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15Y1 -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3415Y1 KR200333415Y1 KR20-2003-0025017U KR20030025017U KR200333415Y1 KR 200333415 Y1 KR200333415 Y1 KR 200333415Y1 KR 20030025017 U KR20030025017 U KR 20030025017U KR 200333415 Y1 KR200333415 Y1 KR 2003334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plate
- anchor bolt
- bridge
- tapered portion
- dam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에바조트 공법으로 시행되는 철도교량의 노면에 돌출된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양측에 일정한 기울기을 갖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앵커볼트 고정공의 내경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앵커볼트 머리 수납부를 형성함으로, 작업차량의 구동륜이나 침목, 레일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충돌을 테이퍼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앵커볼트가 커버 플레이트로 수납되기 때문에 앵커볼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괘광작업을 진행 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도교량과 교량의 연결에 채택되는 에바죠트 조인트공법에 사용되는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과 교량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재(에바조트)가 자갈이나 그외의 이물질로 부터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연계작업시 다른 설비장치나 혹은 작업부재들과의 충돌에 의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에바조트 공법에 사용되는 커버 플레이트는 신축이음재(에바조트;40)를 자갈(10)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교량과 교량사이에 설치된 신축이음재의 상부에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기한 커버 플레이트는 교량과 교량사이에 설치되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에바조트 공법용 앵커볼트(20)로 완충용 고무패드(30)와 함께 교량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교량은 일반적으로 구체 콘크리트(50)로 시공되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해 앵커볼트(20)이 사용된다.
여기서, 에바조트 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 교량공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철도교량과 철도교량을 맞댄후 교량사이에 신축이음재를 설치시공하고, 커버 플레이트를 앵커볼트로 고정한후 철도를 시공하기 위하여 침목과, 철도레일을 교량위로 슈퍼빅모타카(Mortor Car Super Big Type)나 기타 작업장비(포크리프트, 불도우져)등에 의해 체인등으로 끌고 오게 된다.
그리고, 설치된 간격만큼 침목과 레일을 배치한 후 괘광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괘광작업이란, 침목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후, 침목위에 철도레일을 그 위에 설치하여 레일과 레일을 용접하여, 침목과 레일을 클리퍼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교량에 자갈을 살포하는 자갈호퍼차량이 작업하게 되고, 이후에 자갈을 침목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도상을 형성하는 밸러스트 콤팩터(Ballast Compacter)로 도상다짐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멀티플타이탬퍼(Multiple TieTamper)로 침목다짐과, 줄/면맞춤까지의 작업을 괘강작업이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괘광작업중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목과 철도레일등을 작업차량으로 끌고 오기때문에 철도교량의 노면에 돌출되어 있는 커버 플레이트와 충돌을 일으켜 커버 플레이트를 파손 시킬뿐만 아니라, 원만하게 침목과 철도레일을 끌고 올수 없기 때문에 괘광작업을 지연시켜 공사일정에 큰 차질을 일으켰다.
