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10Y1 -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 Google Patents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10Y1
KR200333710Y1 KR20-2003-0028343U KR20030028343U KR200333710Y1 KR 200333710 Y1 KR200333710 Y1 KR 200333710Y1 KR 20030028343 U KR20030028343 U KR 20030028343U KR 200333710 Y1 KR200333710 Y1 KR 200333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rface
core
coil
seating groove
horizon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택
Original Assignee
한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택 filed Critical 한희택
Priority to KR20-2003-0028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72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magnetic components, e.g. magnets, magnetic strips, metallic inse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자석락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코어의 상부 단면적을 넓게 하고, 상기 이-코어를 다단으로 적층함과 아울러 보빈을 제거한 코일을 코일삽입홈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코어의 일측에 리드스위치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엑폭시로 외면을 코팅하도록 하는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및 전기자석락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하부에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 사이로 제2수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 사이로 코일안착홈이 형성되어진 이-코어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면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보다 2.2∼2.4배 더 넓고, 상기 수평부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보다 1.2∼1.3배 더 넓은 것이다. 또한, 하부에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 사이로 제2수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 사이로 코일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직면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보다 2.2∼2.4배 더 넓고, 하부면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보다 1.2∼1.3배 더 넓은 이-코어를 다단으로 적층한 락바디와, 상기 락바디의 코일안착홈에 결합되어진 코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E-core and electromagnetic lock utilizing thereof}
본 고안은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단면적은 넓어진 반면 크기는 축소되도록 이-코어의 형상을 개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자석락을 구성하도록 하는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석락은 방화문, 철재문 및 강화유리문 등의 출입문의 프레임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자석락에 대응되는 아마추어 스트라이트를 출입문에 부착하여 전기의 통전 또는 단전에 의해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기자석락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이(E)-코어와 상기 이-코어의 코일 안착홈에 결합되는 코일이 감겨지는 보빈으로 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이-코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코어(1)는 하부에 수평부(1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a)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1b) 사이로 제2수직면(1c)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1b)과 제2수직면(1c) 사이로 코일안착홈(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1수직면(1b)과 제2수직면(1c)의 폭은 각각 1:2비율로 이루어지고, 수평부(1a)와 제1수직면(1b)은 1:1 비율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에 따른 이-코어가 사용된 전자도어락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석락은 이-코어(1)와, 상기 이-코어(1)의 코일안착홈(1d)에 삽입된 외주면에 코일(2a)이 권선된 보빈(2)과, 상기 이-코어(1)의 일측에 설치되어진 리드스위치(3)가 하우징(4)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자석락은 이-코어(1)를 다단으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보빈(2)에 코일(2a)을 권선하고, 이를 코일안착홈(1d)에 삽입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이 이-코어(1)에 코일(2a)이 권선된 보빈(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외면을 에폭시로 코팅하고, 일측에 리드스위치(3)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자석락은 이-코어(1)의 상부 단면적이 코일(2a)이 권선되어진 보빈(2)의 부피 만큼 적어져 파지력(Holding force)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자석락의 파지력은 코일의 권선수, 공급되는 전류, 이-코어의 상부단면적에 의해 비례하게 되는데 코일의 권선수와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였을때에는 이-코어의 상부 단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파지력을 높이는 방법인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석락은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 스위치(3)가 에폭시로 코팅되어진 이-코어(1) 및 코일(2a)과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분리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자석락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코어의 상부 단면적을 넓게 하고, 상기 이-코어를 다단으로 적층함과 아울러 보빈을 제거한 코일을 코일삽입홈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코어의 일측에 리드스위치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엑폭시로 외면을 코팅하도록 하는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이-코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이-코어가 사용된 전자도어락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이-코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석락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석락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전기자석락이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석락 제조공정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기자석락 10: 코어
11: 수평부 12: 제1수직면
13: 제2수직면 14: 코일안착홈
15: 단면적 확대부 20: 락바디
30: 코일
40: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 사이로 제2수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 사이로 코일안착홈이 형성되어진 이-코어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면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보다 2.2∼2.4배 더 넓고, 상기 수평부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보다 1.2∼1.3배 더 넓은 것이다.
