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143B1 - 벨트클리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클리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143B1
KR101165143B1 KR1020100018705A KR20100018705A KR101165143B1 KR 101165143 B1 KR101165143 B1 KR 101165143B1 KR 1020100018705 A KR1020100018705 A KR 1020100018705A KR 20100018705 A KR20100018705 A KR 20100018705A KR 101165143 B1 KR101165143 B1 KR 10116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distance
curved
st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071A (ko
Inventor
마사히로 우치다
노부요시 후지사키
Original Assignee
니폰 츠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츠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츠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현장에서 벨트의 드랍벽이 상위하는 경우에도 스크래퍼의 소취부를 벨트 표면의 전폭에 맞게 적절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벨트클리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탄성변형자재인 블레이트를 구성하는 스크래퍼(5)를 궁형으로 만곡한 상태로 홀더(6)의 지지부(13)에 지지시키고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부와 중앙부가 벨트 장방향으로 소정거리(L)를 갖는 궁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만곡유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L)를 상위한 복수의 다른 궁형상태로부터 임의의 궁형상태를 선택가능하고 선택된 궁형상태로 이루어지도록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형상변경수단(20)을 상기 지지구(13)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클리너장치{BELT CLEANER}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부착한 코크스 등의 반송물의 잔류부착물을 상기 벨트의 귀환 측에서 제거하는 벨트클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벨트클리너장치는 USP3841470과 같이 벨트컨베이어의 귀환측에서 상기 벨트의 횡단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클리너 본체를 갖는다. 이러한 클리너 본체는 벨트 표면에 접촉하는 소취부를 일직선상으로 정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단에 팁(tip)으로 이루어진 소취부를 설치하여 스크래퍼를 고무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변형을 통해 소취부를 벨트표면에 압접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컨베어벨트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사이에 엔드리스형으로 감아서 주기적으로 주행할 때에, 반송물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왕편과정(포워드 측)에 있어서 반송물을 안정시켜서 적재시키기 위해 드랍각을 갖게 배치되는 가이드 풀리에 의해 벨트단면이 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된다. 즉 반송물을 적재하여 왕편주행하는 벨트의 포워드 측에 있어서 벨트의 폭방향 중앙부가 하방으로 팽출하는 것에 의해 만곡지지 된다. 따라서 단면 궁형으로 만곡된 벨트의 표면의 중앙부에 반송물을 반복 적재시키기 때문에 벨트표면은 양측부 보다 중앙부의 마찰이 크다.
이와 같이 벨트에는 만곡벽이 형성되기 때문에(일반적으로 드랍벽이라 함) 반송물을 낙하시킨 후에 왕편방향과 역방향으로 왕복주행하는 귀환측에 있어서 벨트의 폭방향 중앙부가 상방으로 팽출해서 궁형으로 만곡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때문에 상술한 종래 클리너장치의 경우 직선상에 정렬된 클리너 본체의 소취부가 벨트표면에 접촉할 때 만곡된 벨트 표면에 합치하지 않는다. 즉 직선적으로 정렬된 클리너장치의 소취부와 벨트표면의 사이에는 벨트폭방향의 중앙부분에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의 중앙부의 마찰이 진행하고 다시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벨트의 중앙부에 있어서 클리너장치의 소취부는 벨트표면의 부착물을 양호하게 소취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벨트표면에 잔류부착물은 벨트중앙부가 다량, 벨트양측부가 소량으로 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소취부에 의해 부착물의 소취량도 이것에 의해 대응하기 때문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소취부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마찰이 격렬하고 벨트표면과 소취부와의 사이 간극을 차제에 크게 한다.
상술한 점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의 표면에 곡률반경 Rb로 만곡하는 드랍벽이 형성되고 스크래퍼(2)의 소취부(3)가 상기 벨트표면과 평형하도록 곡률반경Rs로 만곡하는 경우는 소취부(3)가 벨트표면에 전폭에 맞게 접촉하고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적절하게 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도13b에 도시된 벨트(1a)와 같이 벨트표면의 드랍벽이 곡률반경Rb1(Rb1<Rb)으로 만곡하지 않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곡뷸반경Rs로 만곡되는 스크래퍼(2)의 소취부(3)를 벨트표면으로 임하게 하면 소취부(3)의 양측부와 벨트표면의 사이 극간 S1이 발생한다. 따라서 극간 S1의 부분에서는 소취부(3)에 의해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바람직하게 소취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스크래퍼(2)의 소취부(3)를 표면에 강하게 압접하면 벨트(1a)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간극(S1)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벨트표면의 중앙부에 소취부(3)의 중앙부가 과도하게 강한 힘으로 압접하고 벨트를 중앙부분으로부터 파단하는 우려가 있다. 또한 소취부(3)의 중앙부분은 양측부분보다도 현저하게 빨리 마모하고 조기에 편마모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도13c에 도시된 벨트(1b)와 같이 벨트표면의 드랍벽이 곡률반경 Rb2(Rb2>Rb)으로 만곡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곡률반경 Rs로 만곡된 스크래퍼(2)의 소취부(3)를 벨트표면에 임하게 하면 소취부(3)의 중앙부와 벨트표면의 사이에 간극(S2)이 발생한다. 따라서 간극(S2)의 부분에서는 소취부(3)에 의해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바람직하게 소취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스프래퍼(2)의 소취부(3)를 벨트표면에 강하게 압접하면 벨트(1b)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극간(S2)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벨트표면의 양측부에 소취부(3)의 양측부가 과도하게 강한 힘으로 압접하고 벨트를 양측부로부터 파단하는 우려가 있다. 또한 소취부(3)의 양측부분이 중앙부분 보다도 현전하게 빨리 마모하고 조기에 편마모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본원 출원인은 상품명을 [U형 벨트클리너]라고 부르고 벨트클리너장치를 개발하고 하기 특허문헌 1-4에 기재한 발명을 제안한다.
