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238A -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238A
KR20210150238A KR1020200067362A KR20200067362A KR20210150238A KR 20210150238 A KR20210150238 A KR 20210150238A KR 1020200067362 A KR1020200067362 A KR 1020200067362A KR 20200067362 A KR20200067362 A KR 20200067362A KR 20210150238 A KR20210150238 A KR 2021015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water tank
housing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건호
Original Assignee
홍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호 filed Critical 홍건호
Priority to KR102020006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238A/ko
Publication of KR2021015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으로 배열되는 화초 각층에 균등한 급수가 이루어지며 수조의 청소가 용이한 구조를 갖고 화분으로부터의 잉여수 배출 속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으며 화초의 공기 자정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측판, 상기 상판과 측판에 연결되어 배면을 구성하는 식재판 및 상기 식재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되 복층 구조로 구비되는 복수의 화분으로 이루어지는 식재부;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수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급수배관에 송급하여 급수 작업을 수행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급수부; 및 상기 함체에 구비되어 펌프의 급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본체와 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배관은 복수의 수직관과 수평관으로 이루어지되 수직관과 수평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관이 화분의 층수와 동수로 구비되어 화분의 각층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Indoor wall green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재그 구조를 갖는 급수배관을 통해 복층 구조로 배치되는 화초에 급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상(觀賞) 또는 공기 정화나 습도 조절을 위해 실내에 화분이 비치되는데, 공간 제약으로 다량의 화분을 실내에 비치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에 선반 또는 진열장 형태의 외관을 갖고 그 내부에 복수의 화분을 복층 구조로 집적한 장치가 '벽면식재장치’라는 명칭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39614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벽면식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초가 식재되는 식물크래들(20a)의 상부에 관수튜브(33a)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수조(31a)가 배치된 상태에서, 펌프(311a)를 통해 수조(31a)에 저장된 물을 관수튜브(33a)에 송급하면, 관수튜브(33a)에 형성된 수공(331a)을 통해 물이 적하되어 각 식물크래들(20a)에 식재된 화초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관수튜브(33a)가 식물크래들(20a) 상부에만 구비되는 특성상 각 층별로 물 공급량에 차이가 발생하여 적정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화분에는 화초가 고사되거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성장이 상이해져 화초의 장식성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9614호(2012.04.27.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층으로 배열되는 화초 각층에 균등한 급수가 이루어지며 수조의 청소가 용이한 구조를 갖고 화분으로부터의 잉여수 배출 속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으며 화초의 공기 자정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은, 상판과 측판, 상기 상판과 측판에 연결되어 배면을 구성하는 식재판 및 상기 식재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되 복층 구조로 구비되는 복수의 화분으로 이루어지는 식재부;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함체, 상기 함체에 수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급수배관에 송급하여 급수 작업을 수행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급수부; 및 상기 함체에 구비되어 펌프의 급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본체와 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배관은 복수의 수직관과 수평관으로 이루어지되 수직관과 수평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관이 화분의 층수와 동수로 구비되어 화분의 각층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은, 상기 노즐이 수평관에 구비되고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은, 상기 수조가 함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보조휠이 구비되되 힌지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통해 수조가 함체 외부로 돌출시 수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은, 상기 제어본체가 수위센서를 통해 일정 시간 주기로 수조의 수위 변화를 체크하여 펌프의 급수 작업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은, 상기 화분이 돌출면이 형성되는 고정홈통, 상기 돌출면으로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분본체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종으로는 동일한 크기를 갖되 원주 방향으로는 점진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은 화분본체가 삽입시 통공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크기는 최대 크기를 갖는 통공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에 의하면, 화분의 각층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관과 노즐을 통해 화초 각층에 균등한 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조가 함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조의 세척이 용이해진다.
