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214Y1 -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214Y1
KR200326214Y1 KR20-2003-0018917U KR20030018917U KR200326214Y1 KR 200326214 Y1 KR200326214 Y1 KR 200326214Y1 KR 20030018917 U KR20030018917 U KR 20030018917U KR 200326214 Y1 KR200326214 Y1 KR 200326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ylinder
link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근
곽상근
Original Assignee
일진방사선 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방사선 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일진방사선 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20-2003-0018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를 위한 지하통로에 설치되어 빗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하는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에 원격 제어가 가능한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완전 밀폐를 이루는 잠금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우천 여부에 따라 구동수단을 조작하여 손쉽게 도어의 개폐를 이룰 수 있고, 장마철에는 잠금수단을 조작하여 도어를 완전히 밀폐하여 빗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통로용 차수장치는 지하 통로에 설치된 틀과, 상기 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와, 유압 실린더 및 링크로 이루어진 개폐수단과, 상기 도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틀의 삽입홀부 또는 다른 도어에 삽입되어 도어가 완전 폐쇄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A drainage apparatus for the underground passage}
본 고안은 환기를 위한 지하통로에 설치되어 빗물의 침투를 방지토록 하는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에 원격 제어가 가능한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완전 밀폐를 이루는 잠금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우천 여부에 따라 구동수단을 조작하여 손쉽게 도어의 개폐를 이룰 수 있고, 장마철에는 잠금수단을 조작하여 도어를 완전히 밀폐하여 빗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나 지하 전력구 또는 지하 공동구 등이 각종 지하시설물에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적정 위치에 지상과 연통되는 환기구가 설치되다. 이러한 환기구는 통상 도로의 보도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그 입구가 노면으로부터 그리 높지 않게 위치된다.
한편, 지하 환기구는 지하시설물 내부의 공기정화를 위한 공기통로로서 설치된 것이지만, 때때로 오수나 토사 등의 이물질 침입 통로로도 기능하게 되어 지하시설물 내지는 그 이용자들에게 불가피하게 큰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장마철에 집중호우나 국지적 폭우가 내릴 경우 강우량이 도로의 배수한계를 초과하여 도로가 침수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며, 이 경우 노면과 유사한 높이를 갖는 지하 환기구로 빗물이 넘쳐 들어가게 되어 지하 환기구가 배수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지하시설물에 심각한 침수피해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지하시설물이 변전소 연결 전력구일 경우에는 변전소까지도 침수시킬 우려가 있고, 전력구 내의 조명이나 각종 배전반 및 제어 케이블 등이 침수되어 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그와 연결된 많은 지역에 정전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지하 환기구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다가 장마철 등에 많은 비가 내려 도로의 침수가 우려될 경우에는 환기구를 적절히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종래 기술들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환기구에 상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가 와이어나 체인 등에 의해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이 구동수단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차수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수단 외에 별도의 잠금수단이 없기 때문에 장마철과 같이 강우량이 많은 때는 도어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되므로 도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또는 체인 등이 이완되고, 이완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도어의 개폐를 행하면 도어가 초기 상태와 동일하게 개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완된 와이어 및 체인을 수정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및 체인을 교환하여야 하므로 인한 수리비의 지출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 실린더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행하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을 억제토록 하는 잠금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장기간 동안 행하여도 구동수단에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강우량이 적은 시기에는 구동수단을 원격 제어하여 손쉽게 환기구의 개폐를 이루며, 강우량이 많은 때는 잠금수단을 조작하여 도어의 완전 밀폐를 이루도록 하여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의 구동수단이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의 구동수단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의 잠금수단이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의 잠금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단턱 10 : 틀
12 : 회절편 14 : 삽입홈부
20 : 도어 22 : 슬라이드 홈부
30 : 개폐수단 32 : 실린더
32a : 실린더 암 32b : 실린더 본체
34 : 제 1 링크 36 : 제 2 링크
40 : 잠금수단 41 : 레버
42 : 고정핀 43 : 주축기어
44 : 종동기어 45 : 구동바
46 : 기어커버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통로용 차수장치는 지하 통로 소정의 위치에 둘레를 따라 설치된 틀과, 상기 틀에 개폐 가능하도록 일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도어와, 상기 도어와 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회전시키는 개폐수단이 포함된 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일 측 단부가 상기 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같은 측 단부가 상기 도어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와 나란히 배치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타 측 단부와 상기 제 1 링크의 타 측 단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링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틀의 삽입홀부 또는 다른 도어에 삽입되어 도어가 완전 밀폐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통로용 차수장치는 지하 통로 소정의 위치에 둘레를 따라 설치된 틀(10)과, 상기 틀(1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문을 이루는 한 쌍의 도어(20)와, 상기 틀(10)과 도어(20)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회전시키는 개폐수단(30)과, 상기 도어(20)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틀(10) 또는 다른 도어에 삽입되어 도어를 완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ㄱ' 모양으로 절곡되고, 긴 패널로서, 