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306Y1 -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 Google Patents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306Y1
KR200336306Y1 KR20-2003-0030449U KR20030030449U KR200336306Y1 KR 200336306 Y1 KR200336306 Y1 KR 200336306Y1 KR 20030030449 U KR20030030449 U KR 20030030449U KR 200336306 Y1 KR200336306 Y1 KR 200336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oreflective
film
base film
glass beads
w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비라이트
Priority to KR20-2003-0030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으로, 정상적인 재귀반사부와 미약한 재귀반사부가 1장의 베이스 필름에 동시에 존재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종래에는 실시되지 않았던 신규한 기술이며 이를 통하여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을 가지는 단색 또는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을 가지는 다색 재귀 반사용 필름을 만들기 위한 종래의 나염 방식과는 비교될 수 없을 정도의 경제성 향상과 생산성 상승, 작업성 상승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 필름의 글래스 비드층을 다양한 형태로 손상시킨 미약한 재귀반사부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를 임의의 도안이나 디자인에 따라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시킨 후 전체적인 글래스 비드층 위로 기본적인 나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base film for reflective film}
본 고안은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으로, 정상적인 재귀반사부와 미약한 재귀반사부가 1장의 베이스 필름에 동시에 존재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종래에는 실시되지 않았던 신규한 기술이며 이를 통하여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을 가지는 단색 또는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을 가지는 다색 재귀 반사용 필름을 만들기 위한 종래의 나염 방식과는 비교될 수 없을 정도의 경제성 향상과 생산성 상승, 작업성 상승 등의 특징을 가진다.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을 가지면서 재귀 반사 부분과 비 반사 부분이 형성되어 심미감과 야간 식별력이 탁월한 재귀 반사용 필름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술한 필름에 있어서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 부분이 재귀 반사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비 반사가 되도록 하거나 혹은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 부분이 비 반사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재귀 반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재귀 반사용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고정시킨 것이거나(도2a),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고정시킨 다음, 상술한 글래스 비드(30) 층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층(40)을 형성시킨 것(도1a)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베이스 필름의 글래스 비드(도2a) 표면에 단색이나 다색을 가지는 반사수지 혹은 투명이나 색상을 가지는 반투명 핫 멜트를 형성시키거나, 글래스 비드(30) 표면의 알루미늄 증착층(40) 표면에 단색이나 다색을 가지는 반사수지 혹은 투명이나 색상을 가지는 반투명 핫 멜트를 형성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이 없는 1차원적으로 색상(단색 혹은 다색)만을 표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한편, 위와 같이 재귀 반사용 필름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이 없는 1차원적으로 색상(단색 혹은 다색)만을 표출시키도록 한 타입은 제작상 큰 어려움이 없으나,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이 있고 또한 그것이 복잡할수록 제작과정이 매우 까다로워지고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며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나염 방식을 통해서는 복잡 다단한 디자인을 제작하여야 하거나 이를 대량 생산을 하여야 할 경우 많은 인력과 다량의 나염판 및 주변 장치가 소요되어야 하고 작업 시간이 과다히 소요되는 등의 결정적인 문제가 있고, 불량의 발생률이 높아서 사실상 생산적인 측면과 경제성 및 작업성에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도1a와 도2a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귀 반사용 필름의 베이스 필름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도면과 같이 평면식으로 배열된 글래스 비드 층 표면에 나염 방식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면서 색상 또한 다양하게 형성시키면서 색상과 디자인의 경계에 따라 재귀반사 부분과 비반사 부분 혹은 재귀반사 부분과 미약한 재귀반사 부분을 형성시켜야 하는 기술상의 난제가 있기 때문이다. 즉, 글래스 비드층에 변화가 없는 기존의 베이스 필름을 사용한 채 다양한 안료와 불투명 수지, 투명 수지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단계적인 나염을 하여야 하기 때문인데, 상술한 문제 아래에서도 나염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고품질의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재귀반사 필름을 만들지 못하고 있는 바 상술한 재래식의 나염 방식을 대체함과 아울러 탁월한 작용을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나염 방식에서 발견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베이스 필름 자체에 정상적인 재귀반사부와 미약한 재귀반사부를 임의의 디자인에 따라 공존하도록 미리 형성시키고, 글래스 비드 상층에 기본적인 나염 기술만 접목시키면 고품질의 재귀 반사용 필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을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술한 글래스 비드(30) 층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층(40)을 형성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 