또한, 상기 이-코어의 코일안착홈의 상부에는 제1,2수직면에서 연장되어진 단면적 확대부가 더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단면적 확대부의 형상은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하부에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 사이로 제2수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과 제2수직면 사이로 코일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직면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보다 2.2∼2.4배 더 넓고, 하부면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보다 1.2∼1.3배 더 넓은 이-코어를 다단으로 적층한 락바디와, 상기 락바디의 코일안착홈에 결합되어진 코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이-코어의 코일안착홈의 상부에는 제1,2수직면에서 연장되어진단면적 확대부가 더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락바디의 일측면에 일체로 엑폭시 코팅처리된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가 더 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코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코어(10)는 하부에 수평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12) 사이로 제2수직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12)과 제2수직면(13) 사이로 코일안착홈(14)이 형성되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의 이-코어(10)는 상기 제2수직면(13)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12) 보다 2.2∼2.4배 더 넓고, 상기 수평부(11)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12)보다 1.2∼1.3배 더 넓은 것이다.
또한, 상기 이-코어(10)의 코일안착홈(14)의 상부에는 제1,2수직면(12)(13)에서 연장되어진 단면적 확대부(15)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면적 확대부(15)의 형상은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이-코어(10)는 단면적을 종래에 비해 확대하여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코어(10)는 규소강판 재질의 최상급인 G11으로 이루어진 것이가장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자석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석락(100)은 하부에 수평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12) 사이로 제2수직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12)과 제2수직면(13) 사이로 코일안착홈(14)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직면(13)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12)보다 2.2∼2.4배 더 넓고, 하부면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12)보다 1.2∼1.3배 더 넓은 이코어(10)를 다단으로 적층한 락바디(20)와, 상기 락바디(20)의 코일안착홈(14)에 결합되어진 코일(30)과, 상기 락바디(20)의 일측면에 일체로 엑폭시 코팅처리된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4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코어(10)의 코일안착홈(14)의 상부에는 제1,2수직면(12)(13)에서 연장되어진 단면적 확대부(15)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면적 확대부(15)의 형상은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30)은 코일 권선지그(미도시)에서 권선시킨 후에 분리하여 상기 코일안착홈(14)에 결합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전기자석락이 출입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석락은 출입문의 프레임(200) 상단부에 설치되고, 개폐되는 출입문(210)의 상단에는 아마추어 스트라이트(220)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전기자석락(100)과 아마추어 스트라이트(220)를 설치하고, 출입문(210)을 닫은 상태에서 코일(30)에 전원을 통전하게 되면 코일(3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기자석락(100)은 전자석이 되면서 아마추어 스트라이트(220)와 강한 인력으로 결합하여 출입문을 잠그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의 전원을 단전하게 되면 전기자석락(100)과 아마추어 스트라이트(220) 사이에는 인력이 제거되며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자석락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은 이-코어(10)를 프레싱하는 공정이다.
상기의 이-코어(10)는 하부에 수평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12) 사이로 제2수직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12)과 제2수직면(13) 사이로 코일안착홈(14)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직면(13)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12)보다 2.2∼2.4배 더 넓고, 하부면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12)보다 1.2∼1.3배 더 넓은 것이다.
제2공정은 프레싱된 이-코어(10)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공정이다.
상기의 이-코어(10)을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지그를 사용하여 적층하도록 한다.
제3공정은 코일 권선지그에 코일(30)을 권선하는 공정이다.
상기의 코일 권선지그(미도시)는 종래의 보빈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권선된 코일(30)이 잘 빠질도록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제4공정은 이-코어(10)의 코일안착홈(14)에 코일을 삽입시키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권선된 코일(30)을 권선지그에서 분리한 후 이를 다단으로 적층된 이-코어(10)의 코일 안착홈(14)에 삽입시키는 공정이다.
즉, 락바디(20)의 코일안착홈(14)에 종래의 보빈을 제거한 상태로 코일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제5공정은 락바디(20)의 일측에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40)를 설치하는 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이-코어(10)의 일측에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40)를 설치하게 된다.
제6공정은 락바디(20)의 외면을 코팅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락바디(20)와 코일(30)을 에폭시수지로 코일안착홈(14) 및 외면을 코팅하는 공정이며, 이때 상기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40)도 일체로 코팅되어진다.
