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179A -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179A
KR20130143179A KR1020120066456A KR20120066456A KR20130143179A KR 20130143179 A KR20130143179 A KR 20130143179A KR 1020120066456 A KR1020120066456 A KR 1020120066456A KR 20120066456 A KR20120066456 A KR 20120066456A KR 20130143179 A KR20130143179 A KR 2013014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onveyor belt
tip
tension
clea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현 filed Critical 신종현
Priority to KR102012006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3179A/ko
Publication of KR2013014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10) 세라믹 클리너의 구성은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지지체(20)와; 상기 고정 지지체(20)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되며 그 강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그 강도는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Conveyor belt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이물질을 긁어내는 크리너 팁을 초경 재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크리너 바디로 감싸서 보호하여 크리너 팁의 날카로운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서의 이물질 제거 효율은 높이면서도 벨트면에서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크리너 팁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를 파고들어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를 파쇄하여 적정한 크기의 골재를 선별하는 장치에는 골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골재를 다음의 공정이나 정해진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골재 선별장치뿐만 아니라 원료 및 자재 등의 물품 컨베이어에도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골재나 원료 및 자재 등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와, 이 컨베이어 벨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헤드드럼과, 이러한 헤드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는 회전되는 헤드드럼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구동하여 그 위에 올려진 물품을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운반물에 따라 벨트면에 각종 이물질이 눌어붙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의 측면 위치에 벨트 크리너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는 벨트 표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 팁과, 이 크리닝 팁을 지지하는 지지체 등을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상기 구성의 벨트 크리너는 크리닝 팁의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무한궤도식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서의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고 마모 등에 의한 수명의 영향 등을 줄이고자 크리닝 팁을 초경 재질(예를 들어, 초경 금속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종래에는 크리너 팁이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의 벨트가 진동하거나 상하 요동, 하중에 의한 처짐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크리너 팁이 컨베이어 벨트 표면을 파고 들어가서 벨트면의 손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초경 재질의 크리닝 팁의 경우 상기와 같이 마모에 강하고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지만 초경 재질로 이루어진 만큼 컨베이어 벨트의 요동 등에 의해 날카로운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을 더 쉽게 파고들어가서 벨트면의 손상을 더욱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크리너 팁이 접촉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면 크리너 팁에 의해 이물질이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서 탈리(스크랩핑)되는데, 이처럼 크리너 팁으로 지속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표면을 스크랩핑하다보면 크리너 팁에서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닿는 부분이 마모 등에 의해 날카로워지기 마련이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는 벨트 풀리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벨트 풀리의 풀리 샤프트는 베어링 등에 의해 샤프트 브라켓 등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풀리의 베어링이 제자리에서 가동하는게 아니라 사용중에 생기는 진동 등으로 인하여 풀리 샤프트와 풀리가 움직이면서 컨베이어 벨트도 움직이며, 이처럼 컨베이어 벨트가 유동됨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마모 등에 의해 크리너 팁의 날카로워진 끝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를 파고 들어가서 벨트면의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초경 재질로 구성된 크리너 팁의 접촉면 끝부분이 날카로워지면, 컨베이어 벨트의 유동 등에 의해 크리너 팁의 날카로운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를 파먹는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즉, 크리너 팁을 초경 재질(상기한 초경 금속 등)로 구성할 경우 마모에 강하고 스크랩핑 효율이 높은 측면은 있으나, 컨베이어 벨트를 크리너 팁의 날카로운 부분이 더욱 쉽게 파고들어가서 컨베이어 벨트를 손상시키는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는 것이 문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이물질을 긁어내는 크리너 팁을 초경 재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크리너 바디로 보호하여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에 날카로운 끝부분이 생기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서의 이물질 제거 효율은 높이면서도 벨트면에서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크리너 팁 부분에이 컨베이어 벨트를 파고들어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닿아서 이물질을 긁어내는 크리너 팁을 초경 재질 특성을 갖는 세라믹으로 구성하여 벨트면에서의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고 마모 등에 강하여 수명이 연장되며 세라믹 재질의 크리너 팁은 보다 부드러운 재질의 폴리우레탄으로 보호하여 세라믹 크리너 팁의 날카로운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을 파고들어 손상시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컨베이어 벨트 세라믹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지지체(20)와; 상기 고정 지지체(20)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되며 그 강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그 강도는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가 제공된다.
