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654B1 -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Google Patents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3654B1 KR101593654B1 KR1020140147862A KR20140147862A KR101593654B1 KR 101593654 B1 KR101593654 B1 KR 101593654B1 KR 1020140147862 A KR1020140147862 A KR 1020140147862A KR 20140147862 A KR20140147862 A KR 20140147862A KR 101593654 B1 KR101593654 B1 KR 101593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etrating
- hole
- pivot
- coil spring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차도 경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부관통홀과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고정대와; 하측 부분이 상기 고정대의 절곡판 사이에 끼움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수용원통과, 상기 수용원통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관통홀에 삽입되는 볼로 이루어진 스토퍼와;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대의 절곡판과 회동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관통홀에 양단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관통각봉과; 상기 관통각봉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절곡판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대의 하측 부분을 관통하는 제1,2회전원통과; 상기 관통각봉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제1회전원통과 제2회전원통 사이에 위치되는 브라켓과; 하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대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대를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차량 충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동대가 일정 각도로 회동된 후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력이 작용했을 때 일정각도 회동된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에 관한 것이다.
보차도 울타리는 차량이 다니는 차도와 사람이 다니는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차도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차도와 보도를 구분 짓는 경계선 역할도 하고, 보도를 통행하는 사람이 차도쪽으로 내려가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도 하며, 차량에 의한 사고 발생시 차량이 인도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보차도 울타리의 구성을 일예로 들어보면, 보차도 경계 라인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파이프(횡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보차도 울타리는 지주나 수평파이프(횡대)에 차량의 충돌 등으로 외력이 작용되면 그 외력이 흡수되지 않아서 지주나 수평파이프의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 경우에 보차도 울타리를 수시로 교체, 수리하여야 하므로 사후관리에 따른 인건비 등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차도를 경계하기 위하여 보차도 경계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충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일정각도 회동된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는 보차도 경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부관통홀과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고정대와; 하측 부분이 상기 고정대의 절곡판 사이에 끼움되는 회동대와; 상기 회동대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수용원통과, 상기 수용원통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관통홀에 삽입되는 볼로 이루어진 스토퍼와;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대의 절곡판과 회동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관통홀에 양단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관통각봉과; 상기 관통각봉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절곡판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대의 하측 부분을 관통하는 제1,2회전원통과; 상기 관통각봉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제1회전원통과 제2회전원통 사이에 위치되는 브라켓과; 하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대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대를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각봉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다각형 끼움홀이 형성되어 관통각봉에 의해 관통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벌어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2개의 돌출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각 연결홀은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벌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는 고정대로부터 회동대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탄성스프링에 의해 회동대가 직립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차량 충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동대가 일정 각도로 회동된 후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와 연결홀을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2개의 탄성스프링이 서로 간섭하거나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직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타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직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타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직립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가 타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는 강성이 높은 스틸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보차도 경계라인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대(20)와, 상기 회동대(20)를 직립시키는 스토퍼(30)와, 상기 고정대(10)와 회동대(20)를 관통하는 관통각봉(40)과, 상기 관통각봉(4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제1회전원통(50) 및 제2회전원통(60)과, 상기 관통각봉(40)에 의해 관통되는 브라켓(70)과, 상기 브라켓(70)과 상기 회동대(20)에 양단이 연결되는 2개의 탄성스프링(8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10)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곡판(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는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보차도 경계면에 고정된다.
