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996Y1 -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996Y1
KR200315996Y1 KR20-2003-0008314U KR20030008314U KR200315996Y1 KR 200315996 Y1 KR200315996 Y1 KR 200315996Y1 KR 20030008314 U KR20030008314 U KR 20030008314U KR 200315996 Y1 KR200315996 Y1 KR 200315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tight
nozzle carrier
telescope
watertight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삼
Original Assignee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8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텔레스코프 하우징(10)에 승/하강 작동되도록 결합되는 노즐 캐리어(20)와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단부에 하부 수밀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하부 경계지점에는 상부 수밀부재(30)가 설치되어,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강 작동시 상,하부 수밀부재(30,40)가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노즐 캐리어(20)의 하강 작동시 상,하부 수밀부재(30,40)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에 설치되는 중간 수밀부재(50)에 의해 상,하부 수밀부재(30,40) 사이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상부에 안착홈(39)과 오조립 방지돌기(38)를 형성함으로써, 노즐 캐리어(20)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watertight structure of telescope for a headlamp washing device}
본 고안은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램프 세척장치의 텔레스코프 하우징과 노즐 캐리어에 각각 설치되어 텔레스코프 하우징과 노즐 캐리어용 피스톤 사이로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램프 세척장치는 세척수를 압송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연결된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차량의 범퍼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이 설치된 노즐 캐리어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텔레스코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텔레스코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프 하우징(1)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2)과, 상기 피스톤(2)에 설치되는 노즐 캐리어(3)와, 상기 노즐 캐리어(3)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즐(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노즐(4)은 노즐 캐리어(3)에 안착된 상태에서 승/하강 작동하여 세척액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텔레스코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과 피스톤(2)이 단순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텔레스코프 하우징(1)과 피스톤(2) 사이의 틈 또는 피스톤(2)과 노즐 캐리어(3)의 하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노즐 캐리어(3)의 승/하강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텔레스코프 하우징과 노즐 캐리어 사이, 또는 하우징과 피스톤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 사시도.
도 3a,3b,3c는 도 2에 도시된 수밀구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텔레스코프 하우징 20 : 노즐 캐리어
30 : 상부 수밀부재 32 : 삽입부
34 : 밀착부 35 : 관통공
36 : 끼움돌기 37 : 제 2밀착돌기
38 : 오조립 방지돌기 39 : 안착홈
40 : 하부 수밀부재 42 : 밀착공
44 : 제 1밀착돌기 46 : 끼움홈
50 : 중간 수밀부재 52 : 주름부
60 : 클램프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텔레스코프 하우징에 승/하강 작동되도록 결합되는 노즐 캐리어와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의 상단부에 하부 수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캐리어의 상,하부 경계지점에는 상부 수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노즐 캐리어의 하강 작동시 상,하부 수밀부재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제 1,2실시예는 상,하부 수밀부재가 서로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제 3실시예는 상,하부 수밀부재 사이를 중간 수밀부재로 커버하여 원천적으로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밀구조는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과 노즐 캐리어 사이에서 상,하부 수밀부재가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3b,3c는 도 2에 도시된 수밀구조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한 수밀구조는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부 수밀부재(40)와,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에 승,하강 작동되도록 결합되는 노즐 캐리어(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수밀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수밀부재(40)는 중앙에 중심측으로 경사진 밀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공(42)의 입구 가장자리에 링 형상의 제 1밀착돌기(44)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하부 수밀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밀착공(42)보다 큰 내경을 갖는 설치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밀부재(30)는 상기 밀착공(42)에 삽입되기 위한 원통형의 삽입부(32)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의 상부에는 삽입부(32)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그 저면에 상기 제 1밀착돌기(44)가 밀착되는 밀착부(34)가 단이지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관통공(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5)의 입구측 내주연에는 제 2밀착돌기(37)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밀착돌기(37)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캐리어(20)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지점 외주면에 변형되면서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 2밀착돌기(37)는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관통공(35) 내경과 노즐 캐리어(20)의 외주면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부가 상기 관통공(35)에 억지 끼움되도록 상기 관통공(35)의 내경을 노즐 캐리어(20)의 하부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작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상부 수밀부재(30)가 노즐 캐리어(2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상부 수밀부재(30)와 노즐 캐리어(20) 사이의 수밀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상면에는 안착홈(39)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밀착부(34) 상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안착홈(39)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안착홈(39)은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부 저면(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형성됨)이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부 저면이 안착홈(39)에 안착되면,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부 저면과 안착홈(39)이 긴밀하게 