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379B1 - 대향류형 냉각탑 - Google Patents

대향류형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79B1
KR102247379B1 KR1020190167841A KR20190167841A KR102247379B1 KR 102247379 B1 KR102247379 B1 KR 102247379B1 KR 1020190167841 A KR1020190167841 A KR 1020190167841A KR 20190167841 A KR20190167841 A KR 20190167841A KR 102247379 B1 KR102247379 B1 KR 10224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port
unit
sucke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19016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03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outlet ducts for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의 일 양태는, 주 흡기구, 제1보조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 유닛; 상기 주 흡기구 및 제1보조 흡기구를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흡입된 후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하여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상기 급수 유닛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닛;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 유닛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 유닛; 및 상기 배기구 및 급수 유닛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대향류형 냉각탑{COUNTER FLOW TYPE OF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대향류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은, 냉각수, 예를 들면, 공조 장치 또는 냉동기, 즉 냉동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응축에 사용된 냉각수를 공기와 접촉시켜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기 위하여, 냉각수를 공기 중으로 분사하거나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한다. 그런데, 냉각수와 열교된 후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대습도가 증가된 상태이다. 따라서, 특히, 동절기의 경우에는, 낮은 기온으로 인하여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백연이 발생한다.
한편, 냉각탑의 동작시 발생하는 백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를 냉각탑의 내부로 흡입된 상대적으로 건조한 외기와 혼합시켜서 그 상대습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저온의 외기와 접촉되더라도 백연이 발생하는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외기의 효율적인 혼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충분하게 양자를 혼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인 백연 저감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일본 등록특허 제3631286호(명칭: 냉각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냉각탑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대향류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의 일 양태는, 주 흡기구, 제1보조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 유닛; 상기 주 흡기구 및 제1보조 흡기구를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흡입된 후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하여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상기 급수 유닛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닛;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 유닛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 유닛; 및 상기 배기구 및 급수 유닛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는 제2유로; 가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면서 기설정된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면서,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면서 형성하는 나선류와 대향되도록 기설정된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 개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한 후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배출 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 개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한 후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배출 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 및 제1배출 개구는, 상하로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 개구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2배출 개구는, 상기 제1배출 개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 및 제1보조 흡기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 유닛; 상기 주 흡기구 및 제1보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상기 급수 유닛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닛;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 유닛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 유닛; 및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배기구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면서 혼합되도록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가 그 내부에 정의되는 가이드 박스; 상기 제1유로 상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유로 상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면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제2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가이드 박스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 방향로 정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를 제외한 상기 가이드 박스의 내부 나머지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 박스의 저면에는,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의 내부로 흡입되는 제1흡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박스의 상면에는, 상기 주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 박스의 측면에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의 내부로 흡입되는 제2흡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박스의 상면에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흡입 개구 및 제1배출 개구는, 상기 배기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의 저면 및 상면 일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배출 개구는, 상기 가이드 박스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 개구는, 상기 제1배출 개구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박스의 상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 박스는, 상기 제2흡입 개구가 상기 제1보조 흡기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구 및 급수 유닛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 상에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 상에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양태들은,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에 의하여 안내된 후 서로 혼합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양태들은,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제2보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 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가열 유닛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와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에서는, 에어 가이드 유닛에 의하여 케이싱의 내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즉 습기와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즉 건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 가이드 유닛에 의하여 습기와 건기의 유동이 서로 반대방향, 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나선류로 유동되도록 안내됨으로써, 양자의 혼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실외 온도나 상대습도 등과 같이 백연 현상의 발생과 관련된 인자에 따라서 습기와 건기가 형성하는 나선류의 각도를 조절하여 양자의 혼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습기와 건기의 효율적인 혼합, 나아가 백연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 습기와 건기의 혼합 정도의 제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에서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1)은, 케이싱(100), 급수 유닛(200), 송풍 유닛(300), 열교환 유닛(400), 집수 유닛(500) 및 에어 가이드 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냉각탑(1)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닛(200)은, 열교환 대상이 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 유닛(30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입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 유닛(400)은, 상기 급수 유닛(200)에 의하여 급수되는 냉각수와 상기 송풍 유닛(3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집수 유닛(500)은, 상기 열교환 유닛(40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10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 및 배기구(120)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주 흡기구(111)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는, 상기 주 흡기구(111)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에는, 제2보조 흡기구(112B)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보조 흡기구(112B)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으로,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 및 배기구(12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제1 및 제2댐퍼(131)(13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댐퍼(131)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댐퍼(132)는 상기 제2보조 흡기구(112B)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댐퍼(131)(132)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케이싱(100)의 외기의 온도차나 상대 습도차 등과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백연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댐퍼(130)는, 동절기에만 상기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를 개방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 유닛(200)은, 상기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 유닛(200)이, 급수 파이프(210) 및 다수개의 급수 노즐(22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 파이프(210)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 노즐(220)은 상기 급수 파이프(210)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열교환 유닛(400)을 향하여 분사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파이프(210)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 유닛(300)은, 송풍 팬(310) 및 송풍 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 팬(3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상기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송풍 팬(310)으로는, 예를 들면,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터(320)는 상기 송풍 팬(3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열교환 유닛(40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주 흡기구(111) 및 급수 파이프(2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유닛(400)에서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상기 열교환 유닛(400)의 표면 또는 다수개의 상기 열교환 유닛(400)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상기 급수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하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서로 접촉되어 열교환된다.
