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397Y1 -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397Y1
KR200331397Y1 KR20-2003-0020911U KR20030020911U KR200331397Y1 KR 200331397 Y1 KR200331397 Y1 KR 200331397Y1 KR 20030020911 U KR20030020911 U KR 20030020911U KR 200331397 Y1 KR200331397 Y1 KR 200331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angle
adjustment
footrest
moun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일호
Original Assignee
황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호 filed Critical 황일호
Priority to KR20-2003-0020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대의 각도 조절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본체(1)의 상측에 적치된 상태로 설치되는 다단붐 부재(3)와, 상기 다단붐 부재(3)에 적재대 바디(7)를 통해 설치되는 적재대(5)로 구성된 사다리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5)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조절공(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지지대(20,20')와, 상기 상지지대(20,20')에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적재대 바디(7)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지지대(24,24')와, 상기 하지지대(24,24')간 연결되어 고정된 연결바(26)의 브래킷(2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발판(30)과, 상기 회전발판(30)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적재대(5)의 각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조절공 세팅수단(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LOAD A STAND ANGLE REGULATION MEANS OF A LADDER VEHICLE}
본 고안은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사다리차는 지상과 고층 건물간에 화물을 편리하게 이송하는 특수 차량으로서, 상기 사다리차는 차량 본체의 상부에 다단붐이 설치되고, 상기 다단붐에 적재대를 설치하여 유압장치 등으로 다단붐을 적정 위치로 그 길이를 연장하여 위치시키며, 상기 다단붐을 적정 위치로 세팅한 후 적재대를 슬라이딩시키면서 특정 화물을 상하차(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적재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본체(1)의 다단붐 부재(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대(5)는 적재대 바디(7)를 통해 다단붐 부재(3)에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적재대 바디(7)의 양측에는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의 지지대(9)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대(9)의 측부에는 다수개의 조절공(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조절공(11)에는 고정핀(13)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9)는 상하지지대(9',9")로 나뉘어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지지대(9')의 상측은 적재대(5)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하지지대(9")의 하측은 적재대 바디(7)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상지지대(9')의 하측과 하지지대(9")의 상측은 서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상하지지대(9',9")의 결합 길이에 따라 적재대(5)의 각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공(11)에 설치되는 고정핀(13) 대신 도시하지 않은 링크부재와 조절손잡이를 설치하여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적재대(5)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적재대(5)의 하측 모서리 부분을 손으로 들어올려서 적재대 바디(7)를 기준으로 적정 각도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적재대(5)의 회전이 미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상하지지대(9',9")로 하중이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지지대(9',9")로 하중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조절공(11)에 위치된 고정핀(13)을 이탈시키는 것이고, 상기 고정핀(13)을 조절공(11)으로부터 제거한 후 들어올리던 적재대(5)를 적정 상태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이며, 상기 적재대(5)의 각도를 적정하게 한 후 고정핀(13)을 조절공(11)에 끼워넣는다.
상기 고정핀(13)을 끼워넣은 후 적재대(5)에 힘을 가하던 손을 적재대(5)와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적재대(5)와 손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면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며, 상기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을 완료한 후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는, 적재대(5)와 적재대 바디(7) 사이에 설치된 상하지지대(9',9")의 측부에 조절공(11)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11)에 결합(또는 분리)시킬 때 손으로 잡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핀(13)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적재대(5)를 한손으로 지지한 후 다른손으로 고정핀(13)을 분리 및 결합시키면서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을 하여야 하므로 적재대(5)의 각도 조절 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적재대의 각도 조절 작업이 간편하게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 본체에 설치된 다단붐 부재와, 상기 다단붐 부재에 적재대 바디를 통해 설치된 적재대로 구성된 사다리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조절공이 형성되는 상지지대와, 상기 상지지대에 결합됨과 아울러 적재대 바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지지대와, 상기 하지지대에 고정된 연결바의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발판과, 상기 회전발판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조절공 세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다리차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것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적재대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차량 본체 3: 다단붐 부재
5: 적재대 7: 적재대 바디
20,20': 상지지대 24,24': 하지지대
30: 회전발판 34: 작동바
36: 스프링 38: 안내핀
40: 하우징 42: 복귀스프링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본체(1)의 상측에 적치된 상태로 설치되는 다단붐 부재(3)와, 상기 다단붐 부재(3)에 적재대 바디(7)를 통해 설치되는 적재대(5)로 구성된 사다리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5)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조절공(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지지대(20,20')와, 상기 상지지대(20,20')에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적재대 바디(7)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지지대(24,24')와, 상기 하지지대(24,24')간 연결되어 고정된 연결바(26)의 브래킷(2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발판(30)과, 상기 회전발판(30)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적재대(5)의 각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조절공 세팅수단(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공(22)은 상지지대(20,20')의 하측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상지지대(20,20')의 하측으로 결합된 하지지대(24,24')의 상측부에 조절공(22)을 형성하여 상기 상지지대(20,20')의 조절공(22)과 대향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공 세팅수단(32)은 회전발판(30)에 형성된 장홀(31)에 설치되어 이동됨과 아울러 하지지대(24,24')에 단부가 대향되는 작동바(34)와, 상기 작동바(34)의 양단에 고정되어 작동바(34)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력이 형성되는 스프링(36)과, 상기 스프링(36)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하지지대(20,20',24,24')의 조절공(2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적재대(5)의 각도가 세팅되게 하는 안내핀(38)과, 상기 스프링(36)과 