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535Y1 -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535Y1
KR200323535Y1 KR20-2003-0015029U KR20030015029U KR200323535Y1 KR 200323535 Y1 KR200323535 Y1 KR 200323535Y1 KR 20030015029 U KR20030015029 U KR 20030015029U KR 200323535 Y1 KR200323535 Y1 KR 200323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 tray
lid
bumper bar
detachable
ash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신아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신아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신아이앤피
Priority to KR20-2003-0015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완충용 범퍼바(301)를 구비하여 뚜껑을 닫을 때 소음이 나지 않는 분리형 애쉬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는 차량에 거치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뚜껑(310)과 애쉬트레이몸체(320)로 이루어지고 힌지로 연결된 분리형 애쉬트레이에 있어서, 뚜껑 하부 플렌지 표면에 고무재로 플렉시블하고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서 압축되면 그 부피의 상당한 감소가 가능한 구조로 된 완충용 범퍼바(301)가 돌출되어 조립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Partible Ash Tray for Vehicles}
본 고안은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완충용 범퍼바를 구비하여 뚜껑을 닫을 때 소음이 나지 않는 분리형 애쉬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전방구조는 크게 내판부와 외판부로 구분되고 외판부는 엔진 등이 장착되는 기관실을 구성하는 본네트의 상부 덮개인 후드와 헤드 램프 등이 설치되는 전방 패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판부는 엔진룸과 승객 칸을 구획하는 대시 패널(dash panel)과 운전석 및 계기판 등이 설치되며 실내 공간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전방 플로어 패널(Front floor panel)과, 측면구조를 이루며 서스펜션(suspension)부재가 장착되는 타이어 에이프런(Tire apron)을 포함한다.
내판부의 대쉬 패널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전방 시트의 전방에 의하여 속도계 연료 계기부 및 오디오 시스템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형성되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에 연대어 센터 패시어 패널이 형성된다.
도 1 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 및 센터 패시어 패널(2)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 인스트러먼트 패널의 하부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애쉬트레이 및 시거 잭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애쉬트레이(재털이)는 도 1 에서와 같이 오디오세트가 배치되는 페시아 패널(2)에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형 애쉬트레이는 자동차의 실내에 담배냄새와 담배재 등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상 애쉬트레이가 필요시에만 인출되도록 하고 보통은 센터 패시아 패널(2)의 하부에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부를 커버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고정형 애쉬트레이는 센터 페시아 패널(2)에 애쉬트레이 수납함이 매설되고, 이 애시트레이 수납함에 고정형 애쉬트레이가 수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거나,
고정형 애쉬트레이에 애쉬트레이 커버가 개패가능하게 형성되고, 애쉬트레이커버가 통상 애쉬트레이의 하우징으로부터에 필요에 의해 개폐시키기 위한 로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고정형 애쉬트레이의 하우징의 개방부에 커버가 밀폐되는 접촉부에 암수 한 쌍의 래치부재를 각각 부착하여 커버의 밀폐상태에서는 암수의 래치부재가 맞물려 결합되고, 커버를 필요에 의해 개방시킬 때는 커버를 가볍게 누르는 푸쉬동작에의해 래치가 물림해제상태로 전환되어 커버가 애쉬트레이의 하우징으로부터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정형 애쉬트레이는 자동차의 내부의 센터 페시아 패널(2)에 형성됨에 있어서 고정되어 형성되므로 차량운행중 담뱃재를 털거나 담뱃불을 끄고자 할 때 운전자가 고개를 숙여야 하므로 안전운행에 방해가 된다.