그리고, 앵커볼트가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앵커 볼트의 머리가 작업차량의 구동륜에 걸려 파손되었으며, 또한, 괘광작업으로 침목과 레일등을 이송할때 역시 돌출된 앵커볼트의 머리부분과 충돌을 발생시켰기 때문에 작업의 지연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괘광작업시 발생되는 침목과 철도레일등을 끌고 올때 교량의 노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와의 충돌을 완화시켜 커버 플레이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갈 20 : 앵커볼트
30 : 완충용 고무패드 40 : 신축이음재(에바조트)
50 : 구체콘크리트 100 : 커버 플레이트
110 : 테이퍼부 120 : 앵커볼트 머리 수납부
130 : 고정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교량의 노면에 돌출된 커버 플레이트의 차량의 진행방향 양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며, 또한, 커버 플레이트를 교량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가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앵커볼트의 머리가 수납되는 구조에 의하여 작업시 작업차량이나 침목과 레일과 충돌을 완화 시키는 구조를 갖는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도출된다.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의 구조는 에바조트 공법으로 시행되는 철도교량의 노면에 돌출된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양측에 일정한 기울기을 갖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앵커볼트 고정공의 내경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구조를 형성함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한 설명이 추가되나 당업자에게는 본 고안이 이들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명백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된 특징부 내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본 고안의 개시를 불필요하게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100)는 작업차량의 진행방향 양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부(110)가 형성된다. 상기한 기울기는 커버 플레이트(100)의 최종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상향하는 15도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각도가 0~10도의 경우 최종단에서 커버 플레이트까지의 테이퍼부(110)를 길게 형성하여 커버 플레이트(100)의 내구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경사각도가 20도 이상일 경우 경사각이 높아져 테이퍼부(110)의 소기의 목적 즉, 작업차량의 구동륜이나 침목, 레일등을 미끄러지게 하지 못하여 테이퍼부(110)를 가격하여 충격을 받게된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앵커볼트 고정공(130)의 내경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앵커볼트 머리 수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공(130)의 구조에 의해 앵커볼트가 커버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돌출 되지 않기 때문에 앵커볼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로인해 괘광작업의 지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커버 플레이트는 양측으로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작업차량의 구동륜이나 침목, 레일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충돌을 테이퍼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앵커볼트가 커버 플레이트로 수납되기 때문에 앵커볼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괘광작업을 진행 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
- 에바조트 공법으로 시행되는 철도교량의 노면에 돌출된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양측에 일정한 기울기을 갖는 테이퍼부(110)가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앵커볼트 고정공(130)의 내경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앵커볼트 머리 수납부(1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017U KR200333415Y1 (ko) | 2003-08-02 | 2003-08-02 |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017U KR200333415Y1 (ko) | 2003-08-02 | 2003-08-02 |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3415Y1 true KR200333415Y1 (ko) | 2003-11-14 |
Family
ID=4941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5017U KR200333415Y1 (ko) | 2003-08-02 | 2003-08-02 |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3415Y1 (ko) |
-
2003
- 2003-08-02 KR KR20-2003-0025017U patent/KR2003334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13518A (en) | Railroad cross tie and track continuity detector systems | |
MXPA05005891A (es) | Un ensamble de abrasion para soportar durmientes de vias de ferrocarril relacionados. | |
JP4618735B2 (ja) | 自動車道路の高架橋の路版側端部の老朽化した壁高欄の改良方法 | |
KR20120039429A (ko) |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 |
KR101670587B1 (ko) |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 |
KR200333415Y1 (ko) | 에바조트 공법의 충돌 완화용 커버 플레이트 | |
CN211395350U (zh) | 一种便于施工及维护的梁伸缩缝结构 | |
US6517008B1 (en) | Boltless adjustable rail brace assembly with external vertical restraint | |
KR101272472B1 (ko) |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 |
JP2925990B2 (ja) | バラスト軌道強化構造 | |
KR100757228B1 (ko) | 철도궤도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철도궤도용 방음 및 방진매트 | |
KR100843321B1 (ko) | 궤도 방진장치 | |
KR20140109039A (ko) |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의 설치방법 | |
JPH09273102A (ja) | まくらぎ | |
JP4094526B2 (ja) | 砕石道床用まくらぎ | |
US6568601B2 (en) | Boltless adjustable rail brace assembly with internal vertical restraint | |
JP4937175B2 (ja) | 車両ガード装置 | |
CN221276222U (zh) | 一种便于施工的铁路道口板 | |
KR200312651Y1 (ko) | 철도 궤도 방진 방음 체결장치용 와셔 볼트 | |
JP2006112215A (ja) | 安全レール装置 | |
CN217517275U (zh) | 一种下穿既有铁路的公路结构 | |
KR200342625Y1 (ko) | 강성이 강화된 볼트 | |
JP2859188B2 (ja) | まくらぎの弾性支承具 | |
JP3936950B2 (ja) |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 |
KR102457140B1 (ko) |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