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140B1 -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140B1
KR102457140B1 KR1020210071024A KR20210071024A KR102457140B1 KR 102457140 B1 KR102457140 B1 KR 102457140B1 KR 1020210071024 A KR1020210071024 A KR 1020210071024A KR 20210071024 A KR20210071024 A KR 20210071024A KR 102457140 B1 KR102457140 B1 KR 10245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leeper
underplate
segmented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용
Original Assignee
오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용 filed Critical 오병용
Priority to KR102021007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8Longitudinal sleepers; Longitudinal sleepers integral or combined with tie-rods; Combin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leepers; Layers of concrete supporting both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01B29/09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 E01B29/10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for inserting or removing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2Special sleepers for switches or crossings; Faste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8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plastic or elastic deformation of fasten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부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분절형침목유닛, 하부면에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의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끼움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유닛, 레일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의 충격하중을 완화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SEGMENTED SLEEPERS ASSEMBLY FOR RAILROADS AND TURNOU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개시된 내용은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차 운행시 콘크리트도상(concrete ballast)은 레일 및 침목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포시키고 노반에 전달하여 하중을 감소시키고, 온도 변화에 의한 레일 신축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침목 이동을 콘크리트도상 저항력으로 막아 방지하며,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종래 터널 구간의 콘크리트도상의 침목형 분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 침목형 콘크리트도상은 내부에 방진패드(21)가 삽입된 방진상자(22)에 감싸져 콘크리트도상 속에 매립되는 목침목(40)과, 목침목에 나사스파이크(23)를 통해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60)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얹혀지는 레일을 고정하는 코일스프링클립(2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콘크리트도상의 목침목은 재료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되거나 갈라지기 때문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고, 방진상자와 방진패드도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특히 중량의 열차 운행으로 인해 압착되거나 마모 또는 파손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침목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에서 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와 상대적으로 긴 침목의 길이 및 두꺼운 침목의 두께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작업이 난해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40816호(2021.4.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목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분절형침목유닛과 침목의 두께 방향으로 분절형침목유닛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에서 용이하게 침목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결합유닛으로 분절형침목유닛과 상판과의 이격을 줄이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는 상부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분절형침목유닛, 하부면에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의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끼움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유닛, 레일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의 충격하중을 완화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의 상부 표면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엠보 형태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기존 침목형 분기기의 침목과 레일체결장치를 상기 레일로부터 철거하는 철거단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상기 콘크리트도상의 홈부에 설치하는 분절형침목설치단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에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을 끼움결합하는 언더플레이트결합단계, 상기 상판과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에 탄성부를 설치하는 탄성부설치단계,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홈부 사이의 빈공간에 초속경몰탈을 타설하는 몰탈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분리된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에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분절형침목설치단계에서 상기 홈부와 상기 레일 사이의 작업공간을 넓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은, 제1 몸체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분절형침목설치단계는, 상기 제1 본체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제2 본체유닛을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끼움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본체유닛의 하부면,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의 측면, 상기 탄성부의 측면, 및 상기 상판의 상부면을 둘러싸 상기 제1 본체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본체유닛의 하부면,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의 측면, 상기 탄성부의 측면, 및 상기 상판의 상부면을 둘러싸 상기 제2 본체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탄성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설치단계 후 상기 몰탈단계 전에 상기 분절형침목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밴드결합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결합단계는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상판 사이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은 상기 몰탈단계 후 외부에 노출된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제거하는 밴드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은, 양쪽 측면에 위치되며, 일측에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1,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중앙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앙부와 분리된 제2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측면부와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은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설치단계 후 상기 몰탈단계 전에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결합하는 체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단계는 상기 곡면부가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와 접하도록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와 끼움결합하여, 상기 상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은 각각 제1 홀을 포함하며, 상기 몰탈단계는 상기 제1 홀을 통해 충진재를 주입하는 제1 충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진단계는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탈단계는 상기 탄성부설치단계 후 상기 몰탈단계 전에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을 관통하는 제2 홀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홀을 통해 충진재를 주입하는 제2 충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충진단계는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침목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분절형침목유닛과 침목의 두께 방향으로 분절형침목유닛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에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침목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침목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분절형침목유닛과 침목의 두께 방향으로 분절형침목유닛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에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침목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닛 및 제2 본체유닛의 상부 표면에 있는 요철은 언더플레이트유닛과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상판과 결합된 레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언더플레이트유닛이 분리되어 있어 언더플레이트유닛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좁은 홈부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유닛의 제1, 제2 결합부는 분절형침목유닛과 상판, 탄성부, 및 언더플레이트유닛의 결합을 강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 결합부분의 처짐이나 분절형침목유닛과 상판, 탄성부, 및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의 이격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체결구의 곡면부와 언더플레이트유닛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서로 접하는 끼움결합을 하여 레일과 결합되는 상판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충진재를 제1 홀 또는 제2 홀을 통해 충진함으로써 분절형침목유닛과 상판, 탄성부, 및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의 이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의 교번 철거 및 개략 시공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의 분절형침목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1 본체유닛과 제2 본체유닛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a) 및 도 6의 CC 단면도(b).
