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64Y1 - 환기구용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환기구용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64Y1
KR200280864Y1 KR2020020011262U KR20020011262U KR200280864Y1 KR 200280864 Y1 KR200280864 Y1 KR 200280864Y1 KR 2020020011262 U KR2020020011262 U KR 2020020011262U KR 20020011262 U KR20020011262 U KR 20020011262U KR 200280864 Y1 KR200280864 Y1 KR 200280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gear
ventil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근
곽상근
Original Assignee
일진방사선 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방사선 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일진방사선 엔지니어링 (주)
Priority to KR2020020011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64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구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환기구의 소정 위치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복수개의 제4브래킷이 설치된 틀; 상기 지하철, 지하공동구가 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구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보강대가 다수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밀폐가 될 수 있도록 패킹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부위에는 복수개의 제5브래킷이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4브래킷에 작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기어의 감속에 의해 그 힘을 전달하는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 및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핸들축을 통해 결합부로 인가되어 그 회전력이 상기 구동부의 감속기로 전달되게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장마철과 같은 집중호우 시에 환기구를 통해 인입되는 물을 막아 지하에 설치된 각종 시설을 물로부터 보호함으로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환기구용 차수장치{The sluice equipment for ventilation hole}
본 고안은 환기구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여 그 내부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접하게 하여 지하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상에 내리는 빗물에 의해 지하철의 내부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지하공동구, 건물의 지하실, 지하에 설치된 주차장 등은 지하구조물은 외부의 공기를 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환기구가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지하철의 경우에는 인도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현재는 인도에서 약 1m20Cm 높이에 환기구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지하철의 경우에는 기존 또는 현재 새로이 생기는 환기구에는 차수문이 설치되는 이는 장마철 또는 그 외 계절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릴 때, 그 빗물이 환기구를 통해 지하철이 통행하는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는 차수문은 물에 의해 철로가 잠기거나 또는 지하철의 운행 시 실시간으로 인터페이스 하는 신호기의 보호 및 각종 상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192089호의 구성을 갖으며 상기 환기구를 개폐하는 차수문이 설치되며, 그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의 차수문 장치는 지하구조물과 지상을 연통하는 환기구(V) 내부에 들어가 벽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고정되는 지지틀부(10)와, 상기 지지틀부(10)의 상측에 그 문짝(21)의 일측에 장착된 힌지(22)가 고정되며, 구동력에 의해 상기 힌지(22)를 중심으로 상기 문짝(21)이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틀부(10)의 상면에 눕혀져 환기구(V)를 차폐하거나 벽면측에 세워져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수문부(20)와, 상기 환기구(V)의 내측상부에 원동축을 갖는 워엄(32)과 종동축(33)을 갖는 워엄힐(34)이 맞물려 이루어진 워엄기어가 설치되며,상기 원동축(31)은 그 상단부가 상기 환기구(V)의 입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종동축(33)에는 드럼(35)이 장착되며, 상기 문짝(21)의 힌지(22)측 반대편부와 상기 드럼(35)을 연결하는 와이어(36)가 구비되는 구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틀부(10)는 환기구(V)의 벽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가장자리프레임(11)과 환기구(V)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중간프레임(12)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측의 문짝(21)들이 함께 얹혀지도록 하며, 상기 구동부(30)는 그 워엄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1쌍의 워엄휠(34)이 구비되면서 어느 하나의 워엄휠(34)이 상기 원동축(31)을 갖는 위엄에 워엄(32)에 물리고 그 워엄힐(34)들에는 각각의 종동축(33)이 설치되며, 그 종동축(33)마다 각기 다른 드럼(35)이 장착되고, 상기 환기구(V)의 일측벽과 타측벽 상부에는 롤러(37)가 각각 고정 설치되며, 일측벽에 고정된 롤러(37)에는 일측 와이어(36)를 경유시켜서 다른 하나의 드럼(35)과 타측의 문짝(21)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동축(31)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의 문짝(21)들이 함께 회동하면서 양측벽 쪽으로 세워져 열려지거나 중간프레임(12) 측으로 눕혀져 닫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환기구용 차수문은 1쌍의 워엄휠(34)과 원동축(31)과 종동축(33)의 연계로 벽면의 일측에 설치된 롤러(37)에는 일측 와이어를 경유시켜서 하나의 드럼(35)과 일측의 문짝(21)을 연결하고, 타측벽에 고정된 롤러(37)에는 다른 와이어(36)를 경유시켜서 다른 하나의 드럼(35)과 타측의 문짝(21)을 연결하고 타측벽에 고정된 롤러에는 다른 와이어(36)를 경유한 상태에서 이를 조작하여 문짝(21)을 개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와이어(36)를 이용하여 일정 하중이 있는 문짝(21)을 개폐하다 보면 그 문짝(21) 자체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36)가 이완된다.
