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382Y1 -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382Y1
KR200333382Y1 KR20-2003-0022194U KR20030022194U KR200333382Y1 KR 200333382 Y1 KR200333382 Y1 KR 200333382Y1 KR 20030022194 U KR20030022194 U KR 20030022194U KR 200333382 Y1 KR200333382 Y1 KR 200333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water
handle
wash basin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원 filed Critical 정재원
Priority to KR20-2003-0022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382Y1/ko
Priority to PCT/KR2004/001693 priority patent/WO200500468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2Wash-basins attachable to sinks; Collapsible washing stands attachable 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8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actuated by rotating the wash-ba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수 또는 세안을 하기 위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세면대와 하부세면대를 갖는 세면대의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지지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부세면대, 상부지지부와 전면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부세면대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세면대 및 상기 상부세면대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도꼭지를 포함하여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나오는 물을 상기 상부세면대에서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부세면대에 담긴 물을 일시에 버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물이 배출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세면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상부세면대에 물을 담아놓고 사용하게 하여, 물을 절약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Quick Draining Washstand By One Touch}
본 고안은 사람들이 세수를 하거나 세면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상적인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에 물을 받아놓고 사용할 때 물을 받기 위해 세면대의 배수구를 막고 물을 받는다. 사용된 물은 배수구를 열어 배출시키며, 배출구로 물이 빠져나감에 따라 세면대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보통 배수구로 물이 빠져나가는 데에는 적어도 10초 내외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시간 소요로 인해 사용자는 세면대에 물을 받아 놓고 사용하기 보다는, 배수구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물을 틀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물의 소모량이 3∼4배 가량 증가하게 되고, 심각한 물낭비를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로서는 전국민적인 물 절약 노력이 필요하므로, 우선 각 가정, 관공서, 학교, 기숙사 등에서 세면대를 사용할 때,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물이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물을 세면대에 받아서 사용하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물이 잘 빠지는 세면대"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019268호로 고안되어 출원된 바 있었다.
도 1은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019268호의 "물이 잘 빠지는 세면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세면대는 이중공간이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 세면대 위의 물을 빠른 시간내에 배수를 하고 세면대를 다시 쓸 수 있도록 한다. 세면대 위의 가용공간과 배수관 사이에 배수 공간을 만들어 세면대 위의 물이 일단 배수공간으로 내려가고 배수공간의 물이 다시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 때 세면대 위의 가용공간과 배수공간사이의 배수 구멍의 넓이와 이를 막는 마개의 넓이를 현재보다 2∼3배 크게 하여 물이 배수공간으로 빨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물이 배수공간으로 모두 빠져나가면 세면대 위의 가용공간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배수공간에 있는 물은 배수관을 통하여 천천히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은 물의 배수를 위해 마개를 넣고 빼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마개를 크게 한다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진보되고 편리한 구성요소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이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구체적인 해결수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세면대와 하부세면대를 구비하고, 상부세면대가 하부세면대의 내부 상측에서 회전하게 하여, 상부세면대의 물을 하부세면대로 편리하게 일시에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세면대의 물이 배수구를 빠져나가는 시간을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세면대에 물을 다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공간을 구비한 세면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세면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상부세면대의 지지부 위치에 따른 상부세면대의 회전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 상부세면대의 손잡이와 걸이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상부세면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세면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세면대 12 : 손잡이
14 : 상부지지부 16 : 걸이장치
18 : 배수장치 19 : 걸이부
20 : 하부세면대 22 : 배수구
24 : 하부지지부 30 : 수도꼭지
본 고안은 세수 또는 세안을 하기 위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세면대와 하부세면대를 갖는 세면대의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지지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부세면대, 상부지지부와 전면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부세면대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세면대 및 상기 상부세면대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도꼭지를 포함하여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나오는 물을 상기 상부세면대에서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일 실시례로 본 고안의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세면대 외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홈부이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세면대 내부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에 대응되는 돌출부인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부가 상기 상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례로 본 고안의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세면대 외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돌출부이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세면대 내부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에 대응되는 홈부인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부가 상기 상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지지부의 위치는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세면대의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세면대의 하부에는 개폐되는 배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부세면대는 상기 하부세면대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의 테두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수평을 이루지 않거나, 단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세면대의 손잡이에는 걸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지지부의 위치는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세면대 내에 가득찬 물의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세면대의 손잡이에는 걸이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상부세면대 및 하부세면대의 형상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상부세면대(10)는 부피가 더욱 큰 하부세면대(20)의 안쪽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세면대(10)의 전방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2)를 이용해 상부세면대(10)를 움직이게 한다.
상부세면대(10)의 후방에는 수도꼭지(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세면대(10)가 하부세면대(20)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는 상부세면대(10)를 향해 물을 배출하며, 상부세면대(10)를 제거했을 경우에는 하부세면대(20)를 향해 물을 배출한다.
