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850B1 - 식생 호안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 호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850B1
KR101187850B1 KR1020100029278A KR20100029278A KR101187850B1 KR 101187850 B1 KR101187850 B1 KR 101187850B1 KR 1020100029278 A KR1020100029278 A KR 1020100029278A KR 20100029278 A KR20100029278 A KR 20100029278A KR 101187850 B1 KR101187850 B1 KR 10118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body
biodegradable
bloc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507A (ko
Inventor
박찬기
현창성
안무열
Original Assignee
한산콘크리트(주)
청람콘크리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산콘크리트(주), 청람콘크리트(주) filed Critical 한산콘크리트(주)
Priority to KR102010002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8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 공간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과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식생 호안 블록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식생 호안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식생 호안 구조물은 경사면, 법면, 또는 사면에 설치되는 생분해성 그물망과, 생분해성 그물망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을 포함한다. 식생 호안 블록은, 4개의 원호가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어 조합된 식생 공간을 상하좌우 4개의 구획에 하나씩 형성하는 블록 몸체와,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식생 공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식생 공간을 둘러싸는 복토재 유실 방지턱과, 블록 몸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생 호안 구조물 {REVETMENT STRUCTURE FOR VEGETATION}
본 발명은 식생 호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및 해안의 지반 표면과 도로의 법면 및 조성지의 사면 등에 안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식생 호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하천 및 해안의 지반 표면에는 물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토화한 제방을 형성하고, 제방의 토사가 하천수나 빗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의 경사면에 식생 호안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로의 법면과 조성지의 사면 등에도 토사 유출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식생 호안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식생 호안 구조물은 지면을 덮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부직포와, 부직포 위에 설치되며 식생 공간을 형성하는 식생 호안 블록들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식생 호안 구조물에서 부직포는 분해되지 않고 장기적으로 남기 때문에 토양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식생 공간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깊게 내리지 못하게 막는다. 따라서 식물의 생육과 성장을 억제하고, 식생 공간에 나무를 심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식생 호안 블록에서는 식생 공간이 매우 작아 식물의 정착 및 생육이 저조하며, 식생 호안 블록들의 상부에 포설된 복토재가 우천시 빗물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쉽게 흘러내려 유실된다. 이로써 식물의 착근 불량이 발생하거나 식물 성장이 멈추게 되어 주위 미관을 해치며, 식생 호안 블록들 사이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사면이나 법면이 침식 또는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 사용 없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생 공간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과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식생 호안 블록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고, 복토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생 호안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은, ⅰ) 경사면, 법면, 또는 사면에 설치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며 일정 기간 경과 후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그물망과, ⅱ) 생분해성 그물망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을 포함한다. 식생 호안 블록은, ⅰ) 4개의 원호가 대칭으로 조합된 식생 공간을 복수개 형성하는 블록 몸체와, ⅱ)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블록 몸체들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생분해성 그물망은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자연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생분해성 그물망은 폴리락틱산 수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섬유를 그물망 모양으로 직조한 것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생분해성 그물망은 코코넛 섬유, 마 섬유, 및 볏집 중 적어도 하나를 그물망 모양으로 직조한 것일 수 있다.
블록 몸체는 상하좌우 4개의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마다 식생 공간을 하나씩 형성할 수 있다. 식생 공간에서 4개의 원호 중 2개의 원호는 블록 몸체의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원호는 이 사선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식생 공간이 없을 때 측정되는 블록 몸체 상면의 넓이를 제1 면적이라 하고, 4개 식생 공간의 전체 넓이를 제2 면적이라 할 때, 제2 면적은 제1 면적의 0.3배 내지 0.9배일 수 있다. 블록 몸체는 0.3m 내지 2m의 길이와 폭 및 0.2m 내지 1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식생 호안 블록은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식생 공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각각의 식생 공간을 둘러싸는 복토재 유실 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복토재 유실 방지턱의 높이와 폭은 블록 몸체 두께의 0.25배 내지 0.75배일 수 있다.