특허문헌1:특공평2-50009(EP0289659B1)
특허문헌2:특공평5-65407(EP0338118B1)
특허문헌3:특공평7-20766
특허문헌4:특개평11-35135(EP0891934B1)
특허문헌 1-4의 벨트클리너장치는 스크래퍼가 벨트횡단방향으로 향하는 축선방향으로 회동조정자재로 지지되고 상기 스크래퍼의 벨트표면에 접촉하는 상연부를 벨트의 양측부로부터 중앙부에 이르게 점차 상기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하여 형성하고 상기 축선회전에 회동기립할 때 상기 스크래퍼의 상연부가 상방으로 팽출하는 궁형의 소취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벨트에 단면 궁형의 드랍벽이 결합되고 벨트표면이 중앙부를 마모하고 있을 때도, 스크래퍼의 소취부와 벨트표면의 사이에 극간을 생성하지 않고 소취부를 벨트표면의 전폭에 맞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적절하게 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3의 벨트클리너장치는, 스크래퍼가 병렬된 지지부재를 매립하는 띠모양의 탄성판으로 이루어지고 탄성판에 의한 지지부재를 덮어서 연장한 피복벽과, 인접하는 지지부재의 상호를 굴곡자재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한 상태로 스크래퍼를 만곡가능하게 구성하고 홀더가 상기 탄성판의 피복벽을 매개로 스크래퍼를 지지할 때 상기 스크래퍼를 벨트 양단부로부터 중앙부에 이르게 하고 점차 상기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크래퍼는 홀더의 만곡한 지지구에 적합하도록 굴곡자재가 되고 미리 스크래퍼의 전체를 유지구의 만곡상태와 동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다.
상기 특허문헌 1-4의 벨트클리너장치는 소정 만곡상태로 형성되는 스크래퍼를 회동기립시키는 것에 의해 상방으로 팽출하는 궁형의 소취부를 벨트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벨트의 드랍벽이 기대되는 형상이라면 소취부를 벨트표면의 전폭에 맞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드랍벽이 기대한 형상과 다른 경우 소취부를 벨트표면의 전폭에 맞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귀환측에 벨트클리너장치를 설치하고 스크래퍼의 소취부에 의해 벨트표면의 잔류뷰착물을 소거하는 때에 현장에서 벨트의 드랍벽의 형상이 상위한 경우에도 스크래퍼의 소취부를 벨트표면의 전폭에 맞게 적절하게 접촉시킬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벨트클리너장치는, 컨베이어벨트의 귀환측에서 주행하는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제거하는 벨트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를 지지하는 홀더와, 압상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6)는 벨트의 횡단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벽(11,12)을 갖고, 상기 지지벽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부로부터 중앙부에 도달함에 따라 벨트 장방향으로 차제에 만곡하는 지지구(13)를 구성하고,
상기 압상장치는 상기 홀더(6)의 양단부를 벨트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상(A)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홀더를 기립자세로 하도록 밀어올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래퍼(5)는 직선상태로부터 궁형으로 만곡하는 탄성변형자재인 블레이드를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지지구(13)에 지지할 때,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부와 중앙부가 벨트 장방향으로 소정거리(L)를 갖는 궁형상태로 이루어지도록 만곡지지되는 구성에서,
상기 소정거리(L)를 상위한 다수의 다른 궁형상태로부터 임의의 궁형상태를 선택가능하고 선택된 궁형상태로부터 이루어지도록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형상변경수단(20)을 상기 지지구(13)의 내부에 설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는 지지구의 정면측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의 곡률반경(Rw1)과, 배면측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의 곡률반경(Rw2)을 Rw1 〉Rw2 로 형성하고 지지구의 중앙부의 구폭(W1)과 양측면의 구폭(W2)를 W2 〉W1 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구(13)에 삽입되는 스크래퍼(5)의 양단부가 지지벽(11,12)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형상변경수단은 후판부와 박판부를 구비한 가소성을 갖는 충진판으로 이루어지고 후판부를 홀더의 양측에 위치시켜 지지구에 삽입되고, 스크래퍼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가 거리(L1 또는 L3) 또는 거리(L2 또는 L4)(단 L1〈 L3, L3〈 L4)로 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궁형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진판을 스크레퍼와 배면측의 지지벽의 사이에 장진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는 배면측의 지지벽에 연장하고 상기 거리 L3 또는 L4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형상변경수단은 후판부와 박판부를 구비한 가소성을 갖는 충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판을 스크래퍼와 정면측의 지지벽의 사이에 장진하고 스크래퍼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가 거리(L5 또는 L6)(단 51〈 L6)로 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궁형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충진판의 후판부를 대향시킨 상태로 지지구에 충진하면 스크래퍼는 상기 거리 L5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유지된다. 한 쌍의 충진판의 박판부를 대향시킨 상태로 지지구에 충진하면 스크래퍼는 상기 거리 L6로 만곡된 궁형상태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형상변경수단은 홀더의 지지구에 내장되는 한 쌍의 요동부재로부터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부재는 궁형으로 만곡되는 지지구를 형성하고 일단부에 요동지점을 설치함과 동시에 타단부에 작동부를 설치한다. 한 쌍의 요동부재는 요동지점을 홀더의 지지구의 중앙부에서 상호 간격C를 유지하면서 축지되고 작동부를 지지구의 내부에 요동시키는 액튜에이터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유지구에 삽입되는 스크래퍼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가 거리(L7)과 거리(L8)(단 L7>L8)의 사이에서 무단계로 선택되는 거리만큼 궁형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동부를 정면측의 지지벽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부를 요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스크래퍼가 상기 거리(L7)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작동부를 배면측의 지지부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부재를 요동시키는 상태에서는 스크래퍼가 상기 거리(L8)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형상변경수단은 홀더의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구에 내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궁형으로 만곡되는 유지구를 형성하고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지지구의 중앙부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장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유지구의 만곡방향인 상호 근접방향 및 이반(離反)방향으로 오동시키는 액튜에이터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유지구에 삽입된 스크래퍼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가 거리(L9)과 거리(L10)(단, L9<L10)의 사이에서 무단계로 선택된 거리만큼 궁형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근접시키는 상태에서는 스크래퍼는 상기 거리(L9)만큼 만곡된 궁형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이반(離反)시키는 상태에서는 스크래퍼는 상기 거리(L10)만큼 만곡된 궁형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6) 지지구(13)에 의해 양단부와 중앙부가 벨트 장방향으로 소정거리(L)를 갖는 궁형상태로 이루어지도록 스크래퍼(5)를 만곡지지하는 벨트클리너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거리(L)를 상위하는 복수의 다른 궁형상태로부터 임의의 궁형상태를 선택가능하게 하는 형상변경수단(20)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형상변경수단(20)에 의해 선택되는 궁형상태로 이루어지는 스크래퍼(5)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에서 스크래퍼의 드랍벽의 형상이 상위하는 경우에도 스크래퍼(5)의 소취부(7)를 벨트표면의 전폭에 맞게 적절하게 접촉시키고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스크래퍼(5)의 전폭에 맞게 바람직하게 제거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의 