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94B1 -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8994B1 KR100858994B1 KR1020070041383A KR20070041383A KR100858994B1 KR 100858994 B1 KR100858994 B1 KR 100858994B1 KR 1020070041383 A KR1020070041383 A KR 1020070041383A KR 20070041383 A KR20070041383 A KR 20070041383A KR 100858994 B1 KR100858994 B1 KR 1008589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oss
- wall
- pipe
- tank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737241 Coco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abstract 3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abstract 2
- 240000007170 Cocos nucifera Specie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2229 Carassius aur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벽면 판상의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의 상부 선단부에 행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수수단(20)과; 상기 관수수단(20)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0)과; 이끼류와 부착식물에 물을 분사하여 주는 물분사수단(30)과; 상기 물분사수단(30)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수중펌프(22)와; 상기 관수수단(20)과 물분사수단(30)으로부터 물을 받아 저장하는 물받이 통(50)과; 상기 물받이 통(50)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중 순환펌프(51)와; 상기 급수수단(40)과 물받이 통(50)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물받이 통(50) 내의 바닥에 상기 이끼류와 부착식물이 식생하는 토탄(70)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상단부 위에서 조명하는 조명수단(80) 및; 제어수단(90)으로 구성되어 이끼류를 수직 벽면에 부착시켜 벽면녹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의 조경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조성하여 거주자의 생활환경 개선에 의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관수 시스템의 도입으로 벽면에 부착되어 성장하는 식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 조경에 유용하게 채용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끼 벽, 비바리움(vivarium), 실내조경, 인테리어.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 11 : 타공판
20 : 관수수단 21, 31 : 노즐
22 : 수중펌프 30 : 물분사수단
40 : 급수수단 41 : 물탱크
41a : 고수위센서 41b : 저수위센서
42 : 급수관 43 : 제 1필터수단
44 : 솔레노이드 밸브 45 : 배관
46 : 제 2필터수단 47 : 분사용 진동펌프
50 : 물받이 통 50a : 고수위센서
50b : 저수위센서 51 : 수중 순환펌프
60 : 배출수단 60a, 60b : 배수관
61, 62 : 솔레노이드 밸브 70 : 토탄
80 : 조명수단 90 : 제어수단
A : 이끼류와 부착식물
본 발명은 실내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실내조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끼 벽으로 실내의 벽면상에 비바리움(vivarium)을 구성하여 실내의 환경을 개선하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경(造景)은 각종 시설물과 더불어 주변 경관에 친화적인 인테리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실외 조경물과 실내 조경물로 구분되어 진다. 실외 조경물은 정원, 공원, 또는 마당, 도로 등에서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역할을 하며 정자, 파고라, 쉘타, 데크, 펜스, 화분대, 물레방아 등의 다양한 구조와 용도의 시설물들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하여 실내 조경물은 주로 식물이나 조화, 분재와 결부되어 거실이나 실내 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분재시설이나 화분, 수반 등이 주를 이룬다.
