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464Y1 - 농수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464Y1
KR200346464Y1 KR20-2003-0040889U KR20030040889U KR200346464Y1 KR 200346464 Y1 KR200346464 Y1 KR 200346464Y1 KR 20030040889 U KR20030040889 U KR 20030040889U KR 200346464 Y1 KR200346464 Y1 KR 200346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agricultural
drying chamber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산
박청민
전명호
장덕순
권민성
이종인
Original Assignee
박청민
전명호
장덕순
이종인
홍석산
권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청민, 전명호, 장덕순, 이종인, 홍석산, 권민성 filed Critical 박청민
Priority to KR20-2003-0040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김이나 미역,쌀 및 고추 등과 같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서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새로운 공기로 교체하여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60)의 상측에 건조과정에 있어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0)를 구비하고, 송풍관로(80)상에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외기와 연통되는 외기유입관(21)을 구비하며, 상기 외기유입관(21)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2)를 구비하고, 상기 습도센서(10)를 통하여 입력된 습도값과 조작장치(3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입제어밸브(22)를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컨트롤러(3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조실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서 공기의 습도에 따라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농수산물의 건조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장치{An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ing system}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이나 미역,쌀 및 고추 등과 같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서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새로운 공기로 교체하여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건조실의 상측에 냉각장치와 결로판으로 이루어진 결로장치를 구비하여서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추어 농수산물의 건조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이나 미역,쌀 및 고추 등과 같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는 하부에서 열풍을 송풍하여서 농수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가열증발시켜서 농수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농수산물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이 구비된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로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건조실의 상측에서 송풍기와 히터를 통하여 건조실의 하부로 연통되는 송풍관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건조장치는 건조실에 건조하고자 하는 농수산물을 적치한 후 일정 시간동안 하부에서 열풍을 연속 송풍하여서 농수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신속하고 용이하게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조장치는 건조실에 수납된 농수산물의 건조를 위하여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과정에 있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아져 농수산물의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되고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조장치의 건조실 상측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서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새로운 공기로 교체하여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건조실의 상측에 냉각장치와 결로판으로 이루어진 결로장치를 구비하여 순환되는 공기중의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냉강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의 주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습도센서
21 : 외기유입관 22 : 유입제어밸브
30 : 컨트롤러 31 : 조작장치
41 : 결로판 42 : 수분배출구
51 : 콤프레셔 52 : 콘덴서 53 : 응축기
60 : 건조실 61 : 선반
71 : 히터 72 : 송풍기
80 : 송풍관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건조과정에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여서 건조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농수산물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61)이 구비된 건조실(60)과, 상기 건조실(60)의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1)와, 상기 히터(71)로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송풍기(72)와, 상기 건조실(60)의 상측에서 송풍기(72)와 히터(71)를 통하여 건조실(60)의 하부로 연통되는 송풍관로(80)로 구성된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60)의 상측에 건조과정에 있어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0)를 구비하고, 송풍관로(80)상에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외기와 연통되는 외기유입관(21)을 구비하며, 상기 외기유입관(21)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2)를 구비하고, 상기 습도센서(10)를 통하여 입력된 습도값과 조작장치(3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입제어밸브(22)를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컨트롤러(30)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건조실(60)의 상측에는 건조과정에 유동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결로시켜 제거할 수 있게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접촉되는 결로판(41)과 상기 결로판(41)을 일정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로 구성한 결로장치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로장치 중 결로판(41)은 결로된 수분을 일측으로 유동제거할 수 있게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로판(41)의 하향 경사방향측의 단부에 결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건조실(60)의 외벽과의 사이에 수분배출구(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로장치 중 냉각장치는 냉매를 압축하여서 강제순환시키는 콤프레셔(51)와, 상기 콤프레셔(51)에 의하여 압축되어 강제순환되는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키는 콘덴서(52)와, 상기 콘덴서(52)에서 냉각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결로판(41)을 냉각시키는 응축기(53)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콘덴서(52)는 결로판(41)과의 접촉으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송풍기(72)의 전단측 송풍관로(80)상에 구비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60)의 상측에 건조과정에 있어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0)를 구비하고, 송풍관로(80)상에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외기와 연통되는 외기유입관(21)을 