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032Y1 -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032Y1
KR200334032Y1 KR20-2003-0025925U KR20030025925U KR200334032Y1 KR 200334032 Y1 KR200334032 Y1 KR 200334032Y1 KR 20030025925 U KR20030025925 U KR 20030025925U KR 200334032 Y1 KR200334032 Y1 KR 200334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pot
pot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김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문 filed Critical 김영문
Priority to KR20-2003-0025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0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0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화분이 재치된 상태에서 각 화분의 내부에 매립된 급수관의 분사노즐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급수시간에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저수조에 집수하여 후속의 급수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받침대는 다수의 화분이 재치되면서 각 화분의 재치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 1화분재치대와 그 제 1화분재치대에 비해 단차적으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 2화분재치대,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의 관통구에 대응적으로 장착되면서 중앙에는 관통로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화분에 급수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의 각 화분에 대응하여 설치되면서 각 일단은 상기 저수조에 침수되고 각 타단은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급수관과 연설되며 그 소정위치에는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개폐를 위한 급수펌프가 대응적으로 개재되는 급수관체,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에 대해 대응적으로 제공되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각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상기 저수조에 집수시키는 집수관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여과된 상태로 상기 집수관체에 유입되도록 하는 망형상의 여과체,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화분급수용수의 수위를 검출하고 경보하는 저수조수위검출센서와 저수조수위경보부, 상기의 각 화분에 대한 자동적인 급수시간의 설정과 표시를 위한 급수시간설정부 및, 상기 급수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급수시간의 저장과 그 급수시간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화분에 대한 자동 급수 및 상기 저수조수위에 대한 경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 상기의 각 화분에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작동하는 음향데이터메모리와 그 음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및 그 음향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FLOWERPOT SUPPORT APPARATUS WITH AUTOMATIC WATER SUPPLYING}
본 고안은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급수시간에 화분급수용수를 자동으로 급수하고 그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공급용수를 집수하여 재활용하도록 설계된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개인적 주거/사무 공간이나 상업적인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관상 화초라든지 분재가 적절한 화분에 식재되어 배치된다.
그러한 화분에 대해서는 식재된 화초 또는 분재에 적합환 환경에 적합한 급수 및 배수 관비가 필요하게 되는 바, 예컨대 화초 또는 분재의 특성을 무시한 채 과도하게 급수해주거나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화초 또는 분재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저수조로부터 화분의 내부에 흡수포를 연결하여 그 흡수포를 통해 화분에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된 상태이지만, 그 방식에서는 항시 흡수포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화분의 내부에 과도하게 급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그에 대해, 저수조로부터 분사노즐을 화분의 상측으로 연설하고 자동펌핑작용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도 제안된 상태이지만, 그러한 자동급수방식에서는 분사노즐이 화분의 외측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불리하게 된다.
특히, 다수의 화분이 배치된 경우 각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대한 급수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화분급수용수를 급수하게 되면 화분급수용수가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부족하게 공급되는 상황이 초래되어 식물의 정상적인 성장에 불리한 영향으로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화분에 대한 화분용수급수 관리에도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 다수의 화분에 대해 인위적으로 화분에 급수를 하거나 자동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방식에서는 화분에서 배수된 화분급수용수에 대한 후처리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화분에 급수되는 용수의 과도한 낭비가 발생되는 상황도 야기된다.