그리고 근래에 차량에 핸드폰용 핸즈프리가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핸즈프리의 전원을 애쉬트레이에 함께 형성된 시거 잭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또는 전기면도기의 전원으로 시거 잭을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애쉬트레이는 재떨이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운전자인 경우에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형 애쉬트레이 대신에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애쉬트레이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분리형 애쉬트레이(30)는 대략 원통형으로 상부면을 개폐하는 뚜껑(310)으로 연결된 컵형태의 애쉬트레이몸체(320)로 구성되며, 이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애쉬트레이(30)는 기존의 캔이나 컵의 고정이 용이하고 수평상태로 컵홀더(3)를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3)에 안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에쉬트레이(30)의 거치장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캔이나 컵의 고정이 용이하고 수평상태로 컵홀더(3)를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3)에 안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곳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분리형 애쉬트레이(30)는 상기한 바처럼 뚜껑(310)이 컵형상의 애쉬트레이몸체(320)에 힌지조립되고, 컵형상의 트레이몸체의 내측 상부측에 초승달형으로 그릴(330)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310)은 담배재가 비산되거나 애쉬트레이몸체(320)내에 수납된 담배꽁초가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애쉬트레이몸체(320)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고 뚜껑(310)과 애쉬트레이몸체(320)에 후크와 걸림 턱을 형성하고 뚜껑(310)과 애쉬트레이몸체(320)를 연결하는 힌지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뚜껑(310)의 열고 닫는 동작이 견고하게 구성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애쉬트레이(30)에 있어서 뚜껑(310)을 닫을 때 찰칵하는 소음이 난다. 왜냐하면 이 애쉬트레이를 구성하는 재질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종류이므로 서로 닿을 때 소리가 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차량을 운전하면서 뚜껑을 닫기 때문에 더욱 큰 소리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 같은 애쉬트레이의 뚜껑을 닫는 소리가 운전자 등 승객의 신경을 자극하게 된다. 특히 운전자는 운전하는 도중이므로 신경이 예민한 상태여서 작은 소음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소음 발생에 주의하여 뚜껑을 닫아야 할 것이고, 승객 중 수면 상태에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상기 소음에 수면이 방해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작은 원형의 범퍼(501)를 부착한 종래의 애쉬트레이의 경우에도 그 크기의 한정때문에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충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입구플렌지(402)의 범퍼자리부(401)의 경우도 그 크기가 작아서 약간의 유격이 발생할 시 완충의 역할을 못하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컵홀더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의 뚜껑을 여닫을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도록 함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범퍼바를 구비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자동차 내부의 전방에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센터 패시어 패널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애쉬트레이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애쉬트레이몸체의 평면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애쉬트레이 상단부의 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애쉬트레이 뚜껑의 사시도
도 6 는 종래의 분리형 애쉬트레이의 상단부의 사시도
도 7 는 종래의 분리형 애쉬트레이 뚜껑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 및 설명>
1 : 인스트루먼트 패널 2 : 센터 패시어 패널
3 : 컵홀더 30 : 분리형 애쉬트레이
301 : 완충용 범퍼바 302 : 뚜껑의 플랜지
303 : 몸체 상단의 입구플랜지 304 : 완충용 범퍼바 자리부
310 : 뚜껑 311 : 애쉬트레이몸체 상단부
320 : 애쉬트레이몸체 331 : 일반담배거치홈
332 : 슬림(slim)형 담배거치홈 330 : 애쉬그릴
401 : 원형범퍼 자리부 402 : 종래 에쉬트레이몸체의 입구플랜지
501 : 원형범퍼 502 : 종래의 뚜껑의 플랜지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범퍼바가 구비된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의 사시도 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범퍼가 구비된 분리형 애쉬트레이는 컵형태의 애쉬트레이몸체(320)와 뚜껑(3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애쉬트레이몸체(320)와 뚜껑(310)은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H)는 스프링이 구비되어(도시 생략)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뚜껑이 탄성적으로 열린 상태가 유지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뚜껑(310)을 닫으면 후크와 걸림 턱에 의하여 뚜껑(310)과 애쉬트레이몸체(320)가 서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310)과 애쉬트레이몸체(320)에는 후크와 걸림 턱이 형성되어 뚜껑(310)을 닫은 상태에서 후크를 걸림 턱에서 해제시키면 자동으로 뚜껑(310)이 들려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도 3 은 애쉬트레이몸체의 평면도이다.
상기 범퍼바 자리부가 형성되는 입구플랜지의 내측 상단에는 애쉬그릴(330)과 담배거치홈이 구비되어 있다.
애쉬그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330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홈에 의해서 차안에도 담배를 쉽게 끌수 있게 된다.
