 각 공정의 도중에 보급수를 추가하는 추가급수가 행하여지는데, 예를 들면 세탁 공정에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공급해도, 그 금속 이온은 의류의 더러움이나 세제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한 물과 함께 씻겨 흘러서, 금속 이온을 의류에 대해서 충분히 작용시킬 수 없고 낭비가 된다.
그러나, 급수 횟수가 1회째(메인 급수) 및 2회째(추가급수)가 되는 세탁 공정에서는 전극(311, 312)에 전압을 하지 않고, 급수 횟수가 3회째 이후일 때, 즉, 다음 헹굼 공정 이후로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킴으로써, 용출된 금속 이온이 낭비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금속 이온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더러움도 세탁 공정에서 거의 제거되어 있으므로, 그 후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에 의해,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대해서 작용시키기 쉽게 할 수도 있다.
(4-8-5.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개시가 되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를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했을 때,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한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킨다.
예를 들면, 세탁 공정 후의 헹굼 공정이, 복수의 헹굼 공정(예를 들면 저수 헹굼 공정 3회)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헹굼 공정마다 세탁기(1)에의 급수가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항균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금속 이온을 의류에 부착되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최종 헹굼 공정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급수하면 좋으므로, 최종 헹굼 공정 이전의 헹굼 공정에서는 반드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급수할 필요는 없다. 최종 헹굼 공정 이전에서의 헹굼에 의한 금속 이온은 그 후의 공정에서의 헹굼에 의해, 씻겨 흘러버려, 충분히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고, 금속 이온이 낭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따르면,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 시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급수되므로, 헹굼 공정이 복수의 헹굼 공정으로 이루어질 경우라도, 예를 들면 최종 헹굼 공정에 대응하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최종 헹굼 공정 때만, 세탁기(1)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가 불필요한 다른 공정(세탁 공정이나, 최종 헹굼 공정이외의 헹굼 공정)에서는 금속 이온을 용출하지 않으므로, 금속 이온의 쓸데없는 용출을 막고, 금속 이온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를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한 이후, 계속해서, 전압 발생부(403)에서발생한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5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헹굼 공정의 최초에서는 탈수 공정이 실행되지만, 이 탈수 공정 시에 세탁조(30)에서 언밸런스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또한, 언밸런스란, 세탁물이 세탁조(30)안에서 치우쳐서 배치됨으로써, 탈수 시작 시에 회전 밸런스를 잘 맞출 수 없어, 세탁조(30)이나 세탁기(1) 자체가 크게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래서, 이러한 언밸런스를 세탁기(1)의 검지수단(도시하지 않고)이 검지했을 경우에는 세탁기(1)의 제어수단은 세탁조(30)에의 급수를 행해서 세탁물을 풀고,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언밸런스를 수정하기 위한 급수가 실행되면,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는 이것도1회의 급수 횟수로서 카운트하기 때문에, 최초에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용출을 개시시키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고 있어도, 도중에 언밸런스 수정이 실행되었을 때에는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가, 최종 헹굼 공정에 대응하는 급수 횟수와 어긋날 경우도 생기게 된다. 즉, 최종 헹굼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실제의 급수 횟수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도달해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가 개시될 경우도 생기게 된다.
