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469A -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469A
KR20140005469A KR1020120072727A KR20120072727A KR20140005469A KR 20140005469 A KR20140005469 A KR 20140005469A KR 1020120072727 A KR1020120072727 A KR 1020120072727A KR 20120072727 A KR20120072727 A KR 20120072727A KR 20140005469 A KR20140005469 A KR 2014000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edestrian
crosswalk
ligh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영
Original Assignee
(주)와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앤지 filed Critical (주)와이앤지
Priority to KR102012007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469A/ko
Publication of KR2014000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시에 횡단보도상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의 양측부위는 차량의 정지를 지시하는 정지신호광을 조사하여 조명하고 중앙부위에는 보행자의 보행을 지시하는 보행신호광을 조사함으로써, 야간 도는 악천후 시에 차량과 운전자에게 정확한 도로상황을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차도(1)에 구비된 횡단보도(2)상에 광을 조명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의 양측부위는 운전자 신호등(3)과 연계되어 차량의 운행신호를 지시하는 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운전신호조명수단(4)과, 횡단보도(2)의 중앙부위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신호를 지시하는 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보행신호조명수단(5)에 의해 횡단보도(2)의 면적을 구획분활하여 조명하게 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A Lighting apparatus for pedestrian rossing and the methode}
본 발명은 보행자가 차도를 건너도록 구획된 횡단보도를 조명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에세 도로상황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그 조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시 및 주행신호시에 신호등과 연동된 신호광을 횡단보도상에 조사하여 운전자가 도로를 주시하면서 주행을 할 경우에도 횡단보도상의 신호를 dd이하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단순히 횡단보도상에 신호광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횡단보도상의 면적을 구획분활하여 시각적인 인지효과를 증대할 수 있어 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 운전자에게 정확한 도로상황을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보행자의 횡단을 위한 횡단보도가 구획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횡단보도에는 보행자가 횡단가능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신호등과 운전자가 횡단보도 통행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신호등이 인도에 설치되어 교통상황을 지시하게 된다.
즉, 보행자신호등은 횡단보도상의 인도에 설치되어 인도에서 대기중인 보행자가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운전자신호등은 인도에 설치된 지주에 구비되어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상에서 수직상 상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호등은 단순히 신호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야간 또는 악천후 시 원거리에서 운전자가 횡단보도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횡단보도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를 치거나 급정거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주행할 때, 외부환경(야간 및 악천후 시)에 따라 차도를 주시하면서 운전하는 관계에 의해 비교적 상부에 위치된 운전자 신호등을 주시하지 못하여 교통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야간이나 악천후시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별도의 조명시설을 제안하여 횡단보도에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조명시설 중의 하나로 한국특허제10-1104227호(명칭: 횡단보도 조명장치)가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중공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삽입 체결되는 발광부 조립체; 상기 케이스의 몸체 일부분이 케이스의 종방향으로 벤딩(bending) 성형되어 단면형상이 파이프 형태로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발광부 조립체에서 발광된 빛을 횡단보도에 조사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횡단보도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들은 단순히 횡단보도상으로 빛을 조명하여 횡단보도의 위치를 인지하는 것에만 사용될 분 운전상황을 표시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와 운전자신호등을 한번에 주시할 경우에만 교통상황을 인지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황단보도상에 조사되는 신호광의 시각적 인지력이 떨어져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의 교통지시상황을 인지할 수 없어, 교통사고를 방지하는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시 및 주행신호시에 신호등과 연동된 신호광을 횡단보도상에 조사하여 운전자가 도로를 주시하면서 주행을 할 경우에도 횡단보도상의 신호를 dd이하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단순히 횡단보도상에 신호광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횡단보도상의 면적을 구획분활하여 시각적인 인지효과를 증대할 수 있어 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 운전자에게 정확한 도로상황을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차도에 구비된 횡단보도상에 광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명수단은 횡단보도에 광이 조사되는 조사부와 광이 조사되지 않는 비 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조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사부는 황단보도상에 도포된 백색도료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사부에 조사되는 빛은 운전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운전자 신호등에서 발광하는 빛과 동일한 색의 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명수단은 횡단보도상에 보행자의 보행방향에 대해 양측부위는 운전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차량의 운행신호를 지시하는 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운전신호조명부재와, 횡단보도상에 보행자의 보행방향에 대해 중앙부위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신호를 지시하는 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보행신호조명부재로 이루어져 횡단보도를 구획분활하여 조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운전신호조명부재와 보행신호조명부재는 인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된 볼라드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운전신호조명부재와 보행신호조명부재는 인도에 수직상으로 지주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신호광을 지시하도록 된 운전자 신호등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방법은 횡단보도에 빛을 조명하는 조명방법에 있어서;
횡단보도의 전면적에 대하여 빛이 조사되는 조사부와 빛이 조사되지 않은 비 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조사하여, 도로면을 주시하여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와 그의 조명방법은 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보행자신호등 및 운전자신호등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보행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횡단보도에 교통지시광을 조사부와 비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시각적 인지력을 증대하여 조사함으로써, 횡단보도상의 교통신호 현황을 인지함은 물론 횡단보도의 위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을 미연에 예방하는 데 효율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상태의 예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다른 예 보인 예시도,
도 7는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그의 조명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차도(1)에 구비된 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 횡단보도(2)상에 광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횡단보도(2)의 위치를 운전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즉, 상기 횡단보도(2)에 빛을 조사하면 횡단보도(2)상에 도포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백색도료선(7)이 이를 반사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가 횡단보도(2)를 구성하는 형광물질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서 상기한 조명수단은, 상기 횡단보도(2)에 광이 조사되는 조사부와 광이 조사되지 않는 비 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조사하게 구비된다.
