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51Y1 - 롤러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롤러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51Y1
KR200462951Y1 KR2020100011974U KR20100011974U KR200462951Y1 KR 200462951 Y1 KR200462951 Y1 KR 200462951Y1 KR 2020100011974 U KR2020100011974 U KR 2020100011974U KR 20100011974 U KR20100011974 U KR 20100011974U KR 200462951 Y1 KR200462951 Y1 KR 200462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ot
present
frame
sk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752U (ko
Inventor
권보혁
임재언
이영찬
Original Assignee
권보혁
이영찬
임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보혁, 이영찬, 임재언 filed Critical 권보혁
Priority to KR2020100011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5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발을 넣어 신은 상태에서 고정하여 묶을 수 있게 된 부츠와, 상기 부츠의 바닥면에 고정부착되는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설치 브라켓과 회전축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1쌍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의 직경이 부츠의 발등 부분까지 올라오는 크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롤러 스케이트는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의 바닥 좌우측면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와 지지 프레임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의 바닥 좌우측면에 하나씩의 롤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를 타는 도중에 신체의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자유스럽게 롤러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스케이트{A roller skate}
본 고안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착용구의 양쪽 측벽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만 구비된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탈 때 몸의 균형을 잡기가 어렵지만 숙련이 되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고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일반주행용, 묘기용, 경기용, 도로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일반적인 구조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의 발에 신는 부츠와, 그 부츠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부츠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는 부츠의 앞쪽 방향으로 향해서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때 부츠의 길이를 향한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고 스케이트의 설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진행을 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롤러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롤러의 회전 저항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를 내는데 많은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 등록 10-0722369호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라는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롤러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프레임이 부츠의 하단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의 앞쪽 또는 뒤쪽 방향으로만 주행하게 되어 있다는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케이트를 타면서 몸을 좌우로 기울어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과 부츠의 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주행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의 인라인 스케이트 역시 다수개의 롤러가 하나의 프레임에 일직선으로 연결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롤러의 마찰 저항 및 가속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해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없고 단지 주행 방향의 문제만 개선할 수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롤러 스케이트에 따른 주행성능 및 방향제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가속시키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행저항이 적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롤러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롤러 스케이트는, 사람이 발을 넣어 신고 고정하게 되어 있는 부츠의 바닥면 좌우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의 바닥 좌우측면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와 지지 프레임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의 바닥 좌우측면에 하나씩의 롤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이트를 타는 도중에 신체의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자유스럽게 롤러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의 분리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사람의 발을 넣어 신은 상태에서 고정하여 묶을 수 있게 된 부츠(1)와, 상기 부츠(2)의 바닥면에 고정부착되는 프레임(2) 및, 상기 고정 프레임(2)에 대해 회전축(3)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1쌍의 롤러(4)로 구성된다.
상기 부츠(1)는 일반적인 롤러 스케이트에서 사용하는 부츠를 그대로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별다른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부츠(1)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2)은 부츠(1)에 대한 지지력을 튼튼하게 함과 더불어 롤러(4)의 주행 마찰력을 지탱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능한 부츠(1)의 전후 길이면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프레임(2)의 설치 및 고정 방법 역시 일반적인 롤러 스케이트에서의 구조와 동일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는 1쌍의 롤러(4)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고정 프레임(2)에 대해 충분한 설치 강도를 가지게 하기 위해, 도면 3과 도면 4의 배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2)의 아래쪽으로 뻗어 내려온 설치 브라켓(21)에 회전축(3)을 통하여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4)는 그 직경이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구비된 롤러 직경의 2배에 해당하는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 1과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부츠(1)의 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부츠(1)의 좌우측면에 배치되게 하는데, 이 롤러(4)의 크기가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에 설치된 롤러의 크기와는 달리 부츠(1)의 발등 부분까지 올라오는 정도로 크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롤러(4)의 크기가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의 경우에서와 달리 직경이 큰 형태로 되어 있지만, 롤러(4)를 지지하는 회전축(3)이 부츠(1)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를 착용하였을 때 일반 롤러 스케이트를 신었을 때와 지면에 대한 부츠(1)의 높이가 거의 동일 또는 유사하게 되어 별다른 높이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1)의 좌우측면에 각각 하나씩의 롤러(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롤러(4)가 회전하면서 주행할 때 지면과의 마찰력이 여러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와는 상대적으로 현격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주행 저항이 적어지게 되어 가속성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주행감이 미끄러지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되므로 아주 좋아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와 다른 달리 롤러의 직경이 최소한 2개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저항성이 좋아져 주행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속을 할 때도 편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의 좌우측면에 하나씩의 롤러(4)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3)에 대한 롤러(4) 자체의 배치방향을 인위적으로 바꾸지 않아도, 주행중에 몸의 중심만 좌우로 변화시켜 주면 주행방향이 자연스럽게 변화되면서 주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롤러의 배치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별다른 기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4)가 끼워지는 회전축(3)에의 양쪽에는 롤러(4)와 브라켓(21) 사이에 지지 리테이너(31)가 각각 설치되어 롤러(4)의 측면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지탱함과 더불어, 롤러(4)의 이동도 저지해 주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4)를 지면에 대고 밀면서 가속을 하고, 롤러(4)를 측면 방향으로 방향으로 마찰시킴으로써 제동 작동을 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롤러(4)를 사용하여 가속을 하거나 제동을 할 때 롤러(4)에 가해지는 측면 방향의 힘을 상기 리테이너(31)가 잡아 주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부츠의 좌우 면에만 하나씩의 롤러(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양발에 착용하였을 때 초보자인 경우에는 중심을 잡기 힘들 수가 있고 정지하기 위해 브레이크의 동작을 취하기도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도면 2에 점선으로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전방과 후방 또는 전후방에 브레이크(5) 또는 가속판(6)을 선택적으로 부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롤러(4)는 기존의 일반적인 롤러 스케이트와 달리 그 직경이 크기 때문에 지면의 요철, 즉 굴곡에 따른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주행감이 좋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1 - 부츠 2 - 브라켓
3 - 회전축 4 - 롤러
5 - 브레이크 6 - 가속판
21 - 회전축 31 - 리테이너

