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477Y1 - 사면보호용 네트 - Google Patents

사면보호용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477Y1
KR200336477Y1 KR20-2003-0030499U KR20030030499U KR200336477Y1 KR 200336477 Y1 KR200336477 Y1 KR 200336477Y1 KR 20030030499 U KR20030030499 U KR 20030030499U KR 200336477 Y1 KR200336477 Y1 KR 200336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rotection
net
slope
base n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riority to KR20-2003-0030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4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토 및 성토사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그 위에 복토되는 미세 토립자는 물론 모래, 자갈과 같은 굵은 입자까지를 빠른 유속에서도 세굴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다양한 보유공간을 가지는 3차원 입체공간의 다공성 구조체로써, 수많은 돌기는 빠른 유속을 느리게 감속시키는 기능과 식물뿌리가 자연스럽게 얽혀 생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사면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이중, 삼중의 침식방지능력을 발휘하도록 한 사면보호용 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유연성이 큰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재료로 하여 가로줄과 세로줄이 교차되는 기반네트와, 이 기반네트상에 직조되는 사면보호용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계획사면의 표토를 야적시켰다가 복토용 식생토로 재활용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자연생태계와 동일한 종의 식물이 신속히 다량 활착할 수 있는 생태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면보호용 네트{The net for slope protection}
본 고안은 사면보호용 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토 및 성토사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그 위에 복토되는 미세 토립자는 물론 모래, 자갈과 같은 굵은 입자까지를 빠른 유속에서도 침식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다양한 보유공간을 가지는 3차원 입체공간을 제공하는 다공성 구조체로써, 수많은 돌기는 빠른 유속을 느리게 감속시키는 기능과 식물뿌리가 자연스럽게 얽혀 생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사면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이중, 삼중의 세굴방지능력을 발휘하도록 한 사면보호용 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단지, 도로, 하천제방 등의 절토사면 이나 성토사면이 폭우로 인해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면에 사면 보호블록을 사용하여 사면을 피복시켜 복토한 후 씨앗 뿌리기 또는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면 보호블록을 이용한 공법은 콘크리트 또는 몰탈 블록을 성형하여 운반한 후 설치하고 각 단위블록들을 사방으로 체결하여 블록의 자중으로 사면세굴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사면 보호블록을 이용한 공법은 콘크리트블록에서 용출되는 강알칼리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대기온도의 상승요인이 되며, 체결용 금속부재는 산화되어 사면경관을 저해시키고, 블록제작과정에서 천연자원인 모래, 자갈의 채굴로 인한 낭비, 환경파괴 등 역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블록생산, 운반, 설치에 높은 원가가 투입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절토 및 성토사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그 위에 복토되는 미세 토립자는 물론 모래, 자갈과 같은 굵은 입자까지를 빠른 유속에서도 세굴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다양한 보유공간을 가지는 3차원 입체공간을 제공하는 다공성 구조체로써, 수많은 돌기는 빠른 유속을 느리게 감속시키는 기능과 식물뿌리가 자연스럽게 얽혀 생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사면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이중, 삼중의 세굴방지능력을 발휘하도록 한 유연성을 갖는 사면보호용 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를 도시한 부분 확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가 설치된 사면에서 초화류가 뿌리를
활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반네트 12 : 시공이음부
13 : 가로줄 14 : 세로줄
15 : 직조중심 세로줄 16 : 직조간격
17 : 고함수 충진토 18 : 복토
20 : 사면보호용 돌기 N : 사면보호용 네트
