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557Y1 - 숯불용 고기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용 고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557Y1
KR200318557Y1 KR20-2003-0008856U KR20030008856U KR200318557Y1 KR 200318557 Y1 KR200318557 Y1 KR 200318557Y1 KR 20030008856 U KR20030008856 U KR 20030008856U KR 200318557 Y1 KR200318557 Y1 KR 200318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harcoal
meat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진
Original Assignee
구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성진 filed Critical 구성진
Priority to KR20-2003-0008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용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숯이 수용된 화로의 상단에 그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받침이 설치되어 상기 화로와 상기 화로의 상부에 안착되는 석쇠를 이격시켜 고기구이를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받침의 유통구 및 배기구를 통해 배출됨과 더불어 상기 화로의 중앙부에 위치된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상기 석쇠 상에 올려진 고기들에 의해 차단되면서 상기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 전체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용 고기구이기{A DEVICE OF MEET ROAST}
본 고안은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불을 이용하여 석쇠 위에 올려진 고기를 굽도록 된 숯불용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열원의 차이로 인해 상기 구워지는 고기의 육질 등이 차이를 나타내게 되며, 이에 따라 업소에서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렌지나 가스버너의 열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 판매하는 것에 비해 숯을 태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 판매하는 것의 호감도가 높은 편이다.
여기서, 상기 숯불을 이용한 고기구이는 숯이 수용된 화로를 식탁 등에 설치하고, 이 화로의 상단에 상기 숯의 열기 또는 숯불이 고기에 닿도록 판의 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된 석쇠를 올려놓고, 이 석쇠에 고기를 올려놓아 상기 숯의 열기 또는 숯불을 이용해 굽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숯은 불완전 탄화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재 가열 또는 재 연소되면서 연기가 발생되고, 또 상기 숯에 상기 고기의 기름이나 이물질 등이 떨어져 함께 연소되면서 연기가 발생되며, 상기 숯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상기 숯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균등치 못하게 되면서 상기 숯의 연소불꽃이 소멸된 부분에서 연기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는 상기 숯의 연기발생으로 인해 숯을 이용해 구워진 고기의 선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업소나, 가정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상기 숯의 연기 발생을 저감시키도록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었으며, 종래에 숯을 화로에 담아 연소시키고, 이 화로의 상단에 구워질 고기를 올려놓을 석쇠를 놓고, 이 석쇠의 상부에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배연통로를 설치하여 상기 석쇠의 상부로 올라오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상기 석쇠의 상부로 올라오는 연기가 상기 석쇠와 배연통로의 사이공간에서 비산된 후에 일부 연기만이 상기 배연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주변의 사용자 등에게 연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는 것이 개선되지 못했었다.
또한, 종래에 상기 석쇠의 상부로 올라오는 연기를 상기 연기 발생부와 근접된 위치에서 배연하여 주변 사용자에게 상기 연기가 미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모색되었는 바, 이는 상기 석쇠의 상부에 배연통로를 근접하도록 설치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 자체에 배연설비를 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상기 고기구이기 자체에 배연설비를 한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과, 내통(20)과, 화로(30)와, 덮개(40)로 구성된 고기구이기로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상기 외통(10)은 통상의 업소에 마련된 밥상의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삽입됨과 더불어 그 상단이 표출되도록 그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외통(10)은 그 중앙부 하단에 흡기조절구(11)가 형성되고, 그 일측 외주면에 배기관(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기조절구(11)는 상기 외통(10)의 중앙 하단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면을 일부 덮어 막거나, 열어 상기 개구면을통한 공기의 유통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관(12)은 상기 외통(10)의 일측 외주면에서 외부로 관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외통(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배기관(12)은 상기 업소의 밥상에 설치된 외통(10)으로부터 상기 업소의 외부로 연통되는 배기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외통(10)내의 연기를 업소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통(20)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외통(10)의 형상과 유사한 그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외통(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내통(20)은 그 중앙부 하단에 흡기관(21)이 형성되고, 그 상단 주연부에 화로턱(22)과, 석쇠턱(23)이 형성된다.
