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296Y1 -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296Y1
KR200337296Y1 KR20-2003-0030084U KR20030030084U KR200337296Y1 KR 200337296 Y1 KR200337296 Y1 KR 200337296Y1 KR 20030030084 U KR20030030084 U KR 20030030084U KR 200337296 Y1 KR200337296 Y1 KR 200337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material
unit
unwinding
rotating
win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시만
Original Assignee
류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시만 filed Critical 류시만
Priority to KR20-2003-0030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이나 철사, 코일, 전선 등과 같은 선형의 재료가 감겨진 권취부재에서 선형 재료를 권출할 때 발생하는 재료의 꼬임을 방지하는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형 재료(10)가 권취된 권취부재(20)를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축(304)에 끼워서 가이드(306a)가 돌출 형성된 고정너트(306)로 고정 설치한 후 개방된 상향으로 권출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통(30)의 하부에 회전풀리(302)를 설치하고, 회전통(30) 일측에는 모우터(4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402)를 설치하여 회전풀리(302)와 구동풀리(402)를 연결한 타이밍벨트(50)에 의해 회전통(30)을 간헐 회전시킬 수 있게 한 회전부와; 권취부재(20)가 끼워지는 회전통(30)의 지지축(304)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발광하는 발광부(60a)를 형성하고, 권취부재(20)가 설치된 회전통(30)의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발광부(60a)의 발광을 감지하는 수광센서(60)를 설치하여 발광부(60a)와 수광센서(60) 사이로 선형 재료(10)의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권출감지부와; 회전통(30)의 외주면에 검출물체(70a)를 부착하고, 회전통(30)의 일측에는 회전감지센서(70)를 설치하여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3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와; 권출감지부의 수광센서(60)에서 감지된 신호와, 회전감지부의 회전감지센서(70)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회전부의 모우터(4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실이나 철사, 코일, 전선 등과 같은 선형 재료를 권취한 권취부재에서 재료를 권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형 재료의 꼬임을 권취부재를 고정 설치한 회전통의 역회전을 통해 해소하므로써 선형 재료의 꼬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권출을 보장할 뿐 만 아니라, 권출 속도의 향상을 통해 선형 재료의 권출을 이용한 작업 공정의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UNWIND ANTI TWISTER OF LINEAR MATERIAL}
본 고안은 실이나 철사, 코일, 전선 등과 같은 선형의 재료가 감겨진 권취부재에서 권취된 선형 재료를 권출할 때 발생하는 재료의 꼬임을 방지하여 재료의 꼬임으로 인한 손상이나 끊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권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이나, 철사, 코일, 전선 등과 같이 형태가 선형인 재료들은 보관의 효율성과 2차 사용시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보빈이나 타래와 같은 권취부재에 재료를 권취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렇게 권취된 선형의 재료는 새로운 사용 목적을 위하여 재료를 권출할 때,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재료를 풀어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권취부재에 권취된 선형의 재료는 권출하는 과정에서 권취부재에서 재료가 1회전씩 풀어질 때마다 선형 재료는 풀어지는 방향으로 1회의 꼬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꼬임 횟수가 누적되면 마침내 선형 재료의 꼬임 현상으로 발전하여 재료의 중간에 매듭이 발생하거나, 심할 경우 재료가 끊어지는 등의 손상을 초래하므로써, 권취부재에서의 선형 재료의 권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선형 재료의 꼬임 발생은 권취부재에 권취된 선형 재료의 권출 속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선형 소재의 권출속도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권취부재에 감겨진 선형 재료를 권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의 꼬임을 권취부재의 역회전을 통해 해소하여 선형 재료의 끊어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선형 재료를 권출속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선형 