상기 집수 유닛(500)에는, 상기 열교환 유닛(400)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된다. 상기 집수 유닛(500)은, 상기 주 흡기구(11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은,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각각의 유동이 안내됨으로써,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은, 상기 배기구(120) 및 급수 유닛(2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은,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이, 가이드 박스(610)와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박스(610)는, 중공의 납작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가, 상기 케이싱(100)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테두리면이 상기 케이싱(100)의 내면에 접촉된다. 물론,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 및 저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판재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테두리면이 상기 케이싱(100)의 내면에 의하여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유로(600P)(602P)가 정의된다. 상기 제1유로(601P)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고, 상기 제2유로(602P)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다. 상기 제1유로(601P)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 중앙에 의하여 상하 방향로 정의된다. 상기 제2유로(602P)는, 상기 제1유로(601P)를 제외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 나머지에 의하여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에어 베리어(611)(612)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가 상기 제1 및 제2유로(600P)(602P)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횡단면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제1에어 베리어(611)가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에어 베리어(611)의 내부에 상기 제1유로(601P)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횡단면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제2에어 베리어(612)가 상기 제1에어 베리어(611)를 둘러싸도록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테두리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에어 베리어(611)(612) 사이에 상기 제2유로(602P)가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로(601P)의 내부에는, 지지 칼럼(613)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 칼럼(613)은, 상기 제1블레이드(621)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유로(601P)의 중앙부에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저면 및 상면에는, 제1흡입 개구(611A) 및 제1배출 개구(61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 개구(611A) 및 제1배출 개구(611B)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흡입 개구(611A) 및 제1배출 개구(611B)가, 상기 배기구(1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저면 및 상면 중앙부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측면 및 상면에는, 제2흡입 개구(612A) 및 제2배출 개구(612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흡입 개구(612A) 및 제2배출 개구(612B)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흡입 개구(612A)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가 상기 배기구(120) 및 급수 유닛(2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 개구(612B)는, 상기 제1배출 개구(611B)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2흡입 개구(612A) 및 제2배출 개구(612B)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측면 및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흡입 개구(612A)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테두리면 전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제2흡입 개구(612A)의 테두리면 중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와 연통되는 일부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출 개구(612B)는, 상기 제1배출 개구(611B)가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블레이드(621)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하면서 기설정된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621)는, 상기 제1유로(601P) 상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에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블레이드(621)가, 도 2에서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하면서 도면상 시계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블레이드(621)는, 그 양단이 상기 제1에어 베리어(611)의 일면 및 상기 지지 칼럼(613)의 외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블레이드(622)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를 유동하면서 기설정된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블레이드(622)는, 상기 제2유로(602P) 상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에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다만, 상기 제2블레이드(622)는, 상기 제1블레이드(621)에 의하여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하면서 형성하는 나선류와 반대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제2블레이드(622)는, 도 2에서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를 유동하면서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블레이드(622)는, 그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및 제2에어 베리어(611)(612)의 일면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600P)(602P) 상에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에 의하여 안내되어 형성되는 나선류의 궤적을 조절하여,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혼합되는 시간, 즉 혼합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예각 기준)에 비례하여 수직 방향의 시간당 변위가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증감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잔존하는 시간이 증가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서의 백연의 발생 확률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혼합되는 정도를 제어하고, 이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백연 현상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 즉 실외의 상대습도가 높거나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및 실외의 온도 차가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백연의 발생 확률이 증가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분 제거 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은,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안내된 후 서로 혼합되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은,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상방,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의 내부와 충돌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가열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닛(800)은, 상기 제2보조 흡기구(11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가열 유닛(80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와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열 유닛(800)은, 상기 제2보조 흡기구(112B) 상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에서 냉각수와 공기의 열교환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유닛(300)이 동작, 실질적으로 송풍 팬(210)이 회전하면,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 유닛(400)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급수 