더구나, 실내에 배치되는 화분의 경우에는 단지 화초 또는 분재의 관상이 주요한 목적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화분에 대한 다기능화(예컨대, 화초 또는 분재에 유용한 음향의 제공, 저수조의 수위경보 등)는 상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다수의 화분이 배치된 상태에서 저수조로부터 화분의 내부에 연설되는 급수관을 통해 각 화분에 대해 적절하게 설정된 급수시간에 자동으로 화분급수용수가 급수되도록 하고 각 화분에서 배출되는 용수를 저수조에 집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에 대한 자동 급수/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저수조의 수위레벨에 대한 경보 및 자동적인 보충기능이 상정됨과 더불어 화분에 식재된 화초 또는 분재에 적절한 음향을 재생해주도록 된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다수의 화분이 재치되면서 각 화분의 재치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 1화분재치대와 그 제 1화분재치대에 비해 단차적으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 2화분재치대,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의 관통구에 대응적으로 장착되면서 중앙에는 관통로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화분에 급수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의 각 화분에 대응하여 설치되면서 각 일단은 상기 저수조에 침수되고 각 타단은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급수관과 연설되며 그 소정위치에는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개폐를 위한 급수펌프가 대응적으로 개재되는 급수관체,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에 대해 대응적으로 제공되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각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상기 저수조에 집수시키는 집수관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여과된 상태로 상기 집수관체에 유입되도록 하는 망형상의 여과체,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화분급수용수의 수위를 검출하고 경보하는 저수조수위검출센서와 저수조수위경보부, 상기의 각 화분에 대한 자동적인 급수시간의 설정과 표시를 위한 급수시간설정부 및, 상기 급수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급수시간의 저장과 그 급수시간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화분에 대한 자동 급수 및 상기 저수조수위에 대한 경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어 구성된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관통로는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연설되는 급수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대응하는 화분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배출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각 급수관은 대응하는 가이드부재의 관통로를 통과하여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매설되고 그 선단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다.
상기의 각 급수관은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일정한 길이로 매설되고 소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다.
유리하게, 상기의 각 화분에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작동하는 음향데이터메모리와 그 음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및 그 음향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화분이 재치되는 제 1화분재치대와 그 화분재치대의 양측에 단차를 갖고 형성되면서 각기 화분이 재치되는 제 2 및 제 3화분재치대와, 상기 제 1 내지 제 3화분재치대의 상면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에 장착되면서 중앙에는 관통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화분에 급수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각 일단은 상기 저수조에 침수되고 각 타단은 상기의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급수관과 연설되며 그 소정위치에는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개폐를 위한 급수펌프가 대응적으로 개재되는 급수관체, 상기 제 1 내지 제 3화분재치대에 대응하여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의 각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상기 저수조에 접수시키는 집수관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여과된 상태로 상기 집수관체에 유입되도록 하는 망형상의 여과체,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화분급수용수의 수위를 검출하고 경보하는 저수조수위검출센서와 저수조수위경보부, 상기의 각 화분에 대한 자동적인 급수시간의 설정과 표시를 위한 급수시간설정부 및, 상기 급수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급수시간의 저장과 그 급수시간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화분에 대한 자동 급수 및 상기 저수조수위에 대한 경보를 제어하는 재어부를 갖추어 구성된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가 제공된다.
유리하게,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관통로는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연설되는 급수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대응하는 화분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배출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각 급수관은 대응하는 가이드부재의 관통로를 통과하여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매설되고 그 선단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다.
상기의 각 급수관은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일정한 길이로 매설되고 소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다.
또, 상기의 각 화분에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작동하는 음향데이터메모리와 그 음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및 그 음향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서는 다수의 화분이 재치된 상태에서 저수조에 저수된 화분급수용수를 각 화분의 저면을 통해 유입되는 급수관의 분사노즐로부터 미리 설정된 급수시간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자동 급수가 실행되고, 그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는 집수관체를 통해 저수조에 집수되어 후속의 급수에 활용된다.