상기 크리너 바디(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높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너 팁(40)은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높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크리너 팁(4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와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콘택트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크리너 바디(30)의 상기 콘택트면과 상기 크리너 팁(40)의 상기 콘택트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팁(4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폭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너 팁(40)은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되어 상기 크리너 바디(30)의 상기 콘택트면과 상기 크리너 팁(40)의 상기 콘택트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되며, 상기 크리너 팁(40)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 지지홀(42)이 형성되어,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상기 크리너 팁(40)을 인서트 성형할 때에 상기 고정 지지홀(42)에 채워지는 상기 크리너 바디(30)의 고정핀부(32)에 의해 상기 크리너 팁(40)이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견고하게 매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지지체(20)는, 상기 벨트 지지물(12)에 고정되는 크리닝 지지체(22)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연결된 된 샤프트(23)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인접되도록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에 고정된 텐션 조절체(24)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와 상기 텐션 조절체(24)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 조절체(24)와 상기 샤프트(23)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어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되는 힘을 조절하는 텐션 스프링(25)과; 상기 텐션 조절체(24)와 상기 샤프트(23)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텐션 스프링(25)의 텐션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하는 텐션 유지 지지체(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조절체(24)는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표면을 갖는 드럼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텐션 조절체(24)의 상기 외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 조절 조작홀(24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리닝 지지체(22)는 상기 벨트 지지물(12)(컨베이어 채널)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픽싱 브라켓(22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크리닝 지지체(22)는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홀(22h)이 구비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픽싱 브라켓(22a)과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의 외주면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 용접부(22FW)와 후방 용접부(22RW)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주요부인 크리너 팁은 매우 강한 초경 재질의 하나인 세라믹으로 구성하되, 이처럼 매우 강도가 높은 크리너 팁은 컨테이너 벨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지만 초경 재질의 세라믹 보다는 더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로 감싸서 보호함으로써 강도가 가장 낮은 재질(고무 재질)의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내도록 구성되므로, 세라믹 크리너 팁의 뾰족한 부분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닿지 않도록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가 보호해주는 것이 되어서, 컨베이너 벨트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세라믹 크리너 팁의 뾰족한 부분(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찢어지거나 파먹히는 것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의 평탄한 평면인 콘택트면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닿고 세라믹 크리너 팁도 평탄한 평면인 콘택트면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닿아서 이물질을 긁어내며, 크리너 바디에 마모 현상이 생기더라도 크리너 바디의 끝이 뾰족해 지지 않고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둥그렇게 마모되며, 설령 크리너 바디의 끝이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마모되지 않고 비교적 뾰족한 형태로 마모되더라도 크리너 바디가 컨베이어 벨트와의 강도에 있어서 친화성이 높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초경 세라믹 재질의 크리너 팁이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을 파먹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텐션 조절체는 샤프트의 외주면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표면을 갖는 드럼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텐션 조절체의 외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 조절 조작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한 텐션 조절 조작홀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텐션 조절체와 이에 일체화된 샤프트를 크리닝 지지체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서 텐션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고, 텐션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한 다음에는 텐션 유지 지지체로 텐션 스프링의 장력을 유지하여, 상기 크리너 바디와 크리너 팁이 컨테이너 벨트 사이즈에 따라서 밀착되는 힘의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텐션 조절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텐션 조절 조작홀에 편리한 공구를 삽입하여 텐센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서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리닝 지지체가 벨트 지지물(즉, 컨베이어 채널)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픽싱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크리닝 지지체는 