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204Y1 -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204Y1
KR200306204Y1 KR20-2002-0033052U KR20020033052U KR200306204Y1 KR 200306204 Y1 KR200306204 Y1 KR 200306204Y1 KR 20020033052 U KR20020033052 U KR 20020033052U KR 200306204 Y1 KR200306204 Y1 KR 200306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light
light
headlight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헌
Original Assignee
안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헌 filed Critical 안현헌
Priority to KR20-2002-0033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미등(차폭등)/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감지소자(CDS)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광도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전압의 차로 변환하고 A/D 변환부를 거쳐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적정기준의 조도값과 비교함으로써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점등 필요시 자동으로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의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인 날씨와 일기불순 날씨의 주변 광량을 감지하고,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광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주변 광도의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압의 차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차량의 시동 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검출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주변의 광량값과 기설정된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광량값을 비교 분석함과 더불어 상기 입력신호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시동 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점,소등을 위한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제 1,2비교부와; 상기 제 1,2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외부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일기 불순시와 정상 날씨를 구분하여 미등 및 전조등의 소등 응답을 각각 제어하여 주는 제 1,2 지연부와; 상기 제 1,2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미등 및 전조등을 각각 ON/OFF 구동시켜 주는 제 1,2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 미세한 디지털 방식에 의한 주변의 광도를 측정하여 일기 불순, 터널주행, 지하주차장 등에서 차폭등이나 전조등을 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때 미등 및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줌으로서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작동시 전조등이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도록 제어됨으로써 주차시 불필요한 전조등의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Electrical type control apparatus for a rear light and headlight of cars}
본 고안은 전자식 미등(차폭등)/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감지소자(CDS)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광도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전압의 차로 변환하고 A/D 변환부를 거쳐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수치화하고 이를적정기준의 조도값과 비교함으로써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점등 필요시 자동으로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중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방 차량에 대한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선진국에서는 주행 중 차량의 미등 및 라이트를 켜도록 권장 하거나 의무화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교통 당국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고 있으나 우리 운전자의 인식과 습관으로 인하여 잘 시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전 조작에 따른 편의성 향상과 운전자 상호간의 안전 운행을 위한 방법으로서 차량의 전조등과 미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순간적인 망각 또는 조작의 불이행으로 안전 운행 의무위반에 의한 사고 발생 및 그 사고에 따른 운전자의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터널 또는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로 차량이 갑자기 진입하면 순간적인 시력 저하로 운전자는 사물 판단이 어렵게 되어 당황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도 운전자의 별도 조작 없이 차량의 전조등과 미등이 자동으로 켜지게 되면 모든 불편을 해소함과 동시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 출원번호 : 20-1997-0004398, 고안의 명칭 :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 라는 실용 고안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20-1997-0004398의 기술을 살펴보면, 자동차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수단과, 감지된 조도를 기준조도와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 결과 감지된 조도가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는 미등을 자동적으로 온시켜 주고, 상기 감지된 조도가 기준조도 이상일 경우에는 미등을 자동적으로 오프시켜 주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차량 주변의 환경(조도)에 따라 미등을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주는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급격한 광도 차이만을 감지하여 미등만이 작동되도록 고안 되었으며, 실제 제품에 적용되어 구현되기 위한 세밀한 광도 변화에 따른 제어는 불가능하였다. 즉, 광도 레벨 조절이 매우 어려워 운전자가 그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 출원 번호: 20-2001-0026297, 고안의 명칭: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 점소등장치 " 라는 고안을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상기의 기술은 광감지 소자를 이용하여 광도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비교하여 미등 및 전조등 점등 필요시 릴레이를 구동시켜 미등 및 전조등을 자동으로 점,소등 함과 더불어 악천후시 필수적으로 동작시키는 와이퍼의 신호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와이퍼의 움직임에 따라 미등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 점소등 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서 차량 주변 광도값의 세밀한 측정을 위해 보다 개선된 디지탈 제어방식의 제품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실행함으로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보다 휠씬 폭 넓은 조건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기 불순시 와이퍼의 움직임과 악천후시의 주변 