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95Y1 - 보조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보조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95Y1
KR200330595Y1 KR20-2003-0024409U KR20030024409U KR200330595Y1 KR 200330595 Y1 KR200330595 Y1 KR 200330595Y1 KR 20030024409 U KR20030024409 U KR 20030024409U KR 200330595 Y1 KR200330595 Y1 KR 200330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drest
driver
auxiliary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근
김종희
박상섭
Original Assignee
이정근
김종희
박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근, 김종희, 박상섭 filed Critical 이정근
Priority to KR20-2003-0024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3Head-rests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연결된 헤드레스트의 연결봉에 결합시켜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 및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이루어진 보조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는, 운전자의 머리가 밀착되도록 오목 라운드로 형성된 머리 지지부와, 운전자의 목 부분이 밀착되도록 머리 지지부의 하부 말단으로 부터 돌출되는 오목 라운드 및 볼록 라운드로 형성된 목 지지부와, 운전자의 어깨와 등 부분이 밀착되도록 목 지지부의 하부 말단으로부터 오목 라운드로 형성된 등 지지부와, 머리 지지부와 목 지지부 및 등 지지부 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으로 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연결봉에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되,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보조 헤드레스트는 하나의 메모리 폼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 및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조 헤드레스트{Support Head Rest}
본 고안은 보조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에 연결된 헤드레스트의 연결봉에 결합시켜 자동차의 운전 중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이루어진 보조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3)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헤드레스트(3)는 연결봉(4)에 의하여 시트(1)의 등받이부(2) 상단에 결합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이하, "운전자"로만 기재하기로 함)의 머리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운전자가 상기 시트(1)에 앉았을 때, 상기 운전자의 등부분은 등받이(2)에 의하여 지지되며, 머리부는 헤드레스트(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시트(1) 및 헤드레스트(3)에 있어서, 목부분은 상기 헤드레스트(3)와 등받이(2)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마땅히 의지할 데가 없어서, 교통 체증이 심한 도심에서의 자동차 운행이나 고속도로 등에서의 장기 운행시에 목부분의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며, 이러한 피로의 누적이 교통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지지대(5)가 있는데, 상기 목지지대(5)는 상기 헤드레스트(3)의 연결봉(4)에 결합되어 시트의 등받이(2)가 직각으로 유지되었을 때 목부분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받이(2)를 직각으로 유지시켰을 때 운전자의 상체 하중이 대부분 허리부분에 가해지므로 장기간 운전시 허리부분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상기 등받이(2)를 어느 정도 뒤쪽으로 젖혀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등받이(2)와 연결된 헤드레스트(3) 및 목지지대(5) 또한 어느 정도 기울기를 갖고 뒤로 젖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편의를 위하여 등받이(2)를 어느 정도 뒤쪽으로 젖혀 사용할 때, 상기 운전자는 반대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상기 등받이(2)로 부터 직립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머리와 목부분은 각각 상기 헤드레스트(3)와 목지지대(5)로 부터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므로, 상기 목지지대(5)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일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목지지대(5)를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한다면,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렸다 다시 등받이(2) 쪽으로 되돌아올 때, 상기 돌출된 목지지대(5)에 운전자의 목부분이 부딪히게 되며, 이때의 충격에 의하여 오히려 더 큰 목부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시트에 연결된 헤드레스트의 연결봉에 결합시켜 자동차의 운전 중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이루어진 보조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목지지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형성된 일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일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2 : 등받이
3 : 헤드레스트 4 : 연결봉
5 : 목지지대 10 : 보조 헤드레스트
12 : 머리 지지부 14 : 목 지지부
16 : 등 지지부 18 : 지지프레임
20 : 고정부 20a : 체결 클립
30 : 커버 32 : 개폐부
34 : 절개부 36 : 보조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는, 운전자의 머리가 밀착되도록 오목 라운드로 형성된 머리 지지부와, 운전자의 목 부분이 밀착되도록 머리 지지부의 하부 말단으로 부터 돌출되는 오목 라운드 및 볼록 라운드로 형성된 목 지지부와, 운전자의 어깨와 등 부분이 밀착되도록 목 지지부의 하부 말단으로 부터 오목 라운드로 형성된 등 지지부와, 머리 지지부와 목 지지부 및 등지지부 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으로 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연결봉에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되,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보조 헤드레스트는 하나의 메모리 폼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 및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커버를 형성하되, 커버는 보조 헤드레스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커버의 배면에는 보조 헤드레스트로 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개폐부 및 보조 헤드레스트 고정부의 외부 돌출시 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운전자가 보조 헤드레스트 사용시 메모리 폼의 재질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동시에 메모리 폼의 외부 노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에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으로 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연결봉에 결합되는 고정부는 보조 헤드레스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금형 내에 미리 설치되어, 메모리 폼의 발포시 금형 내부에서 메모리 폼과 함께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10)는, 운전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12)와, 목 부분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14)와,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 지지부(16) 및,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 헤드레스트(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 사항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자신의 편의를 위하여 시트(1)의 등받이(2)를 수직상태에서 일정각도 뒤로 젖힘에 따라 함께 뒤로 젖혀진 헤드레스트(3)와 운전자의 머리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3)는 수직상태에서 뒤로 약간 젖혀져 위치되며, 운전자의 머리는 전방을 주시하기 위하여 거의 수직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3)와 운전자의 머리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머리가 자연스럽게 지지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공간을 채우는 두께로 머리 지지부(12)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머리 지지부(12)는 통상 둥근 형태를 갖는 운전자의 머리가 보다 밀착되어 안락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운전자가 양쪽의 사이드 미러를 주시하기 위하여 머리를 돌릴 때 상기 머리 지지부(12)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 라운드(12a)로 형성된다.