샤프트의 외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홀이 구비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픽싱 브라켓과 크리닝 지지체의 외주면은 크리닝 지지체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 용접부와 후방 용접부에 의해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주요부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면서도 이러한 주요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는 보다 견고한 구조를 구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텐션 조절체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크리닝 지지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지지체(20)와, 이 고정 지지체(20)에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고 선단부는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되어 컨베이어 벨트(10)의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스크랩핑)하는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 지지체(20)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크리닝 지지체(22), 샤프트(23), 텐션 조절체(24), 텐션 스프링(25) 및 텐션 유지 지지체(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리닝 지지체(22)는 중앙부의 샤프트홀(22h)이 양면으로 관통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크리닝 지지체(22)의 내부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스프링홀(22s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리닝 지지체(22)의 내부에는 외주면에서 샤프트홀(22h) 방향으로 관통된 볼트(22B) 결합용 나사홀(22TH)이 구비된다. 나사홀(22TH)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하부에는 두 개의 나란한 컨베이어 채널(측방으로 개구부가 있는 단면 디귿자형 채널)이 구비되어, 두 개의 크리닝 지지체(22)가 각 컨베이어 채널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크리닝 지지체(22)에는 용접부에 의해 픽싱 브라켓(22a)이 구비된다. 용접부는 픽싱 브라켓(22a)과 크리닝 지지체(22)의 외주면은 크리닝 지지체(2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 용접부(22FW)와 후방 용접부(22RW)로 이루어져, 상기 용접부에 의해 픽싱 브라켓(22a)과 크리닝 지지체(22)가 상호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 지지물(12)(즉, 컨베이어 채널 부분)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픽싱 브라켓(22a)이 설치됨으로써, 두 개의 컨베이어 채널에 두 개의 크리닝 지지체(22)가 각각 고정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픽싱 브라켓(22a)과 컨베이어 채널에 결합되는 볼트(22B)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픽싱 브라켓(22a)에 적어도 두 개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픽싱 브라켓(22a)이 적어도 두 군데의 볼트(22B)에 의해 컨베이어 채널에 결합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 아래의 컨베이어 채널과 크리닝 지지체(22)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3)는 두 개의 마주하는 크리닝 지지체(22) 내부의 샤프트홀(22h)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을 매개로 샤프트(23)가 각 크리닝 지지체(22)의 샤프트홀(22h)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먼지 등이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메탈 베어링에 의해 크리닝 지지체(22)의 샤프트홀(22h)에 샤프트(23)의 양단부측 외주면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텐션 조절체(24)는 크리닝 지지체(22)와 마찬가지로 중앙부의 샤프트홀(22h)이 양면으로 관통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텐션 조절체(24)의 내부에도 양면으로 관통된 스프링홀(24sh)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텐션 조절체(24)는 샤프트홀(22h) 부분이 샤프트(23)의 양단부측 외주면에 고정된 구조로서,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텐션 조절체(24)가 각 크리닝 지지체(2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두 개의 텐션 조절체(24)의 안쪽면이 두 개의 크리닝 지지체(22)의 바깥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텐션 조절체(24)는 샤프트(23)의 외주면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표면을 갖는 원형 드럼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텐션 조절체(24)의 외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 조절 조작홀(24a)이 형성되어 있다. 텐션 조절체(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텐션 조절 조작홀(24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텐션 스프링(25)은 크리닝 지지체(22)와 텐션 조절체(24) 사이에 연결되어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텐션이 조절됨으로써, 후술할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되는 힘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텐션 스프링(25)이 코일 스프링 구조로서, 코일 스프링이 크리닝 지지체(22)와 텐션 조절체(2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크리닝 지지체(22)의 바깥면으로 연통된 스프링홀(22sh)에 끼워지고 코일 스프링의 다른 쪽 단부는 텐션 조절체(24)의 안쪽면으로 연통된 스프링홀(24sh)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텐션(비틀림 힘에 의한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텐션 유지 지지체(27)는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텐션 스프링(25)의 텐션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서 텐션 유지 지지체(27)는 상기 텐션 조절체(24)의 외주면에서 샤프트홀(22h)로 관통된 나사홀(22TH)에 볼트 체결식으로 결합되는 볼트(22B)로 구성될 수 있다. 텐션 조절체(24)의 나사홀(22TH)에 볼트(22B)를 체결하면, 볼트(22B)의 선단부가 샤프트(23)의 표면에 가압되므로,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볼트(22B)가 샤프트(23)의 표면에 가압되므로,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텐션 스프링(25)의 텐션력에 의한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밀착되는 힘을 조절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텐션 유지 지지체(27)는 크리닝 지지체(22)의 외주면에서 샤프트홀(22h)로 관통된 나사홀(22TH)에 볼트 체결식으로 결합되는 볼트(22B)로 구성될 수도 있다. 