전체를 정면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의 전체를 배면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에 있어서 스크래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궁형으로 만곡된 스크래퍼를 정면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에 있어서 스크래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만곡되지 않은 스크래퍼를 정면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c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에 있어서 스크래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만곡되지 않은 스크래퍼를 배면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홀더와, 스크래퍼 및 형상변경수단을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홀더의 구성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a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충진판을 도시한 것으로, 만곡되지 않은 충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충진판을 도시한 것으로 종구의 부분으로 절단되고 만곡된 충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a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고,
도7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충진판의 횡단면도이고,
도7c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홀더의 횡단면도이고,
도8a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1 으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8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2 으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9a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변경수단을 구성하는 충진판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9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3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9c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4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0a은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변경수단을 구성하는 충진판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10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5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0c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6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1a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변경수단을 구성하는 요동부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11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7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1c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8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2a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변경수단을 구성하는 슬라이드부재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12b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9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2c는 본 발명에 의한 형상변경수단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크래퍼가 곡률반경 Rs10 로 만곡되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13a는 종래기술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곡률반경 Rb로 만곡하는 오목벽을 갖는 벨트의 표면에 스크래퍼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3b는 종래기술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곡률반경 Rb1로 만곡하는 오목벽을 갖는 벨트의 표면에 스크래퍼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13c는 종래기술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곡률반경 Rb2로 만곡하는 오목벽을 갖는 벨트의 표면에 스크래퍼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수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벨트클리너장치는 컨베이어벨트(4)의 귀환측에서 상기 벨트의 횡단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제거하는 스크래퍼(5)와 상기 스크래퍼(5)를 지지하는 홀더(6)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6)는 벨트횡단방향으로 향하고 축선A 회전으로 회동조정자재로 지지된다. 상기 스크래퍼(5)는 벨트표면에 접촉하는 소취부(7)를 구비하고 벨트(4)의 양측부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상기 축선A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도록 궁형상으로 만곡된다.
도면에서 컨베이어벨트(4)의 귀환측의 일부분만 도시된다. 상기 [귀환측]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로 걸쳐있는 주회 주행하는 엔드리스 벨트에 있어서, 반송물을 적재하여 왕복주행하고 상기 반송물을 낙하시키는 것까지 포워드 측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고, 상기 왕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향하는 복동주행하는 귀환과정의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환점을 지난 직후 풀리상으로 위치하는 과정도 포함되는 것이다.
[벨트클리너장치의 전체구성]
벨트(4)의 귀환측에 있어서 상기 벨트(4)의 양측에는 한 쌍의 취부지지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한 쌍의 취부지지장치는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술한 특허문헌 1-4에 개시되는 구성과 것을 사용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는 벨트(4)의 귀환주행방향 F로 향하는 팽출하는 궁형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홀더(6)에 착설자재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스크래퍼(5)는 배면부의 선단부에 초경합금 또는 세라믹 등의 내마모재로부터 이루어진 팁(8)을 고착하고 있다. 상기 팁(8)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크래퍼(5)의 배면부에는 고무시트(9)의 상연부가 고착되고 상기 시트(9)는 스크래퍼(5)의 배면을 덮고 하방으로 뻗은 구조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는 궁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저부재(10)에 L 형상의 지지벽(11,12)을 용접 등으로 고설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를 지지하는 지지구(13)를 구성한다. 상기 배부의 지지벽(12)의 양단부는 벨트의 귀환주행방향 F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2e)를 갖고 상기 연장부(12e)에 좌판(14)을 용접 등으로 고착하고 상기 좌판(14)에 프레임(15)을 용접 등으로 고착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5)은 상호 동심형으로 배치되고 양 프레임의 공통 축선에 의해 스크래퍼(5)의 회동축선(A)을 형성한다. 상기 좌판(14)은 저부재(10)의 측연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고 좌판(14)와 저부재(10)의 저면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는 연결편(16)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크래퍼(5)를 장착한 홀더(6)는 회동축선 A이 벨트(4)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프레임(15)을 취부지지장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취부지지장치에는 압상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압상장치는 상술한 특허문헌1-4에 개시된 구성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스크래퍼(5)는 벨트(4)의 양측단부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상기 축선A 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되고 상기 압상장치에 의해 축선 A방향 회전으로 프레임(15)를 상방 U로 향해 회동하고 스크래퍼(5)를 기립시키면 스크래퍼(5)의 팁의 상연이 중앙부를 상방으로 팽출하는 궁형을 이루고 벨트(4)의 만곡표면에 이어져 접촉하는 소취부(7)를 구성한다.