특히 실내 조경의 특징은 실외 조경보다 그 규모와 구조의 크기는 작은 만큼 더욱 아기자기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더불어 관상용 식재와 함께 전체적인 조경물 구조를 이루게 되어 식재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산소발생 기능 및 공기 정화 기능 등에 의해 쾌적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거실 등의 내부 인테리어와 자연스런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현재 웰빙(wellbeing) 문화의 유행으로 공기 정화기능이 있는 식재와 함께 전체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실내조경의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의 실내조경은 단순한 시각적인 효과 이외에 가습, 실내공기의 정화 기능 등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펌프를 구비하여 실내 조경물 내에 물이 회전 순환하는 기능적인 구성을 첨가하거나 자연적인 디자인을 강화하기 위하여 인공암반을 사용하여 이에 식재를 혼합하여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실내조경 구조는 주로 화분의 장식적인 디자인에 의존하여 단지 친환경적인 식물을 여러 디자인이 있는 화분에 심어 놓는다는 단순함 만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실내조경 구조의 무한한 발전 가능성에 비해 실제 사용되는 조경 구조의 다양성은 크지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화분의 장식에 의한 실내 조경은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조경물이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됨으로써 조경물의 설치가 공간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는다고 하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실내정원 조성에 의한 실내조경에서 야기되는 각종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끼류를 수직벽면에 부착시켜 벽면녹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관수 시스템을 도입하여 벽면에 부착되어 성장하는 부착식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면상에서 이끼류와 부착식물의 재배를 통한 실내조경으로 조경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조성하여 거주자의 생활환경 개선에 의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은 이끼류와 부착식물이 부착되어 성장하는 타공판에 고착된 벽면 판상의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의 상부 선단부에 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코코스 판넬 내에 물을 흘려주는 관수수단과; 상기 관수수단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이끼류와 부착식물에 물을 분사하여 주는 물분사수단과; 상기 물분사수단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수중펌프와; 상기 관수수단과 물분사수단으로 부터 토출되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물받이 통과; 상기 물받이 통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중 순환펌프와; 상기 급수수단과 물받이 통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물받이 통 내의 바닥에 상기 이끼류와 부착식물이 부착하여 식생하는 토탄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 상단부 위에서 조명하는 조명수단 및;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의 단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은 이끼와 부착식물이 부착되어 성장하는 타공판(11)에 고착된 벽면 판상의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의 상부 선단부에 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코코스 판넬(10) 내에 물을 흘려주는 관수수단(20)과; 상기 관수수단(20)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0)과; 이끼류와 부착식물에 물을 분사하여 주는 물분사수단(30)과; 상기 물분사수단(30)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수중펌프(22)와; 상기 관수수단(20)과 물분사수단(30)으로 부터 토출되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물받이 통(50)과; 상기 물받이 통(50)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중 순환펌프(51)와; 상기 급수수단(40)과 물받이 통(50)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물받이 통(50) 내의 바닥에 상기 이끼류와 부착식물이 부착하여 식생하는 토탄(70)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상단부 위에서 조명하는 조명수단(80) 및; 제어하는 제어수단(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은 코코스야자 나무의 섬유질 줄기를 판넬 상으로 가공한 것으로서 향균성을 갖는 것이며, 건물의 벽면상에 벽체를 대신하여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되며, 이끼류와 부착식물이 부착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배지나 토양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의 이면에는 이끼류 와 부착식물(A)이 부착 식재되었을 때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타공판(11)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은 다공성을 가져 통기성과 보수성이 뛰어나 이끼류와 부착식물(A)의 뿌리에 항상 적절한 산소와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의 상부 선단부에는 행방향으로 관수수단(20)이 설치되어 있어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흘려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내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관수수단(20)은 배관(45)을 통해 급수수단(40)에 연결되어 제어수단(90)의 제어에 의해 필요한 시간마다 상기 관수수단(20)을 통해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내에 물을 흘려주게 되며, 물분사수단(30)은 물받이 통(50) 내의 수중펌프(22)에 연결되어 있고, 관수수단(20)은 파이프로 이루어져 그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노즐(21)이 하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물분사수단(30)은 이끼류와 부착식물(A)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수단(40)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1)와, 상기 물탱크(41)에 연결되어 물탱크(4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2), 상기 급수관(42)에 설치되는 제 1필터수단(43)과 솔래노이드 밸브(44), 상기 물탱크(41)에 연결되어 상기 관수수단(20)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45), 상기 물탱크(41) 측 배관(45)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제 2필터수단(46)과 분사용 진동펌프(47), 상기 물탱크(41)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고수위센서(41a) 및 저수위센서(41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필터수단(43)과 제 2필터수단(46)으로는 물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이면 그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멤브레인필터나 카본필터를 사 용하게 된다.
