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712Y1 -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712Y1
KR200339712Y1 KR20-2003-0019889U KR20030019889U KR200339712Y1 KR 200339712 Y1 KR200339712 Y1 KR 200339712Y1 KR 20030019889 U KR20030019889 U KR 20030019889U KR 200339712 Y1 KR200339712 Y1 KR 200339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head pulley
metal strip
belt clean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주
김영길
가즈오 메구로
Original Assignee
이종주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주, 김영길 filed Critical 이종주
Priority to KR20-2003-0019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12Arrangements of co-operating drums or rollers to augment tractive effort applied to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부가 팽창되어 있는 크라운형 풀리, 또는 벨트자체의 마모에 의해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벨트등, 벨트의 횡방향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벨트에의 접촉을 확실히 하고, 또한 벨트와 접촉하는 내마모부재의 마모의 경감을 꾀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아암(24a),(24b)의 각각에는, 금속띠판(16)을 헤드 풀리(6)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장치(22a),(22b)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conveyer belt cleaner}
본 고안은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 코우크스, 광석(ore) 등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부착된 탄분 또는 석분 등의 부착물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벨트의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벨트상의 접촉을 확실히 보장하고 또한, 벨트와 접촉하는 내마모성부재의 마모를 경감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코우크스, 광석 등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4)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진행방향의 최전방측에 설치된 헤드 풀리(6)와, 최후방측에 설치된 리어 풀리(8)상에 걸쳐져 설치되어 가동된다.
또한, 헤드 풀리(6) 및 리어 풀리(8)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 풀리(6)의 하부 후방측에 컨베이어 벨트(4)를 떠받치도록 스냅 풀리(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 풀리(8)의 컨베이어 벨트(4)의 상부측에는 이송물을 적재시키는 적재 슈트(2)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 풀리(6)의 하부측에는 적재 슈트(2)를 통해 공급된 이송물이 투하되도록 배출 슈트(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석탄 또는 광석등이 배출슈트(12)에 투하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상에는 석탄 또는 광석의 미세한 탄분 또는 석분 등의 부착물이 그대로 부착된 상태로 리어 풀리(8)쪽을 향해 복귀되며,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4) 표면상에 부착된 부착물은, 컨베이어 벨트(4)의 하부측 방향인 D방향으로 떨어져 쌓이게 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스냅 풀리(10) 등의 마모를 촉진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없애기 위해 벨트 클리너를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구간상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벨트 클리너는, 헤드 풀리(6)의 하부와 스냅 풀리(10)의 전방측 사이인 A 또는 B 부분, 또는 헤드 풀리의 전방인 C부분에도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 클리너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4)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 즉, 90。로 설치되어 사용되므로써, 벨트 클리너(14) 본체에 큰 부하를 작용시켜 벨트 클리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하거나, 벨트의 진행방향에 수직하는 벨트의 횡방향 중앙부에는 벨트 클리너의 접촉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4)의 A부분과 B 부분의 사이에, 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도록 벨트 클리너(13)를 설치하면, 클리너(13)가 컨베이어 벨트(4)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사행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행구간은, 컨베이어 벨트(4) 상에 클리너(13)을 벨트의 진행방향에 대해 90。로 설치할시에는 컨베이어 벨트(4) 상에 동일한 힘이 걸리나 컨베이어 벨트(4)를 약간의 각도를 주어 경사져 설치하면 컨베이어 벨트(4)에 걸리는 장력이 틀려지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4)를 B부분에서 약간 횡방향의 힘으로 가하게 되므로, 밀쳐지는 힘의 불균일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4)는 정위치의 센터에서 옆으로 어긋나서 운전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제2001-35293호와 같이 출원되었다.