[스크래퍼의 구성]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는 소취부(7)를 구성하는 팁(8)을 상단에 납땜에 의해 고착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7)의 다수와 다수의 지지부재(17)을 병렬상태로 연결하는 띠모양의 탄성체(18)와, 소취부(7)의 근방에서 다수의 지지부재(17)에 이어진 접착된 고무시트(9)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팁(8)은 지지부재(17)의 양측 보다 돌출하도록 지지부재(17)의 폭 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되고 칩(8)을 동일선상으로 정렬하고 다수의 지지부재(17)를 정렬시키고 상기 상태로 지지부재(17)를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탄성체(18)로 매설한다. 따라서 탄성체(18)는 인접하는 지지부재(17)의 극간에 고무를 충진하는 것에 의해 힌지부(19)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19)를 매개로 블레이드 형상의 스크래퍼(5)를 직선상태로부터 궁형상태로 만곡하도록 탄성변형자재가 된다. 상기 탄성체(18)는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되는 각부(18a)와 지지구(13)로부터 돌출한 벨트(4)의 표면에 임하는 두부(18b)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래퍼(5)는 거의 직선상태로부터 거의 궁형으로 만곡하는 탄성변형자재인 블레이드를 구성하고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지지할 때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부와 중앙부가 벨트 장방향으로 소정 거리(L)를 갖는 궁형상태로 되도록 만곡유지 된다.
본 발명은 홀더(6)의 지지구(13) 내부에 형상변경수단(20)을 설치한다. 상기 형상변경수단(20)은 스크래퍼(5)의 만곡상태에 관해 상기 소정거리(L)를 상위한 복수의 다른 구형상태로부터 임의의 궁형상태를 선택가능하고 선택된 궁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스크래퍼(5)를 만곡시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형태변경수단의 제1 실시예]
도4 및 도6 내지 도8은 형상변경수단(2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상변경수단(20)은 한 쌍의 가소성을 갖는 충진판(21)으로 구성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는 지지구(13)의 정면측에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1)의 곡률반경(Rw1)과 배면측에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2)의 곡률반경(Rw2)을, Rw1 〉Rw2 로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지지구(13)의 중앙부의 구폭(W2)이 W2 〉W1 으로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의 지지벽(11)은 양단근방부에 나사공(11a)을 천설하고 상기 나사공(11a)에 볼트(22)가 나삽된다. 배면측의 지지벽(12)은 양단근방부에 나사공(12a)을 천설하고 상기 나사공(12a)에 볼트(23)가 나삽된다. 또한 볼트(22,23)에는 록너트(2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대해 스크래퍼(5)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부(18a)의 두께 T를 T≤W1 에 형성한다. 따라서 스크래퍼(5)를 만곡시키고 각부(18a)를 지지구(13)에 삽입할 때 상기 각부(18a)의 양단부가 지지벽(11,12)의 사이에 요동가능하다.
상기 충진판(21)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등의 고강도 및 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판을 구성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21a)의 두께(t1)과 타단부(21b)의 두께(t2)가 t1 > t2 이 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21a)의 두께가 t1 ≤ (W2-T)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서 충진판(21)의 일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소정 영역에 의한 두께(t1)로 일단부(21a)를 구성하고 타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소정 영역에 의한 두께(t2)로 타단부(21b)를 구성하지만,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하는 테이퍼를 형성한 구성도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래퍼(5)는 궁형으로 만곡될 때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를 L1과 L2(L1< L2)의 어느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2종류의 다른 궁형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a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 L1을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크래퍼(5)는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하고 정면측의 지지벽(11)에 연장된다. 상기 배면측의 지지벽(12)과 각부(18a)의 사이에 충진판(21)을 삽입하고 있다. 한 쌍의 충진판(21)은 두꺼운 방향의 단부(21a)가 지지구(13)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얇은 방향의 단부(21b)가 지지구(1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배면측의 지지벽(12)으로부터 볼트(23)를 삽입하고 각부(18a)를 정면측의 지지벽(11)과 충진판(21)에 의해 협지시킨다. 따라서 스크래퍼(5)는 곡률반경(Rw1)이 되는 정면측의 지지벽(11)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만곡되고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가 L1로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1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도8b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2)를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크래퍼(5)는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하고 배면측의 지지벽(12)에 연장하고 정면측의 지지벽(11)과 각부(18a)의 사이에 충진판(21)을 삽입하고 있다. 한 쌍의 충진판(21)은 두꺼운 방향의 단부(21a)가 지지구(13)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얇은 방향의 단부(21b)가 지지구(1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배면측의 지지벽(11)으로부터 볼트(22)를 삽입하고 각부(18a)를 배면측의 지지벽(12)과 충진판(21)에 의해 협지시킨다. 따라서 스크래퍼(5)는 곡률반경(Rw2)이 되는 배면측의 지지벽(12)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만곡되고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가 L2로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2(Rs2 < Rs1)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벨트클리너장치를 컨베이어 귀환측에 설치할 때 스크래퍼(5)를 상기 2종류의 궁형상태로부터 선택한 궁형상태가 되도록 만곡되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스크래퍼(5)를 회동기립할 때 드랍벽에 의해 만곡되는 벨트표면에 대해 스크래퍼(5)의 소취부(7)가 상기 벨트표면의 전폭으로 연장되어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형상변경수단(20)을 포함하는 벨트클리너장치의 제작용이성의 관점에서 충진판(21)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종구(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벨트(4)의 폭 치수에 따라, 장방향 길이 치수가 다른 스크래퍼(5) 및 홀더(6)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면, 단방향 길이 치수의 스크래퍼(5) 및 홀더(6)로 사용할 때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구(25)의 부분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단방향의 충진판(21)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종구(25)는 충진판(21)의 가소성을 증진하는 잇점이 있다.