상기 물받이 통(50)은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의 하부에서 흘러 나오는 물과 상기 물분사수단(30)에서 이끼류와 부착식물(A)에 분사된 물을 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일측 내부면에는 고수위센서(50a) 및 저수위센서(50b)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중펌프(22) 및 수중 순환펌프(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이 투명유리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 수중모터와 공기 발생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관상용 수족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물받이 통(50) 내에는 금붕어 등 관상어를 키우는 어항으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급수수단(40)의 물탱크(41)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60a)과 배수관(60a)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1), 상기 물받이 통(50)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60b)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2)로 이루어져 급수수단(40)의 물탱크(41)와 물받이 통(50)의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토탄(70)은 이끼류와 부착식물(A)이 자라는 다양한 형상의 지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류에 의해 쉽게 허물어져 버리거나 배수층에 침식되지 않아 원하는 형태로 가공이 용이하고, 쉽게 형태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상기 조명수단(80)은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상단부 위에 설치되어 시스템 전체를 조명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램프(80a)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램프(80a)를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시스템 전체 즉, 상기 관수수단(20)과 급수수단(40), 물분사수단(30), 수중펌프(22), 수중 순환펌프(51), 배출수단(60) 및 조명수단(80)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끼류와 부착식물(A)의 최적 생육환경에 대하여 미리 설정한 데이터나 실내의 적절한 곳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습도센서 등 각종 센서의 정보에 따라 해당 요소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타이머 및 원칩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적인 제어장치이며, 필요에 따라 해당 요소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이끼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은 평상시에 물탱크(41)에 물을 저장해 두게 된다. 즉, 제어수단(90)의 제어에 따라 수도배관에 연결된 솔래노이드 밸브(44)가 개방되어 물이 제 1필터수단(43)을 거치면서 정수된 후 물탱크(41)에 저장되고(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61)는 닫혀 있다), 물탱크(41)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높아져 고수위센서(41a)가 물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고수위센서(41a)가 제어수단(90)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제어수단(90)의 제어로 솔래노이드 밸브(44)가 닫혀 물탱크(41)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이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끼류와 부착식물(A)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의 조성을 위해 미리 설정하여둔 데이터에 따라 제어수단(90)의 원칩마이크로 프로세서에 프로그램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관수수단(20)과 물분사수단(3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즉, 제어수단(90)의 제어에 따라 분사용 진동펌프(47)가 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물탱크(41) 내에 물이 제 2필터수단(43)을 거쳐 정수된 후 분사용 진동펌프(47)와 배관(45)을 통해 관수수단(20)으로 공급됨으로써 관수수단(20)의 다수의 노즐(21)로 부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내에 물을 흘려주게 된다.
또한 물받이 통(50) 내의 물은 수중펌프(22)에 의해 펌핑되어 물분사수단(30)으로 공급되고, 물분사수단(30)의 다수의 노즐(31)로부터 이끼류와 부착식물(A)에 물을 공급함과 더불어 이끼류와 부착식물(A)의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을 씻어 주게 되며, 이끼류와 부착식물(A)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또 다른 배관을 상기 배관(45)에 연결하여 폭포처럼 물이 흘 내리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벽면녹화의 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다.