즉, 횡단보도(2)의 면적을 조사부와 비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시각적 인지력을 증대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도로를 주시하면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도로교통상황을 인지하게 한다.
따라서, 교통사고의 예방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조사부는 황단보도(2)상에 도포된 백색도료선(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조사부에 조사되는 빛은 운전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운전자 신호등에서 발광하는 빛과 동일한 색의 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야간에 백색도료선(7)에서 반사되는 빛을 통해 운전자가 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조사되는 빛의 색에 의해 운전자에게 도로교통상황을 정학하게 인지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수단이 횡단보도상(2)에 보행자의 보행방향에 대해 양측부위는 운전자 신호등(3)과 연계되어 차량의 운행신호를 지시하는 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운전신호조명부재(4)와, 횡단보도상(2)에 보행자의 보행방향에 대해 중앙부위에는 미 도시된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신호를 지시하는 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보행신호조명부재(5)로 이루어져 횡단보도(2)를 구획분활하여 조명한다.
따라서, 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 주행하는 방향의 양측부위는 운전자 신호등(3)과 연계되어 차량의 운행신호를 지시하는 운행신호광을 조사하고, 횡단보도(2)의 중앙부위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신호를 지시하는 보행신호광을 조사함으로써, 횡단보도(2)의 면적을 구획 분활하여 조명하게 된다,
이때, 횡단보도(2)로 조명되는 빛은 보행자 신호등과 운전자 신호등(3)의 신호등과 동일한 색의 광(적색광과 녹색광)을 조사하게 된다.
즉, 횡단보도(2)의 양측부위가 적생광으로 조명될 때, 중앙부위는 녹색광으로 조명된다.
상기에서 횡단보도(2)의 교통신호형태가 차량의 주행신호 중인 경우에는 무채색광을 조사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횡단보도(2)의 위치만 인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보행자 신호등 및 운전자 신호등(3)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보행하고 차량이 주행하는 횡단보도(2)에 교통지시광을 조사하여 교통신호 현황을 인지함은 물론 횡단보도(2)의 위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데 효율적인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운전신호조명부재(4)과 보행신호조명부재(5)는 인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된 볼라드(6)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볼라드(6)는 횡단보도(2)의 보행방향의 중심에 설치되며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하여 조명광을 조명하는 것과, 횡단보도(2)의 보행방향의 양측 일 위치에 설치되며 운전자 신호등(3)과 연계하여 조명광을 조명하도록 된 것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볼라드(6)에 다수의 조명기구를 구성하여 횡단보도(2)에 각각의 조명기구가 조명각을 다르게 하여 조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보행신호광과 운전신호광을 하나의 볼라드(6)에서 횡단보도(2)를 구획 분활하여 별개의 신호광으로 조사함으로써, 운전자에게는 운전상황을, 보행자에게는 보행신호를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서 상기한 조명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운전신호조명부재(4)와 상기 보행신호조명부재(5)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에 수직상으로 지주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신호광을 지시하도록 된 운전자 신호등(3)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횡단보도(2)상에 조사되는 조명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인도에 별도의 시설(볼라드(6))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도로에 설치된 운전자 신호등(3)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횡단보도용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조명할 때에는, 상기 횡단보도(2)의 전면적에 대하여 빛이 조사되는 조사부와 빛이 조사되지 않은 비 조사부로 구획 분활하여 조사하여, 도로면을 주시하여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인지력을 증대하여 교통사항을 표시하는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조사부는, 각종 문자, 도안, 문양, 케릭터의 모양을 가지면서 조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도 2 : 횡단보도
3 : 운전자 신호등 4 : 운전신호조명부재
5 : 보행신호조명부재 6 : 볼라드
7 : 백색도료선

Claims (7)