[형상변경수단의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는 한 쌍의 충진판(21)에 의해 형상변경수단(20)을 구성하지만 도9에 도시한 제2 실시예는 1매의 충진판(26)에 의해 형상변경수단(20)을 구성하고 있다. 충진판(26)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등의 고강도 및 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1매의 판을 구성하고, 양단부(26a)의 두께(t1)와 중앙부(26b)의 두께(t2)가 t1 > t2 가 되도록 형성되고, 양단부(26a)로부터 중앙부(26b)로 향하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래퍼(5)와 홀더(6)는 도7a 및 도7c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충진판(26)의 양단부(26a)의 두께(t1)가 t1 ≤ (W2-T)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도9b와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5)는 궁형으로 만곡될 때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를 L3과 L4(L3 < L4)의 어느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2종류의 다른 궁형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b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 L3을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크래퍼(5)는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하고 정면측의 지지벽(11)에 연장된다. 상기 배면측의 지지벽(12)과 각부(18a)의 사이에 충진판(26)을 삽입하고 있다. 배면측의 지지벽(12)으로부터 볼트(23)를 삽입하고 각부(18a)를 정면측의 지지벽(11)과 충진판(21)에 의해 협지시킨다. 따라서 스크래퍼(5)는 곡률반경(Rw1)이 되는 배면측의 지지벽(11)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만곡되고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가 L3로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3으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도8b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4)를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크래퍼(5)는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하고 배면측의 지지벽(12)에 연장하고 정면측의 지지벽(11)과 각부(18a)의 사이에 충진판(21)을 삽입하고 있다.
정면측의 지지벽(12)으로부터 볼트(22)를 삽입하고 각부(18a)를 배면측의 지지벽(12)과 충진판(21)에 의해 협지시킨다. 따라서 스크래퍼(5)는 곡률반경(Rw2)이 되는 배면측의 지지벽(12)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만곡되고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가 L4로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4(Rs4 < Rs3)으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도10은 형상변경수단(2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형상변경수단(20)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쌍의 충진판(27)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충진판(27)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등의 고강도 및 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판을 구성하고 일단부(27a)의 두께(t1)과 타단부(27b)의 두께(t2)가 t1 > t2 이 되도록 형성되고 일단부(27a)로부터 타단부(27b)로 향하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래퍼(5)와 홀더(6)는 도7a 및 도7a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배면측의 지지벽(12)의 중앙부에도 나사공(12b)을 천설하고 상기 나사공(12b)에 홀더(28)를 나삽합고 있다. 또한 도7c에 도시한 정면측의 지지벽(11)의 나사공(11a) 및 볼트(22)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충진판(27)의 일단부(27a)의 두께(t1)는 t1 ≤ (W1-T)가 되도록 형성된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래퍼(5)는 궁형으로 만곡될 때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를 L5과 L6(L5<L6)의 어느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2종류의 다른 궁형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0a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 L5을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크래퍼(5)는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하고 상기 각부(18a)와 정면측의 지지벽(11)의 사이에 충진판(27)을 삽입하고 있다. 한 쌍의 충진판(27)은 두꺼운 방향의 단부(27a)를 지지구(13)의 중앙부로 향해 배치되고 배면측의 지지벽(12)으로부터 볼트(23,28)를 나입하고 각부(18a)를 정면측의 지지벽(11)과 충진판(21)에 의해 협지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래퍼(5)는 한 쌍의 충진판(27)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곡률반경(Rw3)의 원호면에 연장하여 만곡되고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는 L5가 되고, 도시한 바와 같은 곡률반경Rs5로 만곡하는 궁형형태를 유지한다.
도10b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6)를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크래퍼(5)는 각부(18a)를 홀더(6)의 지지구(13)에 삽입하고 정면측의 지지벽(11)과 각부(18a)의 사이에 충진판(21)을 삽입하고 있지만, 한 쌍의 충진판(27)은 얇은 방향의 단부(27b)를 지지구(13)의 중앙부로 향해 배치되고 배면측의 지지벽(12)으로부터 볼트(23,28)를 나입하는 것에 의해 각부(18a)를 정면측의 지지벽(11)과 충진판(21)에 의해 협지하고 있다.