또, 음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음향데이터가 음향재생부에서 재생되어 음향출력부에 의해 출력됨에 따라 화분에 식재된 화초 또는 분재에 유리한 영향을 주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수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의 기능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의 기능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화분받침대, 72a,72b: 제 1, 제 2화분재치부,
78: 가이드부재, 80: 급수시간설정부,
82: 급수관, 84: 저수조,
90a,90b: 집수관체, 92: 저수조수위센서,
100: 제어부, 102: 급수설정데이터메모리,
120: 음향데이터메모리, 122; 음향재생부,
124: 음향출력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70으로 표시된 화분받침대는 제 1화분재치부(72a)와 그 제 1화분재치부(72a)에 대해 일정한 단차높이를 갖도록 정의되는 제 1화분재치부(72b)가 상정되는 바, 그 화분재치부의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및 제 2화분재치부(72a,72b)에는 다수의 화분에 대한 재치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구(74a∼74n; 76a∼76n)가 형성되는 바, 그 관통구(74a∼74n; 76a∼76n)는 해당하는 화분에 대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는 기능을 갖도록 형성되고, 각 관통구(74a∼74n; 76a∼76n)에는 가이드부재(78)가 독립적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해당하는 화분받침대(70)에는 각 관통구(74a∼74n; 76a∼76n)상에 재치되는 개별적인 화분에 대해 화분급수용수의 자동적인 급수를 위한 급수시간설정이 가능하도록 급수시간설정부(80)가 제공되고, 각 관통구(74a∼74n; 76a∼76n)에는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유입되어 자동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급수관(82)이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가이드부재(78)에 형성되는 관통로는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연설되는 급수관(8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대응하는 화분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배출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의 각 급수관(82)은 대응하는 가이드부재(78)의 관통로를 통과하여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매설되고 그 선단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바, 그 급수관(82)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화분의 상측에서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하도록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시켜도 바람직하게 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그 급수관(8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사노즐(30)이 형성된다.
상기 화분받침대(70)의 내부에는 각 화분에 대한 급수와 각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의 집수를 위한 저수조(84)가 설치되고, 그 화분받침대(7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저수조(84)에 연설되는 급수호스(86a)가 후방에 결합된 수도전연결구(86)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74a∼74n; 76a∼76n)에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상기의 각 급수관(82)에는 각 일단이 상기 저수조(84)에 침수된 상태의 급수관체(88)가 연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72a,72b)에 대해서는 각 관통구(74a∼74n; 76a∼76n)를 통해 각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관체(90a;90b)가 상기 저수조(84)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 상기 저수조(84)에 대해서는 화분급수용수의 수위를 검출해내기 위한 저수조수위센서(92)가 예컨대 플로터방식으로 제공되고, 해당하는 화분받침대(70)의 저면 4-모서리에는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조절 및 수평도 조절이 가능한 받침구(18)가 제공된다.
상기 화분받침대(70)의 전체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부(100)의 입력측에는 상기 급수시간설정부(80)를 형성하면서 바람직하게 10-키(또는 업/다운버튼)방식으로 이루어진 급수설정버튼(80a)과 상기 저수조수위센서(92)가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00)에 대해서는 상기의 각 관통구(74a∼74n; 76a∼76n)상에 재치되는 화분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급수시간데이터가 저장되는 급수설정데이터메모리(102)가 연계됨과 더불어, 그 제어부(100)의 출력측에는 상기 급수설정버튼(80a)에 의해 설정되는 급수시간데이터의 시각적 확인이 가늠한 급수설정시간표시부(80b)와, 상기 저수조(84)로부터 각 급수관(82)에 대응적으로 연결되는 각 급수관체(88)의 도중에 개재되는 각 급수펌프(108)를 ON/OFF구동하는 급수펌프구동부(106), 상기 저수조수위센서(92)의 수위검출결과를 기초로 수위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예컨대 버저 또는 음성발생기로 구현되는 저수조수위경보부(104) 및, 상기 수도전연결구(86)로부터 상기 저수조(84)에 연설되는 급수호스(86a)의 도중에 개재되는 저수조보충펌프(112)를 ON/OFF구동하는 저수조보충구동부(11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수도전연결구(86)와 급수호스(86a), 상기 저수조보충구동부(110)와 상기 저수조보충펌프(112)는 해당하는 화분받침대(70)의 설계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저수조(84)에 대해 인위적인 화분급수용수의 보충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제거되어도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 따르면, 각 관통구(74a∼74n; 76a∼76n)에 장착되는 각 가이드부재(78)상에는 대응하는 망형상의 여과체를 매개하여 화분이 재치되고, 각 화분에 대해 순서를 부가하여 상기 급수시간설정부(80)의 급수설정버튼(80a)에 의해 급수시간이 상호 동일 또는 다르게 설정된다.