도 8은 도 1의 언더플레이트유닛의 AA에 대한 분리단면도.
도 9는 도 1의 언더플레이트유닛의 평면도(a) 및 BB 단면도(b).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몰탈된 상태의 도 1의 AA단면도.
도 1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몰탈된 상태의 도 1의 개략 평면도(a) 및 도 1의 BB 단면도(b).
도 1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제1 홀, 제2 홀, 및 빈공간이 도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제1, 제2 홀, 및 빈공간이 충진재로 충진되고 몰탈된 상태도.
도 14는 종래 콘크리트도상의 침목형 분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14는 종래 콘크리트도상(20)의 침목(10)형 분기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에 관한 것으로, 분기기의 침목(10) 교체에 있어서 침목(10)이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절형침목유닛(100)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도 분리되어 침목(10)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콘크리트도상(concrete ballast)(20)의 좁은 홈부(30)에서 용이하게 침목(10) 교체 작업이 수행될 수 있고, 제1, 제2 결합부(410, 420)가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켜 상판(60)과 분절형침목유닛(100) 사이의 빈공간(90)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는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결합유닛(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는 상부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분절형침목유닛(100), 하부면에 분절형침목유닛(100)의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고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끼움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레일(50)과 결합되는 상판(60)과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에 위치되어 레일(50)의 충격하중을 완화시키는 탄성부(3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절형침목유닛(100)은 철도 분기기에 사용되는 침목(10)으로서, 침목(10)의 길이 방향으로는 후술하는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침목(10)의 두께 방향으로는 후술하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 분리되어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 침목(10)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본체유닛(110), 제2 본체유닛(120), 및 엠보 형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은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분리되어 있어 교체되는 침목(10)의 두께 방향의 길이를 줄여 콘크리트도상(20)의 홈부(30) 바닥과 레일(50)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분절형침목유닛(100)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은 하부면에 분절형침목유닛(100) 상부 표면의 요철에 대응되는 요철을 포함하여 분절형침목유닛(100)이 설치된 후 분절형침목유닛(100)의 상부면과 끼움결합되어 상판(60)에 결합된 레일(5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제2 측면부(210,240), 제1, 제2 중앙부(220, 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탄성부(300)는 레일(50)과 결합되는 상판(60)과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탄성의 성질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며 레일(50)의 충격하중이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고, 상판(60)과 분절형침목유닛(100) 사이의 이격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결합부(410), 제2 결합부(420), 및 체결구(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분절형침목유닛(100)에 결합하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 탄성부(300) 및 결합유닛(400)에 관한 것으로, 분리된 분절형침목유닛(1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사용하고, 결합유닛(400)을 이용하여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고, 상판(60)과 분절형침목유닛(100) 사이의 이격을 제거하여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 용이하게 침목(10) 교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의 교번 철거 및 개략 시공도이며,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의 