따라서 스크래퍼(5)는 한 쌍의 충진판(27)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곡률반경Rw4(Rw4 < Rw3)의 원호면으로 연장하여 만곡하고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는 L6로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6(Rs6 < Rs5)으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래퍼(5) 및 홀더(6)의 구성은 대체로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으로 스크래퍼(5) 및 홀더를 갖는 벨트클리너장치에 대해 제1 실시예의 충진판(21)과 제2 실시예의 충진판(26)과, 제3 실시예의 충진판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형태변경수단의 제4 실시예]
도11은 형태변경수단(2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태변경수단(20)은 스크래퍼(5)의 궁형상태를 무단계로 변경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홀더(6)는 지지구(13)의 정면측에서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1)의 곡률반경(Rw5)과 배면측에서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2)의 곡률반경(Rw6)을, Rw5 > Rw6로 형성하고 그것에 의해 지지구(13)의 중앙부의 구폭(W3)와 양측부의 구폭(W4)이 W4 > W3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형태변경수단(20)은 한 쌍의 요동부재(29)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요동부재(29)는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반경 Rm(Rw5> Rw6)로 만곡되는 평행한 유지벽(30)에 의해 지지구를 형성하고 유지벽(30)의 일단부에 요동지점(32)을 설치하고 타단부에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33)를 설치하고 한 쌍의 요동부재(29)의 요동지점)을 상호 간격(C)를 유지하고 대향시킨 상태로 홀더(6)의 지지구(13)에 내장된다. 따라서 요동부재(29)는 요동지점(32)을 지점으로하여 지지구(13)의 내부에서 요동자재가 된다.
홀더(6)의 양단부에는 액튜에이터(34)가 설치된다. 실시예의 경우 액튜에이터(34)는 배면측의 지지벽(12)에 고착된 너트(35)에 진퇴자재로 나합되는 볼트(36)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볼트(36)를 상기 작동부(33)에 연결하는 프랜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액튜에이터(34)의 볼트(36)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너트(35)로부터 후퇴시키면 도11b의 활살표 M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부재(29)는 유지구(31)를 지점으로 하는 작동부(33)를 정면측의 지지벽(11)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반대로 액튜에이터(34)의 볼트(36)를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너트(35)로 향해서 전진시키면 도11c의 화살표 M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부재(29)는 유지구(31)를 지점으로 하고 작동점(33)을 배면측의 지지벽(12)으로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한 쌍의 스크래퍼(5)는 한 쌍의 요동부재(29)의 유지구(31)에 끼워져 결합되고 만곡한 궁형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 스크래퍼(5)의 중앙부(5c)는 상기 간격C로 위치하고 탄성 변형가능하다.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래퍼(5)는 궁형으로 만곡될 때의 만곡부와 중앙부의 거리(L)를 L7과 L8(L7 < L8)의 범위로 무단계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구형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1b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7)를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액튜에이터(34)에 의해 요동부재(29)의 작동부(33)를 화살표M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궁형으로 만곡한 상태로 유지구(31)에 유지되는 스크래퍼(5)는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를 L7로 된다. 이 때 중앙부(5c)는 한 쌍의 유지구(31)의 사이에서 원호를 연속으로 변형시키기 때문에 스크래퍼(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Rs8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액튜에이터(34)는 볼트(36)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작동부(33)를 무단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를 L7과 L8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거리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형태변경수단의 제5 실시예]
도12는 형태변경수단(20)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형태변경수단(20)은 스크래퍼(5)의 궁형상태를 무단계로 변경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홀더(6)는 반경 Rw7, Rw8 로 동심원상의 원호를 그리듯이 만곡되는 지지벽(11,12)을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지지구(13)를 형성한다. 상기 형태변경수단(20)은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에 의해 구성되고 홀더(6)의 중앙부로 상호 간격을 갖는 한 쌍의 슬라이브부재(37)를 지지구(13)에 내장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7)는 만곡되는 유지벽(38)에 의해 유지구(39)를 형성하고 유지벽(38)의 외측면의 상기 지지벽(11,12)의 원호에 연장하는 원호면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브부재(37)는 지지구(13)에 삽입되는 상태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지지구(13)에 연장되는 슬라이드자재가 된다. 유지벽(38)의 내측면은 지지벽(12)의 반경Rw8 보다도 작은 반경Rw9, Rw10인 동심원상의 원호를 그리는 만곡면을 형성하고 만곡면의 사이에 유지구(39)를 형성한다.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37)는 액튜에이터(41)에 의해 서로 근접방향 및 이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액튜에이터(41)에 연결되는 작동부(40)를 설치하고 있다. 액튜에이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턴버클기구와 실린더기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5)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의 유지구(39)에 끼워 결합되고 만고한 궁형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 스크래퍼(5)의 중앙부(5c)는 홀더(6)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탄성변형 가능하다.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래퍼(5)는 궁형으로 만곡될 때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L)를 L9과 L10(L9 < L10)의 범위로 무단계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구형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b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9을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액튜에이터(41)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7)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궁형으로 만곡한 상태로 유지구(39)에 유지되는 스크래퍼(5)는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를 L9로 한다. 이 때 중앙부(5c)는 한 쌍의 유지구(39)의 사이에서 원호를 연속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스크래퍼(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9으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도12c는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10을 선택한 궁형상태로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액튜에이터(41)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7)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궁형으로 만곡한 상태로 유지구(39)에 유지되는 스크래퍼(5)는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를 L10으로 한다. 이 때 중앙부(5c)는 한 쌍의 유지구(30)의 사이에서 원호를 연속시키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스크래퍼(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 Rs10 로 만곡하는 궁형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드부재(37)를 도12b에 도시한 위치와 도12c에 도시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무단계로 슬라이드시켜 정지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거리를 L9과 L10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거리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Claims (5)

