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823Y1 -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23Y1
KR200281823Y1 KR2020020009290U KR20020009290U KR200281823Y1 KR 200281823 Y1 KR200281823 Y1 KR 200281823Y1 KR 2020020009290 U KR2020020009290 U KR 2020020009290U KR 20020009290 U KR20020009290 U KR 20020009290U KR 200281823 Y1 KR200281823 Y1 KR 200281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ove
main body
fixed
light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김창윤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자)한진개발공사
(주)한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한진개발공사, (주)한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자)한진개발공사
Priority to KR2020020009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23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식별을 돕는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중앙선이나 정지선 상에 매설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 시키고 집중력을 증대 시키는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체결부(121a)를 갖춘 전구(121)와, 이 전구(121)를 감싸면서 밀봉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하우징(124)으로 이루어지되, 전구(121)의 체결부(121a)가 하우징(124)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램프(120)와 ; 하우징(124)이 삽입되는 안착홈(114)과 전구(121)의 체결부(121a)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115)이 상면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112)가 형성되며, 고정부(112) 둘레면으로 개구되어진 배선라인(121b)이 고정홈(115)으로 연통되어진 본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의 안전표시장치{Safety marking apparatus for roads}
본 고안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식별을 돕는 안전표시장치에 관한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중앙선이나 정지선 상에 매설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 시키고 집중력을 증대 시키는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상의 생명선이라고도 할 수 있는 차선, 중앙선 및 정지선 등은 빛에 대해 반사도가 큰 흰색이나 눈에 잘 띄는 노랑색 등으로 도색되어 운전자의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지만, 차량등의 통행으로 인해 쉽게 마모되어 지워지고, 야간에는 상기 선들에 대한 원거리 파악이 곤란하여 차량 간의 사고 및 보행자에 대한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인적한 곳, 또는 초행길에 위치한 횡단보도는 야간 운전자가 횡단보도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기가 곤란하여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고, 이로인해 운전자는 무방비 상태로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를 피할 수 없게되는 것이다.
이에, 운전자가 야간에도 원거리에서 차선, 중앙선 및 정지선 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횡단보도의 유무를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발광부재를 구비한 도로표시장치를 차선, 중앙선 및 정지선 등에 길이방향으로 매설하여 상기한 선들의 윤곽을 확실히 표현되게끔 하고 있지만, 이런한 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불필요한 기능의 추가되어 도로 상에 대량으로 설치하기에는 경제적 면에서 그 실효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이로인해 일단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보수작업 또한 용이하지 못해, 야간에도 운전자가 차선, 중앙선 및 정지선 등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불편함에 의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를 줄임으로서 제조공정이 단축되는 동시에, 설치작업 및 관리작업이 간소한 도로의 안전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제 2 실시예의 연결상태를 도 2a의 BB선에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안전표시장치 110 ; 본체
112 ; 고정부 114 ; 안착홈
115 ; 고정홈 120 ; 램프
121 ; 전구 130 ; 보호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체결부를 갖춘 전구와, 이 전구를 감싸면서 밀봉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전구의 체결부가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램프와 ; 하우징이 삽입되는 안착홈과 전구의 체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고정부 둘레면으로 개구되어진 배선라인이 고정홈으로 연통되어진 본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본체의 안착홈 둘레를 따라서 체결홈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에 램프 보호를 위한 보호구가 고정되어지며, 상기 보호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용기형태를 이루면서 본체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장치(100)가 횡단보도 진입 전, 차량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는 중앙선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야간에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관측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고, 모든 횡단보도에서 규약적으로 본 장치의 개수 및 배열형태를 정하여 설치하면, 초행길을 주행하는 운전자도횡단보도의 유무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어 보행자에 대한 추돌사고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안전표시장치(100)는 빛을 발하는 램프(120)와, 이 램프(120)를 지지고정하는 본체(110)로 이루어지며, 특히 램프(120)는 전구(121)와 이 전구(121)를 감싸면서 밀봉하는 하우징(124)으로 구성되고, 이 하우징(124)은 전구(121)와 일체형으로 주형되어 단품으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상기 램프(120)가 안착체결되는 안착홈(114)과,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112)로 구성되며, 이 고정부(112)를 지면에 매설 고정함으로서 상기 안전표시장치(100)가 설치된다.(도 2b를 참고하면 연결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24)은 상기 전구(121)에서 발하는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내측 투과면에는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122)가 형성되어 발광효과를 향상시키고, 전구(121)의 체결부(121a) 및 배선라인(121b)이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24) 및 전구(121)가 일체로 주형되어, 체결부(121a)는 상기 안착홈(114)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15)에 맞물려 고정되고, 배선라인(112b)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구(113)을 통해 외부에 위치한 전원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5)과 체결부(121a)의 고정을 위한 다양한 고정수단이 활용될 수 있지만, 수작업으로도 상기 안전표시장치(100)의 설치 및 개보수가 용이하도록 나사산을 매개로 한 스크류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와 하우징(124)의 상면이 연속적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통행이 잦은 도로 상에 설치되기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접적으로 힘을 받는 상면이 곡면을 가지므로, 내구성의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인 "123"은 상기 전구(121)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하우징(124)을 주형할 때, 전구(121)가 제 위치에서 정확히 고정되게끔 하는 고정편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안전표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 바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장치(100)의 구성요소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에 더 부가적으로 보호구(130)가 안착홈(114)의 둘레를 따라 본체(110)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16)으로 끼워져 체결된다.