상기 흡기관(21)은 상기 내통(20)의 중앙부 하단에서 상기 내통(20)의 내측부로 관형상을 이루고 관통되어 돌출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화로턱(22)은 상기 내통(20)의 상단 주연부가 단차져 형성되어 후술하는 화로(30)의 상단 주연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석쇠턱(23)은 상기 화로턱(22)의 상부에 또 다른 단차부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석쇠(50)의 외주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화로(30)는 숯을 수용하도록 그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주연부가 상기 화로턱(22)에 걸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화로(30)는 그 중앙부 하단에 상기 흡기조절구(11) 및 흡기관(21)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가 내부로 유통되도록 다수부에서 개구된 흡기구(31)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40)는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직경차이로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상단을 덮어 막도록 상기 외통(10)의 상단에서 상기 내통(20)의 상단에 이르도록 환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덮개(40)는 외통(10)의 높이에 비해 작은 높이로 형성된 내통(20)과 상기 외통(10)에 이르도록 상기 외통(10)의 상단에서 상기 내통(20)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환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20)의 상단에 이른 덮개(40)의 내측 끝단에서 상기 높이 차를 이루는 내통(20)의 상단에 이르도록 직각을 이루고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40)에 상기 석쇠(50)의 상부로 올라오는 연기를 상기 외통(10)의 배기관(12)방향으로 배기시키도록 배기구(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41)는 상기 덮개(40)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면의 다수지점에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41)의 형상이 원통 또는 슬릿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를 할 경우, 상기 외통(10)의 중앙하단에 형성된 흡기조절구(11)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개방시키고, 이 개방된 흡기조절구(11)를 통해 상기 외통(10)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이 흡기조절구(11)를 통해 유통된 공기가 상기 흡기조절구(11)와 접해 관통된 흡기관(21)을 통해화로(30)의 하단에 개구된 흡기구(31)로 유통되고, 상기 흡기구(31)로 유통된 공기가 상기 화로(30)의 내부로 유통되어 상기 화로(30)의 내부에 수용된 숯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숯을 연소시키게 된다.
상기 숯이 연소되면서 열과 숯불이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발생되고, 상기 화로(30)의 상단에 안착된 석쇠(50) 및 석쇠(50)의 상단에 안착된 고기(60)에 열과 숯불을 전하게 된다.
상기 숯불 및 열에 의해 고기(60)가 구워지게 되고, 상기 고기(60)가 구워지면서 고기(60)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숯에 떨어지거나 불연소된 숯의 일부가 연소되면서 연기가 발생되고, 이 발생된 연기가 상기 숯에서 상기 석쇠(50)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석쇠(50)의 상부로 유동된다.
상기 석쇠(50)의 상부로 유동된 연기가 상기 석쇠(50)의 외부에 접해 개구된 배기구(41)를 통해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사이공간으로 유동되고,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사이공간으로 유동된 연기가 상기 외통(10)의 일측에 개구된 배기관(12) 및 배기관(12)에 연결된 배기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구조에 따른 고기구이기는 석쇠(50)의 상부로 유동되는 연기 중에서 상기 석쇠(50)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연기의 일부가 상기 배기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함과 더불어, 상기 숯불 및 열의 상승효과에 의해 함께 상승되면서 상기 고기구이기의 주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상기 연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 상기 석쇠(50)에 올려진 고기(60)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고기기름이 상기 석쇠(50)의 하단에 접해 있는 숯불에 떨어져 상기 기름이 숯불에 접해 형성되는 화염이 발생되고, 이 화염으로 인해 상기 고기(60)에 그을음이 생기거나 과도하게 구워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석쇠(50)에 접한 사용자의 손 등에 화상을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상기 숯이 석쇠(50)의 하단에 접해 있음으로 인해 상기 석쇠(50) 상에 올려진 고기(6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석쇠(50) 상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화로(30)의 상부에 수용된 숯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지만, 상기 석쇠(50) 상에 올려진 고기(60)가 지속적으로 뒤적여진다거나 외부로 빼내어지도록 됨에 따라 상기 고기(60) 사이의 공간이 급변하게 되고, 이 급변되는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량이 변화되면서 상기 숯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변화되고, 이 공급 공기의 양이 변화되면서 상기 숯의 연소정도가 변화되어 상기 숯불 또는 열의 양이 가변되면서 상기 고기(60)가 구워지도록 되어 상기 고기(60)의 균일한 구이가 불가능하게 됨은 물론, 상기 고기(60)가 구워지는 시간이 변화되어 사용자의 고기구이가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석쇠의 