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978Y1 -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978Y1
KR200326978Y1 KR20-2003-0016458U KR20030016458U KR200326978Y1 KR 200326978 Y1 KR200326978 Y1 KR 200326978Y1 KR 20030016458 U KR20030016458 U KR 20030016458U KR 200326978 Y1 KR200326978 Y1 KR 200326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lluminance
headlight
taillight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Original Assignee
박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규 filed Critical 박창규
Priority to KR20-2003-0016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콤비네이션 스위치 조작없이도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구동을 차량의 구동상태 및 주변 조도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조도는 운전자가 선택하도록 하여 전조등의 점등 시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전조등은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동 소등되도록 하는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차량의 주행중에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량에게 자차(自車)의 존재를 확인시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구성되는 차량용 라이트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라이트의 제어장치는; 차량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차량에 설치된 전조등과 미등용 연결배선 및 전원 공급선과 연결 구성되며, 상기 차량용 라이트인 전조등 및 미등에 대한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전조등 및 미등과 연결되며 각각 전조등 및 미등의 온 시점을 조도에 의해 결정하도록 차량의 운전핸들 기둥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전조등용 조도감지센서와 미등용 조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조도감지센서; 상기 조도량을 자동 또는 수동방법에 의해 선택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전조등과 미등의 온 시점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조도조절스위치; 차량의 출발 및 정지상태를 차속센서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여 상기 조도조절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차량 구동여부에 따라 전조등 또는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펄스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펄스감지부; 상기 조도 상태와 차량 속도에 의해 점등된 전조등이 조도 변화 또는 차량 정지시에도 소정 시간동안 점등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소등되도록 하는 깜박임 방지 보상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전조등과 미등을 순차적으로 자동 온/오프 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전조등의 점등시점을 운전자 자신이 선택할 수 있고, 전조등의 소등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조등을 깜박거리는 장난 등을 예방할 수 기대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Automatic Controller Apparatus of Car Light}
본 고안은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라이트(즉, 전조등 및 미등)의 온·오프 구동을 기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작 없이 차량속도 및 조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기하 급수적인 보급에 비례하여 차량의 안전사고 비율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그러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일련의 방안으로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을 적절하게 조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 조작은 차량 주행중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방 차량에 대한 자차(自車)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라이트 켜는 것에 익숙하지 못한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인식과 습관으로 인해 잘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일몰 일출 시점에 전조등 뿐만 아니라 미등조차 켜는 것에 인색하거나 운전자의 조작 불이행으로 인하여 안전운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전조등 및 미등 조작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자신의 운전 과시용에 의해 일부러 조작하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터널 및 지하주차장 등과 같이조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장소로 차량이 진입할 때마다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없는 시간대(예컨대, 해가 넘어가는 일몰이나 일출 시간대) 및, 상기 터널 등에 진입하는 순간에 있어서는 순간적인 시력 저하로 사물 판단이 어렵게 되어 안전 운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차량이 주행할 때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전조등과 미등이 작동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및 미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는 조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주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설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 자신이 조도를 선택하여 전조등과 미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시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이 주행중에 현재 점등상태에 있는 전조등이 소등 상태로 변환될 때 단순하게 조도변화가 발생되는 순간에 곧바로 소등됨으로써, 일시적인 조도변화 또는 잠시 정지하는 경우 전조등이 점등되고 소등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의 출발과 정지상태 및 주위 조도에 따라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작 없이도 미동 및 전조등이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될 때, 상기 미등과 전조등의 점등·소등 시기를 감지센서의 조절에 의해 운전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도가 변화됨에 따라 점등상태에 있는 전조등이 소등상태로 