그러나,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의해,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 이후도 계속해서, 세탁기(1)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급수되므로, 언밸런스의 발생에 의해, 급수 횟수가 증가한 등, 도중에 예측불허의 사태가 생겼을 경우라도, 최종의 헹굼 공정에서 반드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급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최종 헹굼 공정에서 소망의 항균처리를 행할 수 있다. 즉, 최종 헹굼 공정에서 금속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 급수됨으로써, 그것보다 전에 공급된 금속 이온의 의류에의 부착량이 감소하고, 사용자가 소망의 항균능력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헹굼 공정 후, 즉 최종 헹굼 공정 후의 탈수 공정으로 언밸런스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도,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공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의해,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 이후도 계속해서, 세탁기(1)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급수되므로, 최종 헹굼 공정 이후에 금속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 급수되는 것에 의한 상기와 동일한 불량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4-8-6. 기억부)
기억부(413)는 세탁기(1)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은 이온 수)의 공급이 필요해지는 급수 타이밍을 미리 기억해 두는 기억수단이다. 또한, 도29에서는 기억부(413)는 제어부(407)와는 별도로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지만, 제어부(407) 내의 메모리에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급수 타이밍은 디폴트로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고, 도시하지 않은 급수 타이밍 설정부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설정된 급수 타이밍이 기억부(413)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29에 도시한 급수 수량설정부(409)나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는 상기의 급수 타이밍 설정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부(413)를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기억부(413)에 기억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 타이밍에 맞춰서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타이밍으로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까지의 시간』이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부(407)는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이 ON이 되고 나서의 상기 시간경과 후에,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또한, 상기 급수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소정의 급수유량』이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부(407)는 검지부(315)에서 검지된 유량이 상기 급수유량에 달했을 경우에,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또한, 상기 급수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헹굼 공정까지의 급수 횟수』가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부(407)는 현재의 급수 횟수가 기억부(413)에 기억 된 급수 횟수에 달한 상황에서,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이와 같이, 기억부(413)가 세탁기(1)에의 급수 타이밍을 기억하고, 그 급수 타이밍으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가 정말로 필요해질 때에만,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1)에서는 세탁 공정으로서,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공정 등이 실행되지만, 세탁 공정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하더라도, 금속 이온은 세탁물에는 부착되지 않고, 세제와 함께 씻겨 버려질 뿐이고, 공급되는 금속 이온이 낭비가 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 타이밍에 근거해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를 행하면,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이 ON 되어도, 즉시 금속 이온이 용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헹굼 공정이 다가왔을 때에 비로소 금속 이온의 용출을 개시시키고,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구동 유닛(400)이 일찌감치, 예를 들면 세탁을 시작할 때에 ON 되어도, 전극(311, 312)으로부터 쓸데없는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전극(311, 312)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그 쓸데없는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용출되는 금속 이온도 유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세탁물에 유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어부(407)가 소정의 급수 타이밍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공급함으로써,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 필요가 될 때에 자동적으로 금속 이온이 용출되어서 세탁기(1)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 필요해지는 타이밍으로 수동으로 조작부(401)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세탁을 시작할 때에 구동 유닛(400)을 ON만 해 두면, 그 후, 사용자는 구동 유닛(400)의 곁에 계속 붙어 있지 않아도 되게 되어, 그 동안에 다른 볼일을 끝마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리성이 좋아진다.
또, 조작부(401)의 수동 입력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를 행할 경우는 조작부(401)의 조작의 잊어버림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 타이밍을 놓쳐버릴 위험성도 있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타이밍으로 필요한 때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자동적으로 급수되므로, 그러한 걱정은 일절 없다.
또한, 기억부(413)에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필요한 급수시간이나 필요한 급수유량을 미리 기억 시켜 놓고, 제어부(407)는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하기 시작하고 나서 상기 급수시간이 경과한 후, 또는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상기 급수유량만 급수한 후에, 전압 발생부(403)로부터의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를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만일,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의 구동을 OFF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라도, 쓸데없는 전력소비나 쓸데없는 금속 이온의 용출을 회피할 수 있다.