분절형침목유닛(1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a) 및 도 6의 CC 단면도(b)이며, 도 8은 도 1의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AA에 대한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평면도(a) 및 BB 단면도(b)이며,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몰탈(70)된 상태의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1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몰탈(70)된 상태의 도 1의 개략 평면도(a) 및 도 1의 BB 단면도(b)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는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결합유닛(4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결합유닛(4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거단계(S1), 분절형침목설치단계(S2), 언더플레이트결합단계(S3), 탄성부설치단계(S4), 밴드결합단계(S5), 체결단계(S6), 제1 충진단계(S7), 제2 충진단계(S8), 몰탈단계(S9), 밴드제거단계(S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도상(20)에 설치된 기존 침목(10)형 분기기의 침목(10)과 레일체결장치를 레일(50)로부터 철거하는 철거단계(S1 단계), 분절형침목유닛(100)을 콘크리트도상(20)의 홈부(30)에 설치하는 분절형침목설치단계(S2 단계), 분절형침목유닛(100)에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끼움결합하는 언더플레이트결합단계(S3 단계), 상판(60)과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에 탄성부(300)를 설치하는 탄성부설치단계(S4 단계), 및 분절형침목유닛(100)과 홈부(30) 사이의 빈공간에 초속경몰탈(70)을 타설하는 몰탈단계(S9 단계)를 포함하며, 분절형침목유닛(100)을 설치한 후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분절형침목유닛(100)에 끼움결합함으로써 분절형침목설치단계에서 홈부(30)와 레일(50) 사이의 작업공간을 넓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절형침목유닛(100)은, 제1 몸체(111)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몸체(121)를 포함하고 제1 본체유닛(110)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120)을 포함하고,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며, 분절형침목설치단계는, 제1 본체유닛(110)을 설치한 후 제2 본체유닛(120)을 제1 본체유닛(110)과 끼움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분절형침목유닛(100)의 상부 표면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130)를 포함하며, 엠보 형태(130)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S1) 단계는 기존에 설치된 침목(10)과 레일체결장치를 레일(50)로부터 철거하는 철거단계이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 단계는 정상적인 열차의 운행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에 설치된 목침목(10) 및 레일체결장치를 일괄적으로 철거하지 않고 하나씩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철거할 수 있다.
일례로, 정상적인 열차의 운행을 유지하기 위해 철거하고자 하는 목침목(10)과 인접된 철거대상이 아닌 목침목(10)의 코일스프링클립(24)을 해체하고, 유압잭(미도시)을 이용하여 레일(50)을 상승시켜 철거하고자 하는 목침목(10)을 레일(50)과 함께 인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철거하고자 하는 목침목(10)은 레일(50)과 코일스프링클립(24)을 통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50)이 상승되면 레일(50)과 함께 상승되어 인발될 수 있다. 일례로, 철거하고자 하는 목침목(10)이 인발되면 유압잭이 제거되더라도 목침목(10)이 하강하지 않도록 목침목(10) 밑에 철재 바(bar, 미도시)를 걸쳐 놓은 상태에서 기계톱 및 핸드 브레이커 등의 공구를 이용해 목침목(10)을 절단 파쇄한 후 레일체결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본 단계는 철거하고자 하는 목침목(10)이 철거되면 유압잭 및 철재 바를 제거한 후 레일(50)을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킨 후, 정상적인 열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레일(50)의 하부에 철거된 목침목(10)을 대신하는 가받침(전용잭)(5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일례로, 본 단계는 기존에 설치된 목침목(10)과 레일체결장치를 철거하기 전에 기존에 설치된 침목형 분기기에 대한 궤도틀림 검사 및 정정작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 단계는 (S1) 단계에서 철거된 침목(10)의 콘크리트도상(20)의 홈부(30) 자리에 분절형침목유닛(100)을 설치하는 분절형침목설치단계다. 본 단계는 후술하는 제1 본체유닛(110)을 설치한 후 후술하는 제2 본체유닛(120)을 제1 본체유닛(110)과 끼움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침목(10)을 설치할 수 있다.
