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043Y1 -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 Google Patents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043Y1
KR200347043Y1 KR20-2003-0028637U KR20030028637U KR200347043Y1 KR 200347043 Y1 KR200347043 Y1 KR 200347043Y1 KR 20030028637 U KR20030028637 U KR 20030028637U KR 200347043 Y1 KR200347043 Y1 KR 200347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ink
ceramic
weight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 filed Critical 김영
Priority to KR20-2003-0028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라믹도료나 또는 그 외의 도료 중의 하나를 도포하여 기구의 표면에 형성되는 원코팅층 상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구 표면의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이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고,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거나, 난반사에 의한 광택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될 수 있도록 기구에 도포되는 코팅층을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 중의 하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으로 구성하되, 상기 기구에 형성되는 원코팅층 상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불규칙적인 모양의 요철로 된 불연속 코팅층이 상기 원코팅층과 함께 표면의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A Utensils spreaded to ink paints on one coating class}
본 고안은 세라믹도료나 또는 그 외의 도료 중의 하나로 도포하여 형성된 원코팅층 상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 중의 하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원코팅층 상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된 불연속 코팅층이 상기 원코팅층과 함께 표면에 형성되도록 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표면을 코팅할 필요가 있는 일반적인 기구들 가운데 모든 기구는 대체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초기에는 금속제 자체만 가지고도 기구를 사용해 왔으나, 이와 같이 사용하다보니 예컨대, 주방용 기구의 경우 음식물과 같은 것을 조리할 때나 또는 그 외의 경우에 상기 기구의 표면이 긁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액을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층이 상기 표면에 형성되도록 한 기구가 개발된 이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코팅액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기구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기구의 표면에 프라이머 코트(primer coat)와 미드 코트(mid coat) 및 탑 코트(top coat)가 차례로 적층되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일명 쓰리코팅(three coating)이 보편화된 형태로 기구에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더 나아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10)에 도포된 쓰리코팅층(50)을 이용하여 프라이머 코트(20)나 또는 미드 코트(30) 상에 이 코트들이 부분적으로 건조되거나 또는 충분히 축축한 상태에서 색을 달리하는 스패터 잉크를 도포하여 연속적인 작은 구형체들로 이루어지는 불연속 코트(60)를 형성하고, 그 위에 탑 코트(40)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불연속 코트가 쓰리코팅층(50)에서 다색 문양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가 약간 돌출되어 기구의 표면이 긁히는 것까지 방지하도록 한 코팅층이 개발되게 되었고, 이러한 기구를 주방에서 사용하는 주방기구에 대표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코팅에 있어 쓰리코팅층에 상기 불연속 코트를 적용하는 주요 목적은 반사성 안료로는 쉽게 얻어질 수 없는 색효과를 갖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불연속 코트가 프라이머 코트와 탑 코트 또는 미드 코트 사이와 탑 코트 사이에 도포되는 형태로서는 상기 탑 코트가 불연속 코트를 완전하게 덮어버리기 때문에, 표면의 코팅층이 거의 평탄한 면을 이루게 되어 내긁힘성이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쓰리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구 표면의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이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고,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거나, 난반사에 의한 광택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될 수 있도록, 기구에 도포되는 코팅층을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 중의 하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으로 구성하되, 상기 기구에 형성되는 원코팅층 상에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불규칙적인 모양의 요철로 된 불연속 코팅층이 상기 원코팅층과 함께 표면의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예시도 및 표면 코팅층의 단면 일부의 확대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구의 예시도 및 표면 코팅층의 단면 일부의 확대 예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기구, 2...원코팅층,
3...불연속 코팅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알콜, SiO2, 산, 실란,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세라믹도료가 표면에 도포되어 세라믹 코팅층이 원코팅층으로 형성된 기구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 상에 상기 세라믹도료와 같은 종류인 잉크안료나 혹은 다른 종류인 잉크안료를 한 번 또는 여러 번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과 함께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세라믹도료의 조성성분 중 알콜은 대표적으로 이소프로필 알콜, 산은 대표적으로 붕산, 무기안료 분산액은 대표적으로 산화 티탄이나 또는 산화 지르코늄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세라믹도료를 구성하는 있는 각 조성의 비율은 알콜 30 중량%, SiO210 중량%, 산 10 중량%, 실란 20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30 중량%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원코팅층은 내열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된 내열 코팅층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내열도료는 실리콘 복합수지, 복합유기용제,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복합충진재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내열도료를 구성하고 있는 각 조성의 비율은 실리콘 복합수지 35 중량%, 복합유기용제 40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5 중량%, 복합충진재 20 