상기 와이어(36)가 이완된 상태로 문짝(21)을 계속적으로 개폐하므로 인하여 문짝(21)이 초기 상태와 동일하게 개폐되지 못하는데, 이는 상기 와이어(36)가 늘어난 상태로 문짝(21)을 개폐하므로 상기 문짝(21)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완된 와이어(36)를 수정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36)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인한 수리비의 지출이 많아지는 단점 또한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환기구용 차수장치을 개폐할 시에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차수문의 밀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는 상기 환기구의 소정 위치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일측에 환기구 벽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그 상방향 일측에 돌출부를 갖으며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제4브래킷이 설치된 틀; 상기 지하철, 지하공동구가 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구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보강대가 다수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밀폐가 될 수 있도록 패킹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부위에는 복수개의 제5브래킷이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4브래킷에 작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기어의 감속에 의해 그 힘을 전달하는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 및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핸들축을 통해 결합부로 인가되어 그 회전력이 상기 구동부의 감속기로 전달되게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폐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2브래킷에 설치되는 연동회전축; 상기 연동회전축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상기 제2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기어; 상기 제3기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기어;
상기 제4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3브래킷; 및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제4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제4기어의 구동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핸들의 하단에 설치된 결속부와 결합하여 그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결속부를 갖으며 케이스 내측에 웜기어가 내설되어 상기 회전력의 방향을 전화함과 동시에 그 회전력을 조절하고, 방향이 전화된 회전력을 출력되는 출력축이 형성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력이 상기 개폐수단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개폐수단에 전달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개폐수단의 하중을 받치기 위하여 상기 틀의 하단부 소정 위치에는 받침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보강대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제4브래킷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의 작동축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d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에 설치된 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e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에 설치된 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오픈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문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환기구에 설치된 차수문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틀 110 : 돌출부
120 : 절곡부 130 : 받침부재
140 : 제4브래킷 200 : 도어
210 : 보강대 220 : 패킹
230 : 제5브래킷 240 : 고정부재
300 : 개폐수단 310 : 제2브래킷
320 : 연동회전축 330 : 제2기어
340 : 제3기어 350 : 제2체인
360 : 제4기어 370 : 제3브래킷
390 : 작동축 391 : 키
392 : 작동로드 400 : 핸들
410 : 핸들축 420 : 결합부
500 : 구동부 510 : 감속기
511 : 케이스 512 : 결속부
513 : 출력축 520 : 제1브래킷
530 : 제1기어 540 : 제1체인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문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정단면도이며,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d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에 설치된 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e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에 설치된 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오픈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는 크게 틀(100)과, 도어(200)와, 핸들(400)과, 구동부(500)와, 개폐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틀(100)은 상기 도어(200)가 설치되는 환기구(V)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틀(100)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환기구 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0)의 상방향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도어(200)의 둘레에 설치되는 패킹(220)이 위치될 수 있는 돌출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틀(100)의 일측에는 제4브래킷(14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틀(10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하철과 지하공동구 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도어(200)의 상부 중앙에는 복수개의 제5브래킷(230)이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도어(200) 상부에는 고정부재(240)가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틀(100)의 일측에 설치된 제4브래킷(140)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대(21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대(210)는 상기 도어 하단의 둘레, 횡방향과 종방향(도 1c를 기준)으로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이상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2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보강대(210)는 환기구(V) 내에 고인 물의 하중을 계산하여 그 보강대(210)의 개수를 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200)의 하측단 둘레에는 상기 틀(100)의 일측과 맞닿을 때 밀폐되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2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는 환기구(V) 내측 소정 위치에 제1브래킷(520)이 볼트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브래킷(520)의 일측에는 케이스(511)의 내측에 웜기어(미도시)가 내장된 감속기(510)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510)의 상부에는 결속부(512)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51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출력축(513)에는 제1기어(5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300)은 상기 감속기(510)의 출력축(513)에 설치된 제1기어(5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2기어(330)와 제3기어(340)가 설치된 연동회전축(320)이 구비되고, 상기 연동회전축(320)은 상기 틀(100)의 상부에서 제2브래킷(310)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동회전축(320)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제2기어(330)와 상기 감속기(510)의 출력축(513)에 설치된 제1기어(530)에 제1체인(540)이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51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2기어(3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틀(100)의 상부 일측에는 제3브래킷(370)이 설치되고, 상기 제3브래킷(370)과 상기 틀(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4브래킷(140)에는 작동축(390)이 장설된다,
상기 작동축(390)의 소정위치에는 제4기어(36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3기어(340)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 선상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작동축(390)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작동로드(392)가 키(391)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어(200)의 상부에 설치된 제5브래킷(230)과 상기 작동로드(392)의 일측이 통상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510)의 케이스(511) 상부에 돌출 설치된 결속부(512)에는 상기 케이스(511) 내측에 설치된 웜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400)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400)의 하방향으로는 핸들축(410)이 장설되며, 상기 핸들축(4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케이스(511) 상부에 돌설된 결속부(512)와 결합하여 상기 핸들(4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결합부(42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 지역공동구의 환기구로 장마철의 집중호우 시에 물이 유입되면, 이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상기 환기구(V)에 설치된 도어(200)를 이용하여 환기구(V)의 입구를 막기 위하여 관리자는 핸들축(410)의 일측단에 설치된 결합부(420)를 감속기(510) 상부에 돌출 설치된 결속부(51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축(410)의 상부에 설치된 핸들(400)을 잡고 회전(도어가 환기구의 입구를 막는 쪽으로 회전함)시킨다.