분절형침목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 및 엠보 형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닛(110)은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2개로 분리된 침목(10)의 한쪽 침목(1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몸체(111)와 엠보 형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의 제1 몸체(111)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은 제1 몸체(111)의 위와 아래로 철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유닛(120)은 제1 본체유닛(110)과 분리된 것으로,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는 2개로 분리된 침목(10)의 다른 한쪽 침목(1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본체유닛(120)은 제1 본체유닛(110)과 결합하여 완성된 하나의 침목(10)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본체유닛(120)의 제2 몸체(121)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본체유닛(120)은 제2 몸체(121)의 위와 아래로 철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은 결합되는 부분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의 제2 본체유닛(120)과 결합되는 부분이 볼록부(280)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본체유닛(120)의 제1 본체유닛(110)과 결합되는 부분은 제1 본체유닛(110)의 볼록부(280)분에 끼움결합이 될 수 있는 오목부(270)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이 결합되는 부분은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일례로, S자 형태에서 상하 형태의 한쪽 형태는 반원 형태이거나 이심률이 큰 반타원 형태일 수 있다. 이심률이 큰 반타원 형태일수록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은 강한 끼움결합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이 강하게 결합할수록 레일(50)이 결합되는 상판(60)과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본체유닛(12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이격이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S자 형태의 상하 형태는 대칭일 수 있으나, 상하 형태의 한쪽 형태가 다른 한쪽 형태보다 이심률이 큰 반타원 형태를 포함하여 대칭이 아닐 수도 있다.
도 6 또는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분절형침목유닛(100)의 철도 레일(50)이 놓여 지는 방향인 상부 표면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본체유닛(120)의 상부 표면의 요철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엠보 형태(130)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각기둥이나 팔각기둥 등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본체유닛(120)의 상부 표면에 위치되는 요철은 규칙적이지 않은 엠보 형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본체유닛(120)의 상부 표면에 위치되는 요철은 타원기둥과 다각기둥이 섞여서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간격도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본체유닛(120)의 상부 표면에 있는 요철은 레일(50)이 결합되는 상판(60) 하부에 레일(50)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있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레일(5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S3) 단계는 (S2) 단계 후 분절형침목유닛(100)에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끼움결합하는 언더플레이트결합단계이다. 본 단계는 분절형침목유닛(100)을 설치한 후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분절형침목유닛(100)에 끼움결합함으로써 (S2) 단계에서 홈부와 레일(50) 사이의 작업공간을 넓혀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설치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측면부(210, 240), 및 제1, 제2 중앙부(220, 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측면부(210)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일측에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목부(270)와 볼록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부(220)는 일단은 제1 측면부(210)와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제2 중앙부(250)와 결합되는 것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제1 측면부(210)와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측면부(240)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타측에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목부(270)와 볼록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부(250)는 일단은 제2 측면부(24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중앙부(2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제2 측면부(240) 및 제1 중앙부(220)와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2 측면부(240)와 제2 중앙부(250)는 제1 측면부(210) 및 제1 중앙부(220)와 각각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 중앙부(220)는 제1 측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중앙부(250)는 제2 측면부(2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측면부(210)와 제1 중앙부(220)의 결합된 형태는 제1 본체유닛(110)과 대응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측면부(210)와 제1 중앙부(220)의 결합된 부분의 길이가 제1 본체유닛(110)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2 측면부(240)와 제2 중앙부(250)의 결합된 형태는 제2 본체유닛(120)과 대응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측면부(240)와 제2 중앙부(250)의 결합된 부분의 길이가 제2 본체유닛(120)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S4) 단계는 상판(60)과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에 탄성부(300)를 설치하는 탄성부설치단계다. 