안내핀(38)이 수용되어 작동되도록 하지지대(24,24')에 고정되는 하우징(4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발판(30)과 연결바(26) 사이에 복귀스프링(42)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귀스프링(42)은 회전발판(30)을 연결바(26)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핀(38)과 스프링(36) 및 작동바(34)는 회전발판(30)에 의해서 일정 범위내에서 위치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발판(30)을 밟으면 연결바(26)를 지점으로 회전발판(30)의 단부가 하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발판(30)이 하측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작동바(34)가 회전발판(30)의 단부측으로 당겨지며, 상기 작동바(34)가 당겨짐과 동시에 스프링(36)과 안내핀(38)이 회전발판(30)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조절공(22)과 안내핀(38)이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공(22)과 안내핀(38)이 분리된 후 적재대(5)를 적정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이고, 상기 적재대(5)의 각도를 조절한 후 밟고 있던 회전발판(30)을 놓으면 복귀스프링(42)에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며, 상기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 안내핀(38)이 조절공(22)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적재대의 각도 조절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지지대(20,20')의 하측방향으로 조절공(22)을 형성하고, 상기 상지지대(20,20')와 결합되는 하지지대(24,24')에 연결바(26)와 회전발판(30) 및 작동바(34) 등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발판(30)은 작업자의 발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발판(30)과 연동되게 작동바(34)와 스프링(36) 및 안내핀(38)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발판(30)과 연결바(26) 사이에 복귀스프링(42)을 설치하여 회전발판(30)에 가하던 발의 압력을 제외시키면 회전발판(30)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적재대(5)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발판(30)을 밟는 것이고, 상기 회전발판(30)을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적재대(5)를 적정 각도로 위치시킨 후 밟고 있던 발을 회전발판(30)과 분리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발판(30)을 밟으면 회전발판(30)이 하측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작동바(34)가 회전발판(30)의 단부측으로 당겨지며, 상기 작동바(34)가 당겨짐과 동시에 안내핀(38)이 조절공(22)과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발판(30)을 놓으면 복귀스프링(42)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고, 상기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 안내핀(38)이 조절공(22)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조절공(22)의 결합이 완료되면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는것이고, 상기 적재대(5)의 각도 조절을 완료한 후 화물의 상하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지지대의 하측방향으로 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지지대에 안내핀과 스프링 및 작동바를 설치하여 회전발판으로 작동되게 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발판을 발로 밟은 상태에서 적재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적재대의 각도 조절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발판과 연결바 사이에 복귀스프링을 설치하므로써 회전발판이 자동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고, 상기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복귀됨과 동시에 안내핀이 조절공에 결합되므로써 적재대의 각도 조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 본체(1)에 설치된 다단붐 부재(3)와, 상기 다단붐 부재(3)에 적재대 바디(7)를 통해 설치된 적재대(5)로 구성된 사다리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5)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측방향으로 조절공(22)이 형성되는 상지지대(20,20')와, 상기 상지지대(20,20')에 결합됨과 아울러 적재대 바디(7)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지지대(24,24')와, 상기 하지지대(24,24')에 고정된 연결바(26)의 브래킷(2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발판(30)과, 상기 회전발판(30)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조절공 세팅수단(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공 세팅수단(32)은 회전발판(30)의 장홀(31)에 설치됨과 아울러 하지지대(24,24')에 단부가 대향되는 작동바(34)와, 상기 작동바(34)의 양단에 고정되는 스프링(36)과, 상기 스프링(36)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하지지대(20,20',24,24')의 조절공(22)에 끼워지는 안내핀(38)과, 상기 스프링(36)과 안내핀(38)이 수용되도록 하지지대(24,24')에 고정되는 하우징(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발판(30)과 연결바(26) 사이에 복귀스프링(42)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KR20-2003-0020911U 2003-07-01 2003-07-01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KR200331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911U KR200331397Y1 (ko) 2003-07-01 2003-07-01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911U KR200331397Y1 (ko) 2003-07-01 2003-07-01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397Y1 true KR200331397Y1 (ko) 2003-10-30

Family

ID=4941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911U KR200331397Y1 (ko) 2003-07-01 2003-07-01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3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00B1 (ko) 2008-03-19 2010-05-14 주현석 사다리차의 대차 각도조절장치
KR101878921B1 (ko) 2018-03-22 2018-07-16 양영기 사다리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00B1 (ko) 2008-03-19 2010-05-14 주현석 사다리차의 대차 각도조절장치
KR101878921B1 (ko) 2018-03-22 2018-07-16 양영기 사다리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4697C (zh) 带有制动器的助行器
US111355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removing panels
US5975499A (en) Quadrapod safety support for fall protection systems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CN110775875B (zh) 一种壁挂类定制家具辅助安装工具
KR20020005134A (ko) 영사기 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200331397Y1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각도 조절구조
JP2010516552A (ja) 曲面構造物支持用ピン治具の昇降補助装置
US4175899A (en) Lifting device
KR200424574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구 수평유지장치
US2831689A (en)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support
US6443075B1 (en) Safety interlock braking system for height adjustable table
WO2001045624A3 (en) Wheelchair arm rest support assembly with slide lock positioning arm
JP4707466B2 (ja) 作業台着脱式昇降台及び作業台
JP4072659B2 (ja) 昇降装置を有する墨出し装置
JPH06506397A (ja) 矯正ビーム
CN117902495B (zh) 一种用于起重机的配重调节机构
JP2007154643A (ja) 自走式処理装置
KR20090000735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KR100461633B1 (ko)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
JP4210905B2 (ja) 車椅子用の昇降機における組立構造
JPH08312177A (ja) ライスキャビンの組立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00146Y1 (ko)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각도조절장치
CN117902495A (zh) 一种用于起重机的配重调节机构
JP3063170U (ja) 座席を傾斜できる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