또한, 고정홈통, 화분본체 및 망체로 이루어지는 화분을 구성함으로써 잉여수의 적정 배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화초의 공기 자정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효용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벽면식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함체 부위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함체 부위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수조 전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함체 부위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함체 부위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화분(170)이 복층 구조로 구비되는 식재부(100), 상기 식재부(100)의 각 화분(1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00) 및 상기 급수부(200)의 급수 작업을 조절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식재부(100)는 진열장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110)과 측판(130), 상기 상판(110)과 측판(130)에 연결되어 배면을 구성하는 식재판(150) 및 상기 식재판(150)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분(170)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화분은 식재 화초의 교체나 분갈이 또는 배양토 교체 작업이 수시로 요구되는데, 본 발명의 화분(170)들은 복층 구조로 밀집되어 구비되는 특성상 이러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식재판(1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급수부(200)는 급수배관(210), 상기 급수배관(210)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230), 식재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함체(250), 화초 급수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270) 및 상기 수조(270)의 물을 급수배관(210)에 송급하는 급수 작업을 수행하는 펌프(29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배관(210)은 일단은 펌프(29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막힌 상태로 제공되며, 식재판(150)에 설치되는 급수배관(210)은 복수의 수직관(213)과 수평관(215)으로 이루어지되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관(215)은 화분(170)의 층수와 동수로 구비되어 화분(170)의 각층 상부에 수평관(215)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관(215)에는 개별 화분(170)에 대응되는 지점에 노즐(23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로 인하여 모든 화분(170)에 균등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부에 위치한 수평관(215)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하부에 위치한 수평관(215)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 보다 많게 되나, 상부 화분(170)에 급수된 후 남는 잉여수가 하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하부측 화분(170)에 물이 보충되어 전체적으로 균등한 급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 층에서 수평관(215)의 관로 구경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부 층에서의 수평관(215)의 관로 구경은 작게 구성하고 하부 층으로 갈수록 수평관(215)의 관로 구경을 크게 구성함으로써 각 층의 화분(170)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각 층에서의 수평관(215)에 구비된 노즐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부 층에 위치한 수평관(215)에 구비된 노즐의 크기는 작게 구성하고 하부 층으로 갈수록 수평관(215)에 구비된 노즐의 크기를 크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노즐의 크기를 달리하는 대신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각 노즐에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함체(250)에는 수조(270)와 펌프(290)가 수납되며, 잉여수가 수조(270)에 직접 적하되도록 상면 일부가 개구된 구조로 제작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 부분으로 화초의 잎 등이 낙하하여 수조(270)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시 형태로 제작되는 커버(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해 상기 함체(250)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터(25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조(270)에 저장되는 물에는 화초 영양액이나 잉여수 회수 과정에서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급수시 이를 필터링하기 위해 거름망(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일부가 수조(270) 내벽에 고착, 악취 및 화초 생육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수조(270)의 정기적인 세척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조(270) 세척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7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함체(250)에 구비된 힌지축(251)에 수조(270) 일측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함체(250)에 전면 도어(253)는 회전 가능하게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다만, 물이 수용된 수조(270)는 그 무게가 상당한 바, 외부 돌출시 힌지축(251)과 인접 수조(270) 부위에 과중한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될 위험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70)의 타측 바닥면에는 보조휠(275)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휠(275)은 힌지부재(276)를 통해 수조(27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 돌출시 힌지부재(276)에 구비된 스프링부재(미도시)의 작용으로 자동 기립하여 수조(270)를 지지하며, 세척 후 원위치 복원 과정에서는 함체(250) 단턱(257)의 제약에 의해 접혀져 수조(270)와 함께 수납되게 된다.
제어부(300)는 상기 함체(250)에 구비되는 제어본체(310) 및 수조(270)에 구비되는 수위센서로 이루어진다.
제어본체(310)는 펌프(290)의 기동을 제어하여 급수 개시 및 차단 작업을 수행하며, 수위센서가 제공하는 수조(270)의 수위 정보를 기초로 수조(270) 저수량 부족시 물 보충을 위한 알람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본체(310)는 진열장이 설치된 장소의 환경(온도, 습도) 변화에 따라 적정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급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급수 작업이 없는 시간에는 일정 시간 주기로 수위 변화를 체크하여, 실내가 고온 건조로 수위 변화가 클 경우에는 급수 작업을 자주 수행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작업 간격을 늘려 화초의 생육에 맞는 급수가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잉여수의 적정 배출 속도는 식재된 화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은 뿌리부근에 서식하는 토양 미생물의 활성도가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바, 본 발명에서는 잉여수 배출 속도 조절과 공기정화 능력 향상을 위해 화분(17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통(173), 화분본체(175) 및 망체(177)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개시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통(173)은 식재판(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화분본체(175)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화분본체(175)의 결합 및 분리의 편의성과 채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면(173a)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며, 상기 돌출면(173a)에는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배수공(173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통(173)의 측방향으로는 화분본체(175)가 삽입된 후 여유공간부(173c)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분본체(175)의 결합 및 분리작업이 훨씬 수월해지고, 상기 여유공간부(173c)로 인하여 상기 고정홈통(173)과 화분본체(17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로부터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므로 후술하는 배양토의 통기성 증대에도 일조할 수 있다.