본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의 성질을 갖는 탄성부(300)를 설치하여 레일(50)의 충격하중이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고 상판(60)과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마찰에 따른 마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결합유닛(400)은,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본체유닛(110)의 하부면,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측면, 탄성부(300)의 측면, 및 상판(60)의 상부면을 둘러싸 제1 본체유닛(11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410), 및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제2 본체유닛(120)의 하부면,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측면, 탄성부(300)의 측면, 및 상판(60)의 상부면을 둘러싸 제2 본체유닛(12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420)를 포함하며, 탄성을 포함하는 제1, 제2 결합부(410, 420)를 이용하여 탄성부설치단계 후 몰탈단계 전에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는 밴드결합단계(S5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밴드결합단계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사이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S5) 단계는 (S4) 단계 후에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후술하는 제1, 제2 결합부(410, 42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밴드결합단계이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 단계는 탄성 재질을 갖는 밴드 형태의 제1, 제2 결합부(410, 420)를 이용하여 분절형침목유닛(1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묶는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는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본체유닛(110)의 하부면,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측면, 탄성부(300)의 측면, 및 상판(60)의 상부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제1 본체유닛(11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결합부(410)의 위치는 제1 본체유닛(110)의 길이에 따라 상판(60)과 제1 본체유닛(110) 사이의 이격이 최소화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0)는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본체유닛(120)의 하부면,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측면, 탄성부(300)의 측면, 및 상판(60)의 상부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제2 본체유닛(12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탄성부(300), 및 상판(6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결합부(420)의 위치는 제2 본체유닛(120)의 길이에 따라 상판(60)과 제2 본체유닛(120) 사이의 이격이 최소화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은, 양쪽 측면에 위치되며, 일측에 오목부(270) 및 오목부(270)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부(280)를 포함하는 제1, 제2 측면부(210, 240), 제1 측면부(2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중앙부(220), 및 제2 측면부(240)의 타측에 결합되며 제1 중앙부(220)와 분리된 제2 중앙부(250)를 포함하고, 결합유닛(400)은 상판(60)으로부터 분절형침목유닛(100)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구(450)를 포함하며, 체결구(450)는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곡면부(451)를 포함하고, 제1, 제2 측면부(210, 240)와 분절형침목유닛(100)은 체결구(450)가 관통하는 체결공(460)을 포함하며, 체결구(450)를 이용하여 탄성부설치단계 후 몰탈단계 전에 상판(60), 탄성부(3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분절형침목유닛을 결합하는 체결단계(S6 단계)를 더 포함하며, 체결단계는 곡면부(451)가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접하도록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끼움결합하여, 상판(60)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6) 단계는 후술하는 체결구(450)를 이용하여 (S4) 단계 후 (S9) 단계 전에 상판(60), 탄성부(3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본절형침목(10)유닛을 결합하는 체결단계이다. 일례로, 본 단계는 (S5) 단계 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 단계는 후술하는 곡면부(451)가 후술하는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접하도록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끼움결합하여, 상판(6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측면부(210, 240), 및 제1, 제2 중앙부(220, 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측면부(210)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일측에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목부(270)와 볼록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부(220)는 일단은 제1 측면부(210)와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제2 중앙부(250)와 결합되는 것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제1 측면부(210)와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측면부(240)는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타측에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목부(270)와 볼록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앙부(250)는 일단은 제2 측면부(24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중앙부(2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제2 측면부(240) 및 제1 중앙부(220)와 분리된 부분으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2 