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15Y1 - 지그재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지그재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15Y1
KR200395815Y1 KR20-2005-0011460U KR20050011460U KR200395815Y1 KR 200395815 Y1 KR200395815 Y1 KR 200395815Y1 KR 20050011460 U KR20050011460 U KR 20050011460U KR 200395815 Y1 KR200395815 Y1 KR 200395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roller bracket
fixing
brake
zigz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이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20-2005-0011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Abstract

본 고안은 스케이트의 바퀴를 평면상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용이토록 함은 물론 한발을 이용하여 주행할 때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지그재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신발 본체의 저면에 3줄의 롤러브라켓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일측 롤러브라켓과 중간 롤러브라켓 사이 또 중간 롤러브라켓과 타측 롤러브라켓의 사이에는 2개 또는 3개의 바퀴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각 바퀴들을 평면상 교호로 배치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하면서 바깥쪽 바퀴가 안쪽의 바퀴보다는 전방에 위치되게 하며, 측면상 앞쪽의 바퀴들과 뒤쪽의 바퀴들 사이를 이격시켜 하부에 마찰용 요홈을 갖는 마찰판을 그 사이에 장착하고, 뒤쪽의 바퀴들 사이는 앞쪽의 바퀴들 사이보다는 좁게 배열하며, 롤러브라켓의 최전방 바퀴 지지부위와 그 후위의 바퀴 지지부위 사이를 분리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편을 마련하여 앞꿈치를 선택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그재그 스케이트{Zigzag skate}
본 고안은 지그재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트의 바퀴를 평면상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용이토록 함은 물론 한발을 이용하여 주행할 때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바퀴를 이용한 스케이트는 바퀴의 설치형태에 따라서 쿼드롤러 스케이트(quad roller skate)와 인라인스케이트(inline skate)로 구분되는데, 쿼드롤러 스케이트는 바퀴들의 면적이 모두 넓고 바퀴와 바퀴 사이가 떨어져 있어 안정감은 있으나 인라인 스케이트에 비해 속도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대부분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겨 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는 바퀴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속도감을 즐길 수는 있으나 그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성이 없고,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의 후위에 설치된 힐브레이크를 통해서만 제동을 제어할 뿐 모든 바퀴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히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초보자의 경우 중심을 잡지 못하고 쉽게 다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원리가 양측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교번으로 지치면서 몸의 중심이 양측의 인라인 스케이트에 교번으로 옮겨지는 것이라 할 때 인라인 스케이트에 적용되는 바퀴는 폭이 좁고 또 일렬로 배열되므로 몸의 중심이 한쪽의 인라인 스케이트로 옮겨질 때 중심을 잡기 어려워 인라인 스케이트를 배우기 매우 어려운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면에 바퀴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여 중심을 잡기 용이토록 하며, 앞쪽의 바퀴들과 뒤쪽의 바퀴들 사이에 마찰용 요홈을 갖는 마찰판을 구비하고 또 앞꿈치가 선택적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묘기를 연출하기 용이토록 하며, 최전방 바퀴의 제동을 선택적으로 제동하는 스토퍼 장치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퀴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지그재그 스케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발목보호대를 좌우방향은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주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하부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브레이크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본체(100)의 저면에는 3줄의 롤러브라켓(101)(102)(103)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 롤러브라켓(101)과 중간 롤러브라켓(102) 사이 또 중간 롤러브라켓(102)과 