하부세면대(20)는 상부세면대(10)에 비해 부피가 크고, 하부에는 배수구(22)가 구비되어 물이 배출된다. 배수구에는 통상의 마개를 구비하여, 하부세면대(20)에도 물을 담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부세면대(10)는 하부세면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부세면대(10)를 분리한 후, 부피가 큰 하부세면대(20)에서는 대걸레 세척, 이불빨래, 세족 등을 할 수도 있다.
상부세면대(10)는 양 측면에 하부세면대(20)의 양 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하는 상부지지부(14; 도 3)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세면대(20)에는 이와 대응되는 하부지지부(24; 도 6)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세면대(10)의 바깥쪽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부(14)는 하부세면대(20)의 안쪽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하부지지부(24)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부지지부(14)는 원형의 돌출부이며, 하부지지부(24)는 U자 형상의 외각을 갖는 홈부로 하여, 상부지지부(14)가 위쪽에서 하부지지부(24)에 끼워지고,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지부(14)는 하부지지부(24)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다.
역으로 상부지지부(14)가 뒤집어 놓은 U자형상의 홈부로 형성되고, 하부지지부(24)가 원형의 돌출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지지부(14) 및 하부지지부(24)의 형상은 위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 및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2의 그림과 같이 상부세면대(10)에 담긴 사용된 물을 손잡이(12)를 들어올리면, 상부세면대(10)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진다. 상부세면대(10)가 회전되면 내부의 물은 일시에 하부세면대(20)로 쏟아지게 되고, 상부세면대(10)는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다림없이 바로 수도꼭지(30)로부터 상부세면대(10)에 물을 받아 쓸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상부세면대의 상부지지부의 위치에 따른 상부세면대의 회전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세면대(10)는 측면의 상부지지부(14)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범위가 달라진다. 도면의 A-A' 점선은 상부세면대(10)에 물을 가득 채웠을 때의, 상부세면대(10) 내부의 물의 무게중심(상부세면대의 무게 제외)을 지나는 수직선을 측면에 표시한 것으로서,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이라고 칭한다. 또한 +표시 지점은 상하방향 무게중심선과 상부세면대(10)를 가득 채웠을 때의 수면이 교차하는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상부세면대(10)의 상부지지부(14)를 어느 위치에 형성하는가에 따라 상부세면대(10)의 회전 범위가 달라지고, 상부세면대(10)를 들어올리는 힘에 차이가 있게 된다.
(ㄱ)은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전방(+표시 지점의 전방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가 a위치에만 도달하면, 물이 하부세면대(20)로 모두 쏟아진다.
(ㄴ)은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전방(+표시 지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가 b위치에만 도달하면, 물이 하부세면대(20)로 모두 쏟아진다.
(ㄷ)은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표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가 c위치에 까지 도달하여야, 물이 하부세면대(20)로 모두 쏟아진다.
(ㄹ)은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표시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가 b위치에만 도달하면, 물이 하부세면대(20)로 모두 쏟아진다.
(ㅁ)은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후방(+표시 지점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손잡이가 d위치에 까지 도달하여야, 물이 하부세면대(20)로 모두 쏟아진다.
상부세면대(10)는 전방에 걸쳐 지지되고 있는 손잡이(12)와 상부지지부(14)에 의해 안착된다. 만약 상부지지부(14)가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전방에 위치하여 손잡이(12)와 가까워지는 경우 비록 상부세면대(10)를 높이 들어올리지 않아도 물을 쏟아낼 수 있으나, 무게중심이 지지하고 있는 손잡이(12)와 상부지지부(14) 사이에 있지 아니하여, 물을 담는 경우 스스로 후방으로 회전하여, 물이 쏟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전방에 위치하게 형성하는 경우, 물을 가득 채웠을 때, 물 및 상부세면대(10)를 합친 무게의 무게중심의 위치보다 전방에 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 또는 그 후방에 위치하게 형성하는 경우, 비록 상부세면대(10)를 상대적으로 높이 들어올려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상부세면대(10)가 스스로 물을 쏟아지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ㄷ) 또는 (ㄹ)과 같이 상부지지부(14)의 위치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손잡이(12)에 걸이장치(16)를 구비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12)의 걸이장치(16)를 풀어주어야 상부세면대(10)가 회전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의 무게중심선상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하여도, 걸이장치(16)의 지지력으로 인해, 상부세면대(10)가 스스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걸이장치(16)를 설치한 상태라면, 상부지지부(14)를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 전방에 위치하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부세면대(10)에 물이 차면, 걸이장치(16)를 살짝 건드려 걸린 상태를 풀어주는 것만으로, 상부세면대(10)가 스스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며,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상부세면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회전하면서 물을 배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 상부세면대의 손잡이에 형성된 걸이장치와 걸이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상부세면대(10)의 전방에 형성된 손잡이(12)는 하부세면대(20)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손잡이(12)와 하부세면대(20) 사이에는 각각 걸이장치(16)와 걸이부(19)를 형성하여, 서로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장치(16)는 안쪽의 돌기가 하부세면대(20)의 걸이부(19)에 걸려 상부세면대(10)가 스스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걸이장치(16)는 탄성이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손에 일정 힘을 가하면, 걸이부(19)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부세면대(10)는 하부세면대(20)의 상측 내부에 안착된다. 