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417Y1 - 부부합분용 납골함 - Google Patents

부부합분용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417Y1
KR200324417Y1 KR20-2003-0011205U KR20030011205U KR200324417Y1 KR 200324417 Y1 KR200324417 Y1 KR 200324417Y1 KR 20030011205 U KR20030011205 U KR 20030011205U KR 200324417 Y1 KR200324417 Y1 KR 200324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partition wall
ceramic
deceased
ossuar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철회
구자훈
구자홍
Original Assignee
구철회
구자홍
구자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철회, 구자홍, 구자훈 filed Critical 구철회
Priority to KR20-2003-0011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4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부합분용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원통용기 형태로 된 도기재 함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도기재 뚜껑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 중앙에 고인 부부의 골분함이 각각 장입되는 제1의 납골실과 제2의 납골실로 양분되게 도기재 칸막이 벽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의 중앙부에는 제1의 납골실과 제2의 납골실이 연통되게 고인이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의 상징물로 종교에 따라 기독교인은 †자형 구멍, 불교인은 卍자형 구멍, 무교인은 원형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하나의 납골함에 고인 부부의 골분과 함께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의 상징물을 내장시켜서 간편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합분형태의 납골함에 대한 구성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부부합분용 납골함{Cinerary urn for laying the husband and wife ashes to rest}
본 고안은 부부합분용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용기 형태로 된 함체의 내부 중앙에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의 상징물로 구멍이 관통된 칸막이 벽으로 납골실이 양분되게 형성하여 고인 부부의 골분과 함께 상징물을 납골함에 내장시켜서 간편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게 한 부부합분용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람이 사망하게 되면 시신을 관에 넣어 매장하거나 또는 화장해서 그 골분을 산이나 강 등의 적당한 장소에 뿌리거나 납골함을 별도로 제작해서 사찰이나 납골당 등에 보관 및 관리하기도 하고, 또는 납골함을 매장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장을 한 경우에는 대부분이 골분을 산이나 강 등에 뿌려주고 있으나, 이는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매장 역시 매장장소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어서 장례문화가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골분을 납골함내에 넣어서 각자의 종교의식에 따라 보관 및 관리하는 상태로 급진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납골함은 도자기나 소나무, 플라스틱 및 석재 등으로 제작되어 함체 내부에 화장처리한 고인의 골분을 담고 뚜껑을 닫아서 보관 및 관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소개되고 있는 납골함은 화장처리한 고인 1인을 보관 및관리하는데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었으나, 부부와 같이 2인을 합장형태로 보관시키는 합분기능이 제공되는 것은 거의 없었고, 2인을 합분시키는 구성이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996-0005313호(1996.06.26)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7401호(2001.09. 07) 등에 소개되어 있는 것이 있으나, 그 대부분이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상의 어려움이 발생되고, 제조원가 상승으로 인하여 제품이 고가이기 때문에 제작자나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통용기 형태로 된 도기재 함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도기재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함체의 내부가 양분되게 도기재 칸막이 벽을 중앙에 삽입 설치하여 제1의 납골실과 제2의 납골실을 형성시키되, 상기 칸막이 벽에는 고인이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에 따라 종교의 상징물로 기독교인은 †자형 구멍, 불교인은 卍자형 구멍, 무교인은 원형 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하나의 납골함에 고인 부부의 골분과 함께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의 상징물을 내장시켜서 간편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합분형태의 납골함에 대한 구성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함체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뚜껑
3 : 제1의 납골실 4 : 제2의 납골실
5 : 칸막이 벽 6 : †자형 구멍
6a : 卍자형 구멍 6b : 원형 구멍
10, 20 : 골분함 100 : 납골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인 부부의 골분이 장입되는 함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과, 함체 내부 중앙에 2개의 납골실을 형성하기 위해 삽입 설치되는 칸막이 벽은 납골함에 넣은 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고령토에 미네랄, 원적외선 황토, 게르마늄, 셀레늄 등을 혼합한 재료인 경화성 도기재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내, 외벽은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며, 납골함의 외형 색상은 황토색과 금색을 이용하여 문양처리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납골함은 화장된 골분을 사찰 및 납골당 등의 시설내에서 보관 및 관리하고, 매장하기 위한 것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미 주지된 사실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부부합분용 납골함(100)은 원통용기 형태로 된 도기재 함체(1)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도기재 뚜껑(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내부 중앙에 고인 부부의 골분함(10),(20)이 각각 장입되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로 양분되게 도기재 칸막이 벽(5)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5)의 중앙부에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이 연통되게 †자형 구멍(6)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은 칸막이 벽(5)의 중앙부에 형성된 †자형 구멍(6) 대용으로 卍자형 구멍(6a), 원형 구멍(6b)중에서 선택하여 칸막이 벽(5)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에 따라 종교의 상징물로 기독교인은 †자형 구멍(6), 불교인은 卍자형 구멍(6a), 무교인은 원형 구멍(6b)이 형성된 칸막이 벽(5)중에서 선택하여 함체(1) 내부의 중앙에 삽입 설치하고, 고인 부부의 골분이 넣어진 골분함(10),(20)을 함체(1) 내부에 양분된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에 사망순서에 따라 각각 장입시킨 후 뚜껑(2)을 닫으면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골분함(100)에 고인 부부의 골분을 함께 합분형태로 안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가 있고, 장방형의 판형태에 †자형 구멍(6), 卍자형 구멍(6a), 원형 구멍(6b)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는 도기재 칸막이 벽(5)은 원통용기 형태로 된 함체(1) 내부의 중앙에, 즉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의 내부면에 맞닿게 세워져 삽입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이 작은 쪽으로 칸막이 벽(5)이 좌,우측으로는 동시에 밀리지 않으므로 별도의 지지편이 없이도 견고하게 칸막이 벽(5)을 중앙에 세워지게 지지시킬 수가 있으며, 종교의 상징물로 †자형 구멍(6), 卍자형 구멍(6a), 원형 구멍(6b)이 형성된 칸막이 벽(5)을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고인 부부의 골분을 유족들이 하나의 납골함(100)에 상징물과 함께 내장시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구성은 도기재로 된 함체(1)와 뚜껑(2) 및 칸막이 벽(5)으로만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합분형태의 납골함(100)에 대한 구성부품의 개수나 제작공정을 종래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자형 구멍(6), 卍자형 구멍(6a), 원형 구멍(6b)이 형성된 칸막이 벽(5)외에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다른 종교의 상징물로 칸막이 벽(5)의 중앙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대체 사용함으로서, 종교 종류에 관계없이 누구나 하나의 납골함(100)에 고인 부부의 골분을 종교의 상징물과 함께 내장시켜서 보관 및 관리할 수가 있는 납골함(100)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나의 납골함에 부부를 함께 합분형태로 안치시킬 수 있으므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신속간편하게 보관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고인 부부의 납골함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가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부품수가 적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저가로 사용자에게 제품을 공급할 수가 있으며, 칸막이 벽의 중앙부에 종교의 상징물로 종교에 따라 기독교인은 †자형, 불교인은 卍자형, 무교인은 원형 구멍 등이 형성된 도기재 칸막이 벽을 함체 중앙에 삽입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종교에 관계없이 누구나 칸막이 벽을 선택 사용하여 고인 부부용의 납골함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 납골함에 고인 부부가 생전에 숭배하던 종교의 상징물과 함께 골분을 내장시켜서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원통용기 형태로 된 도기재 함체(1)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도기재 뚜껑(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내부 중앙에 고인 부부의 골분함(10),(20)이 각각 장입되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로 양분되게 도기재 칸막이 벽(5)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5)의 중앙부에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이 연통되게 †자형 구멍(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부합분용 납골함.
  2. 원통용기 형태로 된 도기재 함체(1)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도기재 뚜껑(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내부 중앙에 고인 부부의 골분함(10),(20)이 각각 장입되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로 양분되게 도기재 칸막이 벽(5)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5)의 중앙부에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이 연통되게 卍자형 구멍(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부합분용 납골함.
  3. 원통용기 형태로 된 도기재 함체(1)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도기재 뚜껑(2)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내부 중앙에 고인 부부의 골분함(10),(20)이 각각 장입되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로 양분되게 도기재 칸막이 벽(5)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 벽(5)의 중앙부에는 제1의 납골실(3)과 제2의 납골실(4)이 연통되게 원형 구멍(6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부합분용 납골함.
KR20-2003-0011205U 2003-04-11 2003-04-11 부부합분용 납골함 KR200324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205U KR200324417Y1 (ko) 2003-04-11 2003-04-11 부부합분용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205U KR200324417Y1 (ko) 2003-04-11 2003-04-11 부부합분용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417Y1 true KR200324417Y1 (ko) 2003-08-25