돌출부는 블록 몸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은, ⅰ) 경사면, 법면, 또는 사면에 설치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자연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그물망과, ⅱ) 생분해성 그물망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을 포함한다. 식생 호안 블록은, ⅰ) 4개의 원호가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어 조합된 식생 공간을 상하좌우 4개의 구획에 하나씩 형성하는 블록 몸체와, ⅱ)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식생 공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식생 공간을 둘러싸는 복토재 유실 방지턱과, ⅲ) 블록 몸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생 호안 구조물은 충분한 식생 공간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며, 식생 호안 블록들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생분해성 그물망은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고, 초본과 목본이 토양에 안착된 후 분해되므로 토양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넓은 식생 공간과 생분해성 그물망으로 인해 기존 부직포 사용시에는 불가능했던 나무 심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식생 호안 구조물 중 하나의 식생 호안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식생 호안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블록 몸체의 한 구획에 형성된 식생 공간의 두가지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 중 하나의 식생 호안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블록들의 연결 강도 실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비교예의 식생 호안 블록들의 연결 강도 실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식생 호안 구조물 중 하나의 식생 호안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식생 호안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식생 호안 구조물(100)은 토사로 이루어진 경사면 위에 설치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생분해성 그물망(10)과, 생분해성 그물망(10)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20)을 포함한다.
생분해성 그물망(10)은 식생 호안 블록(20)을 설치하기 전에 하천 및 해안의 제방 경사면과 도로의 법면 및 조성지의 사면 등에 설치되어 하천수나 빗물에 의해 토사가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생분해성 그물망(10)은 종래의 부직포 대신 토사 환경에서 한달 이내에 생분해되는 물질, 예를 들어 생분해성 플라스틱 또는 생분해성 자연 섬유로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그물망(10)은 폴리락틱산 수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조합하여 플라스틱 섬유를 제조한 다음 이를 그물망 모양으로 직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생분해성 자연 섬유로는 코코넛 섬유, 마 섬유, 및 볏집 등이 있으며, 자연 섬유를 그물망 모양으로 직조하여 생분해성 그물망(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 대신 생분해성 그물망(10)을 사용함에 따라, 식생 호안 블록들(20)에 식생이 형성되기 전까지 토사의 유실을 막고, 식생이 형성된 후에는 자연 분해되므로 토양 생태계 및 토양 미생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자연 분해됨으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깊게 내려갈 수 있으므로 다음에 설명하는 식생 호안 블록(20)의 식생 공간(21)에 나무를 심을 수 있다.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20)은 생분해성 그물망(10)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식생 호안 블록(20)은 복수의 식생 공간(21)을 형성하는 블록 몸체(22)와, 블록 몸체(22)의 측면에 형성되어 블록 몸체들(22)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 몸체(22)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복수의 식생 공간(21)을 최대의 체적으로 구비한다.
블록 몸체(22)는 시멘트, 물, 자갈, 모래, 석분 등을 일정 비율로 혼합 후 이를 성형 및 건조하는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록 몸체(22)는 생분해성 그물망(10)에 접하는 하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4개의 측면을 포함한다. 복수의 식생 공간(21)은 서로간 거리를 두고 블록 몸체(22)의 두께 방향을 따라 블록 몸체(22)를 관통하여 블록 몸체(22) 하부의 생분해성 그물망(10)이 식생 공간(21)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식생 공간(21)은 4개의 원호가 대칭으로 조합된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블록 몸체(22)는 상하좌우 4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각 구획마다 하나의 식생 공간(21)을 형성한다. 4개의 식생 공간(21)은 같은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네잎 클로버 모양의 식생 공간(21)은 미관이 수려할 뿐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각각의 식생 공간(21)에서 4개의 원호는 블록 몸체(22)의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4개의 원호 중 2개의 원호는 블록 몸체(22)의 사선 방향(도 2의 A 화살표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원호는 이 사선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사선 방향(도 2의 B 화살표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구획에서 식생 공간(21)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블록 몸체의 한 구획에 형성된 식생 공간의 두가지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의 (a)에는 4개의 원호가 블록 몸체(22)의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된 식생 공간을 나타내었고, 도 4의 (b)에는 4개의 원호가 블록 몸체(221)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된 식생 공간을 나타내었다. (a)에 도시한 원호와 (b)에 도시한 원호는 같은 곡률 반경을 가진다.