상부로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석쇠의 하부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연기가 보다 완벽하게 배출되도록 된 숯불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숯에 고기 기름이 떨어져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석쇠의 상부에 이르지 않도록 되어 상기 고기구이가 보다 용이함과 더불어 고기의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된 숯불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석쇠와 화로의 사이에 소정폭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고기의 사이공간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화로의 상부에 수용된 숯에 동일한 양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균일한 숯불 및 열에 의한 고기구이가 가능하도록 된 숯불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기 및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 또는 기름 등이 배기구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1차로 정화되어 배기되도록 되어 배기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숯불구이용 고기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고기구이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고기구이기의 분리·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고기구이기의 단면도,
도 4는 종래구조로서 도 1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통 11 - 흡기조절구
12 - 배기관 20 - 내통
21 - 흡기관 22 - 화로턱
23 - 석쇠턱 30 - 화로
31 - 흡기구 40 - 덮개
41 - 배기구 50 - 석쇠
60 - 고기 70 - 받침
71 - 유통구 72 - 단차부
73 - 마감부 74 - 지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숯불용 고기구이기는, 덮개에 형성된 배기구의 하단에 접해 화로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의 상단에 접해 석쇠가 설치되도록 상기 화로의 상단에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석쇠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받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은 상기 화로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그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배기구 높이 또는 상기 내통의 상단과 외통의 상단이 이루는 높이의 차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고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의 전체 면에 걸쳐 상기 배기구의 형상과 유사한 유통구가 다수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일측 외주면에 배기관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이격되고 상기 외통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의 상단을 갖는 내통과, 상기 외통의 상단에서 내통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의 상단에 이르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 전체에 다수개의 배기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내통의 상단에 안착됨과 더불어 숯이 수용되는 화로와, 상기 화로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 구워질 고기가 올려지는 석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숯불용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화로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상기 석쇠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석쇠를 화로에서 이격시키도록 상기 화로의 상단에서 덮개의 상단면 높이에 이르는 높이를 이루고 상기 화로의 상단형상에 따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 전체에 걸쳐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유통구가 개구된 받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받침이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공을 통과하는 숯과 고기에서 발생된 연기를 1차로 정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4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기의 각 구성품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외통(10)과, 내통(20)과, 화로(30)와, 덮개(40)와, 석쇠(50)와, 고기(60) 및 받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통(10)은 상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관형상을 이룬 배기관(12)이 상기 외통(10)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외통(10)은 그 중앙부 하단에 원형으로 개구된 개구와, 이 개구의 개구면을 조작에 의해 조절하도록 된 흡기조절구(11)가 형성된다.
상기 내통(20)은 상기 외통(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외통(1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이루고 형성되며 그 상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내통(20)은 그 중앙부 하단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흡기조절구(11)와 연통된 원형 관형상의 흡기관(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20)은 후술하는 화로(30)의 상단 주연부가 안착되도록 그 상단 주연부가 내측으로 단차져 형성된 화로턱(22)이 구비된다.