변환될 때 그 조도변화가 발생되는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소등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조등 및 미등의 점등 구동시점을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기상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병은 키홀더에서 키를 빼면 전원공급이 강제적으로 중단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는; 차량의 주행중에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구성되는 차량용 라이트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라이트의 제어장치는; 차량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차량에 설치된 전조등과 미등용 연결배선 및 전원 공급선과 연결 구성되며, 상기 차량용 라이트인 전조등 및 미등에 대한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전조등 및 미등과 연결되며 각각 전조등 및 미등의 온 시점을 조도에 의해 결정하도록 차량의 운전핸들 기둥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전조등용 조도감지센서와 미등용 조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조도감지센서; 상기 조도량을 자동 또는 수동방법에 의해 선택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전조등과 미등의 온 시점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조도조절스위치; 차량의 출발 및 정지상태를차속센서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여 상기 조도조절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차량 구동여부에 따라 전조등 또는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펄스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펄스감지부; 상기 조도 상태와 차량 속도에 의해 점등된 전조등이 조도 변화 또는 차량 정지시에도 소정 시간동안 점등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소등되도록 하는 깜박임 방지 보상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조도감지를 위해 제공된 조도감지센서의 조도량 조절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 도면,
도 3은 도 1의 깜박임 방지보상부가 채택되어 전조등을 온/오프 시키는 것을 보인 모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차량 전면 유리부분에 도 1에 도시된 이상기후감지표시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터널 또는 지하차도를 주행할 때의 전조등 및 미등 점등상태를 보인 실시예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크로프로세서, 110 : 조도감지센서,
112 : 조도조절스위치, 120 : 램프구동부,
130 : 전조등, 140 : 미등,
160 : 깜박임 방지 보상부, 170 : 시동스위치 온·오프 감지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라이트 즉, 전조등(130) 및 미등(140)에 대한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0); 상기 전조등(130) 및 미등(140)과 연결되며 각각 전조등(130) 및 미등(140)의 온 시점을 조도에 의해 결정하도록 대체적으로 차량의 운전핸들 기둥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전조등용 조도감지센서(110a)와 미등용 조도감지센서(110b)(바람직하게 미등용 조도감지센서가 더 아래쪽에 장착됨)로 이루어진 조도감지센서(110); 상기 조도를 자동 또는 수동방법에 의해 선택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전조등(130)과 미등(140)의 온 시점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조도조절스위치(112); 상기 전조등(130) 또는 미등(140)이 하나 또는 두 개가 동시에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램프구동부(120)를 조작하는 선택스위치(122); 차량의 출발 및 정지상태를 차속센서(도면 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여 상기 조도조절스위치(112)의 조작과 함께 차량 구동여부에 따라 전조등(130) 또는 미등(140)을 점등시키기 위해 펄스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 인가하는 펄스감지부(150); 상기 조도 상태와 차량 속도에 의해 점등된 전조등(130)이 조도 변화 또는 차량 정지시에도 소정 시간동안 점등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 상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동 소등되도록 하는 깜박임 방지 보상부(1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조등(130)과 미등(140)에 한정하여 결선을 채택하고 점등 동작되도록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안개등이나 보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해당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 하고 있지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 및, 상기 선택스위치(122)에 의해 전조등(130) 또는 미등(140)이 각각 선택되었을 때 이를 알리는 디스플레이부, 예컨대 LED 등이 제공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도감지센서(110)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광감지소자(CDS)가 사용되며, 그 조도감지센서(110)가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조도레벨값은 조도조절스위치(112)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방법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감지센서(110) 평면상에 일정한 캡 등을 씌여 광감지소자 표면에 인가되는 빛(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조도감지센서(110)양단의 저항이 변화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을 가변저항기로 이용하여 조도량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적용된다. 여기서 조도감지센서(110)는 최대조도, 중간조도, 최소조도, 센서 오프(off)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 조도조절스위치(112)는 조도감지센서(110)에 의한 조도량을 소정 레벨 단계(예컨대, 오프·약·중·강)로 구분하여 제공되며, 상기 레벨 단계에서 온/오프상태는 조도량에 상관없이 차량이 출발하면 전조등(130)이 무조건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깜박임 방지 보상부(160)는 전원공급선 및 엑셀페달 케이블, 차속센서 라인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조등(130)은 결선 방식에 따라 외등·쌍등·쌍외등으로 분류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기후상태에 따른 조도를 감지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면 유리부분에 감지센서(182)와, 그 감지센서(182)에 의해 기상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빨강·노랑·파랑색상이 제공되는 이상기후감지표시기가 장착된다.
