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573B1 - 백연 저감 냉각탑 - Google Patents

백연 저감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573B1
KR102058573B1 KR1020180059870A KR20180059870A KR102058573B1 KR 102058573 B1 KR102058573 B1 KR 102058573B1 KR 1020180059870 A KR1020180059870 A KR 1020180059870A KR 20180059870 A KR20180059870 A KR 20180059870A KR 102058573 B1 KR102058573 B1 KR 10205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side air
temperature
cas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51A (ko
Inventor
구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18005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5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연 저감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의 일 양태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의 냉각을 위하여 흡열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발열하는 열전소자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연 저감 냉각탑{PLUME ABATEMENT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연 저감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은, 냉각수, 예를 들면, 공조 장치 또는 냉동기, 즉 냉동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응축에 사용된 냉각수를 공기와 접촉시켜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기 위하여, 냉각수를 공기 중으로 분사하거나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외관을 정의하는 케이싱의 내부에 급수부, 송풍부, 건식 열교환부, 및 집수부와 같은 냉각탑을 구성하는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냉각수가 건식 열교환부를 따라서 유동하면서 송풍부의 구동에 의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와 같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부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집수부에 집수된다.
한편,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 , 熱電素子)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양측에서 흡열과 발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반도체 소자로서, 펠티어 소자(Peltier effect)라고도 지칭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는, 흡열 또는 발열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2688호)에는 이와 같은 열전소자가 적용된 냉각탑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열전소자(19)에 의하여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존발생기(18)가 냉각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냉각탑의 외부, 즉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습도가 증가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온의 습한 공기가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저온의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응축되는 백연(白煙, plume)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순히 열전소자를 냉각탑을 구성하는 일부 부품의 냉각에만 사용하고, 백연의 저감을 위하여 열전소자의 흡열과 발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2688호(명칭: 냉각탑용 살균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소자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백연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의 일 양태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의 냉각을 위하여 흡열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발열하는 열전소자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유동되는 제1유로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건식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내기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내기는, 상기 열전소자부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냉각 및 가열된 후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매개로 열교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그 종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로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되며,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상기 제1유로의 내부로 흡입되는 내기 입구와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가 상기 제2유로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 입구, 및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유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출구와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한 후 상기 제2유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출구는, 각각 수직 방향의 가상의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4개의 면 중 어느 일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기 출구와 외기 출구는, 상기 내기 입구와 외기 입구에 대향되도록 상기 내기 입구와 외기 입구의 상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전소자부는, 상기 제1유로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내기와 접촉하여 흡열에 의하여 이를 냉각하는 흡열면; 및 상기 제2유로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외기와 접촉하여 발열에 의하여 이를 가열하는 발열면;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보조 흡기구를 개폐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과 열전소자부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온도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를 개폐하거나 흡열 및 발열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댐퍼는,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조 흡기구를 개방하고, 상기 열전소자부는,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의 냉각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흡열 및 발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기준 온도차는, 상기 제2기준 온도차에 비하여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와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건식 열교환되는 건식 열교환부; 상기 보조 흡기구를 개폐하는 댐퍼;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내기의 냉각 및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흡열 및 발열하는 열전소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온도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의 차에 따라서 동작하는 상기 댐퍼에 의하여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에 따라서 외기가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유동하고,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에 따라서 동작하는 상기 열전소자부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선택적으로 냉각 및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열전소자부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내기와 외기의 건식 열교환전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내기와 접촉하여 흡열에 의하여 이를 냉각하는 흡열면;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내기와 외기의 건식 열교환전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외기와 접촉하여 발열에 의하여 이를 가열하는 발열면;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댐퍼이 상기 보조 흡기구를 차폐하여 내기만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댐퍼이 상기 보조 흡기구를 개방하여 내기 및 외기가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건식 열교환되며,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 초과의 온도로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열전소자부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건식 열교환전에 냉각 및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그 종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되고, 내기 및 외가가 각각 유동되는 제1 및 제2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내기가 상기 제1유로의 내부로 흡입되는 내기 입구와 외기가 상기 제2유로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 입구는, 각각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4개의 면 중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면에 형성되고, 내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유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출구와 외기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한 후 상기 제2유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출구는, 각각 상기 내기 입구와 외기 입구에 대향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4개의 면 중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와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면서 건식 열교환되는 건식 열교환부;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와 접촉되는 흡열면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와 접촉되는 발열면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내기의 온도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 미만인 경우에는, 내기만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고,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는, 내기 및 외기가 각각 상기 건식 열교환부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매개로 열교환되며,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 초과의 온도로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내기가 상기 흡열면의 흡열에 의하여 냉각되어 내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된 후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외기가 상기 