그리고 상기 글래스 비드(30a, 30b) 들 사이에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이 형성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는,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미약한 재귀반사부(2)는,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글래스 비드(30c)들 사이에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이 형성된 미약한재귀반사부(2A)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A)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A)는, 글래스 비드(30c)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미약한 재귀반사부(2A)는, 글래스 비드(30c)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 2A)는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 1A)의 표면 높이보다 함몰되고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수평 위치가 일그러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술한 글래스 비드(30) 층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층(40)을 형성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표면에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40B)가 형성되고 측면 일부에만 알루미늄 증착층(40A)이 남은 글래스 비드(30A)들로 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B)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측면 일부만을 제외한 표면에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30D)가 형성된 글래스 비드(30B)들로 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B-1)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1)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a와 도2a는 통상의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1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c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a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b와 도4b은 본 고안의 제5, 6실시예의 미약한 재귀반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A-1, 1B, 1B-1: 정상적인 재귀반사부
2, 2-1, 2A, 2A-1, 2B, 2B-1: 미약한 재귀반사부
10: PET필름 20: PE수지
20a: 홈
30, 30a, 30b, 30c, 30A, 30B: 글래스 비드
40, 40a, 40A: 알루미늄 증착층
30D, 40B: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와 도2b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을 나타내고 있는데, 종래에는 글래스 비드(30)의 상층 혹은 알루미늄 증착층(40)의 상층에 투명 혹은 불투명 수지 및 잉크 등을 사용하여 디자인이나 로고에 맞도록 나염방식으로 인쇄를 함에 따라 재귀반사부와 비 반사부 혹은 미약한 재귀반사부가 나타나도록 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이 복잡하고 다색이 형성되는 것은 디자인끼리의 경계를 정교하고 선명하게 마감하는 처리 및 색상 경계의 겹침방지 처리가 매우 어렵고 비경제적인 폐단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1a, 도2a와 같이 완성된 기존의 베이스 필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베이스 필름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이나 로고 등에 따라 정상적인 재귀반사부와 미약한 또는 매우 미약한 재귀반사부를 형성시키고 그 위에 나염방식을 통해 간단히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나염방식에서비롯되었던 상술한 문제와 단점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도1b를 기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표면 즉, 글래스 비드(30) 상층에 원하는 로고나 디자인에 부합되는 미약한 재귀반사부(2)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를 형성시킨다라고 함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도면과 같이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 그리고 상기 글래스 비드(30a, 30b) 들 사이에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손톱이나 송곳 기타 끝이 예리하거나 납작한 물건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로고나 디자인이 형성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즉, PE수지(20)에 절반 정도가 고정이 되어 있는 글래스 비드(30)는 손끝으로 문질러주기만 하여도 PE수지(20)로부터 이탈하여 도면과 같은 홈(20a)을 남기고 글래스 비드(30)는 베이스 필름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피부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물건은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데, 상기 글래스 비드층은 약한 힘으로 압력을 가하면 도1b와 같이 홈(20a)의 숫자보다 과반수 이상의 숫자를 가지는 글래스 비드가 PE수지(20) 상에 남게 되고, 더 강한 힘으로 압력을 가하면 도1c와 같이 글래스 비드들의 숫자보다 과반수 이상의 숫자로 홈(20a)들이 남을 정도로 PE수지(20)는 글래스 비드를 고정시키는 힘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요령으로 베이스 필름의 표면에 디자인이나 로고 등을 형성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을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는 차이에 따라 단위 면적 당 글래스 비드와 홈(20a)의비율이 달리 되는 것이다.
이때 약한 압력을 가하면 도1b와 같이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제거된 혹은 거의 손상된 글래스 비드(30b)와, 글래스 비드(30)가 이탈함에 따라 생긴 홈(20a)이 형성되는데, 상기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수평 위치는 일그러지고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의 수평 높이보다 함몰되어 재귀반사 기능이 미약하게 된다. 이 경우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숫자는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상이 된다.