면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 캐리어(20)가 안착홈(39)에 안착되면, 노즐 캐리어(20)와 상부 수밀부재(30)가 일체화되는 효과를 갖게 되어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중이 상부 수밀부재(30)에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삽입부(32)는 밀착공(42)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 1밀착돌기(44)도 상기 밀착부(34)의 저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착부(34)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돌기(3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오조립 방지돌기(38)는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조립방향을 제시하여 노즐 캐리어(20)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즉, 상기 오조립 방지돌기(38)가 형성된 방향으로 노즐이 위치하도록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조립방향을 제시하고, 상기 노즐 캐리어(20)가 도 3c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을 때 노즐 캐리어(20)와 밀착부(34) 상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거나 노즐 캐리어(20)가 불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오조립을 인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 수밀부재(30)는 그 관통공(35)으로 상기 노즐 캐리어(20) 하부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호 결합된다. 즉, 상기 안착홈(39)에 노즐 캐리어(20)의 상부 저면이 안착될 때까지 상기 관통공(35)으로 노즐 캐리어(20)의 하부를 삽입시킴으로써 상부 수밀부재(30)는 노즐 캐리어(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수밀부재(40)는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수밀부재(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 수밀부재(30)가 노즐 캐리어(20)에 결합시키되, 상기 오조립 방지돌기(38)를 참고하여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부 저면이 상기 안착홈(39)에 안착되도록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부를 관통공(35)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노즐 캐리어(20)에 설치되는 노즐의 분사 방향이 오조립 방지돌기(38)를 향하도록 한다. 즉, 도 3c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캐리어(20)의 설치방향이 안착홈(39)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되, 상기 노즐의 분사 방향이 오조립 방지돌기(38)를 향하도록 하여, 노즐 캐리어(2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상부 수밀부재(30)가 노즐 캐리어(20)에 결합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에는 하부 수밀부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 캐리어(20)가 승/하강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는 서로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 노즐 캐리어(20)가 상승 작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는 이격되고, 노즐 캐리어(20)가 하강 작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는 긴밀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노즐 캐리어(20)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작동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32)가 상기 밀착공(42)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밀착공(42)이 중심측으로 경사지게(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32)의 끝단부는 상기 밀착공(42)으로 삽입될 수록 더욱 긴밀하게 밀착공(42)의 내주연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2)가 밀착공(42)으로 삽입되면, 상기 하부 수밀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 1밀착돌기(44)가 상기 밀착부(34)의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의 사이는 밀착부(34)의 저면에 변형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 1밀착돌기(44)에 의해서 1차적으로 수밀이 유지되고, 상기 삽입부(32)가 밀착공(42)으로 삽입됨으로 인하여 2차적으로 수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 캐리어(20)와 상부 수밀부재(30) 사이는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관통공(35)으로 노즐 캐리어(20)의 하부가 끼워질 때, 상기 관통공(35)에 형성된 제 2밀착돌기(37)가 변형되면서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부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강시 상기 삽입부(32)가 테이퍼진 밀착공(42)으로 삽입되면서 그 내주연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제 1밀착돌기(44)가 상기 밀착부(34)의 저면에 밀착됨으로,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 사이 및 상부 수밀부재(30)와 노즐 캐리어(20) 사이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첨부되 도면중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밀구조는 상기 하부 수밀부재(40)의 상면에는 링 형상의 끼움홈(46)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밀착부(34) 저면에는 상기 각 끼움홈(46)에 끼워지기 위한 다수개의 끼움돌기(3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강 작동시 상기 삽입부(32)가 밀착공(42)에 삽입되어 긴밀하게 밀착됨은 물론, 다수개의 끼움돌기(36)가 각각의 끼움홈(46)에 삽입되어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상,하부 수밀부재(30,40)의 수밀상태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36)와 끼움홈(46)의 형성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수밀구조는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와 하부 수밀부재(40)를 중간 수밀부재(50)가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중간 수밀부재(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주름부(52)가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중간 수밀부재(5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수밀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에 주름부(52)를 구비한 중간 수밀부재(5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 사이가 중간 수밀부재(5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승/하강 작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중간 수밀부재(50)의 주름부(52)가 펼쳐지고 접혀지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상면에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안착홈(39)과 오조립 방지돌기(38)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5)의 내부에는 제 2밀착돌기(37)가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 캐리어(20)의 오조립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노즐 캐리어(20)와 상부 수밀부재(3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한편, 상기 중간 수밀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하단부가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와 별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수밀부재(50)가 상,하부 수밀부재(30,4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 수밀부재(50)의 상단부의 내부에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와 끼워진 상태에서 클램프(60)로 결합되고, 