(4-8-7. 진동 센서)
진동 센서(414)는 급수 장치인 세탁기(1)의 진동에 근거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예를 들면 헹굼 공정)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이다. 제어부(407)는 진동 센서(414)가 상기 시기를 검지했을 때,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에서는 세탁조(30)의 회전속도, 세탁조(30) 내의 물의 양, 펄세이터(33)의 회전속도 등의 요인에 의해, 세탁기(1)의 진동상태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공정이나 헹굼 공정의 교반공정에서는 펄세이터(33)가 100rpm정도(모터도100rpm정도)로 회전하고, 그 사이에 있는 중간 탈수 공정에서는 세탁조(30)가 900rpm정도(모터도900rpm정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들 공정간에서는 진동주기(주파수)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진동 센서(414)는 예를 들면, 세탁조(30), 펄세이터(33), 모터 등의 회전수의 차이로부터 생기는 진동주기의 차이에 의해,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예를 들면, 헹굼 공정)을 거의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07)가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세탁 공정이 헹굼 공정에 들어갔을 때에 비로소,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닛(400)이 일찌감치 ON 되더라도, 전극(311, 312)으로부터 쓸데없는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전극(311, 312)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그 쓸데없는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등, 기억부(413)를 설치해서 소정의 급수 타이밍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하는 구성의 경우와 완전히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의 검지는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즉,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예를 들면,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기(1)의 진동진폭의 범위를 미리 기억부(413)에 기억시켜 두고, 제어부(407)가, 세탁기(1)의 진동진폭이 상기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진동진폭의 범위를 미리 기억부(413)에 기억시켜 두고, 제어부(407)가, 세탁기(1)의 진동진폭이 상기 범위 외인지의 여부를판단함으로써 해도 좋다.
또, 진동 센서(414)는 급수 밸브(50)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진동 센서(414)는 급수 밸브(50)가 구동되어 있을 때, 즉 급수하고 있을 때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검지에 근거하는 제어부(407)의 제어에 의해, 급수 시에 금속 이온을 용출하고,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7)는 진동 센서(414)가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기(1)의 진동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전압 발생부(403)로부터의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만일,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의 구동을 OFF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라도, 쓸데없는 전력소비나 쓸데없는 금속 이온의 용출을 회피할 수 있다.
(4-9. 효과)
상기한 구성의 구동 유닛(400)은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과 함께 구동 유닛(400)을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세탁기(1)가 이온 용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존의 것이어도, 이온 용출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1)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세탁기(1)의 쓸데없는 개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세탁기(1)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400)은 세탁기(1) 외부에 설치되므로, 고장이나 전지수명 시의 구동 유닛(400)의 수리나 전지교환도 용이하다.
(5. 기타)
이상, 본 고안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안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부가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채택한 형식의 전자동세탁기로 사용대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로형 드럼(텀블러 방식), 경사 드럼, 건조기 겸용의 것, 또는 2조식 등, 모든 형식의 세탁기에 본 고안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는 스탠드 얼론으로 기능시킬 수 있고, 설치가 간단하고, 게다가 운전에 특수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특질을 살려서 세탁뿐만 아니라 광범한 용도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탁기 이외에 물을 사용하는 가전기기(식기세정기, 정수기 등)의 급수경로에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 경우, 기기의 사양이나 기종은 문제되지 않는다.
부가해서, 사용하는 물을 본 고안의 항균처리 장치로 살균하고, 그 물에 피세정물을 적심으로써, 의류뿐만 아니라, 식기, 도마, 주걱, 설거지 스폰지, 수세미라고 하는 부엌용품이나, 목욕·화장용품까지 금속 이온 함유수로 항균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금속 이온 함유수를 피세정물에 쏟아 붓는 것이 아니라, 용기에 금속 이온 함유수를 담아두고 그 안에 피세정물을 담근다고 하는 사용법을 쓰면, 다종 다양한 피세정물을 적은 수량으로 효과적으로 항균 처리할 수 있다.
