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144Y1 -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144Y1
KR200331144Y1 KR20-2003-0025326U KR20030025326U KR200331144Y1 KR 200331144 Y1 KR200331144 Y1 KR 200331144Y1 KR 20030025326 U KR20030025326 U KR 20030025326U KR 200331144 Y1 KR200331144 Y1 KR 200331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opening
outle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3-0025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떠한 방향으로 용기를 기울여도 내용물이 부드럽게 토출되어질 수 있게 한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1)의 개구부(2)에 삽입 체결됨과 동시에 개구부(2)의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는 환형테(112)를 체결부(111)에 가지고 있고, 개구부(2)의 주연부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턱(113)을 상부에 가지고 있는 외체(110)와;
토출공(130)이 형성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있고, 리브살(140)에 의해 외체(110) 내측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기(1)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 속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출공(130)으로 안내하는 내부기둥(120)으로 구성된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structure of the outlet for outflowing the case contents}
본 고안은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 사용되어지는 유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떠한 방향으로 용기를 기울여도 내용물이 부드럽게 토출되어질 수 있게 한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개구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용기내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할때 과다하게 배출되어 내용물을 적당량 배출 사용하는데에 까다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일이 많았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배출(토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도1에서와 같은 유출구(10)다.
상기의 유출구는,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부(11)를 가지고 있고, 상부의 평탄면 중앙에 팔자형태의 토출공(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유출구(10)를 액상의 내용물이 충전되어진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부
(11)를 결합하여서 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의 개구부로 장착된 유출구(10)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는 팔자형태의 토출공(12)이 세워질 수 있는 방향으로 용기를 기울여 토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팔자형태의 토출공(12)을 갖는 토출구(10)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는 통출공(12)이 세워져야 용기내부로 적당량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부드럽게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반면, 팔자형 토출공(12)이 옆으로 누워지게 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경우, 용기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어지지 않아 내용물이 울렁거리며 토출되거나, 왈칵 쏟아져 내용물이 과다하게 배출되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속도를 조절해주는 내부기둥이 외체 내측으로 리브살에 의해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개구부와 내부기둥 사이의 토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내용물이 부드럽게 배출되어지게 한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용기의 개구부로 장착 사용되어지던 종래 유출구의 사시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의 사시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출구 110 : 외체
111 : 체결부 112 : 환형테
113 : 걸림턱 120 : 내부기둥
130 : 토출공 140 : 리브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어는 유출구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00)는 용기(1)의 개구부(2)에 삽입 체결됨과 동시에 개구부(2)의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는 환형테(112)를 체결부(111)에 가지고 있고, 개구부(2)의 주연부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턱(113)을 상부에 가지고 있는 외체(110)와;
토출공(130)이 형성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있고, 리브살(140)에 의해 외체(110) 내측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기(1)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 속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출공(130)으로 안내하는 내부기둥(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100)는 용기(1)의 개구부(20)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유출구(100)를 용기(10)에 장착할 때에는 체결부(111)가 용기의 개구부(2)로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의 걸림턱(113)이 상연부에 걸리도록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2)로 끼워진 체결부(111)는 체결부(111)로 형성되어 있는 환형테(112)가 개구부(2)의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져 장착된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되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유출구(100)가 장착된 용기(1)내의 내용물을 배출사용할 때에는 용기(1)의 개구부(2)에 장착된 뚜껑(도시하지 않았음)분리해낸다.
상기와 같이 뚜껑을 분리한 후, 용기(1)를 기울여 내용물을 토출공(130)을 통해 배출 사용하게 된다.
토출공(130)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은 내부기둥(120)에 의해 배출속도가 감소어되진 상태에서 토출공(130)으로 안내되어 배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 내부기둥(120)에 의해 규제되어 짐으로 내용물이 배출될때 발생하는 분사식 배출현상이 방지되어 짐과 동시에 내용물이 부드럽게 배출되어지게 된다.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토출공(130)이 내부기둥(120) 주변으로 형성되어 있어 용기(1)를 기울이는 방향에 관계없이 내용물이 안전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내용물이 토출공(130)의 일부를 통해 배출되어질때 내용물이 배출되어지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져 내용물이 안전하게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는, 외체(110)의 내측에 설치된 내부기둥(120)에 용기(1)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규제되어진 후 토출공(130)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것이어서 분사식 토출 없이 부드럽게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토출공(130)이 내부기둥(120)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용기를 기울이는 방향에 관계없이 내용물을 부드럽게 배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내용물의 적정량 배출이 가능하여 유출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어지는 유출구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00)는 용기(1)의 개구부(2)에 삽입 체결되는 외체(110)와;
    토출공(130)이 형성되어질 수 있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있고, 리브살(140)에 의해 외체(110) 내측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용기(1)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 속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출공(130)으로 안내하는 내부기둥(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외체(110)는 용기(1)의 개구부(2)에 삽입 체결됨과 동시에 개구부(2)의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고정되어지는 환 형태(112)를 체결부(111)에 가지고 있고 개구부(2)의 주연부에 걸림고정되어지는 걸림턱(113)을 상부에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KR20-2003-0025326U 2003-08-06 2003-08-06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KR200331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26U KR200331144Y1 (ko) 2003-08-06 2003-08-06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326U KR200331144Y1 (ko) 2003-08-06 2003-08-06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144Y1 true KR200331144Y1 (ko) 2003-10-30

Family

ID=4941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326U KR200331144Y1 (ko) 2003-08-06 2003-08-06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1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342A (en) Pushbutton type bottle cap
PT92297A (pt) Recipiente com tampa que se liberta por pressao
JPH10119974A (ja) 液体用容器の注口補助具
KR200331144Y1 (ko) 용기의 내용물 유출구 구조
US5890631A (en) Aerosol cap with dispensing tube support system
RU2000109262A (ru) Упаковка
JP2004026230A (ja) 液体排出補助具及び容器
US6422423B1 (en) Cap for liquid containers
JP399924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
JP2001010683A (ja) ポンプ付液注出容器
JP2003054606A (ja) 整流栓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JP2001000891A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兼用キャップ
JP2006044752A (ja) 開口時の液飛びが防止さ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3803952B2 (ja) 詰め替え用ボトル
JPH088520Y2 (ja) 蓄電池用液口栓
JP2534258Y2 (ja) キャップの取り付け構造
JP3085021U (ja) 液体用容器の注口具
JP3122903B2 (ja) 容器蓋
KR200206990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
JP3371364B2 (ja) 液体容器
KR900009111Y1 (ko) 액체용기의 유출보조구
KR101930645B1 (ko) 개폐 탭 일체 구조의 캡
JPH0644843Y2 (ja) スクイズ形容器
US20010019057A1 (en) Water pail equipped with air passag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