참조부호 170은 시동스위치 온·오프 감지부이다.
또한, 미도시 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자동제어장치와 차량에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운전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통해 미등 및 전조등을 조작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같이 자동으로 미등 및 전조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의 작용을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도조절스위치(112) 조작에 따라 조도감지센서(110)를 오프(off)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단계 200-202), 차량 운전자가 차량 시동을 온 시키고 엑셀 페달을 밟아 전조등 온(on) 상태로 출발을 하게 되면 펄스감지부(150)에 의해 차량 출발에 따른 펄스 감지를 행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00) 및 램프구동부(120)에 의해 전조등(130)을 점등시킨다(단계 204-208). 이때, 상기 조도조절스위치(112)는 오프 상태나 최저 조도감지레벨 상태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일단 차량이 출발되면 전조등(130)은 계속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엑셀 페달에서 발을 이탈시키더라도 펄스감지에 따라 전조등(130)은 계속 켜져 있게 된다(단계 210). 그리고, 상기 전조등(130)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신호 대기 등에 의해 잠시 정차를 하게 되더라도 이후 설명되는 깜박임 방지보상부(160)에 의해 상기 전조등(130)은 소정 시간(예컨대, 최소 30초에서 60초)정도 점등되어 있기 때문에 전조등을 깜박거리는 행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단계 212, 214).
이때, 차량 정지후 상기 전조등(130)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30-60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전조등(130)은 소등되고(단계 218), 차량 재출발이 이루어지면 단계 206으로 복귀되어 전조등(130) 점등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차량 재출발이 이루어지면 전조등(130)은 계속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단계 222).
이를 도 3에 도시된 깜박임 방지보상부가 채택되어 전조등을 온/오프 시키는 것을 보인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보상스위치(SW1)가 엑셀케이블이나 캬브레타(브란자) 쪽에 연결된 상태에서(b), 운전자가 엑셀페달에 발을 올려놓게 되면 차가 주행되지 않아도 전조등이 온(on) 동작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출발전에 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엑셀페달을 놓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a상태), '①' 단자는 오프(off)되고 '②'단자가 온(on) 됨과 아울러 '③'에 연결된 바이메탈스위치 또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깜박임 방지 보상부(160)가 작동되어 소정 시간동안 점등된 상태를 유지한 후 소등된다.
이는 종래 차량 전조등은 주행상태에서만 점등되는 것에 비해 엑셀페달을 약간 밟고 있는 출발단계에서부터 점등되기 때문에 전방시야의 확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도조절스위치(112)가 오프상태에서 차량 출발과 함께 전조등(130)이 무조건 점등되는 것 이외에 차량 주변의 조도 변화에 의해 전조등(130)및 미등(140)을 선택적으로 점등 동작시킬 수 있는 바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미등(140)과 전조등(130)을 점등시키기 위한 조도레벨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가 넘어가 땅거미가 질때는(대략 25-30LUX) 미등(140)이 점등되고, 이후 조금 더 어두어지면(대략 10-20LUX) 전조등(130)이 점등되도록 해야 하고, 이는 운전핸들의 하부 방향으로 전조등용 조도감지센서(110a)와 미등용 조도감지센서(110b)를 순차적으로 설치함에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차량 운전자는 조도조절스위치(112)를 조작하여 미등(140) 및 전조등 (130)의 점등 개시시점을 설정하는데, 조도감지센서(110)의 조도 레벨을 참조하여 해가 넘어가서 땅거미가 질때에는 미등(140)이 우선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미등(140)이 점등되는 조도 레벨보다 더 어두어질 때에는 전조등(130)이 점등되도록 조도레벨을 조정한다.