또, 상기 화로턱(22)의 상부에 상기 화로턱(22)으로부터 재차 단차를 이루고 석쇠턱(23)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로(30)는 숯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상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 주연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로(30)의 주연부가 상기 내통(20)의 화로턱(22)에 걸쳐 안착되도록 되고, 그 하단 중앙부에 다수개의 개구로 형성된 흡기구(31)가 형성되어 상기 화로(30)에 수용된 숯에 상기 화로(30)의 하부에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40)는 상기 외통(10)의 상단에서 상기 내통(20)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환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20)의 상단부에서 상기 내통(20)의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덮개(40)의 상기 내통(20)의 상단부에서 상기 내통(20)의 상단에 이르도록 절곡된 면에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관통·개구된 배기구(41)가 상기 절곡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면에 형성된 배기구(4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석쇠(50)는 통상의 숯을 이용한 고기구이에 사용되는 원형의 고리에 다수개의 철사가 단일방향으로 배열되어 다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한 것이나, 상기 원형의 고리에 격자 형상의 철사가 체결되어 다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한 것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70)은 상기 화로(30)의 상단에서 상기 석쇠(50)의 하단에 이르는 높이를 이루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받침(70)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됨은 물론, 고기구이기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통형상 또는 삼각 통형상 등 그 내부가 관통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내통(20)의 화로턱(22)에 걸쳐진 화로(30)의 상단에서 상기 덮개(40)의 상단면에 이르도록 배기구(41)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받침(70)은 배기구(41)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받침(70)은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유통구(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70)은 본 실시예에서 1000℃의 내열온도를 갖는 세라믹(CERAMICS)으로 구성됨은 물론, 그 외주면에 상기 배기구(41)의 형상과 유사한 직사각형 형상의 유통구(71)가 다수개 개구된 철 재질 또는 니켈과 크롬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강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받침(70)은 백금 등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전자기적으로 끌어당겨 정화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받침(70)에서 1차로 정화된 연기가 상기 배기관(12)에서 2차로 정화되도록 상기 배기관(4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판형상을 이룬 상기 세라믹재질의 세라믹판을 더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받침(70)은 상기 화로(30)의 상단은 물론, 상기 석쇠턱(23)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그 직경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석쇠(50)에 올려지는 고기(60)의 양에 따라 상기 화로(30)에 수용된 숯에 올려지는 정도의 직경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숯불용 고기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 및 상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의 내부에 내통(20)을 삽입하여 상기 내통(20)의 하단면이 상기 외통(10)의 하단 내측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외통(10)의 하단에 개구된 흡기조절구(11)와 상기 내통(20)의 하단에 형성된 흡기관(21)이 상호 연통되도록 된다.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내통(20)이 삽입되어 상기 외통(10)의 상단과 상기 내통(20)의 상단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10)의 상단에 덮개(4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외통(10)의 상단에 덮개(40)가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덮개(40)의 수직 절곡면이 상기 내통(20)의 상단에 형성된 화로턱(22) 또는 석쇠턱(23)의 끝단에 접하도록 상기 덮개(4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40)가 설치된 후에 상기 내통(20)의 화로턱(22)에 화로(30)의 주연부가 걸쳐지도록 상기 화로(30)를 상기 내통(20)에 삽입한다.
상기 화로(30)가 내통(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화로(30)의 상단 또는 상기 석쇠턱(23)의 상단에 상기 받침(70)을 올려놓는다.
상기 석쇠턱(23)의 상단에 받침(70)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70)의 상단에 구워질 고기(60)가 올려진 석쇠(50)를 올려놓아 상기 고기(60)의 구이를 이룬다.
이때, 상기 받침(70)의 하단은 상기 석쇠턱(23)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석쇠턱(23)의 상단에 그 하단이 지지된 받침(70)의 상단에 상기 석쇠(5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통(10)의 흡기조절구(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외통(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기조절구(11)에 연통된 흡기관(21)을 통해 상기 내통(20)에 안착된 화로(30)의 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화로(30)의 방향으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화로(30)의 하단에 개구된 흡기구(31)를 통해 상기 화로(30)의 내부로 유통된다.
상기 화로(30)의 내부로 유통된 외부공기가 상기 화로(30)의 내부에 수용된 숯에 공급되면서 상기 숯을 연소시킨다.
상기 숯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 및 숯불이 상기 화로(3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유동되고,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유동된 숯불 및 열이 상기 석쇠턱(23)의 상단에 안착된 받침(70)의 내부 통로를 통해 상기 받침(70)에 의해 지지된 석쇠(50)에 이르면서 상기 석쇠(50)의 상단에 올려진 고기(60)가 구워진다.
이때,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유동된 열 및 숯불은 상기 통형상의 받침(70) 내부를 통해 상부로 유동되며, 상기 화로(30)의 외주변에서 발생되는 열 및 숯불이 상기 배기구(41)로 유동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받침(70)의 내주면에 의해 차단된다.