측면부(240)와 제2 중앙부(250)는 제1 측면부(210) 및 제1 중앙부(220)와 각각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 중앙부(220)는 제1 측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중앙부(250)는 제2 측면부(2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측면부(210)와 제1 중앙부(220)의 결합된 형태는 제1 본체유닛(110)과 대응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측면부(210)와 제1 중앙부(220)의 결합된 부분의 길이가 제1 본체유닛(110)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2 측면부(240)와 제2 중앙부(250)의 결합된 형태는 제2 본체유닛(120)과 대응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측면부(240)와 제2 중앙부(250)의 결합된 부분의 길이가 제2 본체유닛(120)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결합유닛(400)은 체결구(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구(450)는 상판(60), 탄성부(3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을 체결하는 것으로, 상판(60), 탄성부(3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곡면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판(60), 탄성부(300), 제1 측면부(210), 및 제1 본체유닛(110)은 체결구(4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46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측면부(240)와 제2 본체유닛(120)도 체결구(4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4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측면부(210)의 오목부(270)와 볼록부(280)는 제1 측면부(210)의 콘크리트도상(20) 측면 측에 위치되며, 오목부(270)는 제1 중앙부(220) 상부면 보다 낮게 형성되고 볼록부(280)는 오목부(270)에서 연장되어 제1 중앙부(220) 상부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곡면부(451)는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접하게 인접하여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끼움결합을 할 수 있다. 일례로, 곡면부(451)는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와 접하는 끼움결합을 하여 레일(50)과 결합되는 상판(6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9) 단계는 (S5) 단계 및 (S6) 단계 후에 시행되는 것으로,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콘크리트도상(20)의 홈부(30) 사이의 빈공간에 초속경몰탈(70)을 타설하고 양생하여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콘크리트도상(20)에 고정시키는 몰탈단계다. 일례로, 본 단계는 본 단계 전에 목침목(10)이 철거된 자리의 콘크리트 바닥을 치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핑(Chipping)은 이미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접합면의 표면을 거칠게 마무리하는 것을 말한다. 치핑되는 콘크리트 바닥의 치핑면은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목침목(10)이 철거된 자리에 새롭게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와의 접착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치핑시 목침목(10)이 철거된 콘크리트 바닥의 측벽도 파쇄하여 목침목(10)이 철거된 자리에 사다리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목침목(10)이 철거된 자리에 새롭게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인발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도 1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제1 홀(80), 제2 홀(85), 및 빈공간(90)이 도시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따라 제1, 제2 홀(80, 85), 및 빈공간(90)이 충진재(75)로 충진되고 몰탈(70)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있어서,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은 각각 제1 홀(80)을 포함하며, 몰탈단계는 제1 홀(80)을 통해 충진재(75)를 주입하는 제1 충진단계(S7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충진단계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의 빈공간(90)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몰탈단계는 탄성부설치단계 후 몰탈단계 전에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관통하는 제2 홀(85)을 생성하고, 제2 홀(85)을 통해 충진재(75)를 주입하는 제2 충진단계(S8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충진단계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의 빈공간(90)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7) 단계는 후술하는 제1 홀(80)을 통해 충진재(75)를 주입하는 제1 충진단계이다. 본 단계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빈공간(90)을 충진재(75)로 충진하여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 분절형침목유닛(100)의 결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단계는 (S9) 단계에 포함될 수 있으며, (S9) 단계보다 먼저 행해지거나 (S9) 단계 후에 행해질 수 있다.
도 12 또는 도 1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홀(80)은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에 형성된 구멍으로, 본 단계의 충진재(75)가 충진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충진재(75)로 충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홀(80)은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S8) 단계는 후술하는 제2 홀(85)을 통해 충진재(75)를 주입하는 제2 충진단계이다. 본 단계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빈공간(90)을 충진재(75)로 충진하여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 분절형침목유닛(100)의 결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단계는 (S9) 단계에 포함될 수 있으며, (S9) 단계보다 먼저 행해질 수 있고, 제2 홀(85) 생성을 제외한 충진과정은 (S9) 단계 후에도 행해질 수 있다.