타측 롤러브라켓(103)의 사이에는 2개 또는 3개의 바퀴(104)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각 바퀴(104)들은 평면상 교호로 배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면서 바깥쪽 바퀴(104)가 안쪽의 바퀴(104)보다는 전방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측면상 앞쪽의 바퀴(104)들과 뒤쪽의 바퀴(104)들 사이가 이격되어 하부에 마찰용 요홈(105a)을 갖는 마찰판(105)이 그 사이에 장착되고, 뒤쪽의 바퀴(104)들 사이는 앞쪽의 바퀴(104)들 사이보다는 좁게 배열되며, 롤러브라켓(101)(102)의 최전방 바퀴 지지부위와 그 후위의 바퀴 지지부위 사이가 분리되고, 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편(106)이 마련되어 앞꿈치를 선택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롤러브라켓(101)의 최전방 바퀴 지지부위 인접부위에는 브레이크 작동홀(107)이 형성되고, 브레이크(108)를 회전가능하게 편심 고정하는 브레이크 고정판(109)이 롤러브라켓(101)의 브레이크 작동홀(107) 앞쪽에 고정되어 브레이크(108)가 브레이크 작동홀(107)에 삽입되게 하며, 중간에는 브레이크(108)의 외주에 끼워지는 브레이크 파지홈(110)이 형성되고 브레이크 파지홈(110)의 위쪽에 3개의 고정홈(111)이 형성된 "ㄱ"자 형상의 탄성 작동판(112)이 브레이크 고정판(109)과 롤러브라켓(101)의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워지며, 탄성 작동판(112)의 상하 위치에 따라 3개의 고정홈(111)에 끼워져 탄성 작동판(112)을 고정하는 볼스토퍼(113)가 롤러브라켓(101)의 탄성 작동판 배면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신발 본체(100)의 상부 좌우에 서로 대응되는 좌/우 발목보호대(114)(115)가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좌/우 발목보호대(114)(115) 중 어느 하나의 전후상하 4개소에는 측방을 향해 4개의 고정띠(116)가 형성되면서 다른 하나에는 각 고정띠(116)를 고정하는 4개의 고정부재(117)가 형성되어 좌/우 발목보호대(114)(115)의 사이를 고정토록 구성되며, 좌/우 발목보호대(114)(115)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도 조정띠(118)가 하방을 향해 각각 형성되고 신발본체(100)의 각도 조정띠 대응위치에는 고정부재(119)가 각각 형성되어 좌/우 발목보호대(114)(115)의 전후 각도를 조정토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작용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그재그 스케이트를 이루는 신발본체(100)를 신고 좌/우 발목보호대(114)(115)를 사용자의 발목부위 양측에 덧댄 후 각 고정띠(116)를 각 고정부재(117)에 긴밀히 고정하여 발목에 밀착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의 스케이트를 교번으로 지치면서 몸의 중심을 양측의 스케이트 위치에 따라 교번으로 옮기게 되면 추진력이 발휘되어 앞으로 나갈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는 저면에 3줄의 롤러브라켓(101)(102)(103)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일측 롤러브라켓(101)과 중간 롤러브라켓(102) 사이 또 중간 롤러브라켓(102)과 타측 롤러브라켓(103)의 사이에는 2개 또는 3개의 바퀴(104)가 교호로 배치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평면상으로 사용자의 몸 안쪽으로 2개 또는 3개의 바퀴(104)가 위치되고 또 바깥쪽으로 2개 또는 3개의 바퀴(104)가 위치되어 각 발의 평형유지가 쉽고 안정성이 있으며, 중심 이동시 흔들이지 않으며, 한발을 이용한 자연스런 주행이 가능해진다.
즉, 이러한 스케이트를 신고 바닥에 섰을 때 스케이트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스케이트를 타면서 몸의 중심이 옮겨져 한쪽 스케이트에 몸의 체중이 실릴 때 중심을 잡기 용이하여 잘 넘어지지 않고 스케이트를 쉽게 배울 수 있는 것이며, 한발만을 이용하여 주행을 할 때 스케이트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아 자연스런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바깥쪽 바퀴(104)가 안쪽의 바퀴(104)보다는 전방에 위치되므로 발을 지칠 때 발목이 회전되면서 바깥쪽에 위치된 최전방 바퀴(104)가 최종적으로 지면을 밀어주게 되므로 추진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신속하고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음은 물론 힘의 소모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코너링 시에는 우측발 안쪽 바퀴(104)와 좌측발 바깥쪽 바퀴(104)를 사용하게 되므로 바퀴(104) 사이의 거리가 짧아 양다리 사이나 지면에 걸림이 줄어 자연스런 동작이 가능하고, 속도의 가감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스케이트의 앞쪽 바퀴(104)들과 뒤쪽 바퀴(104)들 사이가 이격되어 하부에 마찰용 요홈(105a)을 갖는 마찰판(105)이 그 사이에 장착되므로 스케이트를 신고 난간을 타는 묘기 등을 연출하기에 매우 유리하며, 롤러브라켓(101)의 최전방 바퀴 지지부위와 그 후위의 바퀴 지지부위 사이가 분리되고 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편(106)이 마련되므로 고정편(106)이 풀려 있는 경우에는 스케이트의 앞꿈치를 구부릴 수 있어 다양한 자세와 굴절코스의 묘기 등을 쉽게 연출할 수 있으며, 주행시에는 고정편(106)을 볼트-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면 된다.