반대로, 제2실시예에 따라 강한 압력을 가하면 당연히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이탈현상이 심화되므로 도1c와 같이 미약한 재귀반사부(2-1)의 홈(20a)의 숫자는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상이 된다. 이 경우 재귀반사 가능은 매우 미약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2b, 2c는 본 고안의 제3,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글래스 비드(30)의 상층에 알루미늄 증착층이 생략된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여 본 고안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살피면, 역시 제1, 2실시예와 같이 약한 압력을 가함에 따라 홈(20a)의 숫자보다 과반수 이상 글래스 비드(30c)가 형성되어 있는 미약한 재귀반사부(2A)가 형성되고, 강한 압력을 가하면 홈(20a)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30c)보다 과반수 이상 형성이 되어 있는 미약한 재귀반사부(2A-1)가 형성이 되며, 이 경우에도 제1, 2실시예와 같이 글래스 비드(30c)들은 함몰되면서 수평 위치가 일그러져서 재귀반사 기능이 미약하거나, 글래스 비드들의 숫자가 홈(20a)의 숫자보다 과반수 이하가 되어 재귀반사 기능이 매우 미약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미약한 재귀반사부(2, 2-1, 2A, 2A-1)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손이나 손으로 잡고 움직일 수 있는 물건을 제외하고도 컴퓨터 캐드 커팅 방식(컴퓨터에 입력된 도안에 따라 피 기공물의 표면을 기구로 긁어주는 첨단 기술)을 사용하거나 또는 디자인이나 로고 등이 새겨진 판을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에 압력을 가하거나(프레스 방식 혹은 수작업) 혹은 디자인이나 로고 등이 새겨진 컨베어 벨트 및 롤러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롤링 방식) 등 어떠한 기계나 장치를 사용하여도 도면과 같이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 1A, 1A-1)는 그대로 두고 미약한 재귀반사부(2, 2-1, 2A, 2A-1)가 형성이 되도록 압력을 강하게 혹은 약하게 가할 수 있는 수단만 있다면 본 고안은 실시가 가능한 것이고, 이때 베이스 필름에 열을 가하면 PE수지(20)가 약간 용융되어 글래스 비드의 이탈 및 함몰 작용이 용이해지므로 경우에 따라 베이스 필름 또는 사용하는 기구, 기계 등에 열을 가하여 PE수지(20)를 약간 용융시키면서 작업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5, 6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 상의 글래스 비드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 또는 글래스 비드를 긁어내는 방식이 아니고, 레이저빔을 사용하여 도3b와 같이 글래스 비드(30A) 상면의 알루미늄 증착층을 태워서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40B)를 형성시키고 글래스 비드의 측면에만 알루미늄 증착층(40A)이 일부 존재토록 함으로서 정상적인 재귀반사는 되지 않으나 측면 재귀반사 기능은 갖도록 하여 도3a와 같이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와 미약한 재귀반사부(2B)를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4b와 같이 글래스 비드(30B)의 상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30D)를 형성시켜서 정상적인 재귀반사는 되지않으나 측면 재귀반사 기능은 갖도록 하여 도4a와 같이 미약한 재귀반사부(2B-1)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고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 1B-1)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필름을 가열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베이스 필름은 자체적으로 정상적인 재귀반사부와 미약한 재귀반사부가 도안이나 로고를 이루면서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 상에 통상의 나염방식을 통해 칼라수지 혹은 투명수지 혹은 투명 핫멜트, 반투명 핫멜트 등을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가하지 않고 또한 많은 나염틀을 준비하지 않은 채 기본방식으로 간단히 형성시키면 베이스 필름 자체에서 재귀반사부와 미약한 재귀반사부 또는 재귀반사부와 매우 미약한 재귀반사부가 어울려진 도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어렵고 복잡한 나염방식을 통해 다양한 칼라의 복잡한 디자인을 인쇄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베이스 필름 자체에 재귀반사 기능을 가지는 부분과 미약한 재귀반사 기능을 가지는 부분 혹은 재귀반사 기능을 가지는 부분과 매우 미약한 재귀반사 기능을 가지는 부분을 도안에 따라 미리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복잡하고 어려우며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적인 기존의 나염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적인 나염방식만을 실시할 수 있으면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도안을채도와 명도 차이를 가지면서 색상끼리의 경계가 선명하고 색상 가장자리끼리의 중복이 없는 고품질의 아름다운 재귀반사 필름을 만들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술한 글래스 비드(30) 층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층(40)을 형성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 그리고 상기 글래스 비드(30a, 30b) 들 사이에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이 형성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는,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는, 표면의 일부가 손상된 알루미늄 증착층(40a)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a)와 알루미늄 증착층이 벗겨진 글래스 비드(30b)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4.