상기 화분본체(175)는 상기 돌출면(173a)으로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그 외주면에 복수의 통공(175a)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175a)들은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는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그 크기는 종방향으로는 동일한 크기를 갖되 원주 방향으로는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배수공(173b)의 종방향 상호 간격은 통공(175a)의 종방향 상호 간격과 동일하며, 그 크기는 최대 크기를 갖는 통공(175a)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통공(175a)과 배수공(173b)의 간격과 크기 관계와 더불어 화분본체(175)의 외주면과 고정홈통(173)의 돌출면(173a)을 원통형(또는 다면체형)으로 개시한 상태에서, 배수공(173b)에 중첩되는 통공(175a)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해당 화초의 생육에 적합한 속도로 잉여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통(173)의 돌출면(173a)과 밀착되지 않는 화분본체(175)의 나머지 외주면에 형성된 통공(175a)은 외기에 노출되고 이를 통해 배양토의 통기성 증대로 토양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임으로써 공기 자정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망체(177)는 화분본체(175)의 내벽에 밀착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며, 화분본체(175)에 담겨진 배양토가 통공(175a)을 통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식재부
110: 상판 130: 측판
150: 식재판 170: 화분
200: 급수부
210: 급수배관 230: 노즐
250: 함체 270: 수조
290: 펌프
300: 제어부
310: 제어본체

Claims (5)

  1. 상판(110)과 측판(130), 상기 상판(110)과 측판(130)에 연결되어 배면을 구성하는 식재판(150) 및 상기 식재판(1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되 복층 구조로 구비되는 복수의 화분(170)으로 이루어지는 식재부(100);
    급수배관(210), 상기 급수배관(210)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230), 상기 식재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함체(250), 상기 함체(250)에 수납되는 수조(270), 상기 수조(270)의 물을 급수배관(210)에 송급하여 급수 작업을 수행하는 펌프(290)로 이루어지는 급수부(200); 및
    상기 함체(250)에 구비되어 펌프(290)의 급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본체(310)와 수조(270)에 구비되는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배관(210)은 복수의 수직관(213)과 수평관(215)으로 이루어지되 수직관(213)과 수평관(215)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관(215)이 화분(170)의 층수와 동수로 구비되어 화분(170)의 각층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30)은 수평관(215)에 구비되고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270)는 함체(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보조휠(275)이 구비되되 힌지부재(276)와 스프링 부재를 통해 수조(270)가 함체(250) 외부로 돌출시 수조(27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본체(310)는 수위센서를 통해 일정 시간 주기로 수조(270)의 수위 변화를 체크하여 펌프(290)의 급수 작업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70)은 돌출면(173a)이 형성되는 고정홈통(173), 상기 돌출면(173a)으로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화분본체(175) 및 상기 화분본체(175)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는 망체(177)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분본체(175)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통공(175a)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75a)은 종으로는 동일한 크기를 갖되 원주 방향으로는 점진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출면(173a)에는 배수공(173b)이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173b)은 화분본체(175)가 삽입시 통공(175a)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크기는 최대 크기를 갖는 통공(175a)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KR1020200067362A 2020-06-03 2020-06-03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KR20210150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62A KR20210150238A (ko) 2020-06-03 2020-06-03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62A KR20210150238A (ko) 2020-06-03 2020-06-03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238A true KR20210150238A (ko) 2021-12-10

Family

ID=7886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362A KR20210150238A (ko) 2020-06-03 2020-06-03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71A (ko) 2022-09-28 2024-04-0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의 자가 세척이 가능한 수경재배 실내녹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14B1 (ko) 2010-08-09 2012-04-27 손창락 벽면식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271A (ko) 2022-09-28 2024-04-0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의 자가 세척이 가능한 수경재배 실내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US4265050A (en) Flower pot with controlled moisture
KR101181133B1 (ko) 입체식 식물 재배장치
KR20140023720A (ko) 수경재배기
JP2022507075A (ja) 水耕栽培ユニット
KR20150086867A (ko) 인삼 수경 재배 시스템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KR101882196B1 (ko) 분무 수경 재배 시스템
EP32531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 device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nd a special plant pot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KR20210150238A (ko) 실내 벽면 녹화시스템
KR100979343B1 (ko) 식물재배장치
KR102324733B1 (ko) 수직 정원
US20010034974A1 (en) Portable modular plant growing system
KR20090123372A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20100129974A (ko)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JP2995275B2 (ja) 鉢植え植物のためのかん水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ター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KR200411248Y1 (ko) 화분의 물 자동 공급장치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2006158383A (ja) 植物栽培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具
JPH0638643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US20040237397A1 (en) Hydroponic planter box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101950354B1 (ko) 수경재배가 가능한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