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81Y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81Y1
KR200323081Y1 KR20-2003-0014567U KR20030014567U KR200323081Y1 KR 200323081 Y1 KR200323081 Y1 KR 200323081Y1 KR 20030014567 U KR20030014567 U KR 20030014567U KR 200323081 Y1 KR200323081 Y1 KR 200323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dehumidifier
diaphrag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에이엔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엔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엔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4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내에 히터방열판과 열전반도체를 구비하고서 공기흡입구를 매개로 외기를 유입하여 외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다음 제습된 공기를 공기배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방열판(9)과 케이스(1)사이에 격벽(21)이 설치되어 이 격벽(21)을 매개로 케이스내부가 양분되고, 한쪽 구역에는 유입된 외기가 바로 유출되도록 제 1공기배출구(23)가 설치되며, 다른쪽 구역에는 제 2공기유입구(25)와 제 2공기흡입팬(27)이 설치되면서 이들 제 2공기흡입팬(27) 및 제 2공기배출구(29)와 연통되도록 격막식냉각소자(31)가 설치되는 한편, 이 격막식냉각소자(31)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막(33)이 서로 대향되면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제습된 공기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유입된 공기가 격막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밀폐된 냉각소자내에서 상대적으로 오래 머무르도록 하므로써 냉각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고안은 습기를 제거하는 데에 사용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흐름방향을 변화시키고 냉각소자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써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는 냉각코일의 표면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낮으면 코일의 표면에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 즉,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는데, 대개 제습기 후방면에 습한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팬이 장착되고, 이 공기흡입팬의 전방측에는 통상의 냉동사이클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중에서 증발기의 하측에는 습기가 결로되어 낙수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조를 이룬 종래 제습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4각박스 형태를 한 케이스(1)의 측벽에 각각 공기흡입구(3) 및 공기배출구(5)가 형성되고, 이 공기배출구(5)와 인접하는 위치에 물배출구(7)가 설치되며, 하부면을 매개로 히터방열판(9)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공기흡입구(3)와 히터방열판(9)사이에 공기흡입팬(11)이 설치되고, 히터방열판(9)에는 열전반도체(13)와 냉각방열판(15)이 순차적으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이 개시되면 공기흡입팬(11)에 의해 케이스(1)내로 외기가 유입되어 히터방열판(9)을 타고 냉각방열판(15) 쪽으로 강제순환되면서 냉각과 동시에 외기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고, 제습된 공기는 공기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된 물은 물배출구(7)를 통해 케이스(1)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제습기는 케이스내에서 외기와 제습된 공기가 서로 혼합되게 되므로 냉각효율이 저하되어 공기를 제습하는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내로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와 제습된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면서 냉각소자내에서 보다 차거운 공기를 생산하도록 하므로써 냉각능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제습효과가 발휘되도록 된 제습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스내에 히터방열판과 열전반도체를 구비하고서 공기흡입구를 매개로 외기를 유입하여 외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다음 제습된 공기를 공기배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방열판과 케이스사이에 격벽이 설치되어 이 격벽을 매개로 케이스내부가 양분되고, 한쪽 구역에는 유입된 외기가 바로 유출되도록 제 1공기배출구가 설치되며, 다른쪽 구역에는 제 2공기유입구와 제 2공기흡입팬이 설치되면서 이들 제 2공기흡입팬 및 제 2공기배출구와 연통되도록 격막식냉각소자가 설치되는 한편, 이 격막식냉각소자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막이 서로 대향되면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제습된 공기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유입된 공기가 격막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단면도이다.
