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256Y1 -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256Y1
KR200314256Y1 KR20-2003-0005692U KR20030005692U KR200314256Y1 KR 200314256 Y1 KR200314256 Y1 KR 200314256Y1 KR 20030005692 U KR20030005692 U KR 20030005692U KR 200314256 Y1 KR200314256 Y1 KR 200314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ain
sub
inline
inline sk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5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륜에 부륜이 설치되어 고속주행시 급정지 및 방향전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수개의 주륜이 일렬로 정렬되어 프레임에 축상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상측으로 신발이 부착된 공지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주륜 외주에 부착되어 상기 축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부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를 착용하고 고속 주행시 숙련도에 관계없이 급정지나 방향전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어 초보자로 하여금 인라인 스케이트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키 등과 같은 운동경기 등에도 다양하게 접목시킬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having slave wheel}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륜에 부륜이 설치되어 고속 주행시 급정지 및 방향전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는 스키 부츠에 바퀴가 일렬로 장착되어 평지를 활주하는 레저 스포츠용 스케이트로서, 스키 부츠에 3∼5개의 특수 폴리우레탄 바퀴를 연결시켜 스케이트와 스키 기능을 한데 모은 것으로, 날(blades) 대신 바퀴가 달린 것을 제외하고는 스케이트와 기본적으로 구조가 비슷하다. 인라인의 종류에 따라 운동용·크로스트레이닝용·경주용·길거리용·하키용·비포장도로용·크로스컨트리용·피겨용 등이 있는데, 신발·늑재·바퀴 등이 조금씩 다른 형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인라인스케이트 제작사 "K2"의 인라인스케이트 모델명을 그대로 인용하여 롤러블레이드(rollerblade)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인라인 스케이트는 인라인의 종류와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평지에서 시속 50km의 속도를 내면서 타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감속과 정지가 쉽고 부드럽게 이루져야하는 것은 매우 필수적인 것이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라인스케이트 대부분은 감속과 정지를 위해 프레임 후방에 장착된 브레이크(BRAKE)를 이용하여 앞발을 들어 브레이크가 지면에 닿도록 하거나, 양발을 진행 방향으로 "八" 자로 만들거나, 한쪽발을 다른쪽 발 뒤에 "T"로 놓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위와같은 방법은 모두가 저속일 때 가능하며 아무리 숙련자라 할지라도 급정지를 하거나 하키경기 등과 같은 순간적인 방향 전환시에는 관성력을 이기지 못하고 넘어지거나 자유로운 조절이 어렵게 되는 등의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라인스케이트의 고속 주행시 숙련도에 관계없이 급정지나 방향전환이 원할하게 되어 초보자로 하여금 인라인 스케이트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하키 등과 같은 운동경기 등에도 다양하게 접목시킬 수 있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분해시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륜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주륜을 나타낸 분해시시도,
도 5 a 는 도 3 의 "A"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 b 는 도 3 의 주륜에 형성된 부륜조임부의 조임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 a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6 b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7 은 도 6 b 의 "B"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륜 20,20'; 프레임
30; 축 40; 신발
50; 부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주륜이 일렬로 정렬되어 프레임에 축상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상측으로 신발이 부착된 공지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주륜 외주에 부착되어 상기 축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부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주륜이 한쌍으로 연동되도록 주륜의 일면에 구동기어를 설치하고인접된 구동기어 간에 연동기어를 치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주륜은 중앙부에 축공이 형성되고 외주에 부륜의 힌지축이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륜축받침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부륜을 조일 수 있도록 부륜축받침을 조절하는 부륜조임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분해시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1)는 원호상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90°)를 두고 적어도 둘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부륜(50)을 주륜(10)의 외주로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다수개의 주륜(10)을 일렬로 정렬되도록 프레임(20,20')에 축(30)상 결합하고, 프레임 (20,20') 상측으로 신발(40)을 부착한다. 한편, 각각의 주륜(10)이 한쌍으로 연동되도록 주륜(10)의 일면에 구동기어(60)를 설치하고 인접된 구동기어(60) 간에 연동기어(70)를 치합한다. 한편, 각 부륜(50)간의 공백으로 인한 주행 장애를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주륜(10)은 부륜(50)의 방향을 엇갈리게 하여 설치하되 한 쌍의 주륜(10)중 최소한 하나는 지면에 부륜(50)이 접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주륜(1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주륜을 나타낸 분해시시도이고, 도 5 a 는 도 3 의 "A"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5 b 는 도 3 의 주륜에 형성된 부륜조임부의 조임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륜(10)은 중앙부에 축공(11)을 형성하고 외주는 부륜(50)이 설치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부륜(50)의 힌지축(51)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부륜축받침(52; 본 실시예에서는 네개로 실시됨)을 형성하고, 설치된 부륜(50)의 힌지축(51)을 조일 수 있도록 부륜축받침(52)을 조절하는 부륜조임부(53)를 형성하고 그 곳에 조임나사(54)를 삽입한다. 그리고, 주륜 (10)의 일면에 구동기어(60)를 결합볼트(61)로 설치 고정한다.