이는 조도감지센서(110)의 상면에 별도의 캡을 일정 부분정도 덮는 방법과, 가변저항기를 적용하여 저항값에 따라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으며, 통상 상기 가변저항기가 채택되어 조도조절스위치(112) 조작만으로 조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미등(140) 및 전조등(130) 점등 시점을 조도조절스위치(112)에 의해 설정한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가 시동을 건 후 차량을 출발하게 되면, 우선 상기 설정된 조도량보다 차량 주변의 조도레벨이 높은 경우에 전조등(130) 또는 미등(140)은 무조건 켜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도 감지에 따라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가 넘어가는 시간이 도래되면 일차적으로 미등용 조도감지센서(110b)는 지속적으로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있다가 기 설정된 조도레벨에 해당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램프구동부(120)에 의해 미등(140)을 점등 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해가 완전히 넘어가서 조도가 더 어두어지게 되면, 마찬가지로 전조등용 조도감지센서(110a)는 현재 조도레벨과 기 설정된 조도레벨에 따라 전조등(130)을 점등 시키게 된다(단계 224).
예컨대, 주간에 차량이 터널 또는 지하차도를 주행한다고 가정한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이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 진입하기 전에는 미등 및 전조등은 모두 소등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 진입하게 되면(A지점) 미등용 조도감지센서(110b)에 의해 먼저 조도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고 설정 레벨보다 더 어두어진 상태를 인지하여 미등(140)을 점등시키고, 이후 터널 외부와 터널 경계점에 비해 조도레벨이 더 낮은 터널 내부의 조도 감지에 의해 전조등(130)을 점등시키게 된다.
따라서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 주행되는 차량은 미등(140) 및 전조등(13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단계 226).
한편, 차량이 터널 또는 지하차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B지점)(단계 228), 미등 용 조도감지센서(110b)에 의한 조도 레벨 변화 감지에 따라 미등(140)은 소등되지만(단계 230), 전조등(130)은 터널을 완전히 벗어나서 대략 30-60초 정도 점등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 거리(l)를 더 주행한 후에 깜박임 방지 보상부(160)에 의해 소등되게 된다(C지점)(단계 232).
상기 깜박임 방지 보상부(160)는 현재 전조등(130)이 점등 상태이지만 조도가 원래 조도로 변화되는 경우, 또는 전조등(130)이 점등된 상태로 주행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즉시 전조등(130)이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바이메탈 소자 또는 타이머(Timer)로 이루어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구동 및 조도 변화에 의해 전조등(130) 및 미등(140)이 작동되는 것 이외에, 일기 변화에 따른 조도변화가 발생되더라도 차량 속도와 연계하여 전조등(130) 및 미등(14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전방 유리에 날씨 변화에 따른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82)를 소정 위치에 장착하고, 감지센서(182)와 속도센서(도면 미도시)를 연계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 연결한다.
