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875Y1 -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 Google Patents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875Y1
KR200326875Y1 KR20-2003-0014604U KR20030014604U KR200326875Y1 KR 200326875 Y1 KR200326875 Y1 KR 200326875Y1 KR 20030014604 U KR20030014604 U KR 20030014604U KR 200326875 Y1 KR200326875 Y1 KR 200326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coat
ink pigment
top coat
m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 filed Critical 김영
Priority to KR20-2003-0014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리코팅층의 표면에 잉크안료를 분사하여 점박이 형태의 코팅층을 형성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프라이머 코트(2)와 미드 코트(3) 및 탑 코트(4)가 차례로 적층되어 도포된 쓰리코팅층(5)의 상기 탑 코트(4) 또는 탑 코트 없이 미드 코트(3) 상에 분사기로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된 불연속 코팅층(6)이 상기 탑 코트(4) 상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흠집이 생기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A Utensils spreaded to ink paints in three coating class}
본 고안은 쓰리코팅층의 표면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프라이머 코트와 미드 코트 및 탑 코트가 차례로 적층되어 도포된 쓰리코팅층의 표면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불규칙한 모양의요철로 된 불연속 코팅층이 상기 표면에 형성되도록 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표면을 코팅할 필요가 있는 일반적인 기구들 가운데 모든 기구는 대체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초기에는 금속제 자체만 가지고도 기구를 사용해 왔으나, 이와 같이 사용하다보니 예컨대, 주방용 기구의 경우 음식물과 같은 것을 조리할 때나 또는 그 외의 경우에 상기 기구의 표면이 긁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액을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층이 상기 표면에 형성되도록 한 기구가 개발된 이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코팅액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기구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기구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트(primer coat)와 미드 코트(mid coat) 및 탑 코트(top coat)가 차례로 적층되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일명 쓰리코팅(three coating)이 보편화된 형태로 기구에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더 나아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10)에 도포된 쓰리코팅층(50)을 이용하여 프라이머 코트(20)나 또는 미드 코트(30) 상에 이 코트들이 부분적으로 건조되거나 또는 충분히 축축한 상태에서 색을 달리하는 스패터 잉크를 도포하여 연속적인 작은 구형체들로 이루어지는 불연속 코트(60)를 형성하고, 그 위에 탑 코트(40)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불연속 코트가 쓰리코팅층(50)에서 다색 문양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가 약간 돌출되어 기구의 표면이 긁히는 것까지 방지하도록 한 코팅층이 개발되게 되었고, 이러한 기구를 주방에서 사용하는 주방기구에 대표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코팅에 있어 쓰리코팅층에 상기 불연속 코트를 적용하는 주요 목적은 반사성 안료로는 쉽게 얻어질 수 없는 색효과를 갖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불연속 코트가 프라이머 코트와 탑 코트 또는 미드 코트 사이와 탑 코트 사이에 도포되는 형태로서는 상기 탑 코트가 불연속 코트를 완전하게 덮어버리기 때문에, 표면의 코팅층이 거의 평탄한 면을 이루게 되어 내긁힘성이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쓰리코팅층에 불연속 코트를 형성하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주방기구의 경우 그다지 넓은 면적의 표면적(음식물이 닿는 부위)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을 조리할 때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골고루 익혀야 하는 음식물이 제대로 조리되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구 표면의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이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고,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난반사에 의한 광택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될 수 있도록 쓰리코팅층의 탑 코트 또는 탑 코트 없이 미드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불규칙적인 모양의 요철로 된 불연속 코팅층이 상기 탑 코트 또는 미드 코트와 함께 표면의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예시도 및 표면 코팅층의 단면 일부의 확대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구의 예시도 및 표면 코팅층의 단면 일부의 확대 예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기구, 2...프라이머 코트,
3...미드 코트, 4...탑 코트,
