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604B1 -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604B1
KR101294604B1 KR1020060042413A KR20060042413A KR101294604B1 KR 101294604 B1 KR101294604 B1 KR 101294604B1 KR 1020060042413 A KR1020060042413 A KR 1020060042413A KR 20060042413 A KR20060042413 A KR 20060042413A KR 101294604 B1 KR101294604 B1 KR 10129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ncave
porcelain
articl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443A (ko
Inventor
김웅
Original Assignee
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 filed Critical 김웅
Priority to KR102006004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60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2019/12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목형태의 기물에 있어서, 제작상의 문제로 칸막이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산업적용도로의 제작이 불가능한 것을, 산업적용도로의 제작이 가능한 오목형태의 기물 안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와 밀착구조를 갖고 경사면(25,44)을 갖고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된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 상기 고정부칸막이(21) 의 둥근 홈(24)에 삽입 구조를 갖고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된 삽입부 칸막이(31)를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 후 건조하는 1공정; 상기 공정 후, 상기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일정부분(22,23)을 밀착되도록 조립 후,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에 상기의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을 맞대어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13)까지 내려 안착시켜, 밀착부 칸막이(41)의 일정부분(42,43)을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밀착되도록 조립하는 2공정; 상기 공정 후,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시켜,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 중심부분(13a)에 고정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과정과 초벌구이 과정을 거쳐,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와 내부에 고정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부분에 유동성 유약을 시유하고, 재벌구이 시 가마 안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 구조물들을 접합시키는 3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기계물레성형, 주입 성형, 프레스성형방법을 이용한 제작이 가능하여, 산업적 용도의 칸막이를 갖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의 제작이 가능한 오목형태의 기물 안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고정부 칸막이, 밀착부 칸막이, 삽입부 칸막이, 슬립, 유동성 유약

Description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Method of forming partitions in the concave shaped ceramic receptacles}
도 1은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단면도
도 2는 성형 후 건조된 고정부 칸막이(21)와 삽입부 칸막이(31)와 밀착부 칸막이(41)의 입체도
도 3은 성형 후 건조된 칸막이들을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에 일체로 연결시키고, 고정 형성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9 : 고정부 칸막이의 홈 24 ; 고정부 칸막이의 홈의 둥근 홈
25 ; 고정부 칸막이의 홈의 경사면 26 ; 고정부 칸막이의 홈의 측면
32 ; 삽입부 칸막이의 삽입부 44 ; 밀착부 칸막이의 경사면
45 ; 밀착부 칸막이의 측면
본 발명은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물레성형 프레스성형 주입 성형이 불가능한 칸막이를 갖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칸막이가 형성된 그릇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있고, 여러 물질을 한 기물에 담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주로 찬 기류 등에 사용된다.
칸막이를 갖는 도자기 기물에 있어서, 형태가 나팔형태 또는 수직형태로 이루어진 도자기 기물에는 보편적으로 제작 사용되어 진다. 그러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은 거의 제작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유는 도자기 기물 성형 과정에 있다.
상기 나팔형태 수직형태로 이루어진 도자기 기물의 칸막이 제작은 주입 성형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목 형태에 있어서는 구조로 인하여 성형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오목형태도 실용적인 면에서 필요용도가 크고 도자기 기물 전체에 있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나, 상기의 기술상의 이유로 산업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나팔형태 수직형태의 기술로 대체하는 것이 현실이라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공지된 기술을 찾지 못했고, 그래서 종래 기술부분 설명 없이 본 발명을 상세 설명합니다.
오목형태의 기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필요하나 제작상의 문제로 칸막이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산업적용도로의 제작이 불가능하나,
본 발명은, 일체의 칸막이를 분할형성(21,31,41)하고 경사면(25,44)을 이용하여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조립한 후,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삽입부에(32,32a)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시켜 칸막이들을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일체화된 칸막이를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시킨다.