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글래스 비드(30c)들 사이에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이 형성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A)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A)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A)는, 글래스 비드(30c)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A)는, 글래스 비드(30c)의 숫자가 글래스 비드가 이탈한 홈(20a)의 숫자에 비하여 과반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미약한 재귀반사부(2, 2A)는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 1A)의 표면 높이보다 함몰되고 글래스 비드(30a, 30b)들의 수평 위치가 일그러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8.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술한 글래스 비드(30) 층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층(40)을 형성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표면에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40B)가 형성되고 측면 일부에만 알루미늄 증착층(40A)이 남은 글래스 비드(30A)들로 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B)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9. 접착성을 띠는 PE수지(20)가 코팅된 PET필름(10)의 PE수지(20)의 표면을 용융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으로 미세한 직경을 가지는 글래스 비드(30)를 1층으로 사방 연속되도록 추락시켜 고정시킨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 있어서,
    측면 일부만을 제외한 표면에 레이저빔에 의한 손상부(30D)가 형성된 글래스 비드(30B)들로 된 미약한 재귀반사부(2B-1)가 정상적인 재귀반사부(1B-1)들의 사이사이에 임의의 글자나 디자인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KR20-2003-0030449U 2003-09-26 2003-09-26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KR200336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49U KR200336306Y1 (ko) 2003-09-26 2003-09-26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49U KR200336306Y1 (ko) 2003-09-26 2003-09-26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02A Division KR100514219B1 (ko) 2003-09-26 2003-09-26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306Y1 true KR200336306Y1 (ko) 2003-12-18

Family

ID=4934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49U KR200336306Y1 (ko) 2003-09-26 2003-09-26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3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147B1 (ko) * 2017-08-31 2018-07-25 박병배 마스크장치를 이용한 패턴 모양의 반사 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사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147B1 (ko) * 2017-08-31 2018-07-25 박병배 마스크장치를 이용한 패턴 모양의 반사 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사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6529B (zh) 一种3d曲面钢化玻璃的钢网丝印加工方法
CN105814623B (zh) 表面上的发光图案
JPH0866658A (ja) 成形体内に図形を作製する方法
CN106453703A (zh) 一种透明显示面板盲孔表面的装饰方法
JP2008134164A (ja) パネル
JP4855502B2 (ja) 装飾パネル
KR200336306Y1 (ko)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KR100514219B1 (ko) 재귀반사 필름용 베이스 필름
JPS5941292A (ja) 文字、模様付成型品の製造方法
JP4964276B2 (ja) 装飾体、装飾体の製造方法
KR100541606B1 (ko) 입체감을 갖는 그림으로 구성된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2002207445A (ja) 透光式表示パネル
JP6433106B1 (ja) 印刷方法
KR200266850Y1 (ko) 장식용 직조테이프
KR100349990B1 (ko) 전사용 다색 재귀반사물의 제조방법
EP1170150A2 (en) Printing method
JP6608206B2 (ja) 車載用成形品、および車載用成形品の製造方法
CN101572036A (zh) 形成三维效果的标志之方法
KR200343668Y1 (ko) 실크인쇄층이 형성된 아크릴거울
KR100336029B1 (ko) 전사용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JP2017087447A (ja) 2種類の加飾効果を備えた合成樹脂シート
KR200336307Y1 (ko) 관통된 구멍 배열을 가지는 재귀반사 필름
KR200226968Y1 (ko) 전사용 다색 재귀반사물
KR200220102Y1 (ko) 광고물 제작용 시트
JPH11114898A (ja) トリミング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