또, 상기 화로(30)의 외주부에 위치된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받침(70)에 형성된 유통구(71)를 통해 상기 배기구(41)의 방향으로 배기되고, 이 배기구(41)로 유동된 연기가 상기 배기구(41)를 통해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사이공간으로 유동되며,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사이공간으로 유동된 연기가 상기 외통(10)의 일측 외주에 형성된 배기관(12)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상기 화로(30)의 중앙부에 수용된 숯에서 발생된 연기는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유동되고, 이 화로(30)의 상부로 유동된 연기가 상기 화로(30)의 상단에 안착된 받침(7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석쇠(50)의 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석쇠(50)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연기는 상기 석쇠(50)에 올려진 고기(60)들에 의해 차단되면서 상기 배기구(41)의 배기력에 의해 상기 석쇠(50)의 중앙부에서 상기 석쇠(50)의 하단 외주부로 유동된다.
상기 석쇠(50)의 하단 외주부로 유동된 연기가 상기 받침(70)에 형성된 유통구(71)를 통해 상기 받침(70)의 외부로 유동되고, 상기 받침(70)의 외부로 유통된 연기가 상기 배기구(41)를 통해 상기 외통(10)의 배기관(12)으로 유동되어 배기된다.
또, 상기 고기(60)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포함한 연소 연기나 상기 고기(60)에서 비산된 기름 등이 상기 석쇠(50)의 하부에서 상기 배기구(41)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유동되고, 상기 받침(70)에 접해 상기 받침(70)에 형성된 다수의 유통구(71)를 통해 유통되면서 상기 고열로 가열된 세라믹 재질의 유통구(71)내에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증발 또는 걸러져 상기 고기(60)를 굽는 과정에서 생성된 연기가 1차로 정화되어 상기 배기구(41) 및 배기관(12)을 통해 배기된다.
또한, 상기 석쇠(50)의 상부에 올려진 고기(60)들의 사이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석쇠(50)와 화로(30) 및 받침(70)이 이루는 소정의 공간에 수용되고, 이 수용된 공기가 상기 화로(30)의 상부에 수용된 숯에 공급되면서 상기 화로(30) 상부에 수용된 숯에 대한 지속적인 공기공급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고기(60)들의 사이공간으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석쇠(50)와 화로(30) 및 받침(70)이 이루는 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화로(30)의 상부에 수용된 숯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상기 석쇠(50)에 올려져 상기 숯에 의해 구워지는 고기(60)에서 기름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기름이 상기 숯에 떨어져 발생되는 화염은 상기 화로(30)의 상단에서 상기 석쇠(50)의 하단에 이르는 정도에서 그쳐 상기 석쇠(50)의 상부로 화염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받침(70)은 상기 화로(30)에 수용된 숯에서 발생되는 열 및 숯불을 상기 석쇠(50)의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이룬다.
또, 상기 받침(70)에 의해 화로(30)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숯에 의한 열기 및 숯 자체 성분의 증기 등으로 인해 상기 석쇠(50)에 올려진 고기가 훈증되도록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상단에 단차부(72)와, 마감부(73)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지지부(7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부(72)는 상기 받침(70)의 상단부가 상기 받침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고, 이 확장된 끝단에서 상기 받침(70)의 외주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받침(70)의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받침(70)에 대해 단차를 이루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72)는 그 상단이 상기 덮개(40)의 상단높이와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상부로 뻗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감부(73)는 상기 단차부(72)의 상단에서 상기 덮개(40)의 방향으로 상기 단차부(72)의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됨과 더불어 상기 덮개(40)의 상단에 이르도록 확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74)는 상기 받침(70)의 하단이 상기 받침(70)의 외주면에서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받침(70)의 외측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70)을 화로(30)의 상단 또는 내통(20)의 상단 주연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받침(7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지지부(74)가 상기 화로(30)의 상단 주연부나 화로(30)내의 숯 또는 상기 내통(20)의 상단 석쇠턱(23)에 면착되면서 상기 받침(70)이 지지되어 안착된다.
상기 내통(20)의 상부에 받침(70)이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받침(7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마감부(73)의 끝단이 상기 덮개(40)의 상단에 밀착되거나, 상기 덮개(40)의 상단 일부에 겹쳐져 안착된다.