시스템의 상기한 작동으로 상기 관수수단(20)과 물분사수단(3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이끼류와 부착식물(A)의 성장에 소요되고 남은 물은 물받이 통(50)에 받아지게 되고, 물받이 통(50) 내부의 물은 수중 순환펌프(51)가 작동하여 순환시켜 줌으로써 물받이 통(50) 내의 물이 정체하여 부패하는 일이 없게 되며, 이러한 물받이 통(50) 내에는 수중모터와 공기 발생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물받이 통(50)을 관상용 수족관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물받이 통(50)에는 고수위센서(50a)와 저수위센서(50b)가 설치되어 있어서 고수위센서(50a)와 저수위센서(50b)의 수위감지에 따라 제어수단(90)이 배출수단(60)의 솔레노이드 밸브(62)를 개폐하여 배수관(60b)을 통하여 물받이 통(50)의 물을 배수하거나 배수를 차단함으로써 물받이 통(50)의 물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관수수단(20)과 물분사수단(30)에서의 물분사로 물탱크(41) 내의 수위가 낮아져 저수위센서(41b)가 물탱크(41) 내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저수위센서(41b)가 제어수단(90)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제어수단(90)의 제어로 솔래노이드 밸브(61)가 닫힌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44)를 열어 물탱크(41) 내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수단(60)의 솔레노이드 밸브(61)는 물탱크(41) 내부의 청소 등 필요에 따라 물탱크(41) 내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의 조명을 위한 조명수단(80)은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램프(80a)로 이루어져 제어수단(90)과는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램프(80a)를 점등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시스템을 조명하거나, 제어수단(90)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에 연동시켜 램프(80a)를 선택적으로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건물의 벽에 빌트인(builtin) 상으로 설치하거나 이동이 가능한 단독의 조경물로 구성하는 등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은 이끼류를 수직 벽면에 부착시켜 벽면녹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의 조경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조성하여 거주자의 생활환경 개선에 의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관수 시스템의 도입으로 벽면에 부착되어 성장하는 식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 조경에 유용하게 채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 이끼류와 부착식물이 부착되어 성장하는 타공판(11)에 고착된 벽면 판상의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의 상부 선단부에 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내에 물을 흘려주는 관수수단(20)과; 상기 관수수단(20)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0)과; 이끼류와 부착식물에 물을 분사하여 주는 물분사수단(30)과; 상기 물분사수단(30)에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수중펌프(22)와; 상기 관수수단(20)과 물분사수단(30)으로 부터 토출되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물받이 통(50)과; 상기 물받이 통(50)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중 순환펌프(51)와; 상기 물받이 통(50)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물받이 통(50) 내의 바닥에 상기 이끼류와 부착식물을 식재하는 토탄(70)과; 상기 코코스 및 피트모스 판넬(10) 상단부 위에서 조명하는 조명수단(80) 및; 상기 관수수단(20)과 급수수단(40), 물분사수단(30), 수중펌프(22), 수중 순환펌프(51), 배출수단(60) 및 조명수단(8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40)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1)와, 상기 물탱크(41)에 연결되어 물탱크(4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2), 상기 급수관(42)에 설치되는 제 1필터수단(43)과 솔래노이드 밸브(44), 상기 물탱크(41)에 연결되어 상기 물분사수단(30)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45), 상기 물탱크(41) 측 배관(45)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제 2필터수단(46)과 분사용 진동펌프(47), 상기 물탱 크(41)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고수위센서(41a) 및 저수위센서(41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통(50)은 일측 내부면에는 고수위센서(50a) 및 저수위센서(50b)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중펌프(22) 및 수중 순환펌프(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全面)이 투명유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통(50)이 그 내부에 수중모터와 공기 발생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관상용 수족관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80)이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램프(8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383A KR100858994B1 (ko) | 2007-04-27 | 2007-04-27 |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383A KR100858994B1 (ko) | 2007-04-27 | 2007-04-27 |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8994B1 true KR100858994B1 (ko) | 2008-09-18 |