상기 핸들(400)을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부(420)와 결합되어 있는 결속부(512)를 통해 회전력이 감속기(510) 케이스(511)의 내측에 설치된 웜기어에 전달되고, 웜기어는 상기 핸들(40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케이스(511)의 일측에돌출 설치된 출력축(513)을 통해 동력전달 방향이 바뀐 상태로 회전력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축(513)의 일측에 설치된 제1기어(530)가 연동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530)와 결합된 제1체인(540) 또한 회전면서 개폐수단(300)의 제2기어(3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기어(330)가 회전하면서 제2브래킷(3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연동회전축(320)을 회전시키면서 그 일측에 설치된 제3기어(340)가 따라서 회전된다.
상기 연동회전축(320)의 일측에 설치된 제3기어(340)와 결합되어 있는 제2체인(350)이 연동 회전하고, 상기 제2체인(350)과 결합되어 있는 제4기어(360)가 회전을 한다.
상기 제4기어(360)가 회전하면, 상기 제4기어(36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작동축(39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작동축에 키에 의해 고정 설치된 작동로드(39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작동로드(392)가 회전을 하면서 그 일측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240)가 연동을 하면서 도어(200)가 환기구(V)의 입구를 막기 위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작동축(392)은 틀(100)의 상부와 작동축(392) 일측에 설치된 제3브래킷(370)과 틀(100)의 상부에 설치된 제4브래킷(380)에 가이드 됨과 동시에 회전하면 도어(200)는 환기구(V)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있는 틀(1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도어(200)가 상기 틀(10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110)에 위치되면서그 일측이 절곡 형성된 절곡부(120)에 도어(2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패킹(220)이 맞닿아 지게 되어 환기구(V)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200)를 개폐할 시에는 상기 핸들(400)의 회전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와 같은 구동에 의해 도어(200)가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핸들(400)은 상기 감속기(510)의 결속부(512)에 계속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가 도어(200)의 개폐를 한 후에 상기 핸들만 상기 감속기(510)에서 이탈하여 따로 보관하도록 함으로 어린아이 또는 호기심에 의해 도어(200)를 개폐하려는 자가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차수장치의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시킨 상태에서 도어(200)를 복수개 형성한 것은 본 고안의 차수장치는 다양하게 그 형상과 구성을 변환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연동회전축(320), 제2기어(330)와 제3기어(340) 및 제2체인(350)의 구성을 거치지 않고 구동력을 감속기(510)에서 제1체인(540)을 통해 바로 제4기어(360)에 전달하여 도어(2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 더욱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환기가 되는 장소는 다르나 환기구(V)를 한 장소에 설치할 시에 본 고안의 차수장치를 설치한 것을 보인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환기구용 차수장치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게 되며, 환기구(V)에 설치된 차수장치를 보다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환기구용 차수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지하철 또는 지하공동구의 환기구(V)에 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의 구멍(환기의 목적과 그 외 다른 목적을 갖으며 형성된 것)이나, 또는 아파트와 같이 물을 저장하는 지하 탱크의 입구를 폐쇄시키므로 어린아이들이 지하 탱크로 떨어지거나 또는 외부에서 투입(자연적인 투입)되는 이물질을 막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문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환기구용 차수장치는 장마철과 같은 집중호우 시에 환기구를 통해 인입되는 물을 막아 지하에 설치된 각종 시설을 물로부터 보호함으로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환기구를 통해 인입되는 물로부터 지하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6)

  1. 지하철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지상에 형성된 환기구에 설치되어 문을 개폐하는 장치에 의해 개폐되면서 물에 의해 지하철, 지하공동구 등이 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문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의 소정 위치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일측에 환기구 벽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그 상방향 일측에 돌출부를 갖으며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제4브래킷이 설치된 틀;
    상기 지하철, 지하공동구가 물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구의 소정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보강대가 다수개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밀폐가 될 수 있도록 패킹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부위에는 복수개의 제5브래킷이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제4브래킷에 작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기어의 감속에 의해 그 힘을 전달하는 감속기를 갖는 구동부; 및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핸들축을 통해 결합부로 인가되어 그 회전력이 상기 구동부의 감속기로 전달되게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2브래킷에 설치되는 연동회전축;
    상기 연동회전축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
    상기 연동회전축에 설치된 상기 제2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동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기어;