기출원된 내용을 살펴 보면, 도 2 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텐션을 주기위한 장치의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다수개의 내마모성 제거편(18a, 18b, 18c...)이 고정수단(20)에 의해 상기 금속띠판(16)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띠판(16)을 헤드 풀리(6)에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띠판(16)의 일단은 고정아암(24a)에 볼트 등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타단은 헤드 풀리(6) 측으로 밀착되도록 고정아암(24b)의 일측상에 스프링(21) 또는 카운터 웨이트(도시않음)를 설치하여 벨트 클리너(14) 자체를 길이방향으로 당기도록 본체에 텐션을 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에서 언급되어 있는 텐션장치는 금속띠판(16)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 헤드 풀리(6)로 가해지는 힘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어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띠판(16)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져 있지 않아 컨베이어 벨트(4)상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을 원활하게 제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 상에 석탄, 코우크스, 광석 등의 탄분 또는 석분이 부착된 상태로 복귀되지 않도록 제거시킬 수 있으며, 벨트의 횡방향 단면형상에 관계없이 벨트의 접촉을 확실히 하고, 또한 벨트와 접촉하는 내마모부재의 마모의 경감을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가 원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이탈되어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 이송장치의 설치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텐션을 주기 위한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텐션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의 A 는 풀리가 크라운 형상을 가지는 것을, 또한 B 는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에 의해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금속띠판 22a,22b: 텐션장치
24a,24b: 고정아암 29: 밀침캡부
31: 스프링 33: 당김고정편
37: 나사산부 35: 조임볼트
41: 고정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석탄, 코우크스, 광석 등을 운반하고, 헤드 풀리 및 리어 풀리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상에 부착된 탄분 또는 석분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띠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마모성 제거편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금속띠판상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 풀리의 전방측에서, 상기 헤드 풀리의 폭방향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고 경사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상에 접촉되도록 고정아암에 취부된 벨트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암의 각각에는, 금속띠판을 헤드풀리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텐션장치가 양측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본 고안에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종래 기술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텐션장치(22a),(22b)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풀리(6)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고정아암(24a),(24b)에 볼트 등으로 고정부(41)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고정부(41)는 고정아암(24a),(24b)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으며, 당김고정편(33)이 고정부(41)를 관통해서 직선적으로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상기 당김고정편(33)의 끝단부는 금속띠판(16)에 결합되어 있으며,금속띠판(16)의 끝단측으로 상시 당기도록 스프링(31)이 끼워져 있다.
금속띠판(16)과 결합된 당김고정편(33)의 스프링(31)에 의해 당겨지도록 스프링(31)의 바깥측에는 당김고정편(33)의 끝단에 밀침캡부(39)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당김고정편(33)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밀침캡부(29)가 당김고정편(33)을 따라 이동되도록 조임볼트(35)가 밀침캡부(29)의 바깥측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당김고정편(33)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31)에 탄성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당김고정편(33)의 끝단부측에 스프링(31)을 고정부(41)측으로 밀치도록 형성된 밀침캡부(39)를 바깥측에 끼워져 있는 조임볼트(35)를 돌려서 조절하면된다.
상기 조임볼트(35)는 당김고정편(33)의 일단부에 나사산(37)이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볼트(35)를 조여주면 밀침캡부(39)는 밀쳐지거나 조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텐션장치(22a),(22b)의 밀침캡부(39)가 조여지면 스프링(31)의 탄성력을 증가하기 때문에 고정부(41)에 관통되어 슬라이딩되는 당김고정편(33)은 바깥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일단에 결합된 금속띠판(16)을 더욱 팽팽해지도록 당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특징은 이와 같이 작동되는 텐션장치(22a),(22b)을 이용해 금속띠판(16)을 헤드 풀리(6)의 좌우 양쪽에서 동일하게 당겨지도록 텐션장치(24a),(24b)의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텐션장치(24a),(24b)를 고정아암(24a),(24b)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각각 설치한 후, 조임볼트(35)를 조여주게 되면 밀침캡부(39)가 밀쳐지면서 스프링(31)의 탄성력이 증가되면서 당김고정편(33)을 고정부(41)의 바깥측으로 밀치게 됨과 동시에 당김고정편(33)에 결합되어 있는 금속띠판(16)이 당겨지면서 더욱 헤드 풀리(6)측으로 밀쳐진다.