아울러, 측면상 뒤쪽의 바퀴(104)들 사이는 앞쪽의 바퀴(104)들 사이보다는 좁게 배열되는데, 스케이트를 타는 도중 사용자의 하중은 스케이트의 앞쪽보다는 뒤쪽에 쏠리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뒤쪽의 바퀴(104)들 사이를 좁게 구성할 경우 보다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케이트를 잘 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못타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며, 또한 스케이트를 타지 않고 신은 채 걷는 경우도 있게 되는데, 일반적인 롤러를 갖는 스케이트의 경우 바퀴(104)는 모두 전후방향으로 원활히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스케이트의 숙련도가 낮은 사람의 경우 중심을 잡지 못하고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 숙련자가 아니라면 스케이트를 신고 걷기에도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최전방 바퀴(104)의 측방에 탄성 작동판(112)의 승하강에 따라 브레이크(108)가 편심회전되면서 3단계로 조정되게 하여 최전방 바퀴(104)를 원활히 회전되게 하거나, 후진시 제동되게 하거나, 완전 제동되게 하는 3단 조정방식의 제동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주행시에는 탄성 작동판(112)을 1단에 위치시켜 브레이크(108)와 바퀴의 측면을 완전 이격시켜주게 되고, 숙련도가 떨어지는 초보자의 경우 탄성 작동판(112)을 2단에 위치시켜 브레이크(108)가 마치 래칫과 같이 전진시에는 간섭되지 않고 후진시에는 중력에 의해 바퀴(104)의 측면과 마찰되면서 제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넘어지지 않고 스케이트를 쉽게 배울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며, 계단을 오르거나 화장실을 갈 때 등 스케이트를 신고 걸어야 할 때에는 탄성 작동판(112)을 3단에 위치시켜 브레이크(108)가 바퀴(104)의 측면과 완전히 밀착되어 바퀴(104)의 회전을 막아주는 것이다.
이러한 지그재그 스케이트는 신발본체(100)의 상부 좌우에 서로 대응되는 좌/우 발목보호대(114)(115)가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이들 좌/우 발목보호대(114)(115)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주행시 또는 회전동작시 좌우방향으로는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좌/우 발목보호대(114)(115)의 전후위치에는 각도 조정띠(118)가 하방을 향해 각각 형성되고 신발본체(100)의 각도 조정띠 대응위치에는 고정부재(119)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 자신의 신체 특성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발본체의 바닥부에 평면상 지그재그로 바퀴를 배치한 것이므로 주행시 또는 서있을 때 스케이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각 발의 평형유지가 쉽고 중심이동에 유리해지며, 바퀴의 사이에 마찰판을 구비하거나 앞꿈치가 선택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묘기의 연출이 쉽고, 발목 보호대가 전후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안전한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하부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제동장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앞꿈치를 구부린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재그 스케이트의 제동장치 사용상태도로서,
(a)는 1단시 상태.
(b)는 2단시 상태.