욕조 중의 물이나 천수조에 모은 빗물의 살균, 입욕시의 감염방지, 또는 어류용 수조 내부의 살균도,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항균 처리 장치의 사용장소는 일반가정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의료기관이나 공공 시설에서 각종 물품의 살균 또는 항균처리를 하여 인체에의 병원균의 감염을 막는데도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는 야외로 반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데다가, 사용에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수도시설이 가까이 없거나, 있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예를 들면 캠프 사이트, 재해 현장, 난민 캠프 등)에서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현지에서 입수한 물을 그 자리에서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물의 살균뿐만 아니라, 그 물을 사용해서 각종 용품을 항균 처리할 수 있으므로, 레저 장소에서도 재해 장소에서도, 일반인이 널리 활용하여, 주어진 환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생 수준을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의 항균처리 장치로 살균처리한 물은 하천이나 연못과 늪으로 흘려보낸다고 하더라도 염소 소독한 물정도로는 수중 생태계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를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의 종류도 건전지로 한정하지 않고, 2차 전지나 태양 전지,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의 형태1·2에서 설명한 구성은 물론, 실시의 형태3의 항균 처리 장치(200)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동 유닛(400)이 전극(311, 312)에의 통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나, 유닛 본체(301)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의 전극(311, 312)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가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는 세탁기나 세탁기 이외에서 물을 사용하는 가전기기(식기 세정기, 정수기)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항균 처리 장치는 부엌용품, 목욕·화장용품 등의 항균처리나, 의료기관이나 공공 시설, 야외에서 각종 물품의 살균 또는 항균처리를 행할 때에도 이용 가능하다.

Claims (35)

  1. 항균 처리 장치이며,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의 전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는 급수 호스와 접속하는 유입구와 세탁기의 급수 밸브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지를 전원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극에의 통전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의 전극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5. 항균 처리 장치이며,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의 전원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수몰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극에 물을 유도하는 통수구를 상기 수몰가능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6.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를 수도의 수도꼭지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1 호스 또는 상기 수도꼭지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접속부와,
    상기 유닛 본체를 상기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2의 호스 또는 상기 급수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접속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유닛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물의 유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내포되는 자석과,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수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유량을 검지했을 때, 그 검지한 유량에 따라,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상기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유닛 본체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를 검지하는 진동 센서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센서가 상기 시기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대상으로서의 세탁물에 물을 급수하는 세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내부를 흐르는 물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변화시키는 유출방향 가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의 전극보다도 유수 방향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내의 전극보다도 유수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2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그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에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이상 사태가 생겼을 때, 전원이 끊어질 때까지 상기 상태 표시부를 계속해서 점멸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유닛 본체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상기 이온 용출유닛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극에의 전압인가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의 저항에 따라,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변압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금속 이온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농도 설정부와,
    상기 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농도에 따라,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경하고 그것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2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급수 장치에의 급수 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급수 수량 설정부와,
    상기 급수 수량 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 수량에 따라,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의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의 인가 시간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그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를 카운트하는 용출 횟수 카운트부와,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가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 상기 상태 표시부를 점멸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물의 흐름에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내포되는 자석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석의 자기를 검지함으로써,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검지수단에서의 수량유무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급수 장치에의 급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와,
    상기 급수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한 급수 횟수가,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에 대응하는 횟수가 된 이후에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검지수단에서의 수량유무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급수 장치에의 급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을 개시시키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와,