상기의 삽입부 칸막이는 덮개가 없는 삽입부 칸막이(35)로 대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재벌구이 시 가마의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또는 제작 중에 생길 수 있는 모든 경우의 미세한 빈틈을 메우어주며, 또한 유동성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와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에 고정 형성된 칸막이를 접합시키는 제작방법으로, 기계물레성형 주입 성형 프레스성형방법을 이용한 제작이 가능하여, 산업적 용도의 칸막이를 갖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의 제작이 가능한 오목형태의 기물 안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와 밀착구조를 갖고 경사면(25,44)을 갖고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된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 상기 고정부 칸막이(21) 의 둥근 홈(24)에 삽입 구조를 갖고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된 삽입부 칸막이(31)를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 후 건조하는 1공정:
상기 공정 후, 상기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일정부분(22,23)을 밀착되도록 조립 후,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에 상기의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을 맞대어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13)까지 내려 안착시켜, 밀착부 칸막이(41)의 일정부분(42,43)을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밀착되도록 조립하는 2공정:
상기 공정 후,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시켜,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 중심부분(13a)에 고정시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과정과 초벌구이 과정을 거쳐,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와 내부에 고정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부분에 유동성 유약을 시유시키고, 재벌구이 시 가마 안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 구조물들을 접합시키는 3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대표적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물이란 용어는 통상 성형 된 상태, 건조된 상태, 초벌구이가 이루어진 상태, 재벌구이가 이루어진 상태를 총칭한다, 즉 관용적으로 표현되는 범위로 정의하며 상태에 따라 용어 또는 공정에 의해 구분되도록 상술한다.
도 1은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성형 후 건조된 고정부 칸막이, 삽입부 칸막이, 밀착부 칸막이의 입체도이며,
도 3은 성형 후 건조된 칸막이들(21,31,41)을 성형 후 건조된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에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 형성한 평면도이다.
1공정에 있어서,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성형은 기계물레성형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성형 후 건조된 칸막이 성형방법은 주입 성형이 바람직하 다.
또한 각각의 성형 후 건조된 칸막이 성형 방법은 프레스성형을 이용할 수 있고, 소지는 통상의 소지가 사용되며, 성형 수축률은 재벌구이 후 완성 시 기준으로 계산하여 정한다.
또한 고정부 칸막이(21)의 구조에 있어서,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하여 한쪽은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와 밀착구조(22,23)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중앙부분(13a)에서 밀착부 칸막이(41)가 조립되는 경사진 면(25)과 홈(29)의 측면(26)을 형성하고, 삽입부 칸막이(31)가 삽입되는 둥근 홈(24)을 형성한다.
또한 밀착부 칸막이(41)의 구조에 있어서,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하여 한쪽은 상기 도자기 기물 내부(12,13)와 밀착구조(42,43)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진 면(25)과 동일경사를 갖는 경사(44)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진 면(25)과 홈(29)의 측면(26),에 조립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삽입부 칸막이(31)의 구조에 있어서,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하여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홈(29) 둥근 홈(24)에 삽입 구조를 갖는 삽입부(32,32a)를 형성하고, 칸막이들(21,31,41)의 연결부분을 덮을 수 있는 덮개(33)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삽입부 칸막이(31) 삽입부(32,32a)의 둘레와 길이에 있어서는,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의 둘레와 길이보다 전체적으로 작아야 한다.
슬립이 발라져 밀착되도록 삽입되기 때문이며,
삽입 할 때 견고하게 끼워질 정도의 슬립의 두께만큼 전체적으로 둘레와 길이가 작아야 한다.