상기 절곡판(12)은 상기 베이스(1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판(12)에는 상부관통홀(12a)과 하부관통홀(12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통홀(12a)은 상기 관통각봉(4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면에서 관통각봉(40)의 단면 형태가 6각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부관통홀(12a)의 형상도 6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관통각봉(40)의 단면이 꼭 6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고정대(10)의 절곡판(12)에서 관통각봉(40)이 회전되지 않으면 되는 것이므로, 3각, 4각, 5각 등 다양한 단면을 갖는 형태로 관통각봉(4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하부관통홀(12b)은 상기 상부관통홀(12a)의 하측에 형성되되, 원형으로 그 형태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대(20)는 하측 부분이 상기 고정대(10)의 절곡판(12) 사이에 끼움되는 부분으로서, 이 회동대(20)의 측면에 도로쪽으로 사람의 출입을 막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인도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수평파이프(횡대)(미도시)가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회동대(20)는 상측에 2개의 고정봉(21)이 설치되어, 이 고정봉(21)에 상기 탄성스프링(80)의 상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대(20)는 하측 부분에 상기 절곡판(12)에 형성된 상부관통홀(12a)에 대응되는 상부홀(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관통홀(12b)에 대응되는 하부홀(2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홀(22)은 상기 그 직경이 상기 제1회전원통(50) 및 제2회전원통(60)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22)에 제1회전원통(50)과 제2회전원통(60)의 끝부분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부홀(22)은 상기 상부관통홀(12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홀(23)은 상기 상부홀(22)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관통홀(12b)보다는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홀(23)은 그 직경이 후술할 스토퍼(30)의 수용원통(31)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원통(31)의 양단 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회동대(20)의 하측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하부관통홀(12b)에 끼움되어 상기 회동대(20)를 직립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동대(20)가 상기 고정대(10)의 전후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을 할 때 상기 스토퍼(30)가 상기 절곡판(12)의 하부관통홀(12b)에 삽입되면 회동대(20)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스토퍼(30)는 상기 회동대(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수용원통(31)과, 상기 수용원통(31)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32)과,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원통(31)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볼(33)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원통(31)은 상기 회동대(20)의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회동대(20)의 하부홀(23)에 끼움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2)은 상기 수용원통(31)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원통(31)의 바깥쪽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볼(33)은 상기 회동대(20)의 하부홀(23)보다는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지만, 상기 절곡판(12)의 하부관통홀(12b)보다는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33)은 일부분이 상기 하부관통홀(12b)에 끼움 또는 삽입되기는 하지만 하부관통홀(12b)을 관통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볼(33)은 상기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하부관통홀(12b)에 삽입된다.
상기 관통각봉(40)은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관통각봉(40)은 3각, 4각, 5각, 6각 등 다양한 형태의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면이 원형만 아니면 어떠한 다각 형태이든 상관없다.
이러한 관통각봉(40)은 상기 고정대(10)의 절곡판(12)과 회동대(20)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관통홀(12a)에 양단이 끼움되어 고정된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상부관통홀(12a)의 형상은 관통각봉(4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크기 또한 서로 같기 때문에 상부관통홀(12a)에 끼워진 관통각봉(40)은 상부관통홀(12a) 상에서 회전하지 못한다. 부연하면, 상기 관통각봉(40)은 상기 회동대(20)의 상부홀(22)을 관통하고 상기 절곡판(12)의 상부관통홀(12a)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회전원통(50)은 상기 관통각봉(4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것으로, 상기 절곡판(12)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대(20)의 하측 부분을 관통한다. 즉, 상기 제1회전원통(50)은 끝부분이 상기 회동대(20)의 상부홀(22)을 관통한 후 상기 절곡판(12)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1회전원통(50)은 상기 관통각봉(40)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2회전원통(60)은 제1회전원통(50)과 마찬가지로 상기 관통각봉(4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것으로, 상기 절곡판(12)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대(20)의 하측 부분을 관통한다. 즉, 상기 제2회전원통(60)은 제1회전원통(50)과 마찬가지로 끝부분이 상기 회동대(20)의 상부홀(22)을 관통한 후 상기 절곡판(12)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2회전원통(60)은 상기 관통각봉(40)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회전원통(50)과 제2회전원통(60)에 의해 양단이 관통되는 회동대(20)도 제1회전원통(50)과 제2회전원통(60) 상에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70)은 상기 관통각봉(40)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제1회전원통(50)과 제2회전원통(60)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브라켓(70)은 바디부(71)의 상기 바디부(71)의 양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2개의 돌출부(72)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71)는 중앙 부분에 다각형 끼움홀(71a)이 형성된다.