재료의 권출을 통한 2차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선형 재료가 권취된 권취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통을 형성하여 이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권취부재에 권취된 선형 재료의 권출을 감지하는 권출감지부와, 회전통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와 감지된 신호를 통해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선형 재료의 꼬임이 1회 발생할 때마다 선형 재료를 권취하는 권취부재가 설치된 회전통을 선형 재료의 꼬임의 발생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1회전 시켜주므로써, 선형 재료의 꼬임을 해소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권출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선형 재료 20 : 권취부재
30 : 회전통 302 : 회전풀리
304 : 지지축 306 : 고정너트
306a : 가이드 40 : 모우터
402 : 구동풀리 50 : 타이밍벨트
60 : 수광센서 60a : 발광부
70 : 회전감지센서 70a : 검출물체
80 : 지지대 90 : 권출가이드
선형 재료(10)가 권취된 권취부재(20)를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축(304)에 끼워서 가이드(306a)가 돌출 형성된 고정너트(306)로 고정 설치한 후 개방된 상향으로 권출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통(30)의 하부에 회전풀리(302)를 설치하고, 회전통(30) 일측에는 모우터(4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402)를 설치하여 회전풀리(302)와 구동풀리(402)를 연결한 타이밍벨트(50)에 의해 회전통(30)을 간헐 회전시킬 수 있게 한 회전부와,
권취부재(20)가 끼워지는 회전통(30)의 지지축(304)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발광하는 발광부(60a)를 형성하고, 권취부재(20)가 설치된 회전통(30)의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발광부(60a)의 발광을 감지하는 수광센서(60)를 설치하여 발광부(60a)와 수광센서(60) 사이로 선형 재료(10)의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권출감지부와,
회전통(30)의 외주면에 검출물체(70a)를 부착하고, 회전통(30)의 일측에는 회전감지센서(70)를 설치하여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3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와,
권출감지부의 수광센서(60)에서 감지된 신호와, 회전감지부의 회전감지센서(70)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회전부의 모우터(4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80' 은 지지대(80) '90'은 권출가이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선형 재료(10)가 권취된 권취부재(20)를 내부에 고정 설치하는 회전통(30)을 모우터(40)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통(30)의 하부에는 회전풀리(302)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이 회전풀리(302)와, 모우터(40)의 구동풀리(402)를 타이밍벨트(50)로 연결하므로써, 모우터(40)를 이용해 회전통(30)을 간헐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풀리(302)와 구동풀리(402)를 연결하는 수단으로는 타이밍벨트(50)를 이용하므로써, 모우터(40)에 의한 회전통(30)의 회전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회전하던 회전통(30)의 원심력에 의해 회전통(30)의 회전각도가 임의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되며, 이러한 작용을 위한 풀리와 타이밍벨트(50)는 체인서프라킷과, 체인 등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모우터(4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30)의 중심부에는 지지축(304)을 돌출 형성하여 이 지지축(304)에 선형의 재료가 권취된 보빈이나 타래와 같은 권취부재(20)를 끼운 후 고정너트(306)를 이용하여 권취부재(20)가 고정되게 설치하게 되는데, 이 지지축(304)의 상부에는 LED나 발광센서와 같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60a)를 형성하고 이 발광부(60a)에서 발광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센서(60)를 회전통(30)의 내주면 상부 일측에 설치하여 발광부(60a)에서 발광되는 빛을 수광센서(60)가 항상 감지되도록 하게된다.
따라서, 회전통(30)의 지지축(304)에 고정 설치된 권취부재(20)에 권취된 선형 재료(10)가 도면과 같이 개방된 회전통(30)의 상부로 권출될 때, 권취된 선형 재료(10)는 권취부재(20)에 1회전씩 풀릴 때 마다 지지축(304)의 상부에 형성된 발광부(60a)와, 회전통(30)의 내주면 상부에 설치된 수광센서(60) 사이를 한 번씩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수광센서(60)는 선형 재료(10)의 통과로 인해 순간적으로 끊어지는 발광을 감지하여 권취부재(20)에서 권출되는 선형 재료(10)의 1회전 권출을 감지한 후 그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게 된다.