그리고, 목 지지부(14)는 운전자의 목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지지부(12)의 말단으로 부터 대략 인체의 목 길이 만큼 돌출되어 형성됨에 있어, 자동차의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화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지지부(12)의 말단으로 부터 상기 목 지지부(14)의 대략 중앙까지는 오목 라운드(14a)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 라운드(14a)의 말단으로 부터 상기 목 지지부(14)의 말단까지는 돌출된 볼록 라운드(14b)로 형성되며, 그 폭은 상기 머리 지지부(1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목 지지부(14)는, 운전자의 목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머리 지지부(12)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오목 라운드(14a) 및 볼록 라운드(14b)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등 지지부(16)는 상기 목 지지부(14)의 말단으로 부터 대략 인체의 어깨 부분을 지나 중앙부 등까지의 길이 만큼 형성됨에 있어, 운전자의 양쪽 어깨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 지지부(12)나 목 지지부(14)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어깨 부분으로 부터 중앙부 등까지 갈 수록 점차 감소된 두께로 형성되며, 운전자의 어깨 및 등 부분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오목 라운드(16a)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는 우레탄 재질, 라텍스 재질, 스폰지 재질 또는 매직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충격흡수 및 탄성 복원력을 구비한 메모리 폼(Memory Foam)의 재질로 구성되는데, 상기 메모리 폼은 탄성력을 보유한 개방세포 구조의 신소재로써, 복원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지만, 인체의 온도와 하중에 반응하여 점차적으로 부드럽게 인체의 윤곽에 따라 형상화되며, 하중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서서히 완벽하게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한 메모리 폼은 목이나 척추 등의 치료를 요하는 환자는 물론 완벽한 무 하중 수면을 원하는 사람에게 편안한 잠자리를 통해 최상의 만족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의료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생활용품으로서 베개나 메트릭스 또는 침대 등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재질로서, 상기와 같은 자기형상기억 소재인 메모리 폼의 채택에 의하여, 운전자가 본 고안의 형상을 갖는 보조 헤드레스트에 머리와 목 및 등을 기대었을 때, 상기 인체의 형상에 따라 보조 헤드레스트의 그 형상이 자연스럽게 변화하므로, 운전자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되게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에 기댈 수 있는 것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형성된 일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은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 내부에는 뼈대 역할을 하는 지지프레임(18)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18)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18a)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8a)에는 체결 클립(20a)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0)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8a)는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클립(20a) 또한 탄성을 가져야 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8a)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18a)는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b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헤드레스트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8)은 사각형상을 갖도록 서로 연결된 중공의 지지봉(18b)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중공의 지지봉(18b)에 체결 클립(20a)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0)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공의 지지봉(18b)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지지봉(18b)은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중실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 내부에서 뼈대 역할을 하는 지지프레임(18)으로서, 사각형상의 플레이트(18a)나 중공의 지지봉(18b)에 각각 결합된 체결 클립(20a)은 각각 본 고안의 형상을 갖는 금형 내에 미리 설치되어, 메모리 폼의 발포시 상기 금형 내부에서 상기 메모리 폼과 함께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일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운전자가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 사용시 메모리 폼의 재질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동시에 상기 메모리 폼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천(면)으로 이루어진 커버(3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30)는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30)의 배면에는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로 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지퍼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개폐부(32) 및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의 고정부(20)를 이루는 체결 클립(20a)이 외부로 돌출될 때 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34)가 형성된다.