그리고, 통상의 화물차에 장착되는 상기 속도센서는 차량 속도를 몇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속도에 따라 전조등(130) 또는 미등(140)을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시속 60km/h로 주행하는 경우, 날씨가 좋아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 주행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경우에는 미등(140)만을 점등시키고 주행할 수 있으나, 반면 눈·비가 내리거나 안개로 인해 전방시야가 어려운 경우, 상기 차량 속도가 60km/h로 주행한다고 할지라도 주변 조도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전조등(130)이 점등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도 변화에 의해 미등(140) 또는 전조등(130)이 점등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실수로 키를 빼면, 시동스위치 온·오프감지부(170)는 키가 키홀더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인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 의해 차량에 제공되는 전원을 강제로 단속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된 미등 또는 전조등에 한정하여 자동으로 온·오프 시키고 있지만, 안개등이나 기타 보조등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해당 램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센서를 대응되게 결선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등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작 없이 차량의 출발 또는 정지상태와 차량이 터널이나 지하차도 등으로 진입할 때 조도 감지결과에 따라 각각 차량에 장착된 전조등과 미등을 순차적으로 자동 온/오프 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어두운 정도인 조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이 주행중에 전조등 및 미등의 점등 시점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이 주행하는 도중에 차량 속도 또는 조도 변화에 의해 점등된 전조등이 차량 정지나 조도 변화에 의해 소등되어야 할 때, 소정 시간동안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전조등을 깜박이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전조등을 온·오프 시키는 장난 또한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주행중에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구성되는 차량용 라이트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라이트의 제어장치는;
    차량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차량에 설치된 전조등과 미등용 연결배선 및 전원 공급선과 연결 구성되며,
    상기 차량용 라이트인 전조등 및 미등에 대한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전조등 및 미등과 연결되며 각각 전조등 및 미등의 온 시점을 조도에 의해 결정하도록 차량의 운전핸들 기둥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전조등용 조도감지센서와 미등용 조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조도감지센서; 상기 조도량을 자동 또는 수동방법에 의해 선택하고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조도에 따라 전조등과 미등의 온 시점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조도조절스위치; 차량의 출발 및 정지상태를 차속센서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여 상기 조도조절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차량 구동여부에 따라 전조등 또는 미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펄스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펄스감지부; 상기 조도 상태와 차량 속도에 의해 점등된 전조등이 조도 변화 또는 차량 정지시에도 소정 시간동안 점등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소등되도록 하는 깜박임 방지 보상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깜박임 방지 보상부는; 전원을 공급받는 도중 스위칭 동작에 의해 소정 시간동안만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바이메탈 소자 또는 타이머(Timer)로 이루어진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감지센서는 전조등 및 미등 이외에 차량에 장착된 램프에 대해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그에 대응되는 조도감지센서가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KR20-2003-0016458U 2003-05-27 2003-05-27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KR200326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58U KR200326978Y1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58U KR200326978Y1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646A Division KR20040101814A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978Y1 true KR200326978Y1 (ko) 2003-09-19

Family

ID=4941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58U KR200326978Y1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3374A1 (en) * 2020-11-16 2022-05-19 Kawasaki Motors, Ltd. Straddle vehicle and light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3374A1 (en) * 2020-11-16 2022-05-19 Kawasaki Motors, Ltd. Straddle vehicle and light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459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stop and starting and position-lamps display
CN109808584B (zh) 一种车灯光照强度控制方法及装置
CN110803099A (zh) 一种夜间智能远光控制系统及方法
JP5872999B2 (ja) 電動機付自転車
KR200326978Y1 (ko)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KR20040101814A (ko)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6322B1 (ko)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JP2000280945A (ja) 自転車用前照灯の光量漸減装置
JP2006512250A (ja) 乗り物用ランプ自動制御回路
KR200461161Y1 (ko) 차량 위치 알림 장치
KR20090055768A (ko)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자동전환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4856A (ko) 차량용 외부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용 외부등 제어 방법
JP2001151010A (ja) 薄暮補助灯制御装置
KR200306204Y1 (ko)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KR20110005034A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64115Y1 (ko)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200273386Y1 (ko) 자동 라이트 오프 장치
KR20040063072A (ko)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 점등장치
KR200394799Y1 (ko) 안개등 자동점멸장치
KR19990023868U (ko) 차량의 헤드램프 점등제어장치
KR101068868B1 (ko) 자동차의 광대역 오토라이트장치
KR960000852Y1 (ko) 자동차 등화류의 자동제어장치
KR20100051938A (ko)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 방법
KR200171178Y1 (ko) 과속 방지턱 진입시 전조등 제어장치
KR20140079236A (ko) 전조등 상,하향 자동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