Claims (2)

  1. 삭제
  2. 사람의 발을 넣어 신은 상태에서 고정하여 묶을 수 있게 된 부츠(1)와, 상기 부츠(2)의 바닥면에 고정부착되는 프레임(2) 및, 상기 고정 프레임(2)에 대해 설치 브라켓(21)과 회전축(3)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1쌍의 롤러(4)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4)의 직경이 부츠(1)의 발등 부분까지 올라오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2)의 전방과 후방 또는 전후방에 브레이크(5) 또는 가속판(6)이 선택적으로 부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4)가 끼워지는 회전축(3)에의 양쪽에는 롤러(4)와 브라켓(21) 사이에 지지 리테이너(31)가 각각 설치되어 롤러(4)의 측면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지탱함과 더불어, 롤러(4)의 이동을 저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KR2020100011974U 2010-11-19 2010-11-19 롤러 스케이트 KR200462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74U KR200462951Y1 (ko) 2010-11-19 2010-11-19 롤러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74U KR200462951Y1 (ko) 2010-11-19 2010-11-19 롤러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52U KR20120003752U (ko) 2012-05-30
KR200462951Y1 true KR200462951Y1 (ko) 2012-10-15

Family

ID=4661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74U KR200462951Y1 (ko) 2010-11-19 2010-11-19 롤러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5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85Y1 (ko) 2002-12-26 2003-03-26 우종원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18073Y1 (ko) 2002-11-19 2003-06-28 구자윤 롤러 스케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073Y1 (ko) 2002-11-19 2003-06-28 구자윤 롤러 스케이트
KR200308285Y1 (ko) 2002-12-26 2003-03-26 우종원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52U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6744A (ko) 롤러 스키
KR200462951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387393Y1 (ko) 스케이트보드
KR20090003996U (ko) 균형이 쉽게 잡히는 에스보드
JPH11502135A (ja) 少なくとも一方の足に用いるためのローラー装置
GB2459004A (en) Side wheel attachment to inline skate
KR20170101640A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CN204815624U (zh) 一种轮滑鞋
KR10072236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
JPH10234927A (ja) 左右の靴のスケート用のローラーがそれぞれ一個の、一輪ロ ーラースケート
KR200392893Y1 (ko) 탄성프레임이 구비된 롤러스케이트
KR20130072403A (ko) 스케이팅 운동기구
KR200356270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55804Y1 (ko) 전천후 롤러 스케이트.
JP2000079190A (ja) ローラスケート靴
KR200314256Y1 (ko)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83045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100626340B1 (ko) 인라인스케이트
CN206715269U (zh) 一种防摔旱冰鞋
RU2667223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и езды на роликовых коньках с одним роликом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CN201030209Y (zh) 一种新型旱冰鞋
KR200330270Y1 (ko) 브레이크장치 겸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JP2004275525A (ja) 歩行補助具
KR200395815Y1 (ko) 지그재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