하단부의 내부로 하부 수밀부재(40)가 끼워진 상태에서 클램프(60)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에 주름부(52)를 갖는 중간 수밀부재(50)가 설치되므로 물 또는 이물질이 텔레스코프 하우징(10)과 노즐 캐리어(20)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는 노즐 캐리어와 텔레스코프 하우징 사이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 캐리어에는 상부 수밀부재를 설치하고, 텔레스코프 하우징에는 하부 수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노즐 캐리어의 하강 작동시 상,하부 수밀부재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에 주름부를 구비한 중간 수밀부재를 설치하여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수밀부재의 상부에 안착홈과 오조립 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노즐 캐리어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텔레스코프 하우징(10)에 승/하강 작동되도록 결합되는 노즐 캐리어(20)와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단부에 하부 수밀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하부 경계지점에는 상부 수밀부재(30)가 설치되어,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하강 작동시 상,하부 수밀부재(30,40)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밀부재(40)의 상면 중앙에는 중심측으로 경사진 밀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공(42)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링 형상의 제 1밀착돌기(4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밀착공(42)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의 상부에는 상기 제 1밀착돌기(44)가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34)가 상기 삽입부(3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35)의 입구측 내주연에는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위한 링 형상의 제 2밀착돌기(3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밀부재(40)의 상면 중앙에는 중심측으로 경사진 밀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공(42)의 주변에는 링 형상의 끼움홈(46)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밀착공(42)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부(32)보다 큰 직경의 밀착부(34)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34)의 저면에는 상기 각 끼움홈(46)에 끼워지기 위한 다수개의 끼움돌기(3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밀부재(30)의 상면에는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부 저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9)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오조립 방지돌기(3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5. 텔레스코프 하우징(10)에 승/하강 작동되도록 결합되는 노즐 캐리어(20)와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 사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텔레스코프 하우징(10)의 상단부에 하부 수밀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 캐리어(20)의 상,하부 경계지점에는 상부 수밀부재(30)가 설치되며,
    접힘/펼침이 가능하도록 주름부(52)가 형성된 중간 수밀부재(50)의 상부는상기 상부 수밀부재(30)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 수밀부재(4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밀부재(50)의 상,하부는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수밀부재(50)는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와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수밀부재(50)의 상,하부가 상기 상,하부 수밀부재(30,40)에 클램프(6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KR20-2003-0008314U 2003-03-20 2003-03-20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KR200315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14U KR200315996Y1 (ko) 2003-03-20 2003-03-20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14U KR200315996Y1 (ko) 2003-03-20 2003-03-20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996Y1 true KR200315996Y1 (ko) 2003-06-18

Family

ID=4940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14U KR200315996Y1 (ko) 2003-03-20 2003-03-20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9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952B1 (ko) 2008-12-19 2011-08-04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헤드램프 클리너
KR20240025310A (ko) * 2022-08-18 2024-02-27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용 노즐 일체형 후방카메라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952B1 (ko) 2008-12-19 2011-08-04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헤드램프 클리너
KR20240025310A (ko) * 2022-08-18 2024-02-27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용 노즐 일체형 후방카메라 장치
KR102659312B1 (ko) * 2022-08-18 2024-04-19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용 노즐 일체형 후방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276B2 (en) Cleaning device of vehicle lamp
US20060113404A1 (en) Cleaning device for vehicle lamp
US20050121539A1 (en) Vehicle lamp washing device
KR20010049300A (ko) 통기성 캡과, 그것을 포함하는 옥외용 램프, 자동차용램프 및 자동차용 전장 부품
KR200204744Y1 (ko) 유제 공급 펌프의 방수구조
SE506697C2 (sv) Strålkastartvätt med en avstängningsventil införlivad i en kolv
US20200197961A1 (en) Flow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water outlet device
KR200315996Y1 (ko) 헤드램프 세척장치용 텔레스코프의 수밀구조
ES2275150T3 (es) Dispositivo de conexion extremo para un cable de mando, con sistema para asegurar un montaje correcto.
JP2961483B2 (ja) ヘッドランプウォッシャー
JP3927432B2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装置
JP4662348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JP4172710B2 (ja) 車輌用照明灯の洗浄装置
KR101094800B1 (ko) 드레인 밸브
JP2001059578A (ja) 簡易交換型逆止弁及び該逆止弁を用いた止水栓
KR101888534B1 (ko) 노즐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JP2017537271A (ja) 排液コネクタ
JP4731890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JP4731891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US20110100756A1 (en) Oil Drain Connector Structure for Marine Filter
JP2006056366A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KR100343382B1 (ko) 샤워헤드의 역류방지 밸브
KR100276819B1 (ko)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의 누유방지 구조
JP4128522B2 (ja) 車輌用照明灯の洗浄装置
JPH11269959A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