지하 통로 내벽에 형성된 단턱(2)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회절편(12)이 다수 개 설치되므로 이 회절편(12)에 상기 도어(20)가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틀(10)은 상단 및 하단에 잠금수단(40)이 끼워지는 삽입홈부(14)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40)이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삽입홈부(14)에 인입되어 도어(20)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20)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 개의 금속재 패널이 절곡된 후에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바, 도어의 내부 공간이 밀봉되기 전에 이 공간에 상기 잠금수단(40)을 설치함으로써, 홍수 시에 잠금수단(40)은 조작하면 도어(20)가 완전히 밀폐되어 빗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단 일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긴 슬라이드 홈부(22)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제 1 링크(36)의 일 측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20)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의 개폐수단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의 개폐수단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개폐수단(30)은 틀(10)의 상단 양측 단부에 각각 일 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된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와 동일한 방향의 일 측 단부가 도어(20)의 상측에 일정 길이슬라이드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 단부는 실린더(32)의 타 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3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링크(34)와, 상기 제 1 링크(3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32)의 타 측 단부와 제 1 링크(34)의 타 측 단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실린더(32)의 길이 변화를 제 1 링크(34)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 2 링크(3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2)는 유압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 암(32a)이 실린더 본체(32b)의 내, 외측으로 출몰되면서 길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는 바, 사용자가 원격 제어에 의해 유압 발생기를 구동시키면 실린더 암(32a)이 돌출되면서 상기 제 2 링크(34)가 회전되고, 제 1 링크(34)가 도어(20)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링크(34)의 직선 운동이 종료된 후에도 상기 실린더 암(32a)이 계속해서 길어지면 실린더(32) 및 제 1 링크(3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도어(20)의 개방을 이루며, 반대로 실린더 암(32a)이 실린더 본체(32b) 내부로 삽입되면서 실린더(32)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제 1 링크(34)를 잡아당기므로 도어(20)의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회전이 완료된 후에는 제 1 링크(34)가 도어(2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부(22)를 따라 직선 운동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도어(20)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닫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실린더(32)는 통상에 수동 문에 설치되는 공압 실린더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이때는 원격제어에 의해 도어(20)의 회전을 이루지 않고, 수동으로 회전시키므로 도어(20)의 회전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도어(20)를 개폐시킬 때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수단(30)의 실린더(32)는 도어(20)가 환기통로와 같이 사람이 출입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될 때는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원격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지하통로의 출입구와 같이 사용자의 출입이 자유로운 곳에 설치될 때에는 공압 실린더가 설치되어 수동 개폐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적용 예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의 잠금수단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의 잠금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상기 잠금수단(40)은 도어(20)의 전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된 레버(41)와, 상기 레버(41)의 회전축에 연결된 주축기어(43)와, 상기 주축기어(43)와 기어물림된 한 쌍의 종동기어(44)와, 상기 종동기어(44)의 일 측에 편심되게 일 측 단부가 연결되고, 타 측 단부는 도어(20)의 외측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구동바(45)와, 상기 구동바(45)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되어 도어(20)의 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핀(42)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42)은 2개의 핀이 'T'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에 상기 구동바(45)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구동바(45)가 유동되면 2개의 핀이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틀(10)의삽입홈부(14) 또는 다른 도어(20)의 홀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잠금수단(40)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레버(41)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주축기어(43) 및 종동기어(44)가 회전되면서 구동바(45)를 도어(20)의 내측으로 잡아당기므로 고정핀(42)이 상기 틀(10)의 삽입홀부(14) 및 다른 도어(20)에 형성된 홀부에서 이탈되어 차수장치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레버(4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바(45)가 도어(2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핀(42)이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틀(10)의 삽입홀부(14)나 다른 도어(20)의 홀부에 삽입되어 도어(20)의 완전한 밀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가 오지 않는 날은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실린더 암(32a)이 돌출되도록 하면 실린더(32)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기 제 1 링크(34)를 직선 운동 후에 회전되도록 하여 도어(20)가 회전되면서 환기통로나 지하통로가 개방되도록 하고, 비가 내릴 때는 실린더 암(32a)이 실린더 본체(32b) 내부로 삽입되도록 조작하여 제 1 링크(3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어(20) 또한 닫혀지도록 하여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장마철과 같이 강우량이 많은 때는 상기 도어(20)가 닫혀진 상태에서 레버(41)를 지하통로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주축기어(43) 및 종동기어(44)가 회전되어 구동바(45)가 도어(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구동바(45)의 단부에 연결된 고정핀(42)이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돌출된 고정핀(42)은 상기 틀(10)의 삽입홀부(14) 및 다른 도어(20)의 홀부에 삽입되어 도어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다.