발열면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내기와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내기 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와 보조 흡기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주 흡기구 및 보조 흡기구와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되는 제1유로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수직 방향의 가상의 축에 대하여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방향과 대칭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건식 열교환부;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로 상에 노출되는 흡열면 및 상기 제2유로 상에 노출되는 발열면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부; 를 포함하고, 내기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내기의 온도 및 상기 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의 차와 무관하게,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고, 외기는,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매개로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내기와 열교환되며, 상기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 초과의 온도로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 이상인 경우에는, 내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면서 상기 흡열면의 흡열에 의하여 냉각되어 이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되고, 외기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면서 상기 발열면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건식 열교환부를 매개로 내기와 열교환됨으로써 내기가 가열되어 이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들에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에서는, 열전소자의 흡열에 의하여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는 냉각되고, 열전소자의 발열에 의하여 내기와 열교환 또는 혼합되는 외기는 가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에 따라서 외기의 흡입과 열전소자에 의한 내기 및 외기의 냉각 및 가열이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열전소자의 흡열 및 발열을 이용하여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 또는/및 증발되어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백연의 발생을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의 모드별 보인 운전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1)은, 케이싱(100), 급수부(200), 송풍부(300), 습식 열교환부(400), 집수부(500), 건식 열교환부(600), 댐퍼(700) 및 열전소자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냉각탑(1)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200)는, 열교환 대상이 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부(300)는,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는, 상기 급수부(200)에 의하여 급수되는 냉각수와 상기 송풍부(3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와의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집수부(500)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곳이다.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댐퍼(70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선택적으로 흡입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부(800)에서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서 건식 열교환되는 공기를 각각 냉각 및 가열하기 위한 흡열 및 발열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10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주 흡기구(111), 보조 흡기구(113) 및 배기구(120)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주 흡기구(111)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에 하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보조 흡기구(113)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주 흡기구(111), 보조 흡기구(113) 및 배기구(120)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보조 흡기구(113)는, 상기 주 흡기구(111)의 상방에 위치될 것이다. 상기 주 흡기구(111) 및 보조 흡기구(113)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급수부(200)는, 급수 파이프(210) 및 다수개의 급수 노즐(22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 파이프(210)는 공기와 열교환될 냉각수가 유동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 노즐(220)은 상기 급수 파이프(210)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를 향하여 분사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파이프(210)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부(300)는, 송풍 팬(310) 및 송풍 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 팬(3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하고, 냉각수와 열교환한 공기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송풍 팬(310)으로는, 예를 들면,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터(320)는 상기 송풍 팬(3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주 흡기구(111) 및 급수 파이프(2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의 표면 또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상기 급수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하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서로 접촉되어 열교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는, 상기 급수부(200), 실질적으로 상기 급수 노즐(220)의 하방에 배치된다.
상기 집수부(500)에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된다. 상기 집수부(500)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건식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610)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고, 상기 제2유로(620)는,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후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공기를 '내기'라 칭하고,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공기를 '외기'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서는,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내기 사이에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한 건식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외기 사이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가 소정의 열전도율을 갖는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예를 들면, 그 종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내기 입구(611)와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 입구(621), 및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유로(6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출구(613)와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한 후 상기 제2유로(6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출구(623)는, 각각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4개의 면 중 어느 일방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기 입구(611)와 외기 입구(621)는, 수직 방향의 가상의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4개의 면 중 상대적으로 하방의 2개의 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기 출구(613)와 외기 출구(623)는, 상기 가상의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4개의 면 중 상대적으로 상방의 2개의 면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기 출구(613)와 외기 출구(623)는, 상기 내기 입구(611)와 외기 입구(621)에 대향되게 위치됨으로써, 내기와 외기가 상기 가상의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면서 건식 열교환된다.
상기 댐퍼(700)는,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700)이,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온도(Ti)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To)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폐한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흡열면(810) 및 발열면(820)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흡열면(810)이 상기 제1유로(610) 상에 노출되고 상기 발열면(820)이 상기 제2유로(620) 상에 노출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열면(810)은,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와 접촉하여 흡열에 의하여 내기를 냉각하고, 상기 발열면(820)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외기와 접촉하여 발열에 의하여 외기를 가열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건식 열교환되기 전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를 그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각각 냉각 및 가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대적으로 상기 내기 입구(611)와 외기 입구(621)에 인접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전소자부(800)이, 상기 내기 온도(Ti) 및 상기 외기 온도(To)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하여 흡열 및 발열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에 따라서 상기 댐퍼(700)에 의한 상기 보조 흡기구(113)의 개폐 및 상기 열전소자부(800)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한 흡열 및 발열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700)이,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ΔT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 이상인 경우에만, 외기가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ΔT2)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의 냉각과 가열을 위하여 흡열 및 발열한다. 따라서,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2기준 온도차(ΔT2)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건식 열교환전에 냉각 및 가열된다.