조도를 동시에 비교하여 적정한 등화를 가능케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브레이크 작동시 전조등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제어하여 주차시 불필요한 전조등의 점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 중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의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인 날씨와 일기불순 날씨의 주변 광량을 감지하고,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광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주변 광도의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압의 차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차량의 시동 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검출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주변의 광량값과 기설정된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광량값을 비교 분석함과 더불어 상기 입력신호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시동 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점,소등을 위한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제 1,2비교부와;
상기 제 1,2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외부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일기 불순시와 정상 날씨를 구분하여 미등 및 전조등의 소등 응답을 각각 제어하여 주는 제 1,2 지연부와;
상기 제 1,2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미등 및 전조등을 각각 ON/OFF 구동시켜 주는 제 1,2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감지부 200 : 마이크로 콘트롤부
210 : A/D 변환부 220,250 : 제 1,2 비교부
230,260 : 제 1,2 지연부 240 : 입력신호검출부
300,300 : 제 1,2 릴레이구동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감지부(100)와; A/D 변환부(210), 제 1,2 비교부(220,250), 제 1,2 지연부(230,260), 입력신호검출부(24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부(200); 및 제 1,2 릴레이구동부(300,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00)는 정상적인 날씨와 일기불순 날씨의 주변 광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광감지 소자(CDS)인 수광센서와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A/D변환부(210)는 광감지 소자(CDS)를 이용하여 광도에 따라 달라지는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압의 차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신호검출부(240)는 차량의 시동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 브레이크 작동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주차 브레이크 작동신호의 검출은 차량이 수동인 경우 중립 상태의 신호를 검출하고, 오토인 경우에는 P(parking)레바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제 1,2 비교부(220,250)은 A/D변환부(210)로부터 전달된 주변의 광량값과 기설정되어 있는 점,소등의 광량값을 비교 분석하여 점,소등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검출부(240)로부터 차량의 시동과 와이퍼(Wiper)의 작동 및 주차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입력받아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점,소등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 1,2 지연부(230,260)는 제 1,2 비교부(220,25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와 외부 입력신호를 비교분석하여 일기 불순시와 정상 날씨를 구분하여 미등 및 전조등의 소등 응답을 각각 결정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2 릴레이구동부(300,310)은 제 1,2 지연부(230,260)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미등 및 전조등을 각각 ON/OFF 구동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회로 설계시 미등/전조등의 ON/OFF 시점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차량 실내(앞유리) 계기판 상단을 측정 포인트로 하여 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변 빛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는 기준을 아래의 표 1, 표 2와 같이 마련하여 회로 설계의 기본 데이타로 적용하였다.
측정지점 측정치(LUX) 참고 사항
지하차도 60 - 90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터 널 30 - 80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고가도로 밑 15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지하주차장 15 - 150
일몰시 900 - 1200 일몰 전 10분 경
우천시 800 - 500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측정지점 측정치(DUX) 참고 사항
지하차도 35 - 12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터 널 30 - 10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고가도로 밑 10 - 70 차량 주행상태에서 측정
지하주차장 15 - 150
상대차량 전조등 10 - 50
이 때, 상기 표 1은 주간의 광도 측정값을 나타내며, 표 2는 야간의 광도 측정값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사람의 시각에서 어두움을 느끼는 광도는 운전시 약 700 LUX 전,후 이며, 시야 장애를 느끼는 광도는 약 200LUX 정도로 판단된다. 측정기의 광도와 사람이 느끼는 광도의 오차는 밝을수록 커다란 차이(일몰시:400 - 500LUX의 광도를구분하기 어려움)를 나타내며, 어두울수록 적게 나타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고안의 회로 비교값을 결정하였다.
또한, 악천후시(눈 또는 비가 올때) 시야장애가 발생됨으로 실제 광도 측정값은 1500LUX 이상으로 별도의 동작회로를 구성하였다.
상기 감지부(10)는 주변의 광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광센서(CDS)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발광소자(LED)를 내장시켜 안정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 부착된다.
본 고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이미 출고되어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운전석 계기판 소정위치에 미등/전조등 제어장치(400)를 간단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기존 차량의 기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 또한 특징이다.
상기 입력신호검출부(240) 및 제 1,2 비교부(220,250)에서는 표 1, 표 2를 토대로 운전의 편의성과 안전 운행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신호검출부(240)의 표준 비교값을 표 3 및 표 4로 정의하여 광도에 대한 비교회로를 구성하였다.
아울러 미등과 전조등의 비교 회로를 분리하여 각각의 설정 범위에 따라 별도의 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점등시 미 등 900 LUX ±50
전조등 180 LUX ±30
소등시 미 등 2500 LUX ±50
전조등 300 LUX ±50
점등시 미 등 4500 LUX ±50
전조등 1000 LUX ±30
소등시 미 등 5900 LUX ±50
전조등 1500 LUX ±30
이 때, 표 3은 표준 동작 범위에서의 표준 비교값을 나타내며, 표 6은 와이퍼 동작 범위에서의 일기 불순시값을 나타낸다.
상기 제 1,2 지연부(230,260)에서는 미세한 광도변화에 ON/OFF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가지의 기능을 회로에 접목시켰다.
