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94Y1 -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 Google Patents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3094Y1 KR200323094Y1 KR20-2003-0014741U KR20030014741U KR200323094Y1 KR 200323094 Y1 KR200323094 Y1 KR 200323094Y1 KR 20030014741 U KR20030014741 U KR 20030014741U KR 200323094 Y1 KR200323094 Y1 KR 2003230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er line
- road
- body portion
- pedestal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방향 주향 도로의 경계를 나타내는 중앙선에 있어, 어두운 장소 특히, 야간 운행시 운전자의 명확한 중앙선 식별을 위해 중앙선 표시를 입체화 함과 동시에 불빛에 의한 발광은 물론, 자체적인 발광(야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사각빔형태의 받침대와; 원통형상으로 저면에 평면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이 관통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받침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지면에 매립·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야광층이 형성된 덮개와; 나사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정면과 배면에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주행유도 표지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의 명확한 중앙선 식별을 위해 입체적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또한, 불빛에 의한 발광 및 자체적인 발광에 의해 어두운 장소 특히, 야간운행시 운전자의 중앙선 식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주향 도로의 경계를 나타내는 중앙선에 있어, 어두운 장소 특히, 야간 운행시 운전자의 명확한 중앙선 식별을 위해 중앙선 표시를 입체화 함과 동시에 불빛에 의한발광은 물론, 자체적인 발광(야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원할한 교통질서를 위해 여러 종류의 안전표시판, 신호등, 차선 및 중앙선 표시 등이 설치된다.
특히, 양방향 주행이 이루어지는 일반도로나 고속도로 등에서는 주행시 운전자 상호간의 안전하고 질서 정연(整然)한 운행을 위해 각각의 차선이 구획되어지고, 주행방향의 경계가 되는 곳에는 중앙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도로의 안전표시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시 되는 생명선으로 간주되는 것은 중앙선으로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중앙선을 넘게 되면, 정면충돌 등에 의한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현재, 일반도로에 표시되어 있는 중앙선은 황색색상의 실선으로 페인팅처리된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고속도로나 비교적 차선이 넓은 도로에는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도로에 페인팅 처리된 중앙선은 오랜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퇴색되거나 훼손되어 명확한 식별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특히,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중앙선 식별이 어려워 중앙선을 침범하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함은 물론, 이로 인해 정면충돌과 같은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주행중인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앙선을 대신하여 설치되는 중앙분리대는 그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난해하며,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반국도나 도로에는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행중인 운전자의 명확한 중앙선 식별을 위해 입체적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빛에 의한 발광 및 자체적인 발광에 의해 어두운 장소 특히, 야간운행시 운전자의 중앙선 식별을 명확하게 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중앙선 표시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로의 중앙선을 입체적인 형태를 이루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중앙선에 대한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쉽게 중앙선을 침범할 수 없도록 하여 정면충돌 등의 대형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중앙선을 표시함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사각빔형태의 받침대와; 원통형상으로 저면에 평면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이 관통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받침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지면에 매립·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야광층이 형성된 덮개와; 나사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정면과 배면에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주행유도 표지판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는 앙커볼트에 의해 지면에 직접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중앙선 표시구 2:통공
10:받침대 12:결합부
14:체결공 20:몸체부
30:고정부재 40:덮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1)의 받침대(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통공(2)이 형성된 사각빔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20)는 원통형상으로 저면에 평면형태의 결합부(12)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14)이 관통되며, 고정부재(30)는 상기 몸체부(20)에 형성된 체결공(2)과 받침대(20)에 형성된 통공(14)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지면에 매립·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덮개(40)는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야광층(32)이 형성되며, 주행유도 표지판(50)은 나사(42)에 의해 상기 몸체부(20)의 정면과 배면에 결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받침대(10)의 상면에 몸체부(20)의 결합부(12)가 밀착된 상태로 얹혀지되,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4)과 통공(2)은 동일중심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되며, 고정부재(30)에 의해 받침대(10)와 몸체부(20)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의 상단부 즉, 받침대(10)와 몸체부(20)를 고정한 상태에서 몸체부(20)의 상방으로 드러나진 부위는 덮개(40)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덮개(40)는 일면[몸체부(20)에 접촉되는쪽의 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재(30)의 상단부를 차폐시키며 몸체부(20)에 접착되며,외표면에는 야광층(32)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받침대(10)와 몸체부(2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부재(30)로는 너트(34)를 갖는 앙카볼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함은 무관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의 종단면도로서, 몸체부(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부(12)를 이용하여 중앙선 표시구(1)를 지면에 직접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몸체부(20)의 정면과 배면에는 나사(42)에 의해 주행유도 표지판(5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커볼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0)를 도로의 중앙선에 해당되는 위치에 타격하여 하단부가 매립되도록 고정시킨 다음, 받침대(10)와 몸체부(20)를 순차적으로 끼운다.