이때,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 내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백연의 발생이 우려될 정도의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로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뇌부로 배출되는 내기 중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되는 백연의 발생 가능성이 낮으므로, 백연의 발생을 방지 또는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서의 내기 및 외기 사이의 열교환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큰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내기의 상대습도가 증가에 따른 수분의 응축으로 백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내기의 온도를 저감시켜서 그 내부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가 10℃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10℃ 이상인 경우에, 상기 댐퍼(700)이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서의 내기 및 외기의 건식 열교환에 의하여 내기의 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내기에 포함된 수분이 미리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준 온도차(ΔT2)는, 내기와 외기의 열교환에 의한 내기의 온도 저하 및 이에 따른 내기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만으로는 백연의 발생이 방지 또는 저감이 불가능할 정도의 내기 온도(Ti) 및 및 외기 온도(To)의 차로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당한 경우에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서 외기와의 건식 열교환에 의하여 온도가 저감되어 수분이 응축된 상태로 내기가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내기 온도(Ti)의 저하값이 상당하므로, 내기에 잔존하는 수분이 응축되어 백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에 의하여 내기가 냉각되어 내기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외기가 내기와 열교환됨으로써, 내기의 온도를 증가시켜서 내기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기준 온도차(ΔT2)가 15℃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15℃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에 의하여 내기가 냉각되어 내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된 후,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외기와의 건식 열교환에 의하여 내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제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백연 저감 냉각탑의 모드별 보인 운전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송풍부(300)가 동작하면,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급수부(200)에 의하여 냉각수가 급수된다.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급수부(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와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열교환된 후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즉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제1기준 온도차(ΔT1), 예를 들면, 10℃ 미만인 경우에는, 내기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백연의 발생이 우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댐퍼(700)에 의하여 보조 흡기구(113)가 차폐되므로,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는, 외기와의 건식 열교환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제1기준 온도차(ΔT1), 즉 1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의 온도 저하에 의하여 이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에 따른 백연의 발생이 우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댐퍼(700)이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방하여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외기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와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는, 건식 열교환부(600),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유동하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건식 열교환된다. 따라서 내기의 온도 저하에 의하여 내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됨으로써,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중의 수분의 응축에 따른 백연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제2기준 온도차(ΔT2), 즉 15℃ 이상인 경우에는, 외기와의 열교환, 즉 내기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만으로는, 백연의 발생을 방지 또는 저감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열전소자부(800)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의 냉각 및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외기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에 의하여 응축되어 제거된 후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큰 경우에도, 보다 효율적으로 백연의 발생을 방지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싱 111: 주 흡기구
113: 보조 흡기구 120: 배기구
200: 급수부 300: 송풍부
400: 습식 열교환부 500: 집수조
600: 건식 열교환부 610: 제1유로
620: 제2유로 700: 댐퍼
800: 열전소자부

Claims (17)

  1.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111)와 보조 흡기구(113)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2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1)와 보조 흡기구(113) 및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3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4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5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의 냉각을 위하여 흡열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발열하는 열전소자부(800); 를 포함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유동되는 제1유로(610)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620)를 포함하는 건식 열교환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외기는,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냉각 및 가열된 후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열교환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그 종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로(610)(620)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되며,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내기 입구(611)와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 입구(621), 및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유로(6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출구(613)와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한 후 상기 제2유로(6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출구(623)는, 각각 수직 방향의 가상의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4개의 면 중 어느 일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기 출구(613)와 외기 출구(623)는, 상기 내기 입구(611)와 외기 입구(621)에 대향되도록 상기 내기 입구(611)와 외기 입구(621)의 상방에 위치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제1유로(610)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와 접촉하여 흡열에 의하여 이를 냉각하는 흡열면(810); 및
    상기 제2유로(620) 상에 노출되고,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는 외기와 접촉하여 발열에 의하여 이를 가열하는 발열면(820); 을 포함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폐하는 댐퍼(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700)과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온도(Ti)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To)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폐하거나 흡열 및 발열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700)는,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ΔT1)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방하고,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ΔT2)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의 냉각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흡열 및 발열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는, 상기 제2기준 온도차(ΔT2)에 비하여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9.