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A" 부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주륜(10)에 형성된 부륜축받침(52)에 설치되는 부륜(50)의 힌지축(51)이 회전되면서 저항을 갖되 회전 저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조임여유를 두고 설치하며 부륜축받침(52)과 부륜조임부(53)가 연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부륜(50)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홈(55)이 부륜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a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고, 도 6 b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7 은 도 6 b 의 "B"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 a 에서 도시된 것은 주행시 주륜(10)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주륜(10)이 지면에 수직되어 진행되므로 부륜(50)은 회전하지 않고 주륜 (10)과 일체로 회전하여 인라인 스케이트(1; 도 1 참조)의 주행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 b 및 도 7 에서 도시된 것은 부륜(50)이 작동되어 급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키 또는 스케이트(미 도시됨)에서의 급정지시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1; 도 1 참조)를 기울이면서 지면을 밀어 주게되면 주륜(10)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주륜(10)에 설치된 부륜(50)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의 부륜(50)은 부륜조임부(53; 도 4 참조)에 설치된 부륜 조임나사(54)에 의해 조여져 있어 부륜 (50)의 힌지축(51)과 부륜축받침(52) 사이로 '부륜축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회전 저항이 발생되고, 여기에 주륜의 진행방향에 반대로 발생되는 지면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 결국에는 '부륜축마찰력'과 '지면마찰력'으로 인해 급정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종래의 인라인스케이트에서와 같이 급정지시 주행 방향의 관성력을 이기지 못하고 넘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부륜(50)이 회전되면서 마찰 저항을 순차적으로 발생시켜줌으로써 원할한 급정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1) 를 착용하고 고속 주행시 숙련도에 관계없이 급정지나 방향전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어 초보자로 하여금 인라인 스케이트(1)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키 등과 같은 운동경기 등에도 다양하게 접목시킬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다수개의 주륜(10)이 일렬로 정렬되어 프레임(20,20')에 축(30)상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0,20') 상측으로 신발(40)이 부착된 공지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주륜(10) 외주에 부착되어 상기 축(3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부륜(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륜(10)이 한쌍으로 연동되도록 상기 주륜(10)의 일면에 구동기어(60)가 설치되고 인접된 구동기어(60) 간에 연동기어(70)가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륜(10)은 중앙부에 축공(61)이 형성되고 외주에 상기 부륜(50)의 힌지축(51)이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륜축받침(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륜(50)을 조일 수 있도록 상기 부륜축받침(52)을 조절하는 부륜조임부(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륜(5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홈 (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3-0005692U 2003-02-26 2003-02-26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14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692U KR200314256Y1 (ko) 2003-02-26 2003-02-26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692U KR200314256Y1 (ko) 2003-02-26 2003-02-26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256Y1 true KR200314256Y1 (ko) 2003-05-23

Family

ID=4940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692U KR200314256Y1 (ko) 2003-02-26 2003-02-26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2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0203A (en) Tandem wheeled roller skate
US5312165A (en) Combination brake and wheel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s and the like
US5709395A (en) Three wheel roller skate
JP3732156B2 (ja) ローラースケート
KR200314256Y1 (ko)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US5456477A (en) Skate with in-line wheels including an arrangement for sealing the bearings thereof
KR200390293Y1 (ko) 3라인스케이트
KR100275760B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제동장치
JPH10234927A (ja) 左右の靴のスケート用のローラーがそれぞれ一個の、一輪ロ ーラースケート
KR20038155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마찰 조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인라인 스케이트
KR200345631Y1 (ko) 빙상 주행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56270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12194Y1 (ko) 후진차단 역방향 기어가 부착된 인라인스케이트
KR200462951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275301Y1 (ko) 전천후 스키
KR200348069Y1 (ko)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0154370B1 (ko) 엎-다운롤링 롤러스케이트
KR200380559Y1 (ko) 선회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 휠
KR20040599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20130098448A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바퀴
KR10072236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
KR200283045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100626339B1 (ko) 인라인스케이트
KR200339520Y1 (ko) 인라인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