상부세면대(10)는 테두리의 높이가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세면대(10)의 테두리의 높이가 일정한 경우에는 물이 상부세면대(10) 내에 가득차는 경우 사방으로 물이 넘치나, 테두리의 높이를 달리하면, 높이가 낮은 쪽으로 물이 넘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물 배출구 없이도 높이가 낮은 방향으로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안전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상부세면대(10)는 후방측 테두리의 높이를 낮게 하여, B와 같은 이격이 발생하도록 한 실시례이다. 따라서 물이 가득차면 사용자가 있는 전방으로 물이 넘치지 않고, 후방측의 B부분으로 물이 넘쳐 나가 하부세면대(20)로 흐르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세면대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a)는 일 실시례로서, 상부세면대(10)의 테두리 높이는 후방으로 수평 C-C'에 대해 일정각 α만큼 기울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세면대(10)의 높이가 낮아짐으로 인해, 물이 넘치는 경우 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b)는 또 다른 실시례로, 상부세면대(10)의 일측을 낮은 높이의 통로로 형성하여 그 통로를 통해 넘치는 물을 배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실시례 이외에도 상부세면대(10)의 일정 지점에 물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면에는 상부지지부(14)가 형성되고, 점선으로 표시된 U자형 외각의 하부지지부(24)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세면대(10)에는 배수장치(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장치(18)는 단순하게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막는 마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공지의 원터치형 배수장치로 한 번 누르면 배수구를 열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배수구를 닫는 배수조절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부세면대(10)는 회전을 하므로, 외부와 연결되는 배수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상기와 같은 자체 개폐가능한 배수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세면대(10)의 배수장치(18)를 열어 놓으면, 종래의 세면대와 같이 물을 계속 흐르게 하면서도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세면대(10)를 분리하여, 부피가 큰 하부세면대(2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부세면대(20)에는 빨래판 등을 부착 형성하여, 대걸레를 빨거나 세탁물을 빨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부세면대에 담긴 물을 일시에 버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물이 배출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세면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세면대에 물을 담아놓고 사용하게 하여, 물을 절약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편리하게 상부세면대를 회전시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세면대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상부세면대 및 하부세면대의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부세면대를 효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하부지지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부세면대;
    상부지지부와 전면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부세면대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세면대; 및
    상기 상부세면대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도꼭지를 포함하여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나오는 물을 상기 상부세면대에서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의 위치는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세면대 내에 가득찬 물의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세면대의 하부에는 개폐되는 배수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세면대는
    상기 하부세면대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일측의 테두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의 위치는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세면대 내에 가득찬 물의 상하방향 무게중심선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세면대의 손잡이에는 걸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세면대의 손잡이에는 걸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KR20-2003-0022194U 2003-07-10 2003-07-10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KR200333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194U KR200333382Y1 (ko) 2003-07-10 2003-07-10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PCT/KR2004/001693 WO2005004689A1 (en) 2003-07-10 2004-07-09 Quick draining washstand by one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194U KR200333382Y1 (ko) 2003-07-10 2003-07-10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923A Division KR20050008448A (ko) 2003-07-10 2003-12-23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382Y1 true KR200333382Y1 (ko) 2003-11-15

Family

ID=4934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194U KR200333382Y1 (ko) 2003-07-10 2003-07-10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3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3382Y1 (ko)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KR20050008448A (ko) 원터치형 일괄배수 세면대
JP4079629B2 (ja) 洗面化粧台の洗面器
KR101229406B1 (ko) 곡물 세척 용기
JP4560867B2 (ja) 水廻りカウンター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の防水構造
CN211408780U (zh) 组合易挂盆
CN212415660U (zh) 一种水槽清洗装置
JP4218197B2 (ja) 手洗鉢
JPH11253354A (ja) 携帯用便器
JPH083342Y2 (ja) 洗面カウンター
CN211961867U (zh) 一种组合式洗漱脸盘
JP4159397B2 (ja) 浴槽
JP3218654U (ja) 容易に排水・止水ができる容器
JP3071379U (ja) オーバーフロー機能付き洗面器
KR20170099571A (ko) 세면대
JP5004609B2 (ja) 壁面格納洗面装置
JP2002300982A (ja) 浴室ユニットのカウンタ
JP3125954U (ja) 壁面格納洗面装置
JPH11253355A (ja) 携帯用便器
JPH0741239Y2 (ja) 浴 室
JPH11332776A (ja) 浴 室
JP2550793Y2 (ja) 壁付手洗器
KR0116055Y1 (ko) 배수전
JP2002021145A (ja) 中水仕様の洗浄タンク
JP2507529Y2 (ja) シャワ―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