편의상 (a)에 도시한 식생 공간(21)을 실시예의 식생 공간이라 하고, (b)에 도시한 식생 공간(211)을 비교예의 식생 공간이라 한다.
실시예의 식생 공간(21)에서 4개의 원호로부터 선을 연장하여 4개의 원을 그리면, 4개의 원은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고, 식생 공간(21)은 4개의 원들 사이의 공간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한 구획에서 식생 공간(21)이 차지하는 면적이 커진다. 반면, 비교예의 식생 공간(211)에서 4개의 원호로부터 선을 연장하여 4개의 원을 그리면, 4개의 원은 서로 겹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실시예와 같은 크기의 구획에서 식생 공간(211)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블록 몸체(22)는 강도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폭을 확보하면서 4개의 식생 공간(21)을 최대의 체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식생 공간(21)이 없을 때 측정되는 블록 몸체(22)의 상면 넓이를 제1 면적이라 하고, 4개 식생 공간(21)의 전체 넓이를 제2 면적이라 하면, 제2 면적은 제1 면적의 0.3배 내지 0.9배일 수 있다.
제2 면적이 제1 면적의 0.3배 미만이면, 충분한 식생 공간(21)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식물의 정착과 생육이 저조해진다. 한편, 제2 면적이 제1 면적의 0.9배를 초과하면, 식생 공간(21)의 확보에는 유리하나 식생 공간들(21) 사이의 폭이 작아지므로 강도가 저하되어 식생 호안 블록(2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블록 몸체(22)는 4개의 식생 공간(21)을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대형으로 제작된다. 블록 몸체(22)의 길이와 폭은 0.3m 내지 2m이고, 블록 몸체(22)의 두께는 0.2m 내지 1m일 수 있다. 특히 블록 몸체(22)의 상면과 하면은 길이와 폭이 같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몸체(22)의 길이와 폭이 0.3m 미만이고 블록 몸체(22)의 두께가 0.2m 미만이면, 식생 공간(2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식생 공간(21)을 넓히기 위해 식생 공간들(21) 사이의 폭을 줄이면 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블록 몸체(22)의 길이와 폭이 2m를 초과하고 블록 몸체(22)의 두께가 1m를 초과하면, 식생 공간(21)의 확보에는 유리하나 블록 몸체(22)의 중량이 커지고 경사면의 굴곡에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시공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블록 몸체(22)는 1m의 길이와 1m의 폭 및 0.3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생 호안 블록(20)은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최대 체적의 식생 공간(21)을 복수개로 형성한다. 따라서 식생 호안 블록(20)을 한번 설치하는 것으로 기존 4개의 식생 호안 블록을 설치하는 효과가 있어 연결면 감소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 면적이 크므로 공사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식생 호안 블록(20)은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을 포함한다.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은 블록 몸체(22)의 상면에서 각 식생 공간(21)의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각 식생 공간(21)을 둘러싼다. 4개의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은 같은 높이와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3개의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을 도시하였다.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은 식생 호안 블록들(20)의 상면에 포설되는 복토재가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은 식생 호안 블록(20)의 자체 강도를 증가시켜 식생 호안 블록(2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의 높이(h, 도 3 참조)와 폭(w, 도 3 참조)은 블록 몸체(22) 두께의 0.25배 내지 0.75배일 수 있다.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의 높이와 폭이 블록 몸체(22) 두께의 0.25배 미만이면, 복토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한편,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의 높이와 폭이 블록 몸체(22) 두께의 0.75배를 초과하면, 식생 호안 블록(20)을 설치할 때 유실 방지턱(24)이 깨지거나 유수가 장기적으로 고이는 상황이 발생하여 식생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술한 식생 호안 블록(20)은 돌출부(23)에 의해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돌출부(23)는 블록 몸체(22)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을 위한 요철 구조를 단순화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블록 몸체(22)의 네 측면 중 상측과 