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018Y1 - 도로 가이드봉 - Google Patents

도로 가이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018Y1
KR200335018Y1 KR20-2003-0027875U KR20030027875U KR200335018Y1 KR 200335018 Y1 KR200335018 Y1 KR 200335018Y1 KR 20030027875 U KR20030027875 U KR 20030027875U KR 200335018 Y1 KR200335018 Y1 KR 200335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spring
road
hea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규
노재수
Original Assignee
조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조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3-0027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가이드봉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개방되는 저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두부와, 상,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상의 내측으로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 연결되는 몸체부와, 도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에 탄성 연결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가이드봉에 차량이 충돌후 스프링의 탄성으로 원상태로 복구됨으로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가이드봉의 보수,관리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도로 가이드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가이드봉{A ROAD GUIDE BAR}
본 고안은 도로 가이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개방되는 저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두부와, 상,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상의 소정공간으로 스프링이 개재되는 몸체부 및, 도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탄성 연결되는 걸림고리가 내측에 형성되는 받침부로서 이루어져 차량이 충돌하거나 접촉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각도 유동 가능하도록 하여 가이드봉이 구부러지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도로 가이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가이드봉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는 중앙분리대와 같이 중앙선을 분리시키거나 차선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사용하거나, 공사현장에서 차선을 구획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표시하여 차량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가이드봉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색깔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이 도로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고정 설치됨으로서, 차선을 구획하여 도로의 원활한 소통과 차량의 안전운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로 가이드봉은 차량의 추돌시 그 충돌력에 의해 차량과 가이드봉 양측에 파손이 발생되고, 파손되거나 구부러진 도로 가이드봉의 경우 그에 대한 교체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도로로 튀어나온 가이드봉에 의해 야간 운전시 자동차의 통행이 방해되거나 심한 경우 제2, 제3의 사고가 발생될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선을 구획하는 가이드봉이 지면에서 탄성에 의해 소정각도 유동토록 하여 차량에 의해 충돌되거나 접촉시 가이드봉이 구부러져 파손되거나, 차량이 긁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가이드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가이드봉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가이드봉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가이드봉의 작동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가이드봉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두부 110...연결고리
200...몸체부 200a...제1몸체
200b...제2몸체 210...스프링
300...받침부 400...완충연결부재
410...주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로의 차선을 구획하는 도로 가이드봉에 있어서, 개방되는 저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두부와,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상의 제1몸체와 제2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으로 스프링이 개재되어 그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부와, 도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내측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탄성 연결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부와 몸체부의 연결부위로 차량의 충격시 충격력을 완충토록 주름면을 갖는 탄성재질의 완충연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부(100)와 스프링(210)이 구비되는 몸체부(200) 및, 상기 몸체부(200)에 탄성 연결되는 받침부(300)로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두부(100)는, 개방되는 저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스프링(210)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연결고리(110)가 설치되며, 상기 두부(100)의 외주연에는 반사띠(420)가 감싸도록 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두부(100)의 저부에 설치되는 몸체부(2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상의 제1몸체(200a)와 제2몸체(200b)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1,2몸체(200a)(200b)에는 외주면 중앙으로 반사띠(420)가 부착되며, 중공상의 내측으로 상기 두부(100)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부(300)에 고정되는 스프링(210)이 개재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의 저부로 스프링(210)을 통해 탄성 연결되는 받침부(300)는, 상부 내측으로 상기 제2몸체(200b)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공간(310)을 갖으며, 구획하고자 하는 도로 상부면에 볼트, 너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두부(100)와 몸체부(200), 받침부(300)의 연결부위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주름면(410)을 갖는 탄성재질의 완충연결부재(400)가 고정 부착될 수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그 내측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제1몸체(200a')와 제2몸체(20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부(100)와 몸체부(200') 및 두부(100)를 상호 연결하는 제1스프링(210a)과 제2스프링(210b) 및 제3스프링(210c)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두부(100)는, 개방되는 저부에 소정공간으로 제1스프링(210a')에 의해 제1몸체(200a')와 탄성연결되고, 제1몸체(200a')는 내측 상부로 상기 두부(100)와 제1스프링(210a')을 통해 탄성 연결되고, 하부에 형성된 소정공간으로 제2몸체(200b')와 제2스프링(210b')을 통해 탄성 연결된다.
그리고, 제2몸체(200b')는, 상부로 제1몸체(200a')와 제2스프링(210b')를 통해 연결되고, 저부로 제3스프링(210c')을 통해 받침부(300)와 탄성 연결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의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중공상의 몸체부 내측으로 스프링을 삽입한 후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각각 두부와 받침부를 탄성 연결한다.
계속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결된 받침부를 도로의 구획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지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상기 받침부를 중심으로 상기 두부와 제1몸체, 제2몸체가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진 후 충격력이 제거되면 다시 제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를 상,하부에 소정공간이 구획토록 구성한 경우에는, 각각 제1,2몸체에서 두부와 받침부와의 연결이 제1,2,3스프링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보다 강한 각각의 스프링 탄성력 의해 차량의 충돌 후 원 상태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시 상기 두부와 몸체부가 각각의 연결부위 별로 소정각도 유동한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타격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 하고, 가이드봉에 의한 차량의 긁힘이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측면에 설치되는 충격완충부재에 의해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을 최소화 시키고, 상호 완충작용으로 차체에도 충격을 감소시켜 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선을 구획하는 가이드봉이 지면에서 소정각도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자동차가 가이드봉에 충돌시 스프링의 탄성으로 소정 각도 휘어진 후 다시 원상대로 복구 되어 구부러지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각각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충격력에 의한 차량 탑승객의 부상을 완화 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로의 차선을 구획하는 도로 가이드봉에 있어서,
    개방되는 저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고, 연결고리(110)가 형성되는 두부(100)와,
    상,하부가 개방되는 중공상의 제1몸체(200a)와 제2몸체(200b)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으로 스프링(210)이 개재되어 그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110)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부(200) 및,
    도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210)의 타단이 내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10)에 탄성 연결되는 받침부(300)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이드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100)와 몸체부(200)의 연결부위에는, 차량의 충격시 충격력을 완충토록 주름면(410)을 갖는 탄성재질의 완충연결부재(4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이드봉.
KR20-2003-0027875U 2003-08-29 2003-08-29 도로 가이드봉 KR200335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75U KR200335018Y1 (ko) 2003-08-29 2003-08-29 도로 가이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75U KR200335018Y1 (ko) 2003-08-29 2003-08-29 도로 가이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018Y1 true KR200335018Y1 (ko) 2003-12-01