여기서 조임볼트(35)에 의해 밀쳐지는 밀침캡부(39)만큼 금속띠판(16)의 인장력은 더욱 증가된다. 이는 스프링(31)이 밀쳐지는 만큼 당김고정편(33)을 스프링(31)이 바깥측으로 당기기 때문에 금속띠판(16)에 탄성력을 원활하게 부여해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당김고정편(33)을 갖는 텐션장치(24a),(24b)에 의해 금속띠판(16)을 동시에 양쪽으로 당겨주기 때문에 헤드 풀리(6)를 따라 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에 더욱 밀착되어 금속띠판(16)에 장착되어 있는 내마모성 제거편(18a, 18b, 18c...)을 확실하게 밀착시켜 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텐션장치(24a),(24b)를 금속띠판(16)의 좌우측에서 동시에 당겨주기때문에 헤드 풀리(6)측의 전면측으로 밀치는 탄성력이 더욱 균일하게 작용된다.
따라서, 헤드 풀리(6)측으로 밀쳐지는 금속띠판(16)의 탄성력이 균일해지기 때문에 헤드 풀리(6)상에 따라 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에 편마모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띠판(16)이 사용중 늘어나도 늘어난 길이만큼 텐션장치(24a), (24b)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느슨해지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금속띠판(16)이 느슨해져 컨베이어 벨트(4)상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띠판(16)을, 컨베이어 벨트(4)가 감겨져 회전되는 헤드 풀리(6)의 전면부측 정중앙으로 경사진 상태로 경유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헤드 풀리(6)의 정중앙의 위치에 금속띠판(16)의 길이방향 정중앙이 위치된 상태로 경유하게 되면, 헤드 풀리(6)상의 전면에 위치되는 컨베이어 벨트(4)가 가장 돌출되는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금속띠판(16)에 가해지는 탄성력 커져도 별다른 무리없이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에 붙은 부착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4)를 헤드 풀리(6)와 리어 풀리(도시않음)의 같은 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회전시킬시에 가장 마찰력이 큰 부분이 헤드 풀리(6)의 전면측이다.
따라서, 헤드 풀리(6)의 정중앙에 금속띠판(16)의 길이방향 정중앙이 위치되게 경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속띠판(16)이 헤드 풀리(6)의 전면측 길이방향의 정중앙을 경유하도록 위치되지 않고 상부 또는 하부측에 위치될시에는 헤드 풀리(6)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벨트(4)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장력이 불균일하게 발생되어 회전력의 균형이 깨질 수 있고, 금속띠판(16)이 컨베이어 벨트(4)로 밀치는 힘이 불균일하면 컨베이어 벨트(4)는 헤드 풀리(6)를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고 밀려 겹쳐지거나 헛도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정중앙의 위치에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의 A 는 풀리가 크라운 형상을 가지는 것을, 또한 B 는 컨베이어 벨트의 마모에 의해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한쌍의 텐션장치(24a),(24b)에 의해,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풀리(6)의 중앙부가 팽창된 크라운형에서도 내마모성 제거편 (18a,18b,18c...)이 금속띠판(16)상에 고정되어 있어 자유롭게 굴곡되므로 컨베이어 벨트(4)의 횡방향 전체면에 걸쳐 밀착시켜 벨트 표면상에 부착된 부착물을 더욱 원활하게 제거시킨다.