  1. 차도에 구비된 횡단보도상에 광을 조명하는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조명수단은 횡단보도에 광이 조사되는 조사부와 광이 조사되지 않는 비 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조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사부는 황단보도상에 도포된 백색도료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사부에 조사되는 빛은 운전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운전자 신호등에서 발광하는 빛과 동일한 색의 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명수단은 횡단보도상에 보행자의 보행방향에 대해 양측부위는 운전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차량의 운행신호를 지시하는 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운전신호조명부재와, 횡단보도상에 보행자의 보행방향에 대해 중앙부위에는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되어 보행신호를 지시하는 보행신호광을 조사하는 보행신호조명부재로 이루어져 횡단보도를 구획분활하여 조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운전신호조명부재와 보행신호조명부재는 인도에 설치되어 차량의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된 볼라드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운전신호조명부재와 보행신호조명부재는 인도에 수직상으로 지주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신호광을 지시하도록 된 운전자 신호등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7. 횡단보도에 빛을 조명하는 조명방법에 있어서;
    횡단보도의 전면적에 대하여 빛이 조사되는 조사부와 빛이 조사되지 않은 비 조사부로 구획분활하여 조사하여, 도로면을 주시하여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방법.
KR1020120072727A 2012-07-04 2012-07-04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KR20140005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27A KR20140005469A (ko) 2012-07-04 2012-07-04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27A KR20140005469A (ko) 2012-07-04 2012-07-04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69A true KR20140005469A (ko) 2014-01-15

Family

ID=5014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727A KR20140005469A (ko) 2012-07-04 2012-07-04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4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7219A (zh) * 2018-05-04 2018-09-28 山东理工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路段行人过街控制方法
CN110111559A (zh) * 2019-06-01 2019-08-09 淮阴工学院 一种关于温度和天气的行人过街系统
KR102561464B1 (ko) * 2023-02-08 2023-07-28 전청민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면표시 발광 시스템 및 빔 프로젝터
KR102595652B1 (ko) * 2023-03-27 2023-11-17 성풍솔레드(주) 바닥빔형 멀티 보행신호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7219A (zh) * 2018-05-04 2018-09-28 山东理工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路段行人过街控制方法
CN110111559A (zh) * 2019-06-01 2019-08-09 淮阴工学院 一种关于温度和天气的行人过街系统
KR102561464B1 (ko) * 2023-02-08 2023-07-28 전청민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면표시 발광 시스템 및 빔 프로젝터
KR102595652B1 (ko) * 2023-03-27 2023-11-17 성풍솔레드(주) 바닥빔형 멀티 보행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16B1 (ko)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20050105954A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횡단보도 도로경계석의 변색유도등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KR20140005469A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100822066B1 (ko) 횡단보도 차량정지 신호장치
KR102089431B1 (ko) 안전 유도장치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KR100966326B1 (ko) 횡단보도용 도로 상판 유니트
KR101553557B1 (ko) 주행 차량 운전자 인식을 위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표시램프
KR20060088433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시스템
KR20130098555A (ko) 경계라인 조명용 볼라드
KR200425808Y1 (ko) 다기능복합신호등
KR102105488B1 (ko) 회전형 교통 신호 안내 장치
KR200388818Y1 (ko) 이동식 임시 신호등 및 제어장치
KR20170132919A (ko) 횡단 보도의 라인 표시 장치
KR20160089916A (ko) 보행자 경계지시등용 조명기구
KR20180092346A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기기
KR200299276Y1 (ko) 볼라드
CN111629472A (zh) 基于毫米波雷达的人行横道智慧路灯指示系统及控制方法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KR102577598B1 (ko) 눈부심 방지가 가능한 바닥 신호등
WO2019097267A1 (en)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the safe illumination of pedestrian crossings
KR200289540Y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