크리닝 지지체(22)의 나사홀(22TH)에 볼트(22B)를 체결하면, 볼트(22B)의 선단부가 샤프트(23)의 표면에 가압되므로,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볼트(22B)가 크리닝 지지체(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23)의 표면에 가압되므로, 텐션 조절체(24)와 샤프트(23)가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텐션 스프링(25)의 텐션력에 의한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밀착되는 힘을 조절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체(20)를 구성하는 샤프트(23)에는 크리너 바디(30)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23)의 외주면(두 개의 크리닝 지지체(22) 사이의 외주면)에 연결편이 구비되고, 이 연결편을 관통하는 볼트(22B) 등의 고정구가 크리너 바디(30)의 기단부에 결합되어, 크리너 바디(30)의 기단부가 고정 지지체(20)의 샤프트(23)에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편은 단면 디귿자 형강으로 구성되어, 크리너 바디(30)의 기단부측을 연결편에 끼우고 연결편을 관통하는 볼트(22B) 등의 고정구를 크리너 바디(30)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크리너 바디(30)는 일정 두께의 사각 패널 형상으로 된 연결 바디부와, 이 연결 바디에 일체화되면서 연결 바디부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져서 컨테이너 벨트이 표면으로 근접되도록 연장되어 선단부가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접촉되는 콘택트 바디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 바디부의 기단부측이 상기 연결편과 고정구를 매개로 고정 지지체(20)의 주요부인 샤프트(23) 외주면에 연결되고, 콘택트 바디부의 선단부가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크리너 바디(30)에서 중요한 것은 컨테이너 벨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질로 크리너 바디(30)를 구성하되, 후술할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40)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하여, 컨테이너 벨트의 회전시 크리너 바디(30)의 선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컨테이너 벨트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긁어내면서도 초경 재질의 크리너 팁(40)의 날카로운 부분이 컨테이너 벨트에 파고들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크리너 팁(40)의 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서 보호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크리너 바디(30)를 고무로 된 컨베이어 벨트(10)보다 상태적으로 더 강도가 높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한다. 또한, 크리너 바디(30)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접촉되는 선단부 면이 평평한 콘택트면으로 구성되어, 크리너 바디(30)의 콘택트면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리너 팁(40)은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된다.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컨베이어 벨트(10)가 회전하여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크리너 팁(40)의 강도는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초경 재질로 크리너 팁(40)을 구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크리너 팁(40)을 세라믹으로 구성한다. 즉, 크리너 바디(30)는 컨베이어 벨트(10)를 구성하는 고무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높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너 팁(40)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높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팁(40)은 컨베이어 벨트(10)의 폭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너 팁(40)은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되어 크리너 바디(30)의 콘택트면과 크리너 팁(40)의 콘택트면이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크리너 팁(40)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 지지홀(42)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에 크리너 팁(40)을 인서트 성형할 때에 크리너 팁(40)의 각각의 고정 지지홀(42)에 채워지는 크리너 바디(30)의 고정핀부(32)에 의해 크리너 팁(40)이 크리너 바디(30)에 견고하게 매입 고정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크리너 바디(30) 성형시 일체화되면서 크리너 팁(40)의 각 고정 지지홀(42)을 채워 들어간 각 고정핀부(32)가 크리너 팁(40)이 크리너 바디(30)에서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톱퍼핀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크리너 바디(30)의 선단부측에 매입된 크리너 팁(40)은 컨베이어 벨트(10)와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콘택트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크리너 팁(40)의 콘택트면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와 세라믹 재질의 크리너 팁(40) 선단부가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0)가 회전함에 따라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서 이물질을 긁어내어 탈리시키는데, 크리너 팁(40)이 초경 재질(특히,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크리너 팁(40)에 의한 이물질 제거 효율은 높이고 크리너 팁(40)의 마모 등에도 강하여 바람직한 장점을 갖게 됨은 물론, 상기 세라믹 재질의 크리너 팁(40)이 선단부의 평평한 콘택트면만 노출되고 다른 부분(각이 진 부분 등)은 모두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에 의해 감싸져 보호되는 구조로서,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에 의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서 이물질을 긁어낼 때에 세라믹 재질의 크리너 팁(40)에서 날카로운 부분이 컨테이너 벨트의 표면을 파고들어 손상시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크리너 팁(40)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의 벨트가 진동하거나 상하 요동, 하중에 의한 처짐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크리너 팁(40)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을 파고 들어가서 벨트면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 크리너 팁(40)의 평탄한 수평면인 콘택트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각진 부분을 포함)을 보다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크리너 바디(30)로 감싸서 보호하는 것이라서, 컨베이어의 벨트가 진동하거나 상하 요동, 하중에 의한 처짐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크리너 