  1. 삭제
  2. 스크래퍼를 지지하는 홀더와, 압상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6)는 벨트의 횡단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벽(11,12)을 갖고, 상기 지지벽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부로부터 중앙부에 도달함에 따라 벨트 장방향으로 만곡하는 지지구(13)를 구성하고,
    상기 압상장치는 상기 홀더(6)의 양단부를 벨트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상(A)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홀더를 기립자세로 하도록 밀어올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래퍼(5)는 직선상태로부터 궁형으로 만곡하는 탄성변형자재인 블레이드를 구성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지지구(13)에 지지할 때,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부와 중앙부가 벨트 장방향으로 소정거리(L)를 갖는 궁형상태로 이루어지도록 만곡지지되는 구성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소정거리(L)를 변경한 다수의 다른 궁형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궁형상태로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형상변경수단(20)이 상기 지지구(13)의 내부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의 귀환측에서 주행하는 벨트표면의 잔류부착물을 제거하는 벨트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지지구의 정면측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1)의 곡률반경(Rw1)과, 배면측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2)의 곡률반경(Rw2)을 Rw1 〉Rw2 로 형성하고 지지구(13)의 중앙부의 구폭(W1)과 양측면의 구폭(W2)를 W2 〉W1 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구(13)에 삽입되는 스크래퍼(5)의 양단부가 지지벽(11,12)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형상변경수단(20)은 후판부(t1)와 박판부(t2)를 구비한 가소성을 갖는 충진판(21,22,26)으로 이루어지고 후판부를 홀더의 양측에 위치시킨 지지구(13)의 정면측의 위치와 배면측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의 양단부와 상기 중앙부의 거리(L)를 L1〈 L2 로 한정하고 단거리(L1)와 장거리(L2)로부터 선택되는 거리로 설정한 상태로 궁형으로 만곡되고 또는 L3〈 L4 로 한정하고 단거리(L3)와 장거리(L4)로부터 선택된 거리로 설정한 상태로 궁형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진판(21,22,26)을 스크레퍼(5)와 배면측의 지지벽(12)의 사이에 장진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를 정면측의 지지벽(11)에 연장해서 상기 거리(L)를 단거리 L1 또는 L3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충진판(21,26)을 스크래퍼(5)와 정면측의 지지벽(11)의 사이에 장진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를 배면측의 지지벽(12)에 연장해서 상기 거리(L)를 거리 L2 또는 L4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된 궁형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클리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지지구의 정면측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1)의 곡률반경(Rw1)과, 배면측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벽(12)의 곡률반경(Rw2)을, Rw1 〉Rw2 로 형성하고 지지구(13)의 중앙부의 구폭(W1)과 양측면의 구폭(W2)을 W2 〉W1 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구(13)에 삽입되는 스크래퍼(5)의 양단부가 지지벽(11,12)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형상변경수단(20)은 후판부(27a)와 박판부(27b)를 구비한 가소성을 갖는 한 쌍의 충진판(27)으로 이루어지고,상기 후판부(27a)를 대향시키는 상태와 상기 박판부(27b)를 대향시키는 상태의 2개로부터 선택되는 상태로, 스크래퍼(5)와 지지부(11) 또는 지지벽(12)의 사이에 장진되도록 구성되며, 스크래퍼(5)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상기 거리(L)를 L5 〈 L6로 한정하고 단거리(L5)와 장거리(L6)로부터 선택된 거리로 설정한 상태로 궁형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충진판(27)의 후판부(27a)를 대향시키는 상태로 지지구(13)에 장진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를 상기 거리(L)가 단거리(L5)로 설정된 상태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유지하고,
    한 쌍의 충진부(27)의 박판부(27b)를 대향시키는 상태로 지지구(13)에 장진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를 상기 거리(L)가 장거리(L6)로 설정된 상태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클리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경수단(20)은 홀더(6)의 지지구(13)에 내장된 한 쌍의 요동부재(29)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동부재(29)는 궁형으로 만곡된 유지구(31)를 형성하고 일단부에 요동지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타단부에 작동부(33)를 설치하고,
    한 쌍의 요동부재(29)의 요동지점(32)을 홀더(6)의 지지구(13)의 중앙부로 상호 간격(C) 유지하면서 축지하고 작동부(33)를 지지구(13)의 내부에서 요동시키는 액튜에이터(34)를 설치하고 상기 유지구(31)에 삽입된 스크래퍼(5)의 양단부를 벨트 장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를 L7〈 L8로 한정하고 단거리(L7)와 장거리(L8) 사이에 임의로 선택한 거리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액튜에이터(34)에 의해 작동부(33)를 정면측의 지지벽(11)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부재(29)를 요동되는 상태로,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7)를 단거리(L7)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액튜에이터(34)에 의해 작동부(33)를 배면측의 지지벽(12)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부재(29)를 요동시키는 상태로,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를 장거리(L8)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되는 궁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클리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경수단(20)은 홀더(6)의 궁형으로 만곡하는 지지구(13)에 내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재(37)는 궁형으로 만곡된 유지구(39)를 구성하고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를 지지구(13)의 중앙부로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장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37)를 상기 유지구(39)의 만곡방향에 있어서 상호 근접방향 및 이반방향(離反方向)으로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41)를 설치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7)의 이동으로 유지구(39)에 삽입된 스크래퍼(5)의 양단부를 벨트 장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의해,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를 L9〈 L10으로 한정된 단거리(L9)와 장거리(L10)의 사이에 임의로 선택한 거리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된 궁형상태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액튜에이터(41)에 의해 한 쌍의 슬라이브부재(37)를 근접시키는 상태로, 상기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를 단거리(L9)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된 궁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액튜에이터(41)에 의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37)를 이반(離反)시키는 상태로, 스크래퍼(5)가 상기 거리(L)를 장거리(L10)으로 설정한 상태로 만곡된 궁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클리너장치.