상기 다각형 끼움홀(71a)은 상기 관통각봉(4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다각형 끼움홀(71a)을 상기 관통각봉(40)이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각봉(40)의 외경과 다각형 끼움홀(71a)의 직경은 거의 비슷하게 형성되어 다각형 끼움홀(71a) 내부에서 상기 관통각봉(40)은 회전하지 못한다.
상기 돌출부(72)는 상기 바디부(71)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벌어진다. 따라서, 2개의 돌출부(72)를 연장하는 선을 그으면 그 연장선은 알파벳 'V'자와 유사한 형태를 형성한다. 이러한 각각의 돌출부(72)에는 연결홀(72a)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72a)은 상기 탄성스프링(80)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이 연결홀(72a)은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벌어진다. 따라서, 2개의 연결홀(72a)을 연장하는 선을 그으면 그 연장선은 알파벳 'V'자와 유사한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72)와 연결홀(72a)의 연장선이 알파벳 'V'자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회동대(20)가 고정대(10)에서 회동할 때 상기 2개의 탄성스프링(80)의 하측부가 서로 접촉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회동대(20)의 회동과정 중에 2개의 탄성스프링(80)이 서로 접촉되거나 간섭을 한다면 탄성스프링(80)의 파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회동대(20)의 부드러운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형태로 돌출부(72)와 연결홀(72a)을 형성시킨다.
상기 탄성스프링(80)은 하단이 상기 브라켓(7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대(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대(20)를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탄성스프링(80)의 상단은 상기 회동대(20)에 설치된 고정봉(21)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70) 돌출부(72)의 연결홀(72a)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의 동작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동대(20)가 직립되어 있는 상태는 스토퍼(30)의 볼(33)이 회동대(20)의 하부홀(23)을 지나 고정대(10) 절곡판(12)의 하부관통홀(12b)에 끼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대(20) 또는 회동대(20)에 설치된 수평파이프(횡대)에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거나 기타 어떤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볼(33)이 상기 하부관통홀(12b)에서 빠져나와 상기 절곡판(12)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대(20)가 상기 제1회전원통(50)과 제2회전원통(60) 상에서 회전을 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진다. 이때, 관통각봉(40)과 브라켓(70)은 움직이지 않고 처음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회동대(20)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대(20)는 경사진 상태에서 직립상태로 복원된다.
10: 고정대 11: 베이스
12: 절곡판 12a: 상부관통홀
12b: 하부관통홀 20: 회동대
21: 고정봉 22: 상부홀
23: 하부홀 30: 스토퍼
31: 수용원통 32: 코일스프링
33: 볼 40: 관통각봉
50: 제1회전원통 60: 제2회전원통
70: 브라켓 71: 바디부
71a: 다각형 끼움홀 72: 돌출부
72a: 연결홀 80: 탄성스프링
12: 절곡판 12a: 상부관통홀
12b: 하부관통홀 20: 회동대
21: 고정봉 22: 상부홀
23: 하부홀 30: 스토퍼
31: 수용원통 32: 코일스프링
33: 볼 40: 관통각봉
50: 제1회전원통 60: 제2회전원통
70: 브라켓 71: 바디부
71a: 다각형 끼움홀 72: 돌출부
72a: 연결홀 80: 탄성스프링
Claims (3)
- 보차도 경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부관통홀(12a)과 하부관통홀(12b)이 형성된 절곡판(12)으로 이루어진 고정대(10)와;
하측 부분이 상기 고정대(10)의 절곡판(12) 사이에 끼움되는 회동대(20)와;
상기 회동대(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수용원통(31)과, 상기 수용원통(31) 내부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32)과, 상기 코일스프링(32)의 양단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관통홀(12b)에 삽입되는 볼(33)로 이루어진 스토퍼(30)와;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대(10)의 절곡판(12)과 회동대(20)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관통홀(12a)에 양단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관통각봉(40)과;
상기 관통각봉(40)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절곡판(12) 사이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대(20)의 하측 부분을 관통하는 제1,2회전원통(50,60)과;
상기 관통각봉(40)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제1회전원통(50)과 제2회전원통(60) 사이에 위치되는 브라켓(70)과;