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의 설정상황은 상기 급수설정시간표시부(80b)상에서 확인가능하도록 표시가 이루어지며,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설정데이터메모리(102)에 순서적으로 저장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타이머(도시는 생략)에서 제공되는 계시데이터를 기초로 각 화분에 대해 설정된 급수시간이 도래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특정한 화분에 대해 급수시간이 도래되면 상기 급수펌프구동부(106)를 제어하에 그 화분에 대응하는 급수관체(88)의 도중에 개재된 급수펌프(108)만이 ON구동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급수시간이 도래된 화분에는 대응하는 급수관(82)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해당하는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는 대응하는 집수관체(90a;90b)를 통해 집수되어 상기 저수조(84)에 유입되어 후속의 급수에 활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수위센서(92)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저수조(84)내의 화분급수용수의 수위는 상기 제어부(100)에 인가되는 바, 그 수위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저수조(100)내의 화분급수용수에 대한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저수조수위경보부(104)를 통해 경보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상기 수도전연결구(86)와 급수호스(86a), 상기 저수조보충구동부(110)와 상기 저수조보충펌프(112)가 설계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저수조보충구동부(110)를 활성화제어하여 상기 저수조보충펌프(112)를 ON구동시켜 상기 수도전연결구(86a)를 통해 상기 저수조(84)내에 화분급수용수가 보충되도록 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는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72a;72b)에 다수의 화분이 재치되도록 다수의 관통구(74a∼74n; 76a∼76n)를 형성하고 각 화분에 대해서는 상기 급수시간설정부(80)에 의해 급수시간이 순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서는 다수의 화분에 대해 설정된 시간에 개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자동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다수의 화분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의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화분받침대는 상기한 일실시예에서 각 화분에 식재된 화초 또는 분재에 유리한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부(100)의 출력측에 음향데이터메모리(120)와 음향재생부(122) 및 음향출력부(124)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음향데이터메모리(120)에 저장된 음향이 상기 음향재생부(122)에서 재생되어 음향출력부(124)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의 제공을 위해 상기 음향데이터메모리(120)는 자기테이프라든지 반도체메모리(MP3메모리 포함)로 구성되고, 상기 음향출력부(123)는 외부적으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분에 식재된 화초 또는 분재에 유리한 음향을 제공하여 그 화초 또는 분재의 성장 및 발육에 유리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예에 따르면, 중앙에 하나의 화분(130)을 배치하기 위한 제 1화분재치대(130a)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별개의 화분(132;134)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제 1화분재치대(130a)에 비해 단차를 갖도록 제 2 및 제 3화분재치대(132a;134a)가 형성된다.
또, 내부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화분재치대(130a;132a;134)에 형성되는 관통구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가이드부재와 동일한 구성의 가이드부재(144)가 개별적으로 제공되며, 각 가이드부재(144)의 하방에는 상기의 각 화분(130;132;134)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저수조(136)에 집수되도록 하기 위한집수관체(146)가 대응적으로 설치된다.
각 화분(130;132;134)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 내지 제 3실시예에서 적용된 구조와 동일하게 급수관(138)이 유입되는 바, 그 급수관(138)의 구조는 바람직하게 도 2에 예시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 각 화분(130;132;134)에 연설되는 급수관(138)의 도중에는 상기 저수조(136)에 저수된 화분급수용수를 개폐하기 위한 급수펌프(148)가 대응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각 화분(130;132;134)에 대한 급수시간이 설정/저장된 상태에서 특정한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이 도달되면 그 제어부의 제어하에 대응하는 급수펌프(148)가 ON구동되어 해당하는 화분(130;132;134)에 화분급수용수가 자동으로 급수되고, 해당하는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는 대응하는 집수관체(146)에 의해 상기 저수조(136)에 집수되어 후속의 급수에 적용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각 화분에 대해 급수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급수설정부(80)는 각 화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해도 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형성된 급수관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의하면, 다수의 화분이 배치된 상태에서 각 화분에 대해 설정된 급수시간에 자동적인 화분급수용수의 급수가 실행되고 그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저수조에 집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화분에 대한 급수관리에 편리함이 제공된다.