상기의 슬립의 두께는 2 밀리미터에서 4 밀리미터 정도가 적당하나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2 밀리미터에서 4 밀리미터 정도의 간격은, 통상의 주입 성형용(Drain Casting) 슬립농도에 의해 평균 계산된 수치이며, 슬립의 농도에 따라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삽입부 칸막이(31)의 덮개(33)는, 칸막이들(도 3의 21,31,41)의 연결부분을 덮을 정도(도3의31)의 넓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두께에 있어서는 성형 후 건조과정에서 파손되지 않을 정도이면 가능하다, 덮개의 두께가 너무 얇다면,
삽입부(32,32a)와 덮개(33)가 일체로 성형된 후 건조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삽입부 칸막이의 덮개(33)가 없이 삽입부(36,37)로만 이루어진 삽입부(35) 칸막이로 대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2공정에 있어서, 2공정의 조립 시기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과 각각의 칸막이들 공히 성형 후 자연 건조가 완전히 끝난 상태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은 수공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내벽(12)과 밀착구조를 갖는 고정부 칸막이 부분(22)을, 상기 도자기 기물 내벽(12)에 구조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도자기 기물 내부 바닥부분(13)과 고정부 칸막이 바닥부분(23)을 구조로 밀착시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로 밀착된 고정부 칸막이(21)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부 칸막이(21) 둥근 홈(24)의 아랫부분 양쪽(27)과, 상기 양쪽부분(27)과 접하는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 중앙부분(13a)에 슬립을 붓을 이용하여 접착되 도록 찍어 발라 한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 조립된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에 상기 경사면(25)과 동일 경사로 이루어진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을 맞대어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 바닥(13)까지 내려 안착시켜,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내벽(12)에 밀착부 칸막이 부분(42)을 구조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오목형태의도자기 기물 내부 바닥부분(13)과 밀착부 칸막이 바닥부분(43)을 구조로 밀착시켜 조립한다.
또한 상기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밀착되도록 조립된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에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을 맞대어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13)까지 내려 안착시킬 때에, 상기 밀착부 칸막이(41)의 측면(45)에 유약을 발라 유약의 분말 성질을 이용하여 견고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유약은 통상의 유약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유약 대신 농도가 낮은 슬립을 사용할 수도 있다.
3공정에 있어서, 3공정의 칸막이들의 고정은 수공 등으로 이루어지며, 3공정의 건조과정, 초벌구이과정, 유약시유과정, 재벌구이과정은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약은 통상의 유약이 사용된다.
상기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구조로 밀착되도록 조립 후,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삽입부(32,32a)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 되도록 삽입시켜,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연결된 칸막이들을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시킨다.
또한 2공정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구조로 밀착시켜 조립하였을 때,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과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에 경우에 따라서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간격(25,4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삽입부(32,32a)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 삽입 시 생기는 압력에 의한 슬립의 유동성으로, 상기 간격(25,44)을 슬립이 메우면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 칸막이(31))의 삽입부(32,32a)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시킨 후 건조과정에서 슬립이 건조되면서 슬립의 수축으로 미세한 틈이 형성되나, 미세한 틈이 생겨도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를 파손시키지 못할 정도이며, 외형상으로 덮개(33)가 덮고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 되며, 재벌구이 시에도 상기 미세한 틈은 도자기 기물을 파손시키지 못할 정도이다.
또한 삽입부 칸막이의 덮개(33)가 없이 삽입부(35)로만 이루어진 삽입부 칸막이(35) 경우, 슬립은 삽입부의 둘레(36)와 삽입부의 밑면(37)에 발라지며 밀착 삽입시킨 후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의 연결부위를 나무칼을 이용 매끈하게 마무리한다, 즉 덮개(33)가 덮어지는 부분을 덮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분을 나무칼을 이용 인위적으로 연결부위를 매끈하게 마무리하는 것이다.
또한 2공정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구조로 밀착되도록 조립 후, 3공정의 상기 고정부 칸막이(21) 홈(29)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삽입 시,상기 홈(29)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립된 고정부 칸막이(21) 홈(29)의 하단(28)과, 상기 조립된 칸막이(21,41) 외부(도 3의52)로 이어지는 홈(도 1의16)을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13) 중심부분(13a)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 시, 고정부 칸막이(21)의 홈(29) 내부에 있는 공기는 배출시키고 대신 슬립이 발라진 삽입부 칸막이로 채워지는 과정에서,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홈(29)의 내부에 가두어질 수 있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홈(도 1의16)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2공정의 조립이 접착이 아닌 구조로 밀착되도록 조립한 상태이기 때문에, 고정부 칸막이(21)의 홈(29) 내부에 배출해야 할 공기량이 미세한 경우, 미세한 공기는 조립된 칸막이들(21,41) 하단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립된 칸막이들(21,41)이 미세하게 뜰 수도 있으나 칸막이들(21,41)을 고정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정부 칸막이 홈(29) 내부의 공기 배출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의 홈이 필요하다.