Family
ID=4002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1383A KR100858994B1 (ko) | 2007-04-27 | 2007-04-27 |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899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34777A2 (ko) * | 2009-05-22 | 2010-11-25 | Kim Jun-Seon |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
CN102894861A (zh) * | 2012-10-17 | 2013-01-30 | 董一郎 | 一种能够浇灌和升降的植物窗帘 |
KR20190120613A (ko) * | 2018-04-16 | 2019-10-24 | (주) 상림원 | 식물 재배장치 |
KR102089615B1 (ko) | 2019-10-10 | 2020-03-16 | 홍종현 | 공기정화 벽면 녹화 구조체 |
KR102455545B1 (ko) * | 2022-05-10 | 2022-10-1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이끼 단위체를 포함하는 포터블 공기청정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0160B1 (ko) | 1993-01-26 | 2000-06-01 | 김창수 |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
KR100377569B1 (ko) | 2000-12-20 | 2003-03-26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
EP1367334A1 (en) | 2002-05-31 | 2003-12-03 | University Of Guelph | Room air cleansing using hydroponic plants |
JP2007029076A (ja) | 2005-06-23 | 2007-02-08 | Mitsuharu Shimura | ミズゴケ複合体 |
-
2007
- 2007-04-27 KR KR1020070041383A patent/KR1008589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0160B1 (ko) | 1993-01-26 | 2000-06-01 | 김창수 |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
KR100377569B1 (ko) | 2000-12-20 | 2003-03-26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
EP1367334A1 (en) | 2002-05-31 | 2003-12-03 | University Of Guelph | Room air cleansing using hydroponic plants |
JP2007029076A (ja) | 2005-06-23 | 2007-02-08 | Mitsuharu Shimura | ミズゴケ複合体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34777A2 (ko) * | 2009-05-22 | 2010-11-25 | Kim Jun-Seon |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
WO2010134777A3 (ko) * | 2009-05-22 | 2011-05-12 | Kim Jun-Seon |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
CN102458095A (zh) * | 2009-05-22 | 2012-05-16 | 金准善 | 植生板、制作方法以及利用此方法的自然绿化系统 |
CN102458095B (zh) * | 2009-05-22 | 2014-10-08 | 金准善 | 植生板、制作方法以及利用此方法的自然绿化系统 |
CN102894861A (zh) * | 2012-10-17 | 2013-01-30 | 董一郎 | 一种能够浇灌和升降的植物窗帘 |
KR20190120613A (ko) * | 2018-04-16 | 2019-10-24 | (주) 상림원 | 식물 재배장치 |
KR102083078B1 (ko) * | 2018-04-16 | 2020-02-28 | (주) 상림원 | 식물 재배장치 |
KR102089615B1 (ko) | 2019-10-10 | 2020-03-16 | 홍종현 | 공기정화 벽면 녹화 구조체 |
KR102455545B1 (ko) * | 2022-05-10 | 2022-10-1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이끼 단위체를 포함하는 포터블 공기청정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8993B1 (ko) |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 |
KR102137860B1 (ko) |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 |
KR100785930B1 (ko) |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 |
KR100960340B1 (ko) | 식물 재배장치 | |
KR100858994B1 (ko) |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
KR101893196B1 (ko) |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 |
KR101466179B1 (ko) |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 |
KR100933624B1 (ko) | 양액 재배장치 | |
KR101176434B1 (ko) | 어항을 구비한 화분 | |
KR102102289B1 (ko) | 식생포트를 이용한 벽면 녹화장치 | |
WO201610522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 device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nd a special plant pot | |
JP2020191821A (ja) | 動植物共生観賞用鉢 | |
CN206776513U (zh) | 一种新型整体式鱼缸植物墙 | |
KR101747926B1 (ko) | 개비온을 이용한 조형물 | |
KR20190014200A (ko) | 벽면 정원 겸용 수족관 | |
KR200367594Y1 (ko) | 어항을 갖는 수경재배 화분 | |
KR200416056Y1 (ko) | 난 인큐베이터 | |
KR200363412Y1 (ko) | 화초 및 수족관을 구비한 실내조경물 | |
CN205755799U (zh) | 花卉架 | |
JP2554820Y2 (ja) | 観賞用鉢物植物への自動底面灌水装置 | |
KR100538042B1 (ko) | 실내 조경용 바닥환경 조성장치 | |
KR200346834Y1 (ko) | 조립식 화단의 급수장치 | |
JP3227028U (ja) | 鑑賞用植物ショーケース | |
KR102229646B1 (ko)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
KR200424238Y1 (ko) | 실내조경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