KR1020100018705A 2009-03-02 2010-03-02 벨트클리너장치 KR101165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7576A JP4801753B2 (ja) 2009-03-02 2009-03-02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JP-P-2009-047576 2009-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071A KR20100099071A (ko) 2010-09-10
KR101165143B1 true KR101165143B1 (ko) 2012-07-12

Family

ID=4222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705A KR101165143B1 (ko) 2009-03-02 2010-03-02 벨트클리너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42679B2 (ko)
EP (1) EP2226275B1 (ko)
JP (1) JP4801753B2 (ko)
KR (1) KR101165143B1 (ko)
AU (1) AU2010200572B2 (ko)
CA (1) CA2695109C (ko)
ES (1) ES2395502T3 (ko)
PL (1) PL2226275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15U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라우텍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크리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6930B1 (fr) * 2011-06-22 2015-09-04 Rene Brunone Dispositif racleur pour bande transporteus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AT513064B1 (de) * 2012-07-04 2018-11-15 Hoessl Gmbh Vorrichtung zum Abstreifen eines Förderbandes
CN104891129A (zh) * 2015-04-18 2015-09-09 中煤张家口煤矿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皮带自移机尾刮煤装置
JP6326524B1 (ja) 2017-04-04 2018-05-16 日本通商株式会社 ベルトクリーナ装置
SG10201809366UA (en) * 2018-10-23 2020-05-28 Singnergy Corp Pte Ltd A scrapper suitable for use with a conveying system
CN109760226A (zh) * 2018-11-28 2019-05-17 杭州万顺氟胶科技有限公司 一种橡胶制品制备用原料混合装置
DE102020112875B3 (de) * 2020-05-12 2021-07-01 Cornelia Kill-Frech Lösbare Anbringung von Abstreifermodul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2518A1 (en) * 2003-12-01 2007-11-29 Gaarden Kjell A Pre-Scraper for a Conveyor Bel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915A (en) 1987-05-07 1989-03-10 Nihon Tsusho Kk Belt cleaner
JPH01267208A (ja) * 1988-04-18 1989-10-25 Nippon Tsusho Kk ベルトクリーナ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スクレーパ
JPH0720766B2 (ja) 1988-07-14 1995-03-08 日本通商株式会社 ベルトクリーナ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スクレーパ
JPH072328U (ja) * 1993-06-11 1995-01-13 株式会社カワニシ ベルトクリーナー
BE1007319A3 (fr) * 1993-08-03 1995-05-16 Technic Gum Sa Dispositif de raclage du brin de retour d'une bande transporteuse.
JPH10329929A (ja) * 1997-05-29 1998-12-15 Noda Tec:Kk コンベアベルトのクリーナ
JPH1135135A (ja) 1997-07-18 1999-02-09 Nippon Tsusho Kk ベルトクリーナ装置及び該装置用スクレーパ並びにスクレーパの製造方法
ATE285372T1 (de) * 1999-09-27 2005-01-15 Mato Australia Pty Ltd Spannanordnungsvorrichtung für förderbandreiniger
CN201125081Y (zh) * 2007-08-28 2008-10-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胶带清扫器
US7950519B2 (en) * 2008-05-02 2011-05-31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Belt scraper assembly and scraper blad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2518A1 (en) * 2003-12-01 2007-11-29 Gaarden Kjell A Pre-Scraper for a Conveyor Bel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15U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라우텍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크리너 시스템
KR200496384Y1 (ko) * 2020-11-12 2023-01-17 주식회사 라우텍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크리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00572A1 (en) 2010-09-16
JP4801753B2 (ja) 2011-10-26
KR20100099071A (ko) 2010-09-10
ES2395502T3 (es) 2013-02-13
CA2695109A1 (en) 2010-09-02
US20100219045A1 (en) 2010-09-02
CA2695109C (en) 2014-01-14
EP2226275B1 (en) 2012-10-24
US8042679B2 (en) 2011-10-25
PL2226275T3 (pl) 2013-03-29
EP2226275A3 (en) 2011-05-25
EP2226275A2 (en) 2010-09-08
JP2010202303A (ja) 2010-09-16
AU2010200572B2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143B1 (ko) 벨트클리너장치
DE60002924D1 (de) Abstreifer für Förderbänder bei unterschiedlichem Verschleiss
JP2001010716A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ATE411242T1 (de) Förderbandreinigungssystem
JP2011173728A (ja) ベルトコンベヤ用クリーナ装置
EP0338118A1 (en) Belt cleaner and its scraper
CA2538674C (en) Belt cleaner
JP2007145494A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KR20130143179A (ko) 컨베이어 벨트 크리너
JP5861953B1 (ja) ベルトクリーナ
KR102153958B1 (ko) 컨베이어 벨트 스크래퍼
RU2013102420A (ru) Сегмент для грязесъемника транспортной ленты
BE1016019A3 (fr) Dispositif de nettoyage de bande transporteuse.
JP2829498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US5725083A (en) Strip blade conveyor belt cleaner
CN107000701A (zh) 玻璃刮水装置
JPH072328U (ja) ベルトクリーナー
JP2945388B1 (ja) コンベアベルトのクリーナ
US6766896B1 (en) Scraping device
JP6589426B2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H0676130B2 (ja) ベルトクリ−ナ
JP2004231319A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2583748B2 (ja) 耐摩耗性のコンベアベルト
JP2016055943A (ja) ベルトクリーナ
JP6055132B1 (ja) ベルトコンベヤ用クリーナ装置および板状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