더욱이, 음향데이터메모리에서 재생되는 음향의 재생이 이루어지게 되면 화분에 식재된 화초라든지 분재의 성장에 유리함이 보장된다.

Claims (4)

  1. 다수의 화분이 재치되면서 각 화분의 재치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 1화분재치대와 그 제 1화분재치대에 비해 단차적으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제 2화분재치대;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의 관통구에 대응적으로 강착되면서 중앙에는 관통로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화분에 급수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의 각 화분에 대응하여 설치되면서 각 일단은 상기 저수조에 침수되고 각 타단은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급수관과 연설되며 그 소정위치에는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개폐를 위한 급수펌프가 대응적으로 개재되는 급수관체;
    상기 제 1 및 제 2화분재치대에 대해 대응적으로 제공되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각 화분에서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를 상기 저수조에 집수시키는 집수관체;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여과된 상태로 상기 집수관체에 유입되도록 하는 망형상의 여과체;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화분급수용수의 수위를 검출하고 경보하는 저수조수위검출센서와 저수조수위경보부;
    상기의 각 화분에 대한 자동적인 급수시간의 설정과 표시를 위한 급수시간설정부 및;
    상기 급수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급수시간의 저장과 그 급수시간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화분에 대한 자동 급수 및 상기 저수조수위에 대한 경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가이드부재의 관통로는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연설되는 급수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대응하는 화분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배출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각 급수관은 대응하는 가이드부재의 관통로를 통과하여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매설되고 그 선단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급수관은 대응하는 화분의 내부에 일정한 길이로 매설되고 소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화분에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작동하는 음향데이터메모리와 그 음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음향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재생부 및 그 음향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더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2003-0025925U 2003-08-11 2003-08-11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0334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25U KR200334032Y1 (ko) 2003-08-11 2003-08-11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25U KR200334032Y1 (ko) 2003-08-11 2003-08-11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359A Division KR20030041118A (ko) 2003-04-22 2003-04-22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032Y1 true KR200334032Y1 (ko) 2003-11-22

Family

ID=4941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925U KR200334032Y1 (ko) 2003-08-11 2003-08-11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5841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KR20140023720A (ko) 수경재배기
JPH1198928A (ja) 砂漠等における植物育成装置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KR200334032Y1 (ko)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0991332B1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KR20030041118A (ko)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와 그 제어방법
JP4850364B2 (ja) 育苗用底面自動灌水装置
JP2000139248A (ja) プランターまたはプランターケース
KR20210150238A (ko)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KR200334031Y1 (ko)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1248497B1 (ko) 수경재배시스템
JP2554820Y2 (ja) 観賞用鉢物植物への自動底面灌水装置
JP2972603B2 (ja) 植木鉢の給排水器
JPH04158724A (ja) 植物育成器の給水装置
JPS6229924A (ja) 水気耕植物栽培装置
KR200284633Y1 (ko) 실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
JP3646187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JP2001245541A (ja) 自動潅水装置を備えた立体花壇及びその花壇で用いる自動潅水装置及びコンテナー
JP4977306B2 (ja) 植物栽培容器への自動給水装置及び自動給水システム
KR200228643Y1 (ko) 자동 급수 화분
KR100533170B1 (ko) 계단식 수경재배장치
JP2003088246A (ja) 植物栽培容器
KR200241179Y1 (ko) 급수장치를 가진 화분
JPS58500788A (ja) 水栽培用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