중량%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원코팅층은 불소수지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된 불소수지 코팅층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불소수지도료는 폴리아미드와 nmp(n-메틸필로리돈) 혼합물, 물,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분산액(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의 분산액),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실리카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불소수지도료를 구성하고 있는 각 조성의 비율은 폴리아미드와 nmp 혼합물 16.8 중량%, 물 4.1 중량%, PTFE 분산액 67.2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3.5 중량%, 실리카 8.4 중량%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원코팅층 상에 여러 번 도포되는 잉크안료는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안료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예시도 및 표면 코팅층의 단면 일부의 확대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라믹도료를 기구(1)의 표면에 도포하여 세라믹 코팅층이 원코팅층(2)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2) 상에 분사기로 세라믹도료의 원코트안료와 같은 종류의 잉크안료 혹은 다른 종류의 잉크안료를 점박이 형태로 도포하여 상기 잉크안료에 의해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이루어진 불연속 코팅층(3)이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과 함께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2) 상에 점박이 형태로 자리잡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3)이 해당 부분만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면의 단면 일부에서는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2)을 포함하여 도포된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3)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실제로는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코트 두께와 더불어 돌출되는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 두께는 10㎛ 내외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기구의 면에 세라믹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은 반드시 상기 세라믹 코팅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내열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내열 코팅층의 원코팅층이나 또는 불소수지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으로 하여, 상기 내열 코팅층이나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원코팅층 상에 분사기로 분사되어 점박이 형태로 자리잡은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해당 부분만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잉크안료를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 상에 도포하여 불연속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20∼30㎛ 이상의 두께로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과 잉크안료가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불량률이 감소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세라믹도료는 알콜(대표적으로는 이소프로필 알콜) 30 중량%, SiO210 중량%, 산(대표적으로는 붕산) 10 중량%, 실란(모든 실란 가능) 20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대표적으로는 산화 티탄, 산화 지르코늄) 30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되고, 내열 코팅층의 원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내열도료는 실리콘 복합수지(대표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수지나 스트레이트 실리콘으로부터 모든 실리콘 수지 가능) 35 중량%, 복합유기용제(MEK:메틸에틸케톤) 40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5 중량%, 복합충진재(그라스비드, 금속의 산화물) 20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되며,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불소수지도료는 폴리아미드와 nmp(n-메틸필로리돈) 혼합물 16.8 중량%, 물 4.1 중량%,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분산액(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의 분산액) 67.2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3.5 중량%, 실리카 8.4 중량%의 조성과 조성비율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 상에 분산되어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는 잉크안료는 상기 원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와 동일한 종류이거나 유사한 색상을 갖는 안료를 사용하게 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와 다른 종류이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는 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번 잉크안료를 도포하는 경우에 도포되는 잉크안료들마다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점박이 문양이 단색이 아닌 다양한 색상을 지니도록 할 수도 있다.이때, 상기 잉크안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간에 같은 종류거나 혹은 다른 종류의 도료로써, 기구의 도포면 상에 스패터 문양(불규칙 문양)으로 도포되는 됴료를 잉크라 칭하고 있으며, 세라믹 도료나 불소 도료 상의 세라믹 스패터 문양은 세라믹 잉크로, 세라믹 도료나 내열 도료 상의 불소수지 스패터 문양은 불소수지 잉크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과 조성비율을 갖는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 중의 하나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 상에 같은 종류의 잉크안료나 혹은 다른 종류의 잉크안료를 이용하여 기구의 표면에 코팅층을 조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단계로 코팅되어야 할 기구의 표면에 미세한 엠보싱이 무수히 형성되는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처리로 그 표면적을 증대시키게 되고, 그 다음의두 번째 단계로 샌드블라스팅 처리된 기구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하게 되며, 그 다음의 세 번째 단계로 샌드블라스팅 처리되고 세척된 기구의 표면에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 중에 선택된 하나의 도료를 15∼25㎛ 두께로 도포하여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을 형성한 후 100∼150℃에서 10∼15분간 열처리하게 되고, 그 다음의 네 번째 단계로 기구의 표면에 도포된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 상에 잉크안료를 한번이나 또는 여러번 분사하여 점박이 형태로 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불연속 코팅층을 조성한 후, 200℃에서 10∼15분간 소부하게 된다.