구비하며, 상기 외기유입관(21)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2)를 구비하고, 상기 습도센서(10)를 통하여 입력된 습도값과 조작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입제어밸브(22)를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컨트롤러(30)로 구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함에 있어서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습도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서 컨트롤러(30)로 입력하게 되면, 컨트롤러(30)는 조작장치(31)를 통하여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의 설정값과 비교하여서 설정습도보다 높게 되면, 유입제어밸브(22)를 제어하여서 송풍기(72)로 연통되는 송풍관로(80)가 외기유입관(21)과 연통하게 하여 신선하고 습도가 낮은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서 건조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건조실(60)의 상측에 결로판(41)과 냉각장치로 이루어진 결로장치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농수산물의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수한 공기가 냉각장치에 의하여 차가워져 있는 상태의 결로판(41)과 접하면서 결로되어서 맺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결로판(41)의 표면에 맺혀진 수분은 경사지게 형성한 결로판(41)을 따라 흘러내려서 일측에 형성산 수분배출구(4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순환되는 공기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각장치의 콘덴서(52)을 송풍관로(80) 상에 구비하므로서 결로판(41)과의 접촉으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하여 주므로서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조실에 습도센서를 구비하여서 공기의 습도에 따라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농수산물의 건조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건조실의 상측에 결로판과 냉각장치로 이루어진 결로장치를 구비하므로서 순환되는 공기가 항상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므로서 농수산물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결로장치를 구성하는 냉각장의 콘덴서를 송풍관로상에 구비하여 결로판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 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농수산물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61)이 구비된 건조실(60)과, 상기 건조실(60)의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1)와, 상기 히터(71)로 공기를 강제송풍하는 송풍기(72)와, 상기 건조실(60)의 상측에서 송풍기(72)와 히터(71)를 통하여 건조실(60)의 하부로 연통되는 송풍관로(80)로 구성된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60)의 상측에 건조과정에 있어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0)를 구비하고, 송풍관로(80)상에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외기와 연통되는 외기유입관(21)을 구비하며, 상기 외기유입관(21)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2)를 구비하고, 상기 습도센서(10)를 통하여 입력된 습도값과 조작장치(3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유입제어밸브(22)를 제어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컨트롤러(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실(60)의 상측에는 건조과정에 유동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결로시켜 제거할 수 있게 순환되는 공기와 직접접촉되는 결로판(41)과 상기 결로판(41)을 일정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로 구성한 결로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결로판(41)은 결로된 수분을 일측으로 유동제거할 수 있게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로판(41)의 하향 경사방향측의 단부에 결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건조실(60)의 외벽과의 사이에 수분배출구(42)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장치는 냉매를 압축하여서 강제순환시키는 콤프레셔(51)와, 상기 콤프레셔(51)에 의하여 압축되어 강제순환되는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키는 콘덴서(52)와, 상기 콘덴서(52)에서 냉각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결로판(41)을 냉각시키는 응축기(5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52)는 결로판(41)과의 접촉으로 냉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송풍기(72)의 전단측 송풍관로(80)상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2003-0040889U 2003-12-31 2003-12-31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346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89U KR200346464Y1 (ko) 2003-12-31 2003-12-31 농수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89U KR200346464Y1 (ko) 2003-12-31 2003-12-31 농수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464Y1 true KR200346464Y1 (ko) 2004-03-30

Family

ID=4942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89U KR200346464Y1 (ko) 2003-12-31 2003-12-31 농수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4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92B1 (ko) 2004-04-27 2006-11-06 이충규 강제 순환식 건조기
KR101446071B1 (ko) * 2013-03-07 2014-10-01 김석주 식품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92B1 (ko) 2004-04-27 2006-11-06 이충규 강제 순환식 건조기
KR101446071B1 (ko) * 2013-03-07 2014-10-01 김석주 식품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157B1 (ko) 히트 펌프형 건조기
CN107166902A (zh) 一种多功能热泵干燥装置
KR100928843B1 (ko)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건조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04090431A1 (ja) 乾燥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103443351B (zh) 操作热泵干燥器的方法以及热泵干燥器
CN1837452A (zh) 一种半导体除湿式干衣机及干衣方法
WO2003046440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52588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연속식 농산물 건조기의 제어장치
KR100341139B1 (ko)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KR20130019881A (ko) 저온냉풍제습방식 고추 건조장치
KR101452466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KR101105665B1 (ko) 기류형성부를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CN110360833A (zh) 一种变负荷除湿热泵烘干系统
CN106247787B (zh) 热泵烘干总系统以及热泵烘干循环总系统
CN109269245A (zh) 一种光伏能源全环保型常温节能干燥房
KR20120096916A (ko) 히트 펌프형 건조 시스템
KR200346464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070108103A (ko) 냉각 제습 건조기
CN108503185A (zh) 一种污泥除湿干燥系统
JP6512596B2 (ja) 加熱装置
KR20180043474A (ko) 농산물 건조기용 제습장치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106247783B (zh) 热泵烘干机房以及热泵烘干循环机房
CN110173967A (zh) 含水煤炭产品的干化系统及含水煤炭产品的干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