5...쓰리코팅층, 6...불연속 코팅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프라이머 코트와 미드 코트 및 탑 코트가 표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쓰리코팅층을 형성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탑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탑 코트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또, 프라이머 코트와 미드 코트가 표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코팅층을 형성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미드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미드 코트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프라이머 코트와 탑 코트가 표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코팅층을 형성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탑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탑 코트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예시도 및 표면 코팅층의 단면 일부의 확대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1)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트(2)와 미드 코트(3) 및 탑 코트(4)가 차례로 적층되어 도포되는 쓰리코팅층(5)이 형성되고, 상기 쓰리코팅층의 최상부인 탑 코트(4) 상에 분사기로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상기 잉크안료가 탑 코트와 함께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이루어진 불연속 코팅층(6)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쓰리코팅층의 탑 코트 상에 점박이 형태로 자리잡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6)이 해당 부분만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면의 단면 일부에서는 쓰리코팅층을 포함하여 도포된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실제로는 쓰리코팅층의 각 코트 두께와 더불어 돌출되는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 두께는 10㎛ 내외가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불연속 코팅층은 프라이머 코트와 미드 코트로 이루어진 코팅층의 상기 미드 코트 상에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프라이머 코트와 탑 코트로 이루어진 코팅층의 상기 탑 코트 상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기구의 표면에 코팅되는 쓰리코팅층의 두께는 전체가 약 35㎛ 이상이 되어야 내구성이 향상되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특히 곡면의 두께가 일정치 않은 관계로 인해 20㎛ 정도의 두께로 쓰리코팅층이 형성되어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생산성까지 저하되는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이 잉크안료를 쓰리코팅층의 탑 코트 상에 도포하여 불연속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40㎛ 이상의 두께로 쓰리코팅층과 잉크안료가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불량률이 감소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쓰리코팅층에서 프라이머 코트의 코팅액은 폴리아미드의 nmp용해 혼합물 16.8 중량%, 물 4.1 중량%, PTFE분산액 67.2 중량%, 카본블랙 분산액 3.5 중량%, 실리카 분산액 8.4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되고, 미드 코트의 코팅액은 PTFE분산액 81.13 중량%, 물 9.22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1.53 중량%, 트리에틸아민 0.46 중량%, 올레인산 0.46 중량%, 계면활성제 0.33 중량%, 무기안료 분산액 1.98 중량%, 카본블랙 분산액 3.35 중량%, 운모 1.54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되며, 탑 코트의 코팅액은 PTFE분산액 89.25 중량%, 물 6.53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1.09 중량%, 트리에틸아민 0.32 중량%, 올레인산 0.32 중량%, 계면활성제 0.25 중량%, 운모 2.24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쓰리코팅층의 탑 코트 상에 분산되어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는 잉크안료는 PTFE 분산액 86.8 중량%, 물 3.38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0.56 중량%, 트리에틸아민, 0.17 중량%, 올레인산 0.17 중량%, 계면활성제 0.12 중량%, 무기안료 분산액 8.8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과 조성비율을 갖는 프라이머 코팅액, 미드 코팅액, 탑 코팅액 및 잉크안료를 이용하여 기구의 표면에 코팅층을 조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단계로 코팅되어야 할 기구의 표면에 미세한 엠보싱이 무수히 형성되는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처리로 그 표면적을 증대시키게 되고, 그 다음의 두 번째 단계로 샌드블라스팅 처리된 기구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하게 되며, 그 다음의 세 번째 단계로 샌드블라스팅 처리되고 세척된 기구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팅액을 10∼12㎛ 두께로 도포하여 프라이머 코트를 형성한 후 200℃에서 15분간 건조하게 되고, 그 다음의 네 번째 단계로 기구의 표면에 도포된 프라이머 코트 상에 미드 코팅액을 10∼12㎛ 두께로 도포하여 미드 코트를 형성하며, 그 다음의 다섯 번째 단계로 상기 미드 코트가 젖은 상태에서 탑 코팅액을 8∼12㎛ 두께로 도포하여 탑 코트를 형성한 후, 300∼350℃에서 15분간 건조함으로써 쓰리코팅층을 완성하게 되고, 그 다음의 마지막 여섯 번째 단계로 쓰리코팅층의 건조된 탑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분사하여 점박이 형태로 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불연속 코팅층을 조성한 후, 405∼415℃에서 20분간 열처리하게 된다.