(c)는 3단시 상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발 본체 101,102,103 : 롤러브라켓
104 : 바퀴 105 : 마찰판
105a : 요홈 106 : 고정편
107 : 브레이크 작동홀 108 : 브레이크
109 : 브레이크 고정판 110 : 브레이크 파지홈
111 : 고정홈 112 : 탄성 작동판
113 : 볼스토퍼 114,115 : 발목보호대
116 : 고정띠 117,119 : 고정부재
118 : 각도 조정띠

Claims (3)

  1. 신발 본체(100)의 저면에 3줄의 롤러브라켓(101)(102)(103)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일측 롤러브라켓(101)과 중간 롤러브라켓(102) 사이 또 중간 롤러브라켓(102)과 타측 롤러브라켓(103)의 사이에는 2개 또는 3개의 바퀴(104)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각 바퀴(104)들을 평면상 교호로 배치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하면서 바깥쪽 바퀴(104)가 안쪽의 바퀴(104)보다는 전방에 위치되게 하며, 측면상 앞쪽의 바퀴들(104)과 뒤쪽의 바퀴(104)들 사이를 이격시켜 하부에 마찰용 요홈(105a)을 갖는 마찰판(105)을 그 사이에 장착하고, 뒤쪽의 바퀴(104)들 사이는 앞쪽의 바퀴(104)들 사이보다는 좁게 배열하며, 상기 롤러브라켓(101)의 최전방 바퀴 지지부위와 그 후위의 바퀴 지지부위 사이를 분리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편(106)을 마련하여 앞꿈치를 선택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라켓(101)의 최전방 바퀴 지지부위 인접부위에는 브레이크 작동홀(107)을 형성하고, 브레이크(108)를 회전가능하게 편심 고정하는 브레이크 고정판(109)을 상기 롤러브라켓(101)의 브레이크 작동홀 앞쪽에 고정하여 상기 브레이크(108)가 상기 브레이크 작동홀(107)에 삽입되게 하며, 중간에는 상기 브레이크(108)의 외주에 끼워지는 브레이크 파지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파지홈(110)의 위쪽에 3개의 고정홈(111)이 형성된 "ㄱ"자 형상의 탄성 작동판(112)을 상기 브레이크 고정판(109)과 상기 롤러브라켓(101)의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끼우며, 상기 탄성 작동판(112)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3개의 고정홈(111)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탄성 작동판(112)을 고정하는 볼스토퍼(113)를 상기 롤러브라켓(101)의 탄성 작동판 배면 위치에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스케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100)의 상부 좌우에 서로 대응되는 좌/우 발목보호대(114)(115)를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좌/우 발목보호대(114)(115) 중 어느 하나의 전후상하 4개소에는 측방을 향해 4개의 고정띠(116)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 고정띠(116)를 고정하는 4개의 고정부재(117)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 발목보호대(114)(115)의 사이를 고정토록 하며, 상기 좌/우 발목 보호대(114)(115)의 앞쪽과 뒤쪽에는 각도 조정띠(118)를 하방을 향해 각각 형성하고 상기 신발본체(100)의 각도 조정띠 대응위치에는 고정부재(119)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 발목보호대(114)(115)의 전후 각도를 조정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스케이트.
KR20-2005-0011460U 2005-04-25 2005-04-25 지그재그 스케이트 KR200395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60U KR200395815Y1 (ko) 2005-04-25 2005-04-25 지그재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460U KR200395815Y1 (ko) 2005-04-25 2005-04-25 지그재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15Y1 true KR200395815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60U KR200395815Y1 (ko) 2005-04-25 2005-04-25 지그재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6547T3 (es) Dispositivo deportivo y/o de ocio con ruedas impulsado con el pie.
US7341261B2 (en) Skate
CN101745213B (zh) 滑板
US20080256831A1 (en) Skate Shoe
US20150042054A1 (en) Nezha cycle
EP1994966A1 (en) Roller skate
RU2004130434A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передвижен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активного отдыха
KR101256365B1 (ko)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
KR200395815Y1 (ko) 지그재그 스케이트
CN103007516A (zh) 行走轮滑装置
WO2000023157A1 (en) Roller skating device
KR101158422B1 (ko) 롤러 스케이팅 승용기구
JP3937091B2 (ja) 歩行補助具
KR20032849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기구
KR200318073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330270Y1 (ko) 브레이크장치 겸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28491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회전바퀴 속도제어장치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200372428Y1 (ko) 스키보드
KR200373318Y1 (ko) 킥보드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KR20032848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행용 보조구
KR200205787Y1 (ko) 킥 브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