Family

ID=4933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205U KR200324417Y1 (ko) 2003-04-11 2003-04-11 부부합분용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04B1 (ko) * 2006-05-11 2013-09-11 김웅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04B1 (ko) * 2006-05-11 2013-09-11 김웅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4027A1 (en) Urn with novel securing device
JP2002534212A5 (ko)
WO2001070944A3 (de) Nematoden als modellorganismen zur untersuchung neurodegenerativer erkrankungen und insbesonder der parkinsonschen erkrankung, verwendungen und verfahren zum auffinden von substanzen und genen, die bei der behandlung solcher erfrankungen eingesetz werden können, sowie identifizierung eines nematodengens.
RU2017125956A (ru) Приемная часть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пейсера, содержащего такую приемную часть
GB2393734B (en) Cells of the cardiomyocyte lineage produc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KR200324417Y1 (ko) 부부합분용 납골함
KR200389651Y1 (ko) 납골함
KR200312500Y1 (ko) 납골함
KR200187720Y1 (ko) 납골탑
JP2020081886A (ja) 骨粉入り仏像状の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100324725B1 (ko) 정수기
ES2207382B1 (es) Envase de tierra compactada para contener restos de incineracion humana.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200325788Y1 (ko) 이중구조의 납골단지
JP3059141U (ja) 骨 壺
KR200325790Y1 (ko) 납골함
KR200228845Y1 (ko) 납골함
KR200306324Y1 (ko) 납골용기
JPWO2004093769A1 (ja) 結合骨壷
KR200245087Y1 (ko) 매장묘와 납골당 혼합묘지
KR200199012Y1 (ko) 납골묘
KR200257754Y1 (ko) 납골함의 안치공간이 확장된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