첫째, 소등값을 점등값 보다 크게 하여 점등 후 일정 광도 이상이 되어야 소등이 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둘째, 점등 후 일정 광도가 되어도 소등시까지 일정 시간(본 고안의 경우: 3.2sec)점등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것은 미등/전조등의 깜박거림을 방지함은 물론 연속된 터널등을 통과할 때 점,소등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2 릴레이 구동부(300,310)는 상기 제 1,2 지연부(230,260)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자동차의 미등과 전조등을 ON/OFF 하여 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한 전자식 미등 및 전조등 제어장치를 차량의 소정 위치에 장착함으로서 차량 주행 중 시야 확보 및 상대차에게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의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미세한 디지털 방식에 의한 주변의 광도를 측정하여 일기 불순, 터널주행, 지하주차장 등에서 차폭등이나 전조등을 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때 미등 및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서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게 된다.
세째, 본 고안의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는 주차브레이크 작동시 전조등이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도록 제어됨으로써 주차시 불필요한 전조등의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주행 중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의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인 날씨와 일기불순 날씨의 주변 광량을 감지하고,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광센서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주변 광도의 아날로그 저항값을 전압의 차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차량의 시동 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검출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주변의 광량값과 기설정된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광량값을 비교 분석함과 더불어 상기 입력신호검출부로부터 차량의 시동 신호와 와이퍼의 작동 신호 및 주차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미등 및 전조등의 점,소등 조건을 비교 분석하여 점,소등을 위한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제 1,2비교부와;
    상기 제 1,2 비교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외부 입력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일기 불순시와 정상 날씨를 구분하여 미등 및 전조등의 소등 응답을 각각 제어하여 주는 제 1,2 지연부와;
    상기 제 1,2 지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에 따라 미등 및 전조등을 각각 ON/OFF 구동시켜 주는 제 1,2 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2 비교부에서 정상적인 날씨의 미등/전조등 점등시 기설정된 표준 비교 광량값은 미등; 900 LUX ±50, 전조등; 180 LUX ±30 이고, 소등시의 기설정된 비교 광량값은 미등; 2500 LUX ±50, 전조등; 300 LUX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2 비교부에서 일기불순 날씨의 미등/전조등 점등시 기설정된 비교 광량값은 미등; 4500 LUX ±50, 전조등; 1000 LUX ±30 이고, 소등시의 기설정된 비교 광량값은 미등; 5000 LUX ±50, 전조등; 1500 LUX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2비교부에 입력신호검출부로부터 주차 브레이크 작동신호가 검출되어 입력되는 경우 주차시 불필요한 전조등의 점등을 방지하기 위해 전조등이 소등되도록 제어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KR20-2002-0033052U 2002-11-05 2002-11-05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KR20030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052U KR200306204Y1 (ko) 2002-11-05 2002-11-05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052U KR200306204Y1 (ko) 2002-11-05 2002-11-05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204Y1 true KR200306204Y1 (ko) 2003-03-04

Family

ID=4933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052U KR200306204Y1 (ko) 2002-11-05 2002-11-05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2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68B1 (ko) * 2008-09-22 2011-09-29 엘지테크주식회사 자동차의 광대역 오토라이트장치
KR20180068046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68B1 (ko) * 2008-09-22 2011-09-29 엘지테크주식회사 자동차의 광대역 오토라이트장치
KR20180068046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제어방법
KR102463696B1 (ko) * 2016-12-13 202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램프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6113B2 (ja) 車両用照明制御装置
JP6330244B2 (ja) 明るい都市条件を検出するための画像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8588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quipment responsive to a multi-stage village detection
KR200306204Y1 (ko) 전자식 미등/전조등 제어장치
KR200262456Y1 (ko)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 점소등장치
KR100725909B1 (ko) 악천후 시 헤드램프 색 변경 및 밝기 조절장치
KR200337343Y1 (ko) 차량용 오토라이트 시스템 내장 룸미러
JP2003002110A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KR100534975B1 (ko) 차량의 눈부심 방지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20010048343A (ko) 우천시 자동차의 프론트 포그램프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642841Y2 (ko)
KR0148908B1 (ko) 자동차 조명제어장치
KR200326978Y1 (ko)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KR200275211Y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복원장치
KR100231540B1 (ko) 자동차 상향등 자동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1814A (ko)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67918B1 (ko) 자동 전조등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141308Y1 (ko) 브레이크 램프 조도 자동조절 장치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KR200164115Y1 (ko)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0153249B1 (ko) 와이퍼작동시 전조등 자동 작동장치와 그 방법
KR0137823Y1 (ko) 자동차의 자동 램프 변환 장치
KR19980044697A (ko) 자동차용 램프류의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163930Y1 (ko) 자동차의 미등 자동 제어장치
KR20020055628A (ko) 와이퍼를 이용한 자동차용 자동 점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