그뿐만 아니라, 도 4의 B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4)가 마모되어 마모된만큼 헤드 풀리(6)의 전면부에 헤드 풀리(6)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감겨지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오목한 부분에 벨트 클리너의 내마모성 제거편(18a,18b,18c...)이 벨트(4) 상에 밀착하여 벨트(4) 상에 부착된 부착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고, 본 고안의 텐션장치(24a),(24b)에 의해서도 양측에서 당겨지므로 금속띠판(16)의 밀착성이 더욱 좋아지기 때문에 그의 중앙부가 오목해진 경우에도 제거가 용이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에 의해 석탄 등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부착된 석탄, 코우크스, 광석 등의 탄분 또는 석분등의 부착물을 원활히 제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컨베이어 벨트 상의 부착물 제거중에 컨베이어 벨트가 풀리로부터 이탈되어 헛도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해 중앙부가 팽창된 크라운형의 풀리 등에 대해서도 컨베이어 벨트의 횡방향 전체면에 걸쳐 벨트 클리너를 밀착 접촉시켜 부착물을 제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제거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금속띠판의 양단측에서 텐션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당겨주므로 컨베이어 벨트상에 가압되는 힘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띠판의 사용중 인장에 변화가 오더라고 텐션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보상해주기 때문에, 금속띠판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석탄, 코우크스, 광석 등을 운반하고, 헤드 풀리(6) 및 리어 풀리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4)상에 부착된 탄분 또는 석분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띠판(16)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마모성 제거편(18a, 18b, 18c...)이 고정수단(20)에 의해 상기 금속띠판(16)상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 풀리(6)의 전방측에서, 상기 헤드 풀리(6)의 폭방향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고 경사져, 상기 컨베이어 벨트(4)의 표면상에 접촉되도록 고정아암(24a),(24b)에 취부된 벨트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암(24a),(24b)의 각각에는, 금속띠판(16)을 헤드 풀리(6)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장치(22a),(2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장치(22)는, 고정아암(24a),(24b)에 고정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 슬라이딩되게 관통되고, 일단이 금속띠판(16)과 연결되며 타단에 나사산부(37)가 형성된 당김고정편(33)과,
    상기 당김고정편(33)에 스프링(31)이 끼워지며, 나사산부(37)에 조임볼트(35)가 끼워진 상태로 밀쳐지는 밀침캡부(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헤드 풀리(6)의 폭방향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10。∼20。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헤드 풀리(6)를 전방에서 볼때, 상기 금속띠판(16)의 길이방향 정중앙이 헤드 풀리(6)의 길이방향 정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2003-0019889U 2003-06-24 2003-06-24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339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89U KR200339712Y1 (ko) 2003-06-24 2003-06-24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89U KR200339712Y1 (ko) 2003-06-24 2003-06-24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712Y1 true KR200339712Y1 (ko) 2004-01-24

Family

ID=4942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889U KR200339712Y1 (ko) 2003-06-24 2003-06-24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7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8156B1 (en) Conveyor belt side curtains
AU2007265273B2 (en) Roller-belt conveyor with infeed pull-away
JP2008143631A (ja) チェーンコンベヤ
US4222482A (en) Conveyor for handling free-flowing material
JP4149479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CA2076456A1 (en) Conveyor belt stripper
KR200339712Y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130143179A (ko)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KR102179268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이물질 스크랩핑 장치
KR20090010629U (ko) 벨트 크리너의 장력 조절장치
EP2914519B1 (en) Tapered scraper for a conveyor belt
KR200262959Y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JP2646327B2 (ja) コンベヤベルト用スカート
KR200416450Y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JP2003252420A (ja) 搬送ベルト駆動装置およびベルトコンベヤ
JPS58109315A (ja) ベルトコンベア用ダスト回収装置
JP2015000782A (ja) コンベヤベルトの付着物除去装置及び付着物除去方法
JP2004026387A (ja) ベルトコンベヤ
KR200382110Y1 (ko) 컨베이어 벨트클리너용 가이드플레이트
JP2001139130A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ナ
JP2003276814A (ja) 供給装置
KR100466851B1 (ko) 자동 장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양날 벨트 클리너
JP2000016565A (ja) コンベヤベルト装置
KR102543816B1 (ko) 다중 스크레이퍼 날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닝 장치
JP7424155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