유닛(200), 실질적으로 급수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와 접촉하여 열교환된 후 배기구(13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 유닛(300)이 동작하면,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혼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서로 대향되는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된 후 서로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는, 제1흡입 개구(611A)를 통하여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내부, 즉 제1유로(601P)로 흡입된 후 제1배출 개구(611B)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601P)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하면서, 제1블레이드(621)에 의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나선류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2흡입 개구(612A)를 통하여 제2유로(602P)로 흡입된 후 제2배출 개구(612B)를 통하여 상기 제2유로(602P)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유로(602P)를 유동하면서, 제2블레이드(622)에 의하여 기설정된 방향, 즉,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와 반대 방향의 나선류로 안내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백연 현상의 발생과 관련된 인자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되거나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백연의 발생 확률이나 정도에 따라서 백연 현상의 발생의 감소와 냉각 효율의 확보를 조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상대습도가 증가된 공기와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상대적으로 건조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서로 반대되는 나선 방향으로 안내된 후 혼합됨으로써, 상대습도가 저하된 상태로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의 온도가 매우 낮은 동절기의 경우에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온도가 증가된 공기가,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와 혼합됨으로써, 그 내부의 수분이 응결되어 제거된 상태로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발생되는 백연 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안내된 후 혼합된 공기는, 수분 제거 유닛(70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 유닛(300)이 동작하면, 제2보조 흡기구(112B)를 통해서도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조 흡기구(11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가열 유닛(800)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안내된 후 혼합된 공기, 실질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와 2차적으로 혼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에 의한 추가적인 수분의 제거 및 상기 가열 유닛(80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와의 2차적인 혼합에 의하여,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백연 현상을 발생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2)에서는, 주 흡기구(111)와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가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만 형성된다. 예를 들면, 2개의 상기 케이싱(100)이 각각의 일면이 서로 접촉 또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100)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만 상기 주 흡기구(111)와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에어 가이드 유닛(600), 실질적으로 각각 제1 및 제2유로(600P)(602P)를 유동하면서 나선류를 형성함으로써, 양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100)이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서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만 상기 주 흡기구(111)와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 및 제2보조 흡기구(112A)(11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됨으로써, 종국적으로 백연 현상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향류형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길이에 비례하여 제1 및 제2유로(601P)(602P)의 상하 길이도 상대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박스(610)의 양측면 하단에 제2흡입 개구(612A)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흡입 개구(612A)를 통하여 제1보조 흡기구(112A)가 상기 제2유로(602P)의 하부와 연통된다. 또한, 제2블레이드(622)는, 상기 제2유로(602P)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의 하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제2블레이드(622)에 의하여 고르게 안내되도록 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싱 111: 주 흡기구
112A: 제1보조 흡기구 112B: 제2보조 흡기구
120: 배기구 131: 제1댐퍼
132: 제2댐퍼 200: 급수 유닛
300: 송풍 유닛 400: 열교환 유닛
500: 집수조 600: 에어 가이드 유닛
600P: 제1유로 602P: 제2유로
610: 가이드 박스 611: 제1에어 베리어
611A: 제1흡입 개구 611B: 제1배출 개구
612: 제2에어 베리어 612A: 제2흡입 개구
612B: 제2배출 개구 613: 지지 칼럼
621: 제1블레이드 622: 제2블레이드
700: 수분 제거 유닛 800: 가열 유닛

Claims (18)

  1. 주 흡기구(111), 제1보조 흡기구(112A) 및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 유닛(200);
    상기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를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흡입된 후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3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 유닛(300)에 의하여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상기 급수 유닛(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열교환되는 열교환 유닛(400);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 유닛(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 유닛(500); 및
    상기 배기구(120) 및 급수 유닛(2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유닛(300)이 동작하면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직접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송풍 유닛(300)이 동작하면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직접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600); 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하면서 기설정된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되는 제1유로(601P); 및
    상기 제1유로(601P)와 구획되고,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하면서 형성하는 나선류와 대향되도록 기설정된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되는 제2유로(602P); 가 정의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 개구(611A)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한 후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배출 개구(611B)를 통하여 배출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 개구(612A)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제2유로(602P)를 유동한 후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배출 개구(612B)를 통하여 배출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 개구(611A) 및 제1배출 개구(611B)는, 상하로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구(120)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흡입 개구(612A)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와 연통되며,
    상기 제2배출 개구(612B)는, 상기 제1배출 개구(611B)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7. 공기가 흡입되는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급수하는 급수 유닛(200);
    상기 주 흡기구(111) 및 제1보조 흡기구(112A)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 유닛(3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상기 급수 유닛(200)에서 급수된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닛(400);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열교환 유닛(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 유닛(500); 및