상기 홈이 있는 부분의 양측 종단에는 담배를 거치할 수 있는 담배거치홈이 형성되어 있다. 담배의 크기는 종류마다 다르게 출시되고 있으므로 각각에 맞추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은 그 일실시예로써 좌측에는 일반담배거치홈(331)을 구비하고 오른쪽에는 슬림형(slim)담배를 거치하기 위한 홈(332)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도 4, 도 5 를 참고하여 에쉬트레이 뚜껑(310)및 이와 대응하는 에쉬트레이몸체상단(311)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뚜껑 하부의 플랜지(302)에 소정의 위치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완충용 범퍼바(301)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용 범퍼바(301)는 고무재로 플렉시블하고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서 압축되면 그 부피의 상당한 감소가 가능한 구조로 된 것이며 상기 뚜껑 하부의 플랜지(302)의 표면에 돌출되게 조립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완충용 범퍼바(301)가 뚜껑 하부의 플랜지(302)에 형성되기 때문에 뚜껑(310)을 닫으면 뚜껑(310)의 플랜지(302)가 애쉬트레이몸체(320)의 입구플랜지(303)에 닿기 전에 완충용 범퍼바(301)가 먼저 닿게 되고, 상기 완충용 범퍼바에 의한 충격완화로 뚜껑(310)의 플랜지(302)와 애쉬트레이몸체의 입구플랜지(303)가 맞닿을 때 발생하는 소음이 나지 않게 된다.
즉, "딸깍"하는 소음 없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범퍼바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횡축이 종축보다 긴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애쉬트레이몸체의 상단 입구플렌지 표면 중에서 상기 범퍼바(301)와 대향되는 부분은 소정의 크기의 범퍼바 자리부(304)가 구비되고, 상기 범퍼바 자리부는 뚜껑이 닫힐 때 범퍼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고루 분산시켜 완화시키므로 범퍼바(301)와 함께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범퍼바 자리부의 형상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범퍼바의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키기 위하여 범퍼바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애쉬트레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과 애쉬트레이 몸체가 닿는 부분에 완충용 범퍼바를 구비하므로서 뚜껑을 닫을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종래와 같은 소음에 의하여 운전자의 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애쉬트레이의 뚜껑을 닫을 수 있어 그만큼 쾌적한 분위기에서 자동차를 운전하고 흡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애쉬트레이의 실시 가능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본 고안의 기재를 통해 다양한 개변(예를 들면 범퍼바의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범퍼바의 위치의 변경 등)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차량에 거치되며 뚜껑(310)과 애쉬트레이몸체(320)가 힌지로 연결되어 구성된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30)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 플랜지면(302)에 소정의 길이의 완충용 범퍼바(301)가 부착 형성되고, 상기 완충용 범퍼바(301)에 대향되게 애쉬트레이몸체의 상부면에 완충용 범퍼바 자리부(3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KR20-2003-0015029U 2003-05-15 2003-05-15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KR200323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029U KR200323535Y1 (ko) 2003-05-15 2003-05-15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029U KR200323535Y1 (ko) 2003-05-15 2003-05-15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535Y1 true KR200323535Y1 (ko) 2003-08-21

Family

ID=4941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029U KR200323535Y1 (ko) 2003-05-15 2003-05-15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5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373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이동식 재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373A1 (ko) * 2017-05-18 2018-11-2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이동식 재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20328B (en) Vehicle console with armrest extension
JP5688982B2 (ja) 車両用ドア
KR200323535Y1 (ko) 차량용 분리형 애쉬트레이
KR10047078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101567776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0381223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CN212296027U (zh) 一种汽车及其扶手总成开关结构
KR101152332B1 (ko) 자동차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조립체
CN215322289U (zh) 一种汽车手机容置盒
KR200323534Y1 (ko)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
JP7401318B2 (ja) 開閉体装置及び収納装置
CN215623622U (zh) 一种便携式车载中央储物箱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KR200175566Y1 (ko) 자동차용 시거잭 및 재떨이커버구조
JP2584288Y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38765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748752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슬라이드 구조
KR20060004176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댐퍼 구조
KR100526895B1 (ko) 자동차용 센터 컵홀더
JP3730766B2 (ja) 車両用灰皿
KR0182208B1 (ko) 자동차용 버튼식 코트 후크
KR200149813Y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구조
JPS6347565Y2 (ko)
KR19990016858U (ko) 승용차의 커버링선반 진동방지구조
KR20050022127A (ko) 자동차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