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111)와 보조 흡기구(113)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2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1)와 보조 흡기구(113) 및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3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4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500);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와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건식 열교환되는 건식 열교환부(600);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폐하는 댐퍼(700);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 설치되고,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내기의 냉각 및 외기의 가열을 위하여 흡열 및 발열하는 열전소자부(800); 를 포함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온도(Ti)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To)의 차에 따라서 동작하는 상기 댐퍼(700)에 의하여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에 따라서 외기가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유동하고,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에 따라서 동작하는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선택적으로 냉각 및 가열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부(800)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내기와 외기의 건식 열교환전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내기와 접촉하여 흡열에 의하여 이를 냉각하는 흡열면(810);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내기와 외기의 건식 열교환전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외기와 접촉하여 발열에 의하여 이를 가열하는 발열면(820); 을 포함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ΔT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댐퍼(700)이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차폐하여 내기만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댐퍼(700)이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개방하여 내기 및 외기가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건식 열교환되며,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 초과의 온도로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ΔT2)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열전소자부(800)의 흡열 및 발열에 의하여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가 건식 열교환전에 냉각 및 가열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그 종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되고, 내기 및 외가가 각각 유동되는 제1 및 제2유로(610)(620)를 포함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3. 제 12 항에 있어서,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내기 입구(611)와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기 입구(621)는, 각각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4개의 면 중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면에 형성되고,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한 후 상기 제1유로(6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 출구(613)와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한 후 상기 제2유로(6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출구(623)는, 각각 상기 내기 입구(611)와 외기 입구(621)에 대향되도록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4개의 면 중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면에 형성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5.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111)와 보조 흡기구(113),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200);
    상기 주 흡기구(111) 및 보조 흡기구(113)와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3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4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5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면서 건식 열교환되는 건식 열교환부(600);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와 접촉되는 흡열면(810)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와 접촉되는 발열면(820)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부(800); 를 포함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열교환된 내기의 온도(Ti)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ΔT1) 미만인 경우에는, 내기만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고,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 이상인 경우에는, 내기 및 외기가 각각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열교환되며,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 초과의 온도로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ΔT2)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내기가 상기 흡열면(810)의 흡열에 의하여 냉각되어 내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된 후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유동하는 외기가 상기 발열면(820)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내기와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내기 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제거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6.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111)와 보조 흡기구(113),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200);
    상기 주 흡기구(111) 및 보조 흡기구(113)와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3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와 상기 급수부(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습식 열교환부(4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5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되는 제1유로(610)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수직 방향의 가상의 축에 대하여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방향과 대칭되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되는 제2유로(620)를 포함하는 건식 열교환부(600); 및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로(610) 상에 노출되는 흡열면(810) 및 상기 제2유로(620) 상에 노출되는 발열면(820)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부(800); 를 포함하고,
    내기는, 상기 습식 열교환부(400)에서 열교환된 내기의 온도(Ti) 및 상기 보조 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 온도(To)의 차와 무관하게,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고,
    외기는,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기설정된 제1기준 온도차(ΔT1)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는 내기와 열교환되며,
    상기 내기 온도(Ti) 및 외기 온도(To)의 차가 상기 제1기준 온도차(ΔT1) 초과의 온도로 기설정된 제2기준 온도차(ΔT2) 이상인 경우에는, 내기가 상기 제1유로(610)를 유동하면서 상기 흡열면(810)의 흡열에 의하여 냉각되어 이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되고, 외기가 상기 제2유로(620)를 유동하면서 상기 발열면(820)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를 매개로 내기와 열교환됨으로써 내기가 가열되어 이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제거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열교환부(600)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는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180059870A 2018-05-25 2018-05-25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5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70A KR102058573B1 (ko) 2018-05-25 2018-05-25 백연 저감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70A KR102058573B1 (ko) 2018-05-25 2018-05-25 백연 저감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51A KR20190134351A (ko) 2019-12-04
KR102058573B1 true KR102058573B1 (ko) 2019-12-23

Family

ID=6900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70A KR102058573B1 (ko) 2018-05-25 2018-05-25 백연 저감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304B1 (ko) * 2020-02-17 2021-06-08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CN113325890B (zh) * 2021-04-29 2022-09-13 四川凯德源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式换热功能的加氢气机换热控制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688B1 (ko) 2003-04-28 2005-04-14 구희만 냉각탑용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51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4377B (zh) Dehumidifier
CN110486983B (zh) 一种可控温半导体防潮除湿装置
KR101949984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250050B1 (ko) 냉각유체의 증발냉각 장치 및 방법
JPH0857194A (ja) 除湿型電気衣類乾燥機
KR102058573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TW200912083A (en) Clothes dryer
TWI618898B (zh) Dehumidifier
KR2015006987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1672876B1 (ko) 응축기를 이용한 백연감소 냉각탑
TWM627662U (zh) 移動式空調機
CN107435228A (zh) 干衣机
KR20160074734A (ko) 건공기 유로를 구비한 백연저감 냉각탑
JP2016169916A (ja) 冷却ユニット
KR20160088596A (ko) 폐열회수 열교환기를 장착한 하이브리드 냉각탑
JP7308386B2 (ja) 除湿装置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2217509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70685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7379B1 (ko) 대향류형 냉각탑
WO2016047196A1 (ja) 乾燥機
TWM522328U (zh) 製冷裝置
KR200315236Y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JP2006112706A (ja) 除湿空気の供給ダクト装置
KR101343424B1 (ko) 재생증발식 냉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