    상기 송풍 유닛(300)이 동작하면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직접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 및 상기 송풍 유닛(300)이 동작하면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직접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배기구(120)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면서 유동되면서 혼합되도록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유닛(600); 을 포함하는 대향류형 냉각탑.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은,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유로(601P) 및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2유로(602P)가 그 내부에 정의되는 가이드 박스(610);
    상기 제1유로(601P) 상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를 유동하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제1블레이드(621); 및
    상기 제2유로(602P) 상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를 유동하면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의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제2블레이드(622); 를 포함하는 대향류형 냉각탑.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601P)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 방향로 정의되고,
    상기 제2유로(602P)는, 상기 제1유로(601P)를 제외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내부 나머지에 정의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저면에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의 내부로 흡입되는 제1흡입 개구(61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에는, 상기 주 흡기구(111)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601P)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 개구(611B)가 형성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측면에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의 내부로 흡입되는 제2흡입 개구(612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로(602P)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 개구(612B)가 형성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 개구(611A) 및 제1배출 개구(611B)는, 상기 배기구(1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저면 및 상면 일측에 배치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 개구(611B)는,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배출 개구(612B)는, 상기 제1배출 개구(611B)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박스(610)의 상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박스(610)는, 상기 제2흡입 개구(612A)가 상기 제1보조 흡기구(112A)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구(120) 및 급수 유닛(2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600P)(602P) 상에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블레이드(621)(622)는, 상기 제1 및 제2유로(600P)(602P) 상에 수평면에 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17.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유닛(600)에 의하여 안내된 후 서로 혼합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유닛(700)을 더 포함하는 대향류형 냉각탑.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에 형성되는 제2보조 흡기구(112B)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 제거 유닛(70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가열 유닛(80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와 혼합된 후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대향류형 냉각탑.
KR1020190167841A 2019-12-16 2019-12-16 대향류형 냉각탑 KR10224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41A KR102247379B1 (ko) 2019-12-16 2019-12-16 대향류형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41A KR102247379B1 (ko) 2019-12-16 2019-12-16 대향류형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379B1 true KR102247379B1 (ko) 2021-05-03

Family

ID=7591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841A KR102247379B1 (ko) 2019-12-16 2019-12-16 대향류형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6040A (zh) * 2021-12-14 2022-03-11 重庆大学 一种用于冷却塔的降温节能装置和湿式冷却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93A (ja) * 1981-10-12 1983-04-13 Nippon Spindle Mfg Co Ltd 冷却塔における白煙の発生防止装置
JPS631286A (ja) 1986-06-20 1988-01-06 Victor Co Of Japan Ltd 立体画像用めがねの信号方式
KR20140096709A (ko) * 2013-01-29 2014-08-06 김기훈 자동차의 배기유속증가장치
KR20140136331A (ko) *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KR20160133733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KR20190089322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오티티 배기부에 외기 흡입부가 형성된 백연 방지 냉각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93A (ja) * 1981-10-12 1983-04-13 Nippon Spindle Mfg Co Ltd 冷却塔における白煙の発生防止装置
JPS631286A (ja) 1986-06-20 1988-01-06 Victor Co Of Japan Ltd 立体画像用めがねの信号方式
KR20140096709A (ko) * 2013-01-29 2014-08-06 김기훈 자동차의 배기유속증가장치
KR20140136331A (ko) *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KR20160133733A (ko) * 2015-05-13 2016-11-23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KR20190089322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오티티 배기부에 외기 흡입부가 형성된 백연 방지 냉각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6040A (zh) * 2021-12-14 2022-03-11 重庆大学 一种用于冷却塔的降温节能装置和湿式冷却塔
CN114166040B (zh) * 2021-12-14 2023-09-22 重庆大学 一种用于冷却塔的降温节能装置和湿式冷却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984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20110047622A (ko) 백연방지 냉각탑
JP2004191033A (ja) 空気調和機
CN101225981B (zh) 落地式空调机
KR20110047623A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냉각탑
KR20140053048A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고효율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KR102247379B1 (ko) 대향류형 냉각탑
CN101625143B (zh) 多功能换气扇
KR101483195B1 (ko) 냉각탑
CN101225982A (zh) 落地式空调机
KR101483200B1 (ko) 냉각탑
KR20160133733A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2058573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645960B1 (ko) 냉각탑 및 냉각 시스템
KR102217509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504261B1 (ko) 지하 공간용 환기 장치를 이용하는 냉각탑 및 열교환 시스템
KR101862556B1 (ko)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2304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CN103884049A (zh) 除湿装置
KR20160062511A (ko)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1173B1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향류형 냉각탑
KR10236462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217511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20210098017A (ko) 공기조화기
CN103727590A (zh) 立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