상기 받침(70)이 내통(2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4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석쇠(50)가 상기 받침(70)의 상부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석쇠(50)의 직경에 따라 상기 석쇠(50)의 외주부가 상기 받침(70)의 단차부(72)에 안착되어 지지되거나, 상기 마감부(73)의 일부에 걸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석쇠(50)는 상기 받침(70)에 의해 상기 화로(30)의 상부로 소정폭 이격된 위치에서 설치되어 석쇠(50)의 상단에 올려진 고기(60)가 구워지고, 상기 고기(60)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연기 및 기름이 상기 화로(30)와 석쇠(50)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덮개(40)의 배기구(41)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배기구(41)방향으로 유동되는 연기 및 기름이 상기 받침(70)의 유통구(71)를 통해 유통되면서 정화되고, 상기 받침(70)에 의해 정화된 연기가 상기 배기구(4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받침(70)을 통해 유통된 연기가 상기 받침(70)의 외주면과 덮개(40)의 배기구(4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덮개(40)의 방향으로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상기 받침(70)의 상단에서 상기 덮개(40)의 상단에 이르도록 확장되어 형성된 마감부(73)에 의해 차단되며 상기 배기구(41)로 배기·유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숯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석쇠의 상부로 유출되거나, 상기 석쇠의 중앙 상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숯과 고기가 올려진 석쇠가 소정 폭 이격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고기기름이 숯에 떨어져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숯에서 석쇠에까지 이르지 않게 되어 상기 고기의 균일한 구이 및 상기 석쇠 상에서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화상 등의 손상을 입히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화로의 상부에 수용된 숯에 지속적으로 균일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화로 상부에 수용된 숯에서 발생되는 열 및 숯불이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화로와 석쇠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숯의 열기 및 숯 성분의 증기가 소정시간 충진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석쇠 상의 고기가 훈증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받침의 유통구를 통해 유통되면서 정화되어 배기되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 외주면에 배기관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이격되고 상기 외통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의 상단을 갖는 내통과, 상기 외통의 상단에서 내통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의 상단에 이르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 전체에 다수개의 배기구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내통의 상단에 안착됨과 더불어 숯이 수용되는 화로와, 상기 화로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 구워질 고기가 올려지는 석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숯불용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상기 석쇠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석쇠를 화로에서 이격시키도록 상기 내통의 상단에서 덮개의 상단면 높이에 이르는 높이를 이루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 전체에 걸쳐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유통구가 개구된 받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용 고기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은 그 전체면에 결쳐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정화작용을 이루며, 내열성을 갖는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용 고기구이기.
KR20-2003-0008856U 2003-03-25 2003-03-25 숯불용 고기구이기 KR200318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56U KR200318557Y1 (ko) 2003-03-25 2003-03-25 숯불용 고기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56U KR200318557Y1 (ko) 2003-03-25 2003-03-25 숯불용 고기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557Y1 true KR200318557Y1 (ko) 2003-06-28

Family

ID=4941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856U KR200318557Y1 (ko) 2003-03-25 2003-03-25 숯불용 고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5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28A1 (ko) * 2012-08-16 2014-02-20 Han Dong Seok 훈연 배기 장치
KR101522028B1 (ko) * 2013-06-26 2015-05-21 한동석 훈연 배기 장치
KR101637899B1 (ko) * 2015-05-15 2016-07-08 주식회사 도담세빛 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28A1 (ko) * 2012-08-16 2014-02-20 Han Dong Seok 훈연 배기 장치
KR101522028B1 (ko) * 2013-06-26 2015-05-21 한동석 훈연 배기 장치
KR101637899B1 (ko) * 2015-05-15 2016-07-08 주식회사 도담세빛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1424A1 (en) High efficiency wind resistant kettle grill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3688758A (en) Gas fired barbecue kettle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200318557Y1 (ko) 숯불용 고기구이기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102206126B1 (ko) 화로 회전식 원심 탈지 직화구이장치
KR101756006B1 (ko) 숯불구이기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1996013B1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JP3351513B2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輻射加熱器具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JP2000083833A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均一加熱器具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KR200152938Y1 (ko) 구이기의 하우징 착탈장치
KR102485840B1 (ko) 다기능 난로 겸용 화덕
KR102352014B1 (ko)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21502Y1 (ko) 정화장치가 구비된 공기 순환식 숯불 구이기
KR101938531B1 (ko) 구이판
JP2908289B2 (ja) 調理器
KR200321552Y1 (ko) 숯불용 고기구이기
KR200263598Y1 (ko) 조리용 구이장치
KR200232658Y1 (ko)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