제7공정은 락바디(20)의 상면을 기계가공하여 표면의 에폭시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코팅 과정중에서 락바디(20)의 상면, 즉,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아마추어 스트라이트(220)와 접면되는 부위를 기계가공으로 연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이-코어의 상부 단면적을 넓게 하고, 상기 이-코어를 다단으로 적층함과 아울러 보빈을 제거한 코일을 코일삽입홈에안착시킴으로서, 전기자석락의 파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락바디의 일측에 리드스위치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엑폭시로 외면을 코팅하도록 리드스위치를 일체화함으로서, 제조가 쉽고 내구성도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6)

  1. 하부에 수평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12) 사이로 제2수직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12)과 제2수직면(13) 사이로 코일안착홈(14)이 형성되어진 이-코어(10)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면(13)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12)보다 2.2∼2.4배 더 넓고, 상기 수평부(11)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12)보다 1.2∼1.3배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코어(10)의 코일안착홈(14)의 상부에는 제1,2수직면에서 연장되어진 단면적 확대부(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적 확대부(15)의 형상은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코어
  4. 하부에 수평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의 상면 양측으로 제1수직면(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면(12) 사이로 제2수직면(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면(12)과 제2수직면(13) 사이로 코일안착홈(14)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직면(13)의 좌,우 폭은 제1수직면(12)보다 2.2∼2.4배 더 넓고, 하부면의 상,하폭은 제1수직면(12)보다 1.2∼1.3배 더 넓은 이-코어(10)를 다단으로 적층한 락바디(20)와,
    상기 락바디(20)의 코일안착홈(14)에 결합되어진 코일(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석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코어(10)의 코일안착홈(14)의 상부에는 제1,2수직면(12)(13)에서 연장되어진 단면적 확대부(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석락.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바디(20)의 일측면에 일체로 엑폭시 코팅처리된 전원 온/오프 확인 센서용 리드스위치(4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석락.
KR20-2003-0028343U 2003-09-03 2003-09-03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KR200333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43U KR200333710Y1 (ko) 2003-09-03 2003-09-03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343U KR200333710Y1 (ko) 2003-09-03 2003-09-03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363A Division KR20050023835A (ko) 2003-09-03 2003-09-03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및 전기자석락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10Y1 true KR200333710Y1 (ko) 2003-12-18

Family

ID=4941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343U KR200333710Y1 (ko) 2003-09-03 2003-09-03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47B1 (ko) 2006-07-28 2008-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변형 건식벽체
KR101760650B1 (ko) 2016-12-23 2017-08-04 주식회사 케이앤엠 내환경 구조를 갖는 공기압축기용 시스템 제어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47B1 (ko) 2006-07-28 2008-1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변형 건식벽체
KR101760650B1 (ko) 2016-12-23 2017-08-04 주식회사 케이앤엠 내환경 구조를 갖는 공기압축기용 시스템 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1958B2 (en) Electric machine with interior permanent magnets
TW200631238A (en) Antenna, watch provided with the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ntenna
WO2009001848A1 (ja) マイクロリレー
JP2007123928A (ja) 変圧器などの磁気組立体
KR20090061606A (ko) 전자기적으로 최적화된 구성으로 v자형으로 배열된영구자석을 갖는 전자기 액추에이터
KR200333710Y1 (ko)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CA2516253A1 (en) Torque motor
KR20050023835A (ko) 이-코어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석락 및 전기자석락의제조방법
US6701606B2 (en) Method for forming an AC electromagnet lamination assembly incorporating shading coil
JP5200333B2 (ja) 電動機の回転子製造方法および回転子
US20060082240A1 (en) Stator laminated plates of an enclosed type motor
JP4745543B2 (ja) 磁芯およびコイル部品
JP2613904B2 (ja) 有極電磁石
JPH11191352A (ja) 電磁石
JP2005519465A (ja) 制御された誘引力を用いた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804426B2 (ja) 電磁安全弁
JP4616028B2 (ja) 回転子の製造装置及び回転子の製造方法
JPH04363003A (ja) 交直両用電磁石
JP5370227B2 (ja) 有極電磁石
JP5008803B2 (ja) コイル部品
JP2001008427A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S62287606A (ja) 交流電磁石
JPH0298905A (ja) ソレノイド用ステータ
EP1037252A3 (en) Energy filter
KR100308281B1 (ko) 리니어모터의코어적층체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