    상기 급수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상기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했을 때,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상기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3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급수 장치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 필요해지는 급수 타이밍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급수 타이밍에 맞춰서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KR20-2003-0032428U 2002-10-17 2003-10-16 항균 처리 장치 KR2003400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3318 2002-10-17
JP2002303318 2002-10-17
JPJP-P-2003-00205417 2003-08-01
JP2003205417A JP2004188174A (ja) 2002-10-17 2003-08-01 抗菌処理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1982A Division KR100574710B1 (ko) 2002-10-17 2003-10-16 항균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012Y1 true KR200340012Y1 (ko) 2004-01-28

Family

ID=32109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28U KR200340012Y1 (ko) 2002-10-17 2003-10-16 항균 처리 장치
KR20030071982A KR100574710B1 (ko) 2002-10-17 2003-10-16 항균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1982A KR100574710B1 (ko) 2002-10-17 2003-10-16 항균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4188174A (ko)
KR (2) KR200340012Y1 (ko)
AU (1) AU2003273592B2 (ko)
MY (1) MY157896A (ko)
TW (1) TWI252268B (ko)
WO (1) WO20040359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80B1 (ko) 2003-11-10 2007-08-0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수처리 유닛 및 이를 탑재한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1253B2 (en) * 2004-08-26 201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rticle treating device and system
KR100715536B1 (ko) * 2005-06-30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기와 그 제어방법 및 이온발생장치를 구비한세탁기
JP2007301258A (ja) * 2006-05-15 2007-11-2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Industrial Machinery Co Ltd 連続式水洗機、及び連続式水洗方法。
US10640403B2 (en) 2013-08-15 2020-05-05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batch dilution system
US11618696B2 (en) 2013-08-15 2023-04-04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batch dilution system
US10000881B2 (en) 2013-12-06 2018-06-19 Applied Silver, Inc. Method for antimicrobial fabric application
US20170050870A1 (en) 2015-08-21 2017-02-23 Applied Silver,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ing Textile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CN106480631B (zh) * 2015-08-31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的控制方法及洗衣机
WO2017197260A1 (en) 2016-05-12 2017-11-16 Applied Silver, Inc. Articl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etal ions into laundry systems
US11622557B2 (en) 2016-10-31 2023-04-11 Applied Silver, Inc. Dispensing of metal ions into batch laundry washers and dryers
WO2018160708A1 (en) 2017-03-01 2018-09-07 Applied Silver,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ing textile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JP2018175039A (ja) * 2017-04-05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7123783B2 (ja) * 2018-12-19 2022-08-23 株式会社コロナ イオン溶出ユニット
JP7211929B2 (ja) * 2018-12-27 2023-01-24 株式会社コロナ イオン溶出ユニット
EP4107523A4 (en) * 2020-02-20 2023-12-27 Applied Silver Inc. PORTABLE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ATERIAL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19Y2 (ko) * 1988-05-17 1993-03-05
JP2711552B2 (ja) * 1988-10-24 1998-02-10 品川燃料株式会社 水殺菌方法
JPH0584393A (ja) * 1991-09-30 1993-04-06 Sharp Corp 洗濯機の被洗濯物容量検知方法
JPH05216376A (ja) * 1992-02-04 1993-08-27 Hitachi Metals Ltd 画像形成および消去方法
JPH0751337A (ja) * 1993-08-09 1995-02-28 Inax Corp 浴湯循環ポンプ制御方法
JPH08192161A (ja) * 1995-01-19 1996-07-30 Seiwa Electron Kk 銀イオン水生成器
JP3890801B2 (ja) * 1999-03-30 2007-03-07 東陶機器株式会社 殺菌装置
JP2000291099A (ja) * 1999-04-08 2000-10-17 Toto Ltd 便器の殺菌装置
JP2001276484A (ja) * 2000-03-30 2001-10-09 Toto Ltd 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80B1 (ko) 2003-11-10 2007-08-0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수처리 유닛 및 이를 탑재한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82A (ko) 2004-04-28
TWI252268B (en) 2006-04-01
AU2003273592A1 (en) 2004-05-04
AU2003273592B2 (en) 2008-04-17
JP2004188174A (ja) 2004-07-08
KR100574710B1 (ko) 2006-05-03
MY157896A (en) 2016-08-15
TW200413595A (en) 2004-08-01
WO2004035904A1 (ja)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0012Y1 (ko) 항균 처리 장치
AU2003277648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loaded with same
US7708896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loaded with same
WO2004046447A1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KR20050025664A (ko) 세탁기
JP2007090095A (ja) 抗菌処理装置
WO2005021857A1 (ja) 洗濯機
JP2004024597A (ja) 洗濯機
JP3953381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3953380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US7493784B2 (en) Washing machine with water treatment unit
JP2007069049A (ja) 抗菌処理装置
JP4417404B2 (ja) 洗濯機
CN101429720B (zh) 抗菌处理的装置
KR200395275Y1 (ko) 세탁기
JP3963793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2004275425A (ja) 洗濯機
WO2004046044A1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AU2007231905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provid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