Family

ID=4934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75U KR200335018Y1 (ko) 2003-08-29 2003-08-29 도로 가이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0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78B1 (ko) * 2014-08-20 2015-04-28 주식회사 에니에스 오뚝이 볼라드
KR101593654B1 (ko) 2014-10-29 2016-02-15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78B1 (ko) * 2014-08-20 2015-04-28 주식회사 에니에스 오뚝이 볼라드
KR101593654B1 (ko) 2014-10-29 2016-02-15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971B1 (en) Reusable high molecular weight/high density polyethylene guardrail
JPH0673714A (ja) 道路用緩衝装置
KR200335018Y1 (ko) 도로 가이드봉
CN213448097U (zh) 一种桥梁防撞栏杆
CN213014066U (zh) 一种高速公路防撞护栏
CN210658145U (zh) 一种公路用的防撞护栏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100669893B1 (ko) 방호책용 완충지주
KR101020259B1 (ko) 완충형 가드레일 연결대
CN209760104U (zh) 一种改良的防车撞套箱
KR101710167B1 (ko) 충격흡수식 이중 차량용 방호울타리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01017704B1 (ko) 완충형 교명주
JP5417076B2 (ja) 弾性柱状体
KR200364642Y1 (ko) 충격흡수용 방호책
KR200252811Y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KR200274028Y1 (ko) 내향만곡된 와이어 고정구를 갖는 도로 가드레일
CN220579880U (zh) 一种防撞护栏
US20090196689A1 (en) Collapsible traffic barricade
KR200175505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CN215977029U (zh) 高强度高速公路中央护栏
CN218768422U (zh) 一种交通信号灯灯杆的防撞机构
CN216689179U (zh) 市政道路用防撞缓冲式护栏
KR200259614Y1 (ko) 다목적용 완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