홈(도 1의16)의 공간은 상기 슬립에 의해 메우어지거나 재벌구이 시 유동성 유약에 의해 메우어질 정도의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가 고정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도 3의51)의 건조과정과 초벌구이 과정을 거쳐,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와 내부에 고정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부분에 유동성 유약을 시유시키고, 재벌구이 시 가마 안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 구조물들을 접합시켜 완성한다.
재벌구이 시 가마의 불 속에서 유약의 유동성은 구조적으로 또는 제작 중에 생길 수 있는 모든 경우의 미세한 빈틈을 메우어주며, 유약의 접착성은 상기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 외형과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 외형과 접하는 도자기 기물의 내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접착력을 형성 칸막이를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에 접합시킨다.
본 발명의 전체적 작용은, 일체의 칸막이에서 칸막이를 분할(21,31,41) 성형 후 건조하고, 경사면(25,44)을 이용하여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구조로 밀착되도록 조립한 후, 상기 삽입부 칸막이(31)의 삽입부(32,32a)에 슬립을 발라 상기 조립된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밀착 삽입시켜, 칸막이들을 일체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일체화된 칸막이를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시킨다.
또한 재벌구이 시 가마 안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또는 제작 중에 생길 수 있는 모든 경우의 미세한 빈틈을 메우어주며, 또한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하여, 일체화된 칸막이를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에 접합시킨다.
또한 삽입부 칸막이(35)로 대체하여 형성한 경우도 동일하나
덮개(33)가 덮어지는 부분을 덮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분을 나무칼을 이용 인위적으로 연결부위를 매끈하게 마무리하는 차이만을 갖는다.
기계물레성형, 주입 성형, 프레스성형이 불가능하여 칸막이를 갖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의 산업적용도로의 제작이 불가능하나, 본 발명에 의해 기계물레성형, 주입 성형, 프레스성형방법을 이용한 제작이 가능하여 산업적 용도의 칸막이를 갖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의 제작이 가능한 오목형태의 기물 안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4)

  1.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와
    밀착구조를 갖고 경사면(25,44)을 갖고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된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
    상기 고정부 칸막이(21) 의 둥근 홈(24)에 삽입 구조를 갖고 일체의 칸막이에서 분할된 삽입부 칸막이(31)를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 후 건조하는 1공정;
    상기 공정 후, 상기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일정부분(22,23)을 밀착되도록 조립 후, 상기의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에 상기의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을 맞대어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13)까지 내려 안착시켜, 밀착부 칸막이(41)의 일정부분(42,43)을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밀착되도록 조립하는 2공정;
    상기 공정 후,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시켜,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 중심부분(13a)에 고정시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과정과 초벌구이 과정을 거쳐,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와 내부에 고정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부분에 유동성 유약을 시유시키고, 재벌구이 시 가마 안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 구조물들을 접합시키는 3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2공정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밀착되도록 조립된 고정부 칸막이(21)의 경사면(25)에 밀착부 칸막이(41)의 경사면(44)을 맞대어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13)까지 내려 안착시킬 때에, 상기 밀착부 칸막이(41)의 측면(45)에 유약을 발라 유약의 분말 성질을 이용하여 견고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공정의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에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구조로 밀착되도록 조립 후, 3공정의 상기 고정부 칸막이(21) 홈(29)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1)의 둘레(32)와 밑면(32a)에 슬립을 발라 삽입 시, 상기 홈(29)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립된 고정부 칸막이(21) 홈(29)의 하단(28)과, 상기 조립된 칸막이(21,41) 외부(도 3의52)로 이어지는 홈(도 1의16)을 성형 후 건조된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도 1의12,13)의 바닥 중심부분(13a)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1공정의