상기 보호구(130)는 본체(110)의 안착홈(114) 주변에 형성된 체결홈(116)으로 고정되어 하중이 큰 차량으로부터 램프(12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구(130)는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갖고, 램프(120)로부터 발하는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방출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구(130)와 본체(110)를 상호 고정하는데는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지만, 수작업으로도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사산을 이용한 스크류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구(130)의 형상을 특정하여 모든 횡단보도에 일괄적으로 설치하면, 야간 및 초행길 운전자도 횡단보도의 유무를 곧바로 인식할 수 있어, 보행자에 대한 차량의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며, 부품의 제조, 설치 및 관리가 매우 간편하므로, 대량생산을 통한 전 지역의 일괄설치가 실현 가능하여 산업적 활용이 크게 증대되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발광부재와,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주형 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표시장치의 구성요소가 크게 줄어들고, 이로인해 도로 상에서의 설치작업 또한 간소해지며, 발광체의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여도 상기 발광체만을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만 해주면 되므로 관리 또한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고, 부가적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투과성 보호구가 부착됨으로서 원거리에서도 관측이 용이하게되어 운전자가 미리 방어운전을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체결부를 갖춘 전구와, 이 전구를 감싸면서 밀봉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전구의 체결부가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램프와 ;
    하우징이 삽입되는 안착홈과 전구의 체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고정부 둘레면으로 개구되어진 배선라인이 고정홈으로 연통되어진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착홈 둘레를 따라서 체결홈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에 램프 보호를 위한 보호구가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용기형태를 이루면서 본체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KR2020020009290U 2002-03-28 2002-03-28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KR200281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290U KR200281823Y1 (ko) 2002-03-28 2002-03-28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290U KR200281823Y1 (ko) 2002-03-28 2002-03-28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23Y1 true KR200281823Y1 (ko) 2002-07-13

Family

ID=7308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290U KR200281823Y1 (ko) 2002-03-28 2002-03-28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04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22066B1 (ko) 횡단보도 차량정지 신호장치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WO1999006636A1 (en) Active light emitting road marking system
KR200281823Y1 (ko) 도로의 안전표시장치
KR200413568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0995337B1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553557B1 (ko) 주행 차량 운전자 인식을 위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표시램프
KR100966326B1 (ko) 횡단보도용 도로 상판 유니트
KR20140005469A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KR102207109B1 (ko)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180039343A (ko) 도로표지병
KR20130045959A (ko) 도로의 정지신호장치
KR20200055219A (ko) Led를 이용한 도로 매립형 차량 정지선 장치 및 시스템
KR200228523Y1 (ko) 정지선표시용도로표지병
KR200265874Y1 (ko) 도로횡단보도용 발광표시장치
JPH0720308U (ja) 自発光式誘導装置
KR200389202Y1 (ko) 횡단보도용 표시장치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CN215164865U (zh) 一种地面交通标线发光指示装置
KR200238700Y1 (ko) 야광형 도로 표지구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102597716B1 (ko)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KR102390139B1 (ko) 속도제한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