이로써, 장마철과 같이 강우량이 많은 때에 지하통로나 환기통로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통로용 차수장치는 도어와 틀 사이에 실린더 및 링크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비가 오지 않을 때는 도어를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가 순환되면서 쾌적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기간 동안 사용되면 인장되어 오작동 및 파손이 발생되는 와이어 및 체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오작동 및 파손이 적어 그 수명이 긴 실린더가 개폐수단으로 설치됨으로써, 도어의 회전이 장기간 동안이 이루어져도 쉽게 파손되지 않아 차수장치의 관리 및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어의 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면 틀이나 다른 도어에 삽입되어 도어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설치됨으로써, 강우량이 많은 장마철에는 상기 개폐수단으로 도어를 닫은 후에 잠금수단을 추가로 작동시키므로 도어의 완전한 밀폐를이루기 때문에 보다 완벽하게 빗물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지하 통로 소정의 위치에 둘레를 따라 설치된 (10)틀과, 상기 틀(10)에 개폐 가능하도록 일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도어(20)와, 상기 도어(20)와 틀(10)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회전시키는 개폐수단(30)이 포함된 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0)은,
    일 측 단부가 상기 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와 같은 측 단부가 상기 도어(20)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32)와 나란히 배치된 제 1 링크(34)와;
    상기 제 1 링크(3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32)의 타 측 단부와 제 1 링크(34)의 타 측 단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링크(36)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2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틀(10)의 삽입홀부(14) 또는 다른 도어(20)에 삽입되어 도어(20)가 완전 밀폐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쌍의 도어(20)가 상기 틀(10)에 힌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잠금수단(40)이 설치되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틀(10)의 삽입홀부(14)와 대응되는 부위에 홀부가 형성되고, 서로 다른 도어와 대응되는 단부에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40)이 홀부의 내, 외측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도어(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레버(41)와, 상기 레버(41)의 조작 여부에 따라 도어(20)의 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 개의 고정핀(42)과, 상기 레버(41)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 주축기어(43)와, 상기 주축기어(43)에 기어물림된 다수 개의 종동기어(44)와, 상기 종동기어(44)에 일 측 단부가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 측 단부는 상기 고정핀(42)에 연결된 구동바(45)와, 상기 주축기어(43)의 외측에 설치되는 기어커버(4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통로용 차수장치.
KR20-2003-0018917U 2003-06-16 2003-06-16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KR200326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17U KR200326214Y1 (ko) 2003-06-16 2003-06-16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17U KR200326214Y1 (ko) 2003-06-16 2003-06-16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214Y1 true KR200326214Y1 (ko) 2003-09-13

Family

ID=4941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917U KR200326214Y1 (ko) 2003-06-16 2003-06-16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2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17B1 (ko) 2005-03-29 2006-12-27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KR101400760B1 (ko) * 2013-10-07 2014-05-29 케이비엔지니어링(주) 환기구 개폐시스템
KR102287989B1 (ko) * 2020-11-27 2021-08-10 김동인 도로를 따라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접이식 승강 차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17B1 (ko) 2005-03-29 2006-12-27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KR101400760B1 (ko) * 2013-10-07 2014-05-29 케이비엔지니어링(주) 환기구 개폐시스템
KR102287989B1 (ko) * 2020-11-27 2021-08-10 김동인 도로를 따라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접이식 승강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006B1 (ko) 진공장치를 이용한 지중매립형 배전반
KR200326214Y1 (ko)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KR102491861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1409265B1 (ko) 셔터식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100519106B1 (ko) 배수구의 역류방지장치
KR200280864Y1 (ko) 환기구용 차수장치
KR100805185B1 (ko) 일측 상향 접철식 도어 구조체
KR200378301Y1 (ko)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KR200386832Y1 (ko) 절첩식 대문
KR200395430Y1 (ko) 인양식 수문
KR100661917B1 (ko)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KR101343082B1 (ko) 지하 환기구 차수 장치
KR101707530B1 (ko) 차수문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200418432Y1 (ko) 수배전반의 차양도어 장치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KR20110008789U (ko) 방수 플레이트 개폐장치
CN212571805U (zh) 一种建筑工程用配电箱
KR101736286B1 (ko) 차수문
KR200407885Y1 (ko) 차수문의 자동잠금장치
KR101400760B1 (ko) 환기구 개폐시스템
KR100978848B1 (ko)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KR200372598Y1 (ko) 도로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RU2598269C1 (ru) Затвор поворотный защитно-герметический для перегонного тоннеля метрополитена
KR20090099186A (ko) 경관형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