여기서, 샌드블라스팅 처리와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 중의 하나를 도포한 후 100∼150℃에서 10∼15분간 열처리하는 단계는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 있으며, 단 샌드블라스팅 처리를 할 경우에는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는 세라믹도료나 내열도료 또는 불소수지도료의 접착력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코팅층 조성방법에서는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이 건조된 상태에서 불연속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기구의 표면이 좀 더 돌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도 또한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 불연속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불연속 코팅층의 크기, 즉 점박이의 돌출된 크기가 건조된 상태에서 도포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불연속코팅층의 크기 조절을 위해 적용하게 되고, 위와 같이 건조를 생략한 상태 즉, 젖어있는 상태에서 점박이 도포를 한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점박이 문양의 돌출이 완만해 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이 코팅되는 기구는 도면에서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대표적으로는 음식물이 주로 표면에 닿는 주방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 외에도 표면을 코팅해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주방기구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닿는 표면적이 다른 경우에 비해 한층 증가하게 되어 상기 음식물로의 열전달이 균일하고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골고루 익혀지는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게 되며, 탑 코트가 불연속 코팅층을 덮어버린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탑 코트에 어느 정도 가려진 상태에서 불연속 코팅층의 반사가 이루어져 광택효과가 덜 발휘되나, 본 고안에서는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 중의 하나인 원코팅층 상에서 불연속 코팅층의 반사가 바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광택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에 의하면, 기구의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 상에 분사하여 점박이 형태로 도포된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이 상부를 향해 충분히 돌출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조리기구에 적용할 경우 스크래치(scratch)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내긁힘성 및 내마모성이 좋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기구를 사용하고 난 후의 청소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에 의해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 두께가 20∼30㎛ 이상이 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불량률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게다가, 특히 조리기구의 경우 음식물이 닿는 표면적이 다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음식물을 골고루 익혀져 맛있게 조리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욱이, 세라믹 코팅층이나 내열 코팅층 또는 불소수지 코팅층의 원코팅층 상에서 직접 반사되는 불연속 코팅층에 의해 발휘되는 광택효과로 인해 디자인 적으로 볼 때 고급스럽고 미려한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게 된다.

Claims (10)

  1. 알콜, SiO2, 산, 실란,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세라믹도료가 표면에 도포되어 세라믹 코팅층이 원코팅층(2)으로 형성된 기구(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2) 상에 상기 세라믹도료와 같은 종류인 잉크안료나 혹은 다른 종류인 잉크안료를 한 번 또는 여러 번 분무기로 분사하여 표면에 상기 잉크안료가 점박이 형태로 도포되게 하되,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원코팅층(2)과 함께 잉크안료의 불연속 코팅층(3)이 표면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요철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도료의 조성성분 중 알콜은 대표적으로 이소프로필 알콜, 산은 대표적으로 붕산, 무기안료 분산액은 대표적으로 산화 티탄이나 또는 산화 지르코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도료를 구성하는 있는 각 조성의 비율은 알콜 30 중량%, SiO210 중량%, 산 10 중량%, 실란 20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원코팅층은 내열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된 내열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도료는 실리콘 복합수지, 복합유기용제,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복합충진재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도료를 구성하고 있는 각 조성의 비율은 실리콘 복합수지 35 중량%, 복합유기용제 40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5 중량%, 복합충진재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원코팅층은 불소수지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된 불소수지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도료는 폴리아미드와 nmp(n-메틸필로리돈) 혼합물, 물,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분산액(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의 분산액),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실리카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도료를 구성하고 있는 각 조성의 비율은 폴리아미드와 nmp 혼합물 16.8 중량%, 물 4.1 중량%, PTFE 분산액 67.2 중량%, 카본 또는 무기안료 분산액 3.5 중량%, 실리카 8.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10.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구의 표면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원코팅층 상에 여러 번 도포되는 잉크안료는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KR20-2003-0028637U 2003-09-05 2003-09-05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KR200347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37U KR200347043Y1 (ko) 2003-09-05 2003-09-05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37U KR200347043Y1 (ko) 2003-09-05 2003-09-05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149A Division KR100556713B1 (ko) 2003-09-05 2003-09-05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043Y1 true KR200347043Y1 (ko) 2004-04-09

Family

ID=4942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37U KR200347043Y1 (ko) 2003-09-05 2003-09-05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0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4016B2 (ja) ワンコーティングまたはスリーコーティング層にインク顔料を塗布してコーティング層を形成した器具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20100031440A (ko) 열전도율이 향상된 기구 및 이의 코팅방법
DK2596726T3 (en) Article comprising a thermostable coating with at least two-color, continuous-tone decoration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article
JP4209945B2 (ja) 自由に模様の描かれた料理用具
US5071695A (en) Non-stick coating system with two thin undercoats, the first being polysiloxane
KR20210001374U (ko) 요철 패턴을 구비한 논-스틱 팬
JP2015077388A (ja) 点描化した厨房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77388A5 (ko)
KR20180121584A (ko) 디지털 인쇄에 의해 열-안정성 코팅을 제조하는 방법
JP6595601B2 (ja) 機械的処理によって台所用品を装飾する方法
KR200347043Y1 (ko)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US5366763A (en) Methods of producing durable lustrous coating on vitreous objects
KR100296070B1 (ko) 다색 문양이 있는 조리기구
KR100498761B1 (ko)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및 코팅층 조성방법
JP3529438B2 (ja) 高温加熱用調理機器の調理面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4914A (ko) 원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326875Y1 (ko) 쓰리코팅층에 잉크안료를 도포한 기구
US5728455A (en) Randomly patterned cookware
JP2018175870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KR101587593B1 (ko) 점묘화된 주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1990A (ko)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947B1 (ko) 알루미늄 소재 조리기구의 무쇠-유사 질감 코팅을 위한 Xtrema T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JP4868871B2 (ja) 調理器
US5711995A (en) Angle spraying of cookware
CN100486717C (zh) 在单涂覆层或三涂覆层上形成油墨涂覆层的器具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