    삽입부 칸막이(31)의 구조가 덮개가 없는 삽입부 칸막이(35)의 구조로 대체하여 형성하고,
    3공정이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의 둥근 홈(24)에 삽입부 칸막이(35)의 둘레(36)와 밑면(37)에 슬립을 발라 밀착되도록 삽입시켜, 상기 고정부 칸막이(21)와 밀착부 칸막이(41)를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12,13)의 바닥 중심부분(13a)에 고정시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의 연결부위를 나무칼을 이용 매끈하게 마무리하고 건조과정과 초벌구이 과정을 거쳐,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내부와 내부에 고정된 일체로 연결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부분에 유동성 유약을 시유시키고, 재벌구이 시 가마 안 불 속에서 유동성 유약의 접착성을 이용 구조물들을 접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오목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KR1020060042413A 2006-05-11 2006-05-11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KR10129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13A KR101294604B1 (ko) 2006-05-11 2006-05-11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13A KR101294604B1 (ko) 2006-05-11 2006-05-11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443A KR20070109443A (ko) 2007-11-15
KR101294604B1 true KR101294604B1 (ko) 2013-09-11

Family

ID=3906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413A KR101294604B1 (ko) 2006-05-11 2006-05-11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9985A (zh) * 2014-09-17 2015-11-11 廖世芳 泡茶自流装置的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17Y1 (ko) * 2003-04-11 2003-08-25 구철회 부부합분용 납골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17Y1 (ko) * 2003-04-11 2003-08-25 구철회 부부합분용 납골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9985A (zh) * 2014-09-17 2015-11-11 廖世芳 泡茶自流装置的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443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619B2 (en) Ceramic sanitary fixture
CN205951153U (zh) 模具组件和模制的鞋类物品
RU2014148105A (ru) Глазированное вафельн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с начинкой, способ и форма для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6255014B2 (ja) 玩具ブリック、玩具ブリックを製造する方法、玩具ブリックの製造に用いる成形型
KR101294604B1 (ko) 오목 형태의 도자기 기물 안에 칸막이 형성방법
EP1934417B1 (fr) Kit de construction de revêtement de surface
JP2018501135A5 (ko)
WO2006012178A3 (en) Mold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hoe bottom
PL362678A1 (en) Process for molding laminated candy and resultant products thereof
WO2004017748A3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frozen aerated products
US20140026310A1 (en) Ceramic toilet bowl
CN105174989A (zh) 悬空杯陶瓷杯体与陶瓷杯柄一体烧成工艺
CN110919834B (zh) 一种用于改善卫生陶瓷台下盆安装平面平整度及提升产品安装质量的工艺
JP2004250704A (ja) 合成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材料のディスク形状物体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KR20090058800A (ko) 오목형태의 도자기기물 내부에 칸막이를 형하는성방법
KR101223215B1 (ko) 밀폐용 도자기 마개 성형방법
JP3482382B2 (ja) スティック製造用型
KR200334795Y1 (ko) 논슬립 쟁반
JP4161350B2 (ja) 陶磁器製ねじ式蓋及びその製造法
JPS62174108A (ja) 象嵌状装飾面を備えた窯業品の製造方法
JPH01220731A (ja) 有機系摩擦材料付きシンクロナイザー・リングの製造法
TW202030075A (zh) 模塑具有包含一倒角部與一直角部的其中至少一之至少一轉角部之一產品之方法、由前述方法所製成之產品以及利用前述方法模塑前述產品之模具裝置
CN106393396A (zh) 一种空心墙砖的制作方法
JPH0736723Y2 (ja) 金型構造
EP3394004A1 (en) A method for fixing a part on the surface of a ceramic product and a ceramic product on which said part is fix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