도 12 또는 도 1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홀(85)은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본 단계의 충진재(75)가 충진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충진재(75)로 충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홀(85)은 (S4) 단계 이후 (S9) 단계 전에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에 구멍을 뚫는 작업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홀(85)은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에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은 몰탈단계 후 외부에 노출된 제1, 제2 결합부(410, 420)를 제거하는 밴드제거단계(S1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 단계는 (S5) 단계에서 설치된 제1, 제2 결합부(410, 420) 중에서 (S9) 단계 후에 몰탈(70)이 양생된 외부에 노출되어 남아 있는 제1, 제2 결합부(410, 420)를 제거하는 밴드제거단계이다. 일례로, 몰탈(70)이 양생되어 상판(60), 탄성부(300), 언더플레이트유닛(200) 및 분절형침목유닛(100)이 모두 견고하게 결합된 후에는 외부에 노출된 제1, 제2 결합부(410, 420)는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침목(10)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밴드결합단계와 충진단계 등을 거쳐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결합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강력하게 할 수 있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900)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목(10)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된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침목(10)의 두께 방향으로 분절형침목유닛(100)과 분리된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침목(10)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본체유닛(110) 및 제2 본체유닛(120)의 상부 표면에 있는 요철은 언더플레이트유닛(200)과 강한 결합을 형성하여 상판(60)과 결합된 레일(5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이 분리되어 있어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콘크리트도상(20)의 좁은 홈부(30)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유닛(400)의 제1, 제2 결합부(410, 420)는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결합을 강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 결합부분의 처짐이나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의 이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체결구(450)의 곡면부(451)와 언더플레이트유닛(200)의 오목부(270) 및 볼록부(280)는 서로 접하는 끼움결합을 하여 레일(50)과 결합되는 상판(60)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충진재(75)를 제1 홀(80) 또는 제2 홀(85)을 통해 충진함으로써 분절형침목유닛(100)과 상판(60), 탄성부(300), 및 언더플레이트유닛(200) 사이의 이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침목
20 : 콘크리트도상
30 : 콘크리트도상 홈부
50 : 레일
60 : 상판
70 : 몰탈
75 : 충진재
80 : 제1 홀
85 : 제2 홀
100 : 분절형침목유닛
110 : 제1 본체유닛
111 : 제1 몸체
120 : 제2 본체유닛
121 : 제2 몸체
130 : 엠보 형태
140 : 철근부
200 : 언더플레이트유닛
210 : 제1 측면부
220 : 제1 중앙부
240 : 제2 측면부
250 : 제2 중앙부
270 : 오목부
280 : 볼록부
300 : 탄성부
400 : 결합유닛
410 : 제1 결합부
420 : 제2 결합부
450 : 체결구
451 : 곡면부
500 : 가받침
900 :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Claims (10)

  1. 상부 표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분절형침목유닛;
    하부면에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의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끼움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유닛;
    레일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의 충격하중을 완화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기존 침목형 분기기의 침목과 레일체결장치를 상기 레일로부터 철거하는 철거단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상기 콘크리트도상의 홈부에 설치하는 분절형침목설치단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에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을 끼움결합하는 언더플레이트결합단계;
    상기 상판과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에 탄성부를 설치하는 탄성부설치단계;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홈부 사이의 빈공간에 초속경몰탈을 타설하는 몰탈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분리된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을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에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분절형침목설치단계에서 상기 홈부와 상기 레일 사이의 작업공간을 넓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은,
    제1 몸체를 포함하는 제1 본체유닛;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분리된 제2 본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분절형침목설치단계는, 상기 제1 본체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제2 본체유닛을 상기 제1 본체유닛과 끼움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본체유닛의 하부면,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의 측면, 상기 탄성부의 측면, 및 상기 상판의 상부면을 둘러싸 상기 제1 본체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의 결합부분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본체유닛의 하부면,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의 측면, 상기 탄성부의 측면, 및 상기 상판의 상부면을 둘러싸 상기 제2 본체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탄성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설치단계 후 상기 몰탈단계 전에 상기 분절형침목유닛,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상판을 결합시키는 밴드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밴드결합단계는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상판 사이의 이격을 방지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의 상부 표면은 규칙적인 엠보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엠보 형태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를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유닛과 상기 제2 본체유닛은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S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탈단계 후 외부에 노출된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제거하는 밴드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은,