상기한 코팅층 조성방법에 따른 기구에서는 쓰리코팅층의 탑 코트 상에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을 조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프라이머 코트와 미드 코트의 코팅층을 조성한 후에 탑 코트 없이 상기 미드 코트 상에 바로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방법으로 잉크 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을 조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미드 코트를 제외하고 프라이머 코트와 탑 코트로만 코팅층을 조성한 후에 상기 탑 코트 상에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방법으로 잉크 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을 조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코팅층 조성방법에서는 미드 코트 또는 탑 코트가 건조된 상태에서 불연속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도 또한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미드 코트 또는 탑 코트가 젖어 있는 상태에서 불연속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불연속 코팅층의 크기, 즉 점박이의 크기가 건조된 상태에서 도포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불연속 코팅층의 크기 조절을 위해 적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이 코팅되는 기구는 도면에서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대표적으로는 음식물이 주로 표면에 닿는 주방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 외에도 표면을 코팅해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주방기구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닿는 표면적이 다른 경우에 비해 한층 증가하게 되어 상기 음식물로의 열전달이 균일하고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골고 익혀지는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게 되며, 탑 코트가 불연속 코팅층을 덮어버린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탑 코트에 어느 정도 가려진 상태에서 불연속 코팅층의 반사가 이루어져 광택효과가 덜 발휘되나, 본 고안에서는 탑 코트 상에서 불연속 코팅층의 반사가 바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광택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에 의하면, 쓰리코팅층의 탑 코트 상에 분사하여 점박이 형태로 도포된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상부를 향해 충분히 돌출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조리기구에 적용할 경우 스크래치(scratch)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이 좋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기구를 사용하고 난 후의 청소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에 의해 쓰리코팅층을 포함한 전체 코팅층의 두께가 40㎛ 이상이 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불량률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게다가, 특히 조리기구의 경우 음식물이 닿는 표면적이 다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음식물을 골고루 익혀져 맛있게 조리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욱이, 탑 코트 상에서 직접 반사되는 불연속 코팅층에 의해 발휘되는 광택효과로 인해 디자인 적으로 볼 때 고급스럽고 미려한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게 된다.

Claims (5)

  1. 프라이머 코트(2)와 미드 코트(3) 및 탑 코트(4)가 표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쓰리코팅층(5)을 형성한 기구(1)에 있어서,
    상기 탑 코트(4) 상에 잉크안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탑 코트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6)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층에 잉크안료가 도포된 기구.
  2. 프라이머 코트와 미드 코트가 표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코팅층을 형성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미드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미드 코트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층에 잉크안료가 도포된 기구.
  3. 프라이머 코트와 탑 코트가 표면에 차례로 적층되어 코팅층을 형성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탑 코트 상에 잉크안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탑 코트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층에 잉크안료가 도포된 기구.
  4. 삭제
  5. 삭제
KR20-2003-0014604U 2003-05-12 2003-05-12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KR200326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04U KR200326875Y1 (ko) 2003-05-12 2003-05-12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04U KR200326875Y1 (ko) 2003-05-12 2003-05-12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932A Division KR100498761B1 (ko) 2003-05-12 2003-05-12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및 코팅층 조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875Y1 true KR200326875Y1 (ko) 2003-09-19

Family

ID=4941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04U KR200326875Y1 (ko) 2003-05-12 2003-05-12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8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4016B2 (ja) ワンコーティングまたはスリーコーティング層にインク顔料を塗布してコーティング層を形成した器具およびその形成方法
RU256886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жаропрочным покрытием, снабженным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цветным рисунком с плавными переходами тон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4795458B2 (ja) 熱伝導促進用金属が含まれている器具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KR102298956B1 (ko) 플렉소그래피에 의해 열 안정성 코팅을 포함하는 물품을 장식하기 위한 방법
CN103144483A (zh) 一种应用于卫浴产品的水转印生产工艺
CN105170425A (zh) 通过点法涂覆的厨房器具及其制造方法
KR100498761B1 (ko)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및 코팅층 조성방법
KR200326875Y1 (ko)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EP0804293B1 (en) Multi-color patterned cookware
KR200347043Y1 (ko)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KR20050024914A (ko)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US5728455A (en) Randomly patterned cookware
CN108468400A (zh) 一种水性仿石材铝单板的制造方法
CN100486717C (zh) 在单涂覆层或三涂覆层上形成油墨涂覆层的器具及其方法
JPH0767784A (ja) 調理器の調理プレート
KR101587593B1 (ko) 점묘화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3844906B2 (ja) 多彩模様塗膜形成方法
JP3365626B2 (ja) 多彩模様塗膜の形成方法
US5711995A (en) Angle spraying of cookware
CN211416525U (zh) 一种具有纹路结构的铝板
JP4712245B2 (ja) 建材ボードのぼかし塗装方法
KR200327538Y1 (ko) 은을 함유한 코팅층을 갖는 기구
JPH0859370A (ja) 釉薬塗布方法
TW394707B (en) Multi-color patterned cookware
JPH0677544B2 (ja) 高温調理機器用皮膜の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