이때, 상기 받침대(10)와 몸체부(20)는 중앙에 형성된 통공(2)과 체결공(14)에 의해 동일중심선상에 위치되며, 몸체부(20)에 결합부(12)가 받침대(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고정부재(30)의 상단부에 너트(34)를 체결시켜 조이게 되면, 너트(34)의 조임에 의한 압착에 의해 받침대(10)와 몸체부(20)가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고정부재(30)에 의해 받침대(10)와 몸체부(20)의 고정이 완료되면, 접착층과 야광층(32)이 형성된 덮개(40)를 이용하여, 몸체부(20)의 상방으로 드러나진 고정부재(30)의 상단부위를 감싸 외부와 차폐되도록 접착시키게 되면, 중앙선 표시구(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몸체부(20)의 정면과 배면에는 원판형태의 주행유도 표지판(50)이 나사(42)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중앙선 표시구(1)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1)가 설치된 도로에서는 어두운 곳 특히, 야간주행시 주행중인 자동차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상기 몸체부(20) 정면과 배면에 결합된 주행유도 표지판(50)이 발광되므로 운전자로하여금 명확한 중앙선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1)는 야간에 상기 몸체부(20)의 상면에 부착된 덮개(40)에 형성된 야광층(32)에 의해 자체적인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발광을 위한 빛이 비춰지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발광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한 중앙선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1)는 받침대(10)와 몸체부(20)의 결합에 의한 입체적인 구조를 갖게 되므로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중앙선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켜 안전운행을 도모하게 되고, 차선을 무단 횡단하는 구연 및 난폭운전, 특히, 중앙선을 넘어 과속으로 앞차를 추월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앙선 표시구(1)에 의해 간섭을 받게 되므로, 난폭운전자들의 잘못된 운전습관 즉, 추월을 위한 중앙선 침범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중앙선 표시구의 다른 실시예로는 첨부 도면 도 3 및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과 배면에 주행유도 표지판(50)이 결합되고 저면에 평면형태의 결합부(12)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부(20)를 직접 도로의 중앙선에 해당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명확한 중앙선 식별을 위한 중앙선 표시구(1)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작업공정을 간편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불빛에 의해 발광되거나 야광층(32)에 의한 자체적인 발광이 이루어지므로 운전자의 중앙선 식별력을 향상시켜 안전한 도로의 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를 이용함에 따라, 주행중인 운전자의 명확한 중앙선 식별을 위해 입체적이고 간편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또한, 불빛에 의한 발광 및 자체적인 발광에 의해 어두운 장소 특히, 야간운행시 운전자의 중앙선 식별을 명확하게 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선을 입체적인 형태를 이루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중앙선에 대한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중앙선 침범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앙에 통공(2)이 형성된 사각빔형태의 받침대(10)와;원통형상으로 저면에 평면형태의 결합부(12)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14)이 관통된 몸체부(20)와;상기 몸체부(20)에 형성된 체결공(14)과 받침대(10)에 형성된 통공(2)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지면에 매립·고정되는 고정부재(30)와;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야광층(32)이 형성된 덮개(40)와;나사(42)에 의해 상기 몸체부(20)의 정면과 배면에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주행유도 표지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부(20)가 앙커볼트에 의해 지면에 직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741U KR200323094Y1 (ko) | 2003-05-13 | 2003-05-13 |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741U KR200323094Y1 (ko) | 2003-05-13 | 2003-05-13 |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3094Y1 true KR200323094Y1 (ko) | 2003-08-14 |
Family
ID=4941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741U KR200323094Y1 (ko) | 2003-05-13 | 2003-05-13 |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3094Y1 (ko) |
-
2003
- 2003-05-13 KR KR20-2003-0014741U patent/KR2003230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5768B1 (ko) |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 |
KR102014662B1 (ko) | 도로 표지병 | |
KR200448567Y1 (ko) | 매립형 보조신호등 | |
WO2012074201A2 (ko) | 도로 표지병 | |
KR200323094Y1 (ko) | 도로의 중앙선 표시구 | |
KR100961621B1 (ko) | 도로표지병 | |
KR102189175B1 (ko) | 야간 차선 차량 유도 시설 | |
KR20090089738A (ko) |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 |
KR200400223Y1 (ko) | 노면 부착식 차선 표지구 | |
KR20180039343A (ko) | 도로표지병 | |
JPS6117610A (ja) | 表示線用発光ブロツク | |
JP2005163503A (ja) | 自発光式スピードハンプ | |
JPH11191198A (ja) | 交通標識器 | |
KR200228523Y1 (ko) | 정지선표시용도로표지병 | |
JPH0720308U (ja) | 自発光式誘導装置 | |
KR100300090B1 (ko) |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 |
KR0127269Y1 (ko) | 야광부가 형성된 수목 지지구 | |
CN218508271U (zh) | 一种增加雨雾天气司驾可视距离的诱导装置 | |
KR102682236B1 (ko) | 매립형 도로 표지병의 고정장치 | |
KR200217640Y1 (ko) | 도로 경계석 | |
JPH0959943A (ja) |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 |
KR200281823Y1 (ko) |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 |
CN211713781U (zh) | 一种可发光的车挡石装置 | |
KR100714791B1 (ko) | 방향지시표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 | |
KR200297991Y1 (ko) |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