    양쪽 측면에 위치되며, 일측에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제1, 제2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1 중앙부;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앙부와 분리된 제2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측면부와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은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부설치단계 후 상기 몰탈단계 전에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분절형침목유닛을 결합하는 체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단계는 상기 곡면부가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와 접하도록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와 끼움결합하여, 상기 상판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은 각각 제1 홀을 포함하며,
    상기 몰탈단계는 상기 제1 홀을 통해 충진재를 주입하는 제1 충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진단계는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탈단계는 상기 탄성부설치단계 후 상기 몰탈단계 전에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을 관통하는 제2 홀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홀을 통해 충진재를 주입하는 제2 충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충진단계는 상기 분절형침목유닛과 상기 상판,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언더플레이트유닛 사이의 빈공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KR1020210071024A 2021-06-01 2021-06-01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KR10245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024A KR102457140B1 (ko) 2021-06-01 2021-06-01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024A KR102457140B1 (ko) 2021-06-01 2021-06-01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140B1 true KR102457140B1 (ko) 2022-10-21

Family

ID=8380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024A KR102457140B1 (ko) 2021-06-01 2021-06-01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1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05A (ja) * 2001-03-21 2002-09-25 Sekisui Chem Co Ltd 合成枕木の接続構造
KR100886815B1 (ko) * 2007-03-07 2009-03-04 김만태 철도용 레일지지체
CN102493289A (zh) * 2011-12-05 2012-06-13 纪培民 一种铁路用带t型压轨器的铸铁砼枕
KR20150030689A (ko) * 2015-03-02 2015-03-20 전명희 철도 콘크리트 도상 균열방지 침목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70107672A1 (en) * 2014-04-09 2017-04-20 Plastex Sa Rubber pad for rails
KR102240816B1 (ko) 2020-12-21 2021-04-15 주식회사 세안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목침목 분기기를 rc침목 분기기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05A (ja) * 2001-03-21 2002-09-25 Sekisui Chem Co Ltd 合成枕木の接続構造
KR100886815B1 (ko) * 2007-03-07 2009-03-04 김만태 철도용 레일지지체
CN102493289A (zh) * 2011-12-05 2012-06-13 纪培民 一种铁路用带t型压轨器的铸铁砼枕
US20170107672A1 (en) * 2014-04-09 2017-04-20 Plastex Sa Rubber pad for rails
KR20150030689A (ko) * 2015-03-02 2015-03-20 전명희 철도 콘크리트 도상 균열방지 침목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0816B1 (ko) 2020-12-21 2021-04-15 주식회사 세안 콘크리트도상에 설치된 목침목 분기기를 rc침목 분기기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318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방법
EA025408B1 (ru) Композитна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шпала
NO145905B (no) Varmevekslepanel og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dette
US8146834B2 (en) Concrete carriageway for rail vehicles
US3300140A (en) Beams for railroad track structure
AU2007211764B2 (en) Ballastless track for railway vehicles
KR101780224B1 (ko)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의 시공 방법
KR20160001011U (ko) 철도 궤도 레일의 콘크리트 도상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225656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갱환 시공방법
RU2293810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шпала
KR20150111547A (ko)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102457140B1 (ko) 철도용 분절형 침목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분기기 시공방법
KR102282132B1 (ko) 고기능성 자갈을 이용한 자갈궤도 및 그 시공방법
KR102484097B1 (ko) 후타 보존 부분교체형 핑거조인트와 핑거조인트의 조립방법 및 교체방법
US20210269984A1 (en) Sleeper
JPH07259001A (ja) 既設バラスト道床軌道の強化施工法
KR102196373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 시공방법
KR20170138704A (ko) 결합방식의 매립형 궤도
CN217896082U (zh) 用于无砟轨道双块式轨枕更换的过渡扣件
RU2631148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шпала
KR102138365B1 (ko) 종방향 슬립을 허용하는 강철도교용 무도상궤도 구조
KR200410824Y1 (ko)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KR102497799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 선로전환기 받침의 목침목을 콘크리트 블록으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DK1735500T3 (en) Prefabricated and traditionally reinforced bas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