우측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돌출부(23)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2와 같은 배치 상태의 식생 호안 블록(20)을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함으로써 도 1과 같이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20)을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 중 하나의 식생 호안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식생 호안 구조물은 식생 호안 블록(201)의 돌출부(231)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식생 호안 구조물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식생 호안 블록(201)의 돌출부(231)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작 또는 설치 과정에서 돌출부(231)가 깨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설치 장소가 협소하고 장애물이 많은 공간에 식생 호안 블록(201)을 설치하는 경우, 경사면으로 형성된 돌출부(231)는 쉽게 깨지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식생 호안 구조물(100)의 시공 방법은 제방의 경사면, 도로의 법면, 또는 조성지의 사면 등에 생분해성 그물망(10)을 설치하는 제1 단계(S100)와, 생분해성 그물망(10) 위에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20)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제2 단계(S200)와, 식생 호안 블록(20)의 식생 공간(21)에 식생토를 채우는 제3 단계(S300)와, 식생토에 초본의 씨앗 또는 나무의 묘목을 심은 후 물다짐을 하는 제4 단계(S400)와, 복토재를 포설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한다.
제2 단계(S200)에서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20)은 블록 몸체(22)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3, 231)를 이용하여 이웃한 식생 호안 블록(20)과 측면이 접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20)을 견고하게 조립 구축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식생 호안 블록(20)에 4개의 식생 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식생 호안 블록(20) 설치로 식생 공간(21)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설치 면적이 커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5 단계(S500)에서는 조립 구축된 식생 호안 블록들(20)의 상부 중 식생 공간(2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복토재를 포설하여 덮는다. 복토재의 두께는 블록 몸체(22)에 형성된 복토재 유실 방지턱(24)의 높이와 같도록 하여 복토재가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식생 호안 구조물(100)은 충분한 체적의 식생 공간(21)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며, 식생 호안 블록들(20)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생분해성 그물망(10)은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고, 초본과 목본이 토양에 안착된 후 분해되므로 토양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넓은 식생 공간(21)과 생분해성 그물망(10)으로 인해 기존 부직포 사용시에는 불가능했던 나무 심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1]
강우에 의한 식생토의 유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식생 호안 구조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그물망을 포함하며, 비교예 1의 식생 호안 구조물은 부직포를 포함한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식생 호안 구조물은 동일한 식생 호안 블록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식생 호안 블록은 1m(길이)×1m(폭)×0.3m(두께)의 블록 몸체에 4개의 식생 공간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모두 식생 공간에 동일한 식생토를 200kg 채워넣고 다진 후 1시간 동안 10mm/hr의 강우를 제공하였다. 강우를 멈춘 후 식생토의 남은 중량을 측정하여 유실된 식생토의 양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20591787-pat00001
평가 결과,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식생토 유실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생분해성 그물망 설치 시에도 식생토 유실 방지 효과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식생 호안 블록들의 연결 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7을 참고하면, 실시예 2의 식생 호안 블록(20)은 측면에 돌출부(23)를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조립된 2개의 식생 호안 블록(20) 위에 철판(30)을 올려놓아 식생토의 역할을 하게 했으며, 두 식생 호안 블록(20)의 연결부에 하중을 가하여 토압에 의한 식생 호안 블록(20)의 사면 파괴 하중을 모사하였다.