1 --- 케이스, 3 --- 공기흡입구,
5 --- 공기배출구, 7 --- 물배출구,
9 --- 히터방열판, 11 --- 공기흡입팬,
13 --- 열전반도체, 15 --- 냉각방열판,
17 --- 제 1공기유입구, 19 --- 제 1공기흡입팬,
21 --- 격벽, 23 --- 제 1 공기배출구,
25 --- 제 2공기유입구, 27 --- 제 2공기흡입팬,
29 --- 제 2공기배출구, 31 --- 격막식 냉각소자,
33 --- 격막, 35 --- 이동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단면도로써, 종래구조와 동일부위에는 동일 참조부호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내에 히터방열판(9)과 열전반도체(13) 및 격막식 냉각소자(31)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의 한쪽 측벽에 제 1공기유입구(17) 및 제 1공기흡입팬(19)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와 히터방열판(9)사이에는 격벽(21)이 설치되어 이 격벽(21)을 매개로 케이스(1)내부가 두개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 상부 즉, 도 1에서 격벽(21) 좌측에 제 1 공기배출구(23)가 형성되고, 격벽(21) 우측에는 제 2공기유입구(25) 및 제 2공기흡입팬(27)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공기흡입구(17)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2공기배출구(29)가 형성되는 한편, 이 제 2공기배출구(29)와 인접하는 위치에 물배출구(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막식 냉각소자(31)는 내부에 복수의 격막(33)을 갖추고서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 2공기흡입팬(27)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제 2공기배출구(29)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2공기팬(27)이 회전되면 제 2공기유입구(25)를 통해 외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외기는 상기 격막(33)을 매개로 형성된 이동로(35)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제 2공기배출구(29)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격막(33)은 격막식 냉각소자(31)의 내벽면에 서로 대향되면서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되고, 제 2공기유입구(25)가 제 2공기배출구(29)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격막식 냉각소자(31)의 하부에는 소정크기로 응축수배출구(37)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37)는 물배출구(7)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습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제 1공기흡입팬(19)과 제 2공기흡입팬(27)이 회전을 하면서 제 1공기유입구(17)와 제 2공기유입구(25)를 통해 실내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케이스(1)내부로 흡입하게 되고,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유입된 공기는 히터방열판(9)에 의해 가열되고 격막식냉각소자(31)에 의해 냉각되는 방법으로 습기제거운전이 반복수행된다.
그리고, 제습운전중 가열되는 공기가 제 1공기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므로 냉각소자(31)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즉. 상온의 공기가 유도되게 됨에 따라 히터방열판(9)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로 인해 냉각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공기유입구(25)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밀폐된 냉각소자(31) 내에서 차가운 공기로 전환되게 되는 바, 즉, 제 2공기배출구(29)가 제 2공기유입구(25)가 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유입된 공기가 냉각소자(31)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고, 냉각소자(31)내에서 여러개의 격막(33)과 접촉하게 되므로 단위면적당 접촉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져 동일한 시간동안 보다 차거운 공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므로 우수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내로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와 제습운전을 통해 제습된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으면서, 유입된 공기가 냉각소자에서 상대적으로 장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냉각능력이 발휘되도록 하므로써 제습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스내에 히터방열판과 열전반도체를 구비하고서 공기흡입구를 매개로 외기를 유입하여 외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 다음 제습된 공기를 공기배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방열판과 케이스사이에 격벽이 설치되어 이 격벽을 매개로 케이스내부가 양분되고, 한쪽 구역에는 유입된 외기가 바로 유출되도록 제 1공기배출구가 설치되며, 다른쪽 구역에는 제 2공기유입구와 제 2공기흡입팬이 설치되면서 이들 제 2공기흡입팬 및 제 2공기배출구와 연통되도록 격막식냉각소자가 설치되는 한편, 이 격막식냉각소자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막이 서로 대향되면서 소정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제습된 공기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유입된 공기가 격막을 거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기유입구가 제 2공기배출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20-2003-0014567U 2003-05-12 2003-05-12 제습기 KR200323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67U KR200323081Y1 (ko) 2003-05-12 2003-05-12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67U KR200323081Y1 (ko) 2003-05-12 2003-05-12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81Y1 true KR200323081Y1 (ko) 2003-08-14

Family

ID=4941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567U KR200323081Y1 (ko) 2003-05-12 2003-05-12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92Y1 (ko) * 2009-10-30 2011-12-29 주식회사 일진엔지니어링 열교환효율이 증가된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92Y1 (ko) * 2009-10-30 2011-12-29 주식회사 일진엔지니어링 열교환효율이 증가된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20425A (zh) 一种衣物干燥装置及烘干系统
CN110337320B (zh) 除湿机
JP2007237077A (ja) 空気調節装置
TWI618898B (zh) Dehumidifier
US8261571B2 (en) Multifunctional ventilating fan
KR20050077041A (ko) 공기흐름전환식 공기조화기
JP6646805B2 (ja) 除湿装置
JP2016055264A (ja) 除湿装置
JP2015120136A (ja) 除湿装置
KR200323081Y1 (ko) 제습기
KR19990016577A (ko) 에어컨의 실내기
KR102058573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JP3021298B2 (ja) 圧縮空気除湿用熱交換器
CN107687676B (zh) 室内机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KR100763554B1 (ko) 고온다습한 압축공기의 제습성능을 향상시킨 냉동식압축공기 제습장치
WO2016047196A1 (ja) 乾燥機
CN107543251B (zh) 室内机
CN216716938U (zh) 烘干房用除湿机
KR200346464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267632Y1 (ko) 제습기
CN107543250B (zh) 室内机
KR20120123877A (ko) 열교환기
KR200335239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포터블 에어컨
KR10022401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 응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