S : 사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재료로 하여 가로줄과 세로줄이 교차되는 기반네트와, 이 기반네트상에 직조되는 사면보호용 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를 도시한 부분 확대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굴요성이 풍부한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재료로 하여 가로줄(13)과 세로줄(14)이 교차되는 기반네트(10)와; 이 기반네트(10)상에 직조되는 사면보호용 돌기(20)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반네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줄(13)과 세로줄(14)의 간격은 각각 3-4mm 정도이며, 가로줄(13)과 세로줄(14)의 폭은 1mm 내외이며, 가로줄(13)과 세로줄(14)의 두께는 0.5mm이하로 형성되며, 그 기반네트(10)의 일측단에는 시공시 겹이음 시키기 위해 사면보호용 돌기(20)를 직조하지 않는 시공이음부(12)가 폭 15-20cm내외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기반네트(10)의 가로줄(13)과 세로줄(14)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되거나 꼬임방식으로, 상기 가로줄(13)과 세로줄(14)이 매교차부에서 상하로 자리를 교차하여 직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면보호용 돌기(20)는 폭 4-5mm 정도이며, 두께는 0.5mm이하의 다수의 얇은 끈 형태로 구성되고, 기반네트(10)의 직조중심 세로줄(15)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매칸 교대해 가며 뜨개질 방식으로 기반네트(10)의 상부로 연속되는 돌기를 형성시켜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기반네트(10)의 직조간격(16) 1cm 정도에 대하여 사면보호용 돌기(20)의 높이가 2cm 정도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보호용 네트(N)는 굴요성이 풍부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원재료를 사용하여 기반네트(10)를 제작하며, 이 기반네트(10)는 사면 보호용 돌기(20)를 일정한 면적과 간격 및 높이로 직조하기 위한 기반네트(10)이며, 그 위에 직조되는 사면보호용 돌기(2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소정의 인장강도와 두께 및 단면을 지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반네트(10)의 가로줄(13)과 세로줄(14) 간격은 각각 3-4mm정도, 가로줄(13)과 세로줄(14)의 폭은 1mm 정도이며, 두께가 0.5mm 이하 정도로 하고, 상기 기반네트(10)의 가로줄(13)과 세로줄(14)의 결속은 열융착 방식이나 꼬임방식 등으로 결속시키며, 상기 기반네트(10)의 직조방식은 가로줄(13)이나 세로줄(14)이 매 교차부에서 상하로 자리를 바꾸며 직조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면 보호용 돌기(20)는 폭 4-5mm정도, 두께 0.5mm이하의 다수의 얇은 끈 형태를 인위적으로 꼬아 직조할 수도 있고, 뜨개질 방식의 직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꼬이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반네트(10)의 직조간격(16)과 사면보호용 돌기(20)의 높이는 사면(S)의 경사도, 복토층의 두께, 토질 및 유속 등 현장여건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기반네트(10)상의 직조간격(16)은 1cm정도, 사면보호용 돌기(20)의 높이 2cm 정도면 충분히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기반네트(10)에 설치되는 사면보호용 돌기(20)의 직조방식은 직조중심 세로줄(15)을 기준으로 매칸 좌우 측으로 방향을 교대해 가며 뜨개질 방식으로 사면보호용 돌기(20)의 높이만큼 기반네트(10)의 상부로 사면보호용 돌기(20)를 연속하여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사면보호용 돌기(20)는 기반네트(10)와 접합시키지 않고 단지, 뜨개질 방식으로 조밀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사면보호용 네트(N)에 활착한 초목류의 뿌리가 외력에 의해 미세한 변위를 일으키는 경우에도 사면보호용 돌기(20) 역시 소량의 변위를 허용토록 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절단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유연한 식생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삼차원의 식물뿌리 생장기반 즉, 식생공간을 제공토록 한다.
즉, 상기 기반네트(10) 상부로 뜨개질 방식으로 연속되는 사면보호용 돌기(20)를 형성시킬 경우에는 어느 돌기 하나에 잡아당기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반대편 돌기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동시에 잡아당기는 돌기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굴요성이 없는 재질로 사면보호용 네트(N)를 성형시키거나 사면보호용 돌기(20)와 기반네트(10)를 고정 접합시킬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빠른 유속과 같은 작은 외력에도 쉽게 절단되어 고사되거나 식물의 생장이 저해되는 단점을 개선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사면보호용 네트(N)의 규격은 운반, 설치작업을 고려하여 1롤의 사면보호용 네트(N) 폭은 2m정도로 하고, 상기 사면보호용 네트(N)의 겹이음 시공 이음부(12)를 20cm 정도로 하며, 1롤의 길이는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제작 및 설치토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의 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 시공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획사면의 표토를 제거하여 야적장에 적치시키는 단계; 굴착경사 사면(S)을 고르고 다지는 단계;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사면보호용 네트(N)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사면(S)에 사면보호용 네트(N)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면보호용 네트(N)에인접하는 사면보호용 네트(N)를 중첩시킴과 동시에 고정핀으로 지중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사면 보호용 네트(N)에 고함수 충진토를 뿜어붙이고 다짐 하는 단계; 상기 충진토 상면에 잔디 심기나 씨앗 뿜어붙이기를 한 후 상부에 표토를 재포설하여 고르고 다짐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시공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 시공방법은 표토제거후 잘 다진 사면(S)에 사면보호용 네트(N)를 설치하되, 이 사면보호용 네트(N)간을 중첩시킴과 동시에 고정핀으로 사면(S)에 고정시킨 후, 고함수 충진토(17)를 뿜어붙이고 다짐하기, 식재 후 식생토 복토(18) 등 단순한 작업공정으로 완료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한 작용효과가 있다.