팁(40)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을 파고 들어가서 벨트면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는 전혀 초래되지 않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주요부인 크리너 팁(40)은 매우 강한 초경 재질의 하나인 세라믹으로 구성하되, 이처럼 매우 강도가 높은 크리너 팁(40)은 컨테이너 벨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지만 초경 재질의 세라믹 보다는 더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로 감싸주어서 강도가 가장 낮은 재질(고무 재질)의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내도록 구성함으로써, 세라믹 크리너 팁(40)의 뾰족한 부분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닿지 않도록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가 보호해주는 것이 되어서, 컨베이너 벨트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세라믹 크리너 팁(40)의 뾰족한 부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0)가 찢어지거나 파먹히는 것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의 평탄면인 콘택트면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닿고 세라믹 크리너 팁(40)도 평탄면이 콘택트면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 닿아서 이물질을 긁어내며, 크리너 바디(30)에 마모 현상이 생기더라도 크리너 바디(30)의 끝이 뾰족해 지지 않고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둥그렇게 마모되므로,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을 파먹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종래와 다른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가장 약한 재질의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으면서 초경 재질보다는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크리너 바디(30)에 세라믹 재질의 크리너 팁(40)을 내장하여 세라믹 크리너 팁(40)의 날카로운 부분은 감싸주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폴리우레탄 크리너 바디(30)와 세라믹 크리너 팁(40)에 의해 컨테이너 벨트 표면에서의 이물질 제거 효율은 높이고 마모 등에도 강하게 견딜 수 있으며, 동시에 세라믹 크리너 팁(40)의 날카로운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을 파고들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복합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 조절체(24)는 샤프트(23)의 외주면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표면을 갖는 드럼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텐션 조절체(24)의 외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 조절 조작홀(24a)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요한 텐션 조절 조작홀(24a)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텐션 조절체(24)와 이에 일체화된 샤프트(23)를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서 텐션 스프링(25)의 장력을 조절하고, 텐션 스프링(25)의 장력을 조절한 다음에는 상기 볼트(22B)로 된 텐션 유지 지지체(27)로 텐션 스프링(25)의 장력을 유지하여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크리너 팁(40)이 컨테이너 벨트 사이즈에 따라서 밀착되는 힘의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텐션 조절체(24)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텐션 조절 조작홀(24a)에 편리한 공구를 삽입하여 텐센 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서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크리닝 지지체(22)가 벨트 지지물(12)(컨베이어 채널)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픽싱 브라켓(22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크리닝 지지체(22)는 샤프트(23)의 외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홀(22h)이 구비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픽싱 브라켓(22a)과 크리닝 지지체(22)의 외주면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 용접부(22FW)와 후방 용접부(22RW)에 의해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주요부의 결합 작업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며 이러한 주요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도 보다 견고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컨베이어 벨트 11. 컨베이어 채널
12. 벨트 지지물 20. 고정 지지체
22h. 샤프트홀 22FW. 전방 용접부
22RW. 후방 용접부 22TH. 나사홀
22B. 볼트 22sh. 스프링홀
23. 샤프트 24. 텐션 조절체
24a. 텐션 조절 조작홀 24sh. 스프링홀
25. 텐션 스프링 27. 텐션 유지 지지체
30. 크리너 바디 32. 고정핀부
40. 크리너 팁 42. 고정 지지홀

Claims (7)

  1.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지지체(20)와;
    상기 고정 지지체(20)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되며 그 강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며 그 강도는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 바디(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높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너 팁(40)은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크리너 바디(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높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크리너 팁(4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와 접촉되는 면이 평평한 콘택트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크리너 바디(30)의 상기 콘택트면과 상기 크리너 팁(40)의 상기 콘택트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크리너 팁(4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폭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있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크리너 팁(40)은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매입되어 상기 크리너 바디(30)의 상기 콘택트면과 상기 크리너 팁(40)의 상기 콘택트면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접촉되며, 상기 크리너 팁(40)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 지지홀(42)이 형성되어,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상기 크리너 팁(40)을 인서트 성형할 때에 상기 고정 지지홀(42)에 채워지는 상기 크리너 바디(30)의 고정핀부(32)에 의해 상기 크리너 팁(40)이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견고하게 매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체(20)는,