도 8을 참고하면, 비교예 2의 식생 호안 블록(201)은 고리(31)와 볼트(32)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결합된 2개의 식생 호안 블록(201) 위에 철판(30)을 배치하고, 두 식생 호안 블록(201)의 연결부에 하중을 가하여 토압에 의한 사면 파괴 하중을 모사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식생 호안 블록들에 하중을 가하여 연결부가 파괴되는 하중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20591787-pat00002
평가 결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연결한 실시예 2의 식생 호안 블록들의 결합 강도가 비교예 2의 결합 강도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식생 호안 구조물 10: 생분해성 그물망
20, 201: 식생 호안 블록 21: 식생 공간
22: 블록 몸체 23, 231: 돌출부
24: 복토재 유실 방지턱 30: 철판
31: 고리 32: 볼트

Claims (13)

  1. 경사면, 법면, 또는 사면에 설치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며 일정 기간 경과 후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그물망; 및
    상기 생분해성 그물망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 호안 블록은,
    4개의 원호가 대칭으로 조합된 식생 공간을 복수개 형성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 몸체들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는 상하좌우 4개의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마다 상기 식생 공간을 하나씩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록 몸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식생 호안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그물망은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자연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식생 호안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그물망은 폴리락틱산 수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섬유를 그물망 모양으로 직조한 것인 식생 호안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그물망은 코코넛 섬유, 마 섬유, 및 볏집 중 적어도 하나를 그물망 모양으로 직조한 것인 식생 호안 구조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공간에서 4개의 원호 중 2개의 원호는 상기 블록 몸체의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원호는 상기 사선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는 식생 호안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공간이 없을 때 측정되는 상기 블록 몸체 상면의 넓이를 제1 면적이라 하고, 상기 4개 식생 공간의 전체 넓이를 제2 면적이라 할 때, 제2 면적은 제1 면적의 0.3배 내지 0.9배인 식생 호안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0.3m 내지 2m의 길이와 폭 및 0.2m 내지 1m의 두께를 가지는 식생 호안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호안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식생 공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각각의 식생 공간을 둘러싸는 복토재 유실 방지턱을 포함하는 식생 호안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재 유실 방지턱의 높이와 폭은 상기 블록 몸체 두께의 0.25배 내지 0.75배인 식생 호안 구조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식생 호안 구조물.
  13. 경사면, 법면, 또는 사면에 설치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자연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그물망; 및
    상기 생분해성 그물망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식생 호안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 호안 블록은,
    4개의 원호가 사선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어 조합된 식생 공간을 상하좌우 4개의 구획에 하나씩 형성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식생 공간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식생 공간을 둘러싸는 복토재 유실 방지턱; 및
    상기 블록 몸체의 네 측면 중 인접한 두 측면의 상부와 나머지 두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식생 호안 구조물.
KR1020100029278A 2010-03-31 2010-03-31 식생 호안 구조물 KR10118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78A KR101187850B1 (ko) 2010-03-31 2010-03-31 식생 호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278A KR101187850B1 (ko) 2010-03-31 2010-03-31 식생 호안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507A KR20110109507A (ko) 2011-10-06
KR101187850B1 true KR101187850B1 (ko) 2012-10-04

Family

ID=4502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278A KR101187850B1 (ko) 2010-03-31 2010-03-31 식생 호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8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442B1 (ko) * 2004-04-10 2005-08-23 계룡산업 주식회사 녹화 식생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538163B1 (ko) * 2003-09-26 2005-12-22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163B1 (ko) * 2003-09-26 2005-12-22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09442B1 (ko) * 2004-04-10 2005-08-23 계룡산업 주식회사 녹화 식생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507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100824938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19759B1 (ko) 제체 내 배수와 세굴방지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식생매트 공법 및 식생매트
KR20120021670A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JP3755806B2 (ja) 護岸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法面工法
KR20070077549A (ko)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1187850B1 (ko) 식생 호안 구조물
KR20070007688A (ko) 지오텍스타일-개비온 매트리스 복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친환경 사면 구조물 구축방법
CN216445907U (zh) 一种城市内河堤防生态景观防护系统
JP6161924B2 (ja) 耐震性防潮堤盛土のり面の緑化工法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JP2023526340A (ja) 侵食防止の改善および侵食防止に関連する改善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375686Y1 (ko)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JP2006249659A (ja) 地盤補強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44558A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336477Y1 (ko) 사면보호용 네트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CN212865799U (zh) 一种格宾石笼网生态河道护岸
KR20050030428A (ko) 사면보호용 네트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