    상기 제3기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기어;
    상기 제4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3브래킷; 및
    상기 틀의 상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4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제4기어의 구동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작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핸들의 하단에 설치된 결속부와 결합하여 그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결속부를 갖으며 케이스 내측에 웜기어가 내설되어 상기 회전력의 방향을 전화함과 동시에 그 회전력을 조절하고, 방향이 전화된 회전력을 출력되는 출력축이 형성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력이 상기 개폐수단에전달되도록 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의 회전력을 개폐수단에 전달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하중을 받치기 위하여 상기 틀의 하단부 소정 위치에는 받침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보강대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제4브래킷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의 작동축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차수문.
KR2020020011262U 2002-04-15 2002-04-15 환기구용 차수장치 KR200280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262U KR200280864Y1 (ko) 2002-04-15 2002-04-15 환기구용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262U KR200280864Y1 (ko) 2002-04-15 2002-04-15 환기구용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64Y1 true KR200280864Y1 (ko) 2002-07-06

Family

ID=7312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262U KR200280864Y1 (ko) 2002-04-15 2002-04-15 환기구용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64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17B1 (ko) 2005-03-29 2006-12-27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CN109812215A (zh) * 2019-02-11 2019-05-28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一种自动兼手动的建筑物地面出入口处的防汛设施
US10435906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7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10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8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9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704249B2 (en) 2016-08-17 2020-07-07 Art Metal Industries, Llc Mechanical closure device
US10934674B2 (en) 2016-08-17 2021-03-02 Art Metal Industries, Llc Single bay mechanical closure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17B1 (ko) 2005-03-29 2006-12-27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US10435906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7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10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8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435909B2 (en) 2013-10-06 2019-10-08 Floodbreak, L.L.C.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10704249B2 (en) 2016-08-17 2020-07-07 Art Metal Industries, Llc Mechanical closure device
US10934674B2 (en) 2016-08-17 2021-03-02 Art Metal Industries, Llc Single bay mechanical closure device
CN109812215A (zh) * 2019-02-11 2019-05-28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一种自动兼手动的建筑物地面出入口处的防汛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864Y1 (ko) 환기구용 차수장치
US20050000175A1 (en) Flush to grade utilities vault
KR101230778B1 (ko) 가변 설치구조를 갖는 일체형 펌프게이트
WO2015054765A1 (pt) Sistema de infraestrutura subterrâneo elevatório para abrigo de equipamentos
KR200192098Y1 (ko) 지하 환기구의 차수장치
KR10229710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사각형상 맨홀덮개
KR20100046727A (ko) 창호개방 시 외부소음 저감형 창호시스템
KR101409265B1 (ko) 셔터식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101408386B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CN211745663U (zh)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结构
KR200395430Y1 (ko) 인양식 수문
CN211196046U (zh) 一种具有除水功能的房车用电动楼梯
KR200326214Y1 (ko)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KR101343082B1 (ko) 지하 환기구 차수 장치
CN107060629A (zh) 一种可调整适配宽度的自动门
KR101400760B1 (ko) 환기구 개폐시스템
KR101194279B1 (ko) 힌지식 수문 액추에이터
KR100661917B1 (ko) 지하통로 환기구의 차수문 개폐장치
JP4370149B2 (ja) 洞道換気孔の止水装置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CN111173207A (zh) 一种阀板侧开式的通风天窗结构
KR200378301Y1 (ko)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JP3219232U (ja) 地下施設の換気口用止水装置
CN200958350Y (zh) 折叠式安全防盗窗护罩
CN2481763Y (zh) 一种强力防盗密封井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