도 5b는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30)의 양측면에는 보조밴드(36)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의 결합 및 작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로서, 먼저 보조 헤드레스트(10)를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커버(30)의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의 고정부(20)를 이루는 체결 클립(20a)을 상기 커버(30)의 절개부(3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체결 클립(20a)을 시트(1)의 등받이(2) 상단에 결합된 헤드레스트(3)의 연결봉(4)에 밀어 넣어,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를 상기 시트(1)의 등받이(2) 및 헤드레스트(3) 사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30)의 보조밴드(36)가 상기 헤드레스트(3)를 감싸도록 하여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 헤드레스트(10)가 고정되면, 운전자가 상기 시트(1)에 앉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운전자의 머리 부분은 머리 지지부(12)에 의하여 수직으로 지지되고, 운전자의 목 부분은 목 지지부(14)에 의하여 수직으로 지지되며, 운전자의 등 부분은 등 지지부(16)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지지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가 자기형상기억 소재인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 부분과 목 부분 및 등 부분이 각각 지지된 상기 보조헤드레스트(10)의 부위는 상기 인체의 형상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하므로, 운전자는 보다 편안하고 안정되게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10)에 기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충돌시 자기형상기억 소재인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진 보조 헤드레스트(10)가 그 형상을 변화시켜 운전자의 머리나 목 등의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상기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자기형상기억 소재인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보조 헤드레스트에 의하여, 자동차의 운전 중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의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운전자의 머리가 밀착되도록 오목 라운드(12a)로 형성된 머리 지지부(12)와;
    상기 운전자의 목 부분이 밀착되도록 상기 머리 지지부(12)의 하부 말단으로 부터 돌출되는 오목 라운드(14a) 및 볼록 라운드(14b)로 형성된 목 지지부(14)와;
    상기 운전자의 어깨와 등 부분이 밀착되도록 상기 목 지지부(14)의 하부 말단으로 부터 오목 라운드(16a)로 형성된 등 지지부(16)와;
    상기 머리 지지부(12)와 목 지지부(14) 및 등 지지부(16) 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8) 및;
    상기 지지프레임(18)으로 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3) 연결봉(4)에 결합되는 고정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는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감싸는 커버(30)를 형성하되, 상기 커버(30)는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30)의 배면에는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로 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개폐부(32) 및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의 고정부(20)의 외부 돌출시 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부(16)는 상기 목 지지부(14)의 말단으로 부터 운전자의 어깨 부분을 지나 중앙부 등까지의 길이 만큼 형성됨에 있어, 상기 운전자의 양쪽 어깨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목 지지부(14)의 폭과 동일 폭을 갖는 머리 지지부(12)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어깨 부분으로 부터 중앙부 등까지 갈 수록 점차 감소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8)은 사각형상의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플레이트(18a)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플레이트(18a)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체결 클립(20a)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8)은 사각형상을 갖도록 서로 연결된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봉(18b)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지지봉(18b)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체결 클립(20a)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양측면에는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조밴드(36)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8)을 이루는 플레이트(18a) 및 이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체결 클립(20a)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금형 내에 미리 설치되어, 메모리 폼의 발포시 상기 금형 내부에서 상기 메모리 폼과 함께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8)을 이루는 지지봉(18b) 및 이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체결 클립(20a)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금형 내에 미리 설치되어, 메모리 폼의 발포시 상기 금형 내부에서 상기 메모리 폼과 함께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KR20-2003-0024409U 2003-07-29 2003-07-29 보조 헤드레스트 KR200330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09U KR200330595Y1 (ko) 2003-07-29 2003-07-29 보조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09U KR200330595Y1 (ko) 2003-07-29 2003-07-29 보조 헤드레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174A Division KR20050013685A (ko) 2003-07-29 2003-07-29 보조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95Y1 true KR200330595Y1 (ko) 2003-10-17

Family

ID=4941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409U KR200330595Y1 (ko) 2003-07-29 2003-07-29 보조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7331B2 (ja) ヘッド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US6520577B2 (en) Vehicle seat
JPH10258663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頭部保護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20200142448A (ko)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KR20190089354A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JP2002153350A (ja) ヘッドレスト用枕
JPH1134707A (ja) 車両用シート
JP2000201769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200330595Y1 (ko) 보조 헤드레스트
KR200326836Y1 (ko)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
KR20050013685A (ko) 보조 헤드레스트
JP2000210157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20100051939A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US20020140271A1 (en) Transparent automobile headrest
KR100454124B1 (ko)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001058533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217093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150237B1 (ko) 차량용 목 받침쿠션
KR200361166Y1 (ko) 자동차용 경추 안마기
JP3196370B2 (ja) 子供用シート付自動車用シート
KR200324056Y1 (ko) 차량용 목 받침구
KR20034688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311908Y1 (ko) 헤드레스트 장착형 쿠션
JPH0236753Y2 (ko)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