    상기 벨트 지지물(12)에 고정되는 크리닝 지지체(22)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크리너 바디(30)에 연결된 된 샤프트(23)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인접되도록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에 고정된 텐션 조절체(24)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와 상기 텐션 조절체(24)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텐션 조절체(24)와 상기 샤프트(23)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어 상기 크리너 바디(30)와 상기 크리너 팁(40)의 선단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 표면에 접촉되는 힘을 조절하는 텐션 스프링(25)과;
    상기 텐션 조절체(24)와 상기 샤프트(23)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에 대해 상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텐션 스프링(25)의 텐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지 지지체(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너 벨트 크리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체(24)는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표면을 갖는 드럼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텐션 조절체(24)의 상기 외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 조절 조작홀(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지지체(22)는 상기 벨트 지지물(12)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는 픽싱 브라켓(22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크리닝 지지체(22)는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홀(22h)이 구비된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픽싱 브라켓(22a)과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의 외주면은 상기 크리닝 지지체(22)의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 용접부(22FW)와 후방 용접부(22RW)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KR1020120066456A 2012-06-21 2012-06-21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KR20130143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56A KR20130143179A (ko) 2012-06-21 2012-06-21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56A KR20130143179A (ko) 2012-06-21 2012-06-21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179A true KR20130143179A (ko) 2013-12-31

Family

ID=4998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456A KR20130143179A (ko) 2012-06-21 2012-06-21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317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0205A (zh) * 2016-03-16 2017-09-26 马丁工程技术(昆山)有限公司 带扭力张紧装置的皮带空段清扫器
CN109592351A (zh) * 2018-11-21 2019-04-09 衡阳雄伟运输机械有限公司 用于皮带机上的皮带清扫装置
KR20200082682A (ko) * 2018-12-31 2020-07-08 이민석 컨베이어 벨트 스크래퍼 제조방법
CN112124909A (zh) * 2020-10-23 2020-12-25 内蒙古博略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自调节第一道皮带清扫器
KR20240052496A (ko) 2022-10-14 2024-04-23 이기조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0205A (zh) * 2016-03-16 2017-09-26 马丁工程技术(昆山)有限公司 带扭力张紧装置的皮带空段清扫器
CN109592351A (zh) * 2018-11-21 2019-04-09 衡阳雄伟运输机械有限公司 用于皮带机上的皮带清扫装置
CN109592351B (zh) * 2018-11-21 2020-12-25 衡阳雄伟运输机械有限公司 用于皮带机上的皮带清扫装置
KR20200082682A (ko) * 2018-12-31 2020-07-08 이민석 컨베이어 벨트 스크래퍼 제조방법
CN112124909A (zh) * 2020-10-23 2020-12-25 内蒙古博略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自调节第一道皮带清扫器
KR20240052496A (ko) 2022-10-14 2024-04-23 이기조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179A (ko)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KR20140022027A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스크래퍼 블레이드 및 조립체
KR101165143B1 (ko) 벨트클리너장치
KR10108343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JP4839412B2 (ja) ベルトコンベヤ用クリーナ装置
JP4149479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TWI234624B (en) Wire rope type belt cleaning device for belt conveyer facilities
US5692595A (en) Scraper blade for belt conveyors
CN204416398U (zh) 一种可自动清扫皮带粘料的带式运输机
CN201534708U (zh) 新型皮带二道清理器
NZ702329A (en) Belt scraper assembly
KR20090083756A (ko) 컨베이어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8150384U (zh) 一种热电厂用输送带清扫装置
EP2914519B1 (en) Tapered scraper for a conveyor belt
US10131504B2 (en) Belt cleaner
CN210084315U (zh) 皮带输送机清扫装置
JP3917531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190016654A (ko) 세라믹 팁이 내재된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350431Y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JPH02221013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クリーナ
KR102543816B1 (ko) 다중 스크레이퍼 날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용 클리닝 장치
KR200440122Y1 (ko) 컨베이어벨트 클리너
KR200416450Y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50038359A (ko)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20001484A (ko) 사료 반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