그리하여 수광센서(60)로부터 선형 재료(10)의 1회전 권출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회전부를 구성하는 모우터(40)의 작동을 제어하여 모우터(40)를 구동시키게되면 모우터(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통(30)은 권취부재(20)에서 권출되는 선형 재료(10)의 권출시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통(30)의 외주면에는 검출물체(70a)가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통(30)의 일측에는 회전통(30)에 부착된 검출물체(70a)를 감지하는 근접스위치 등으로 된 회전감지센서(70)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모우터(40)가 작동하여 회전통(30)이 1회전 하게되면, 회전통(30) 일측의 회전감지센서(70)가 회전통(30)의 1회전을 감지한 후 그 신호를 다시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하여 회전감지센서(7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다시 회전하는 모우터(40)의 동작을 정지시키므로써, 권취부재(20)에 권취된 선형 재료(10)가 1회전씩 권출될 때마다 권취부재(20)가 고정 설치된 회전통(30)을 선형 재료(10)의 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1회전시켜, 선형 재료(10)의 권출 과정에서 선형재료(10)에 발생하는 꼬임을 회전통(30)의 역회전을 통해 해소하므로써 선형 재료(1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축(304)에 끼워진 권취부재(20)를 고정하는 고정너트(306)의 측면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 되게 가이드(306a)를 형성하여 권취부재(20)가 권취된 선형 재료(10)가 권출되는 과정에서 발광부(60a)와 수광센서(60) 사이에서 선형 재료(10)가 정지하므로써, 수광센서(60)나 제어부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이나 철사, 코일, 전선 등과 같은 선형 재료를 권취한 권취부재에서 재료를 권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형 재료의 꼬임을 권취부재를 고정 설치한 회전통의 역회전을 통해 해소하므로써 선형 재료의 꼬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권출을 보장할 뿐 만 아니라, 권출 속도의 향상을 통해 선형 재료의 권출을 이용한 작업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선형 재료(10)가 권취된 권취부재(20)를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축(304)에 끼워서 가이드(306a)가 돌출 형성된 고정너트(306)로 고정 설치한 후 개방된 상향으로 권출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통(30)의 하부에 회전풀리(302)를 설치하고, 회전통(30) 일측에는 모우터(4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402)를 설치하여 회전풀리(302)와 구동풀리(402)를 연결한 타이밍벨트(50)에 의해 회전통(30)을 간헐 회전시킬 수 있게 한 회전부와,
    권취부재(20)가 끼워지는 회전통(30)의 지지축(304)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발광하는 발광부(60a)를 형성하고, 권취부재(20)가 설치된 회전통(30)의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발광부(60a)의 발광을 감지하는 수광센서(60)를 설치하여 발광부(60a)와 수광센서(60) 사이로 선형 재료(10)의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권출감지부와,
    회전통(30)의 외주면에 검출물체(70a)를 부착하고, 회전통(30)의 일측에는 회전감지센서(70)를 설치하여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3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와,
    권출감지부의 수광센서(60)에서 감지된 신호와, 회전감지부의 회전감지센서(70)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회전부의 모우터(4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KR20-2003-0030084U 2003-09-23 2003-09-23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KR200337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84U KR200337296Y1 (ko) 2003-09-23 2003-09-23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84U KR200337296Y1 (ko) 2003-09-23 2003-09-23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870A Division KR100544960B1 (ko) 2003-09-23 2003-09-23 선형 재료의 인출 꼬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296Y1 true KR200337296Y1 (ko) 2003-12-31

Family

ID=4942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084U KR200337296Y1 (ko) 2003-09-23 2003-09-23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87A2 (ko) * 2011-06-01 2012-12-06 연합정밀(주) 소형 공중 무인로봇을 위한 지상전원 공급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87A2 (ko) * 2011-06-01 2012-12-06 연합정밀(주) 소형 공중 무인로봇을 위한 지상전원 공급시스템
WO2012165887A3 (ko) * 2011-06-01 2013-03-28 연합정밀(주) 소형 공중 무인로봇을 위한 지상전원 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215A (en) Thread storage and supply arrangement for textile machines
EP2641859B1 (en) Winding device
CN101837909B (zh) 操作制造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的工位的方法和装置以及执行该方法的工位
RU26019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копления пряжи для того, чтобы подавать нить без образования ее перекручивания
CN106087142B (zh) 倍捻机或并捻机的锭子运行方法和相应的倍捻机或并捻机
WO2004040051A1 (en) Thread supplying device of editing machine
KR200337296Y1 (ko)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JP6556134B2 (ja) 糸巻付きを識別する方法、及び、糸案内のための装置
KR100544960B1 (ko) 선형 재료의 인출 꼬임 방지 장치
JPH0319937A (ja) 織機の横糸送り装置から解放される糸の巻き数をカウントするための装置
JP3944727B2 (ja) 異種糸の糸継ぎ巻取装置
JP4853631B2 (ja) 撚糸機
KR100382400B1 (ko) 방사권취기
CN113355773A (zh) 纺纱或绕线机的操作方法以及纺纱或绕线机
ITTO20000219A1 (it) Dispositivo antiballoon per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a telai di tessitura.
ES272877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uesta en marcha de un husillo de una retorcedora de cableado o de doble torsión
KR100803546B1 (ko) 저장 능동형 급사장치
EP0475483A1 (en) Device for adapting the tension of the thread as it unwinds in a spooler
EP4342831A3 (en) Yarn winder
JPH05162923A (ja) クリール装置
JP2000303267A (ja) 多重撚糸機
JP3736633B2 (ja) 異種糸の糸継ぎ巻取装置
JP3147624U (ja) 緯糸貯留装置及び緯糸供給装置
CN115676502A (zh) 用于操作纺织机的工位的方法以及纺织机的工位
JP2001139224A (ja) 糸条繰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