하단이 상기 브라켓(7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대(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대(20)를 직립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70)은 상기 관통각봉(4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다각형 끼움홀(71a)이 형성되어 관통각봉(40)에 의해 관통되는 바디부(71)와;
상기 바디부(71)의 양측에서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벌어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80)의 하단이 연결되는 연결홀(72a)이 형성된 2개의 돌출부(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돌출부(72)에 형성되는 각 연결홀(72a)은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점점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862A KR101593654B1 (ko) | 2014-10-29 | 2014-10-29 |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862A KR101593654B1 (ko) | 2014-10-29 | 2014-10-29 |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3654B1 true KR101593654B1 (ko) | 2016-02-15 |
Family
ID=5535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7862A KR101593654B1 (ko) | 2014-10-29 | 2014-10-29 |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36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2882B1 (ko) * | 2016-11-07 | 2018-04-30 | 주식회사 우진 | 차량의 역주행 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535Y1 (ko) | 2002-05-14 | 2002-08-13 | 신도산업 주식회사 | 주차규제봉 |
KR200335018Y1 (ko) | 2003-08-29 | 2003-12-01 | 조은엔지니어링(주) | 도로 가이드봉 |
KR200412254Y1 (ko) | 2006-01-02 | 2006-03-23 | 최춘호 | 주차방지구 |
KR101213761B1 (ko) | 2012-10-04 | 2012-12-18 |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
-
2014
- 2014-10-29 KR KR1020140147862A patent/KR1015936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535Y1 (ko) | 2002-05-14 | 2002-08-13 | 신도산업 주식회사 | 주차규제봉 |
KR200335018Y1 (ko) | 2003-08-29 | 2003-12-01 | 조은엔지니어링(주) | 도로 가이드봉 |
KR200412254Y1 (ko) | 2006-01-02 | 2006-03-23 | 최춘호 | 주차방지구 |
KR101213761B1 (ko) | 2012-10-04 | 2012-12-18 |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2882B1 (ko) * | 2016-11-07 | 2018-04-30 | 주식회사 우진 | 차량의 역주행 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37194B2 (ja) | ネットおよびマット | |
KR102010367B1 (ko) | 시선유도봉 | |
DE202014105780U1 (de) | Parkturm oder unterirdisches Parkhaus zum Parken von mehreren zweirädrigen Fahrzeugen | |
JP6546181B2 (ja) | 街頭設備の衝撃抵抗性及びエネルギー吸収性物体 | |
KR101593654B1 (ko) | 탄성형 보차도 울타리의 지주 | |
KR20180004946A (ko) | 휀스 | |
CA2913772C (en) | Releasable anchor cables for cable barriers that release upon certain load conditions upon the cable barrier | |
KR101213761B1 (ko) |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 |
JP2018042701A (ja) | 命綱取付け用ガイド | |
KR101630851B1 (ko) |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293619B1 (ko) | 전개형 안전펜스를 갖는 도로용 가이드레일 | |
KR102083904B1 (ko) | 충격흡수롤러가 포함된 가드레일 | |
KR200391865Y1 (ko) | 차량진입차단용 울타리 | |
KR101973588B1 (ko) | 휀스 | |
CN202732585U (zh) | 一种折叠床底框架中心连接杆的锁定结构 | |
KR20180036933A (ko) | 휀스 | |
SE0401726D0 (sv) | Vägräcke | |
KR20150104968A (ko) | 회전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현수막 지지장치 | |
KR102278927B1 (ko) | 차선규제봉 | |
CN204491457U (zh) | 一种加油站预警护栏 | |
US1814868A (en) | Guard rail | |
CN210458936U (zh) | 一种桥梁护栏 | |
CN206928223U (zh) | 一种可改变长度的交通护栏 | |
KR20190124455A (ko) | 충격흡수 및 보도침범 방지기능을 갖는 방호울타리 | |
DE202006010337U1 (de) | Aufstell- und Haltevorrichtung auf kastenförmigen Schutzplanken, zum Aufstellen von Schildern und Verkehrszeich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