여기서 사면보호용 네트(N)간을 중첩시키는 단계는 사면보호용 네트의 시공이음부(10)에 인접하는 사면보호용 네트가 중첩하여 겹이음 되도록 함을 말하며, 고함수 충진토(17)를 뿜어 붙이는 단계는 사면보호용 돌기(20)의 내부공간에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함수비를 갖는 현장토를 충진시킴으로써 공극이 발생되지 않고 제방사면을 보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슬럼프를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계획사면의 표토를 야적시켰다가 복토용 식생토로 재활용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자연생태계와 동일한 종의 식물이 신속히 다량 활착할 수 있는 생태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집중 호우시 잔디와 같은 식물의 잎이 떨어지는 빗방울의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식물의 뿌리는 표면토사의 세굴이나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조밀하게 성형되는 다양한 형태의 삼차원 공극을 제공함으로 인하여 아주 작은 미세 토립자로부터 모래, 자갈과 같이 큰 토립자까지의 보존기능이 크므로 강우로 인한 표토층의 세굴이나 유실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잔디와 같은 지피식물의 뿌리가 돌기공간 사이에서 생장하여 일반 토사층 보다 한층 안정된 세굴방지능력을 발휘하며, 또한 네트는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부분적인 세굴 및 유실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우수 침투율이 최고로 높아 지하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하천에서는 갈수기에도 지하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하천 생태계를 살리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고안에 따른 사면보호용 네트는 콘크리트블록에서 용출되는 강알칼리와 같은 환경오염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유연성이 큰 원료를 주재료로 하여 가로줄과 세로줄이 교차되는 기반네트와; 이 기반네트상에 직조되는 다수의 사면보호용 돌기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네트를 구성하는 가로줄의 상하간격과 세로줄의 좌우간격이 공히 3-4mm정도이며, 가로줄과 세로줄의 폭은 1mm 정도이며, 그 두께는 0.5mm이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네트의 일측단에는 시공시 인접하는 기반네트와의 중첩이음을 위해 사면보호용 돌기가 성형되지 않는 시공이음부가 폭 15-20cm정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네트의 가로줄과 세로줄은 그 접합이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되거나 꼬임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네트는 가로줄과 세로줄이 매접합부에서 상하로 자리를 교차하여 직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호용 돌기는 폭 4-5mm 정도, 두께는 0.5mm이하의 다수의 얇은 끈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호용 돌기는 기반네트상의 직조간격 1cm 정도에 대하여 사면보호용 돌기 높이가 2cm 정도로 연속하여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호용 돌기는 기반네트상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직조중심 세로줄을 기준으로 하여 매칸 좌우측으로 방향을 교대해 가면서 뜨개질 방식으로 성형되어, 기빈네트와 고정 접합되지 않고, 기반네트의 상부로 연속되는 돌기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호용 네트.
KR20-2003-0030499U 2003-09-26 2003-09-26 사면보호용 네트 KR200336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99U KR200336477Y1 (ko) 2003-09-26 2003-09-26 사면보호용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99U KR200336477Y1 (ko) 2003-09-26 2003-09-26 사면보호용 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71A Division KR20050030428A (ko) 2003-09-26 2003-09-26 사면보호용 네트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477Y1 true KR200336477Y1 (ko) 2003-12-18

Family

ID=4934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99U KR200336477Y1 (ko) 2003-09-26 2003-09-26 사면보호용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4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205B1 (ko) 2007-06-07 2008-05-16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 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205B1 (ko) 2007-06-07 2008-05-16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802197B1 (ko)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KR200336477Y1 (ko) 사면보호용 네트
KR20050030428A (ko) 사면보호용 네트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JPH10159102A (ja) 法面、壁面等の保護構造
KR101201751B1 (ko) 더블라셀로 이루어진 토목섬유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JP4220613B2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JP3266876B2 (ja) 客土・覆土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344697Y1 (ko) 호안용 식생블록
RU2103440C1 (ru)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1187850B1 (ko) 식생 호안 구조물
RU2125632C1 (ru) Крепление откоса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S5820338B2 (ja) 法面安定工法
KR101118452B1 (ko) 격자형 기초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호안공법
JP2001182064A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JPH08199529A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ト覆土ブロック護岸
KR20060125643A (ko) 자연석 형상을 연출하는 자연형 식생블럭 구조체의구성방법
KR200240459Y1 (ko) 호안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