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012Y1 - 납골묘 - Google Patents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012Y1
KR200199012Y1 KR2020000013047U KR20000013047U KR200199012Y1 KR 200199012 Y1 KR200199012 Y1 KR 200199012Y1 KR 2020000013047 U KR2020000013047 U KR 2020000013047U KR 20000013047 U KR20000013047 U KR 20000013047U KR 200199012 Y1 KR200199012 Y1 KR 200199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ssuary
fixed
vertica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근
Original Assignee
이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근 filed Critical 이봉근
Priority to KR2020000013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의 시체를 화장하여 그 유골을 그릇에 담아 모시는 납골실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원형으로 배치한 토대석(1) 위에 밑판(2)을 고정하고 밑판 위에 일정간격으로 세로구획벽(3)을 세워 세로구획벽에 형성한 수직홈(3a)(3c)(3b)(3d)에 앞뒤판(4)(5)을 끼워 고정시켜 납골실(6)을 형성한후 납골실 위에 덮개(7)를 씌워 덮개(7) 저면 고정홈(7a)(7b)이 앞뒤판(4)(5) 위에 끼워져서 고정되게하고 덮개(7) 후측에는 덮개와 덮개의 연결부를 연결쇠(8)와 리베트(9)(9a)로 연결하고 전방에는 절수홈(7c)을 형성시켜 중앙부에 흙을 체우고 덮개 내측으로 무덤형태의 봉분(10)을 만들므로서 완성되는 것인데 납골실의 구축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되어 붕괴될 염려가 없고 덮개(7)를 열때는 봉분흙을 약간 파낸다음 덮개(7)의 연결쇠(8)를 분리하고 위로 들어내면 되므로 납골투입과 관리를 편리하게 하며 납골실에 물이 들어갈 염려가 없는 안전한 납골묘가 되게한 것이다.

Description

납골묘{A charnel grave}
본 고안은 사람의 시체를 화장하여 그 유골을 그릇에 담아 모시는 납골실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전통 무덤과 같이 봉분이 있는 묘의 둘레를 따라 여러개의 납골공간을 만들어 여러분의 유골을 한 장소에 모실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외간이 전통무덤과 같이 잔디를 심는 봉분을 가지게 되어 거부감이 없고 동시에 많은 사람을 한 장소에 모실수 있게하며 묘지난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형태의 납골당이 고안되어 제시된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납골당은 하나의 공간 내에 여러분의 유골을 공개적으로 모시는 것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이를 해소시킨 것인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납골실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납골실을 12개로한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덮개 연결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대석 2 : 밑판
3 : 세로구획벽 3a,3b,3c,3d : 수직홈
4,5 : 앞뒤판 6 : 납골실
7 : 덮개 7a,7b : 고정홈
7c : 절수홈 8 : 연결쇠
9,9a : 리베트 10 : 봉분
11 : 납골항아리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납골묘는 원형으로 배치한 토대석(1) 위에 밑판(2)을 고정하고 밑판 위에 일정간격으로 세로구획벽(3)을 세워 세로구획벽에 형성한 수직홈(3a)(3c)(3b)(3d)에 앞뒤판(4)(5)을 끼워 고정시켜 납골실(6)을 형성한후 납골실 위에 덮개(7)를 씌워 덮개(7) 저면 고정홈(7a)(7b)이 앞뒤판(4)(5) 위에 끼워져서 고정되게하고 덮개(7) 후측에는 덮개와 덮개의 연결부를 연결쇠(8)와 리베트(9)(9a)로 연결시켜 고정할수 있게 구성하고 전면부에 절수홈(7c)을 형성하며 중앙부에 흙을 체우고 덮개 내측으로 무덤형태의 봉분(10)을 만들어서 잔디를 심을수 있게한 구성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납골실(6)이 전통 무덤의 봉분(10) 둘레에 배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묘와 다를바 없는 외관을 유지하므로 후손의 입장에서 볼때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킬수 있고 관리부담이 감소될수 있으며 각 납골실(6)에는 덮개(7)가 장치되어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구성되어 그 내부에 납골항아리(11)가 내장되어 보관이 되므로 안전한 납골실을 만들수 있고 앞판(4)에 고인의 표시만 하면 후손이 쉽게 찾아 추모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봉분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납골실이 배치되므로 가족묘 또는 친척묘와 같은 집단적인 납골실 구성이 가능케되어 관리가 용이하게 되며 본 고안의 납골실(6)은 석재로 제조되어 조립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축하기가 좋고 앞판과 뒤판(4)(5)은 구획벽(3)의 수직홈(3a)(3b)(3c)(3d)에 삽입이 되고 덮개(7)는 저면에 고정홈(7a)(7b)이 있어서 덮개(7)를 안전하게 유지할수 있으며 앞뒤판(4)(5)의 상단부가 고정홈에 투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축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되고 붕괴될 염려가 없고 덮개(7)를 열때는 봉분흙을 약간 파낸다음 덮개(7)의 연결쇠(8)를 분리하고 위로 들어내면 되므로 납골의 관리도 편리하게 할수 있어 사용하기 좋은 이점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형으로 배치한 토대석(1) 위에 밑판(2)을 고정하고 밑판 위에 일정간격으로 세로구획벽(3)을 세워 세로구획벽에 형성한 수직홈(3a)(3c)(3b)(3d)에 앞뒤판(4)(5)을 끼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납골실(6)을 형성한후 납골실 위에 덮개(7)를 씌워 덮개(7) 저면 고정홈(7a)(7b)이 앞뒤판(4)(5) 위에 끼워져서 고정되게 구성하고 덮개(7) 후측에는 덮개와 덮개의 연결부를 연결쇠(8)와 리베트(9)(9a)로 연결케 하며 전면에 절수홈(7c)을 형성하여 중앙부에 흙을 체우고 덮개 내측으로 봉분(10)을 만들어서 잔디를 심을수 있게한 납골묘
KR2020000013047U 2000-05-08 2000-05-08 납골묘 KR200199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47U KR200199012Y1 (ko) 2000-05-08 2000-05-08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47U KR200199012Y1 (ko) 2000-05-08 2000-05-08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012Y1 true KR200199012Y1 (ko) 2000-10-02

Family

ID=1965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047U KR200199012Y1 (ko) 2000-05-08 2000-05-08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0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9012Y1 (ko) 납골묘
KR200216704Y1 (ko) 조립식 납골당
KR200163430Y1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JP3222057U (ja) 納骨用棚墓
KR200187720Y1 (ko) 납골탑
KR200238544Y1 (ko) 납골묘구조
KR200179369Y1 (ko) 납골당
GB2313587A (en) Interment memorial
JP3154472U (ja) 墓地構造
AU715396B2 (en) Above ground interment memorial
JPH0734166U (ja) 土留壁兼納骨室ブロック及びその組付構造
KR200246500Y1 (ko) 납골묘
KR20090085397A (ko) 납골묘
JP3117055U (ja) 二世帯カロートを備えた墓石
KR200227287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475777Y1 (ko)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JP3026829U (ja) 墓 石
KR200278391Y1 (ko) 납골묘
JP2023124991A (ja) 墓石
KR200298973Y1 (ko) 납골당
KR200264418Y1 (ko) 봉분형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구조물
JP3720556B2 (ja) 石材製小型墓および石材製安置室
KR200216703Y1 (ko) 봉분식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