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069Y1 -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069Y1
KR200348069Y1 KR20-2004-0000455U KR20040000455U KR200348069Y1 KR 200348069 Y1 KR200348069 Y1 KR 200348069Y1 KR 20040000455 U KR20040000455 U KR 20040000455U KR 200348069 Y1 KR200348069 Y1 KR 200348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inline
height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4-0000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6Roller skates; Skate-boards for use on specially shaped or arranged run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장소나, 스피드 또는 묘기 등과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기는 목적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평행한 두 블레이드(B)의 대향면을 관통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H")과, 각 관통공(H")을 중심으로 관통공(H")보다 큰 조절판삽입홈(V)이 두 블레이드의 외면(SO)에 형성된 프레임 본체(31A)와; 상기 각 조절판삽입홈(V)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편심 위치에 휠축이 관통하는 결합공(H')이 형성된 높이조절판(3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판삽입홈(V)에 삽입 결합되는 높이조절판(31B)의 결합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휠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함에 구조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용도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여 주는 동시에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skate with adjustable wheels in height}
본 고안은 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장소나, 스피드 또는 묘기 등과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기는 목적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의 모든 휠이 평탄한 바닥면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중륜이 평탄한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륜과 후륜의 높이를 상향 조절하여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거나, 전륜과 후륜이 평탄한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중륜의 높이를 상향 조절하여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휠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기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날씨가 따뜻해져 얼음 위에서 스케이팅을 할 수 없는 시기에 아이스 스케이트를 타는 즐거움을 땅 위에서 얻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추정되며, 미국에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 제작회사의 이름인 롤러블레이드(Rollerblade)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부츠의 바닥에 다수의 휠가 전후 일열로 배열된 인라인 스케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11)와, 부츠(11)를 지지하며 부츠의 외피 역할을 하는 부츠 샤시(chassis)(12)와, 부츠 샤시의 바닥에 부착되는 프레임(13)과, 프레임에 일열로 장착되는 다수의 휠(14)과, 프레임 후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15)로 구성되며, 일반용으로 제작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 샤시와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적절한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고, 선수용과 같은 특수 목적용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부츠가 부츠 샤시에 분리 가능토록 삽입되는 형태가 아닌 하나의 전용 부츠로 구성되기도 하고, 아이스 스케이트와 같이 상당한 강성을 갖는 부츠의 바닥에 상기 프레임이 직접 결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그 용도에 따라 일반 주행을 위한 피트니스(fitness)용, 묘기를 위한 어그레시브(aggressive)용, 하키(hockey)용, 일반 도로 뿐 아니라 흙길 등에서도 달릴 수 있는 오프 로드(off-road)용 등 으로 구분 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트니스용은 일반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보급형 인라인 스케이트로서, 휠이 크고 속도가 빠르며 인라인 스케이트를 배우는 기초용이며, 주행과 가벼운 점프 및 계단타기 등을 할 수 있고, 사용되는 휠은 지름이 72~80mm정도이다.
묘기용은 각종 고난도 기술을 시현하기 위한 것으로 휠의 직경이 42~60mm 정도로 작고 주행속도가 느린 특징이 있으며, 하키용은 하키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든 인라인 스케이트로서 아이스 스케이트처럼 가죽 부츠로 되어 발목의 자유도가 높고 휠은 피트니스용과 비슷한 크기의 것을 사용한다.
오프로드용은 비포장 도로에서도 탈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로서, 중륜이 없이 전륜과 후륜만을 사용하기도 하며, 타이어 같은 휠을 사용하고 프레임이 강하고 안정성이 높아 일반도로 및 산길에서도 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타는 목적에 따라 그 구조나 형태가 달라지는 바, 용도별 각종 인라인 스케이트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휠의 구조로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수나 매니아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피트니스용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입하게 되는 바, 피트니스용 인라인 스케이트를 익숙하게 탈 수 있게 되어 묘기를 배우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전용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입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일반인의 경우 피트니스용에 완전히 익숙하게 되면 그 다음 단계로서 보통 묘기를 배우고자 하나,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휠의 위치가 고정 결합된 구조로서 일반적인 피트니스용 인라인 스케이트로 간단한 묘기를 배울 수는 있되, 휠의 구조상 고난도의 기술을 배울 수가 없는 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휠(14)에 형성된 중앙부 관통공(H)의 내주면 양 단부에 한 쌍의 베어링(21)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대향하도록 각각 삽입 결합되고, 상기 두 베어링(21) 사이의 휠 관통공(H)에는 원통형 스페이셔(22)가 개재된 상태에서 외측 단부에 환형 플렌지(f)가 형성된 원통형 와셔(23)가 각 베어링(21)의 관통공(h)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셔(22)의 외주면은 휠 관통공(H)의 내주면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인 동시에 그 양 단부는 두 베어링의 대향하는 내륜(I)의 내측 단부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와셔(23)에 구비된 플렌지(f) 일측 면은 각 베어링 내륜(I)의 외측 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 스페이셔, 와셔가 결합된 휠은, 하향 개방형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13)의 평행한 두 블레이드(B) 사이에 삽입되고, 프레임의 결합공(H')을 통하여 볼트(24)와 볼트형 너트(25)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바, 프레임의 블레이드(B) 내면과 베어링 및 휠은 상기 와셔(23)의 플렌지(f)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서, 상기 볼트(24)와 볼트형 너트(25)가 휠축의 역할을 하게 되며, 휠축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스페이셔(23)와 와셔(22) 사이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는 베어링의 내륜(I)에 대하여 휠(14)은 베어링의 외륜(O)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서, 휠축이 관통하는 프레임(13)의 결합공(H')이 고정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 역시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의 내면과 휠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 상기 와셔(22)의 플렌지(f) 외면에 밀착되는 블레이드 내면 부위를 다른 부위에 비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이 돌출부가 베어링 내륜의 외측 단부에 직접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셔(22)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휠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묘기 등을 좀더 손쉽게 배우기 위해서는 어그레시브용 인라인 스케이트 등과 같은 별도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입하여야 하나, 일반인이 이를 구입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따르게 된다.
또한, 피트니스용 인라인 스케이트로 하키 게임을 하거나 오프 로드용으로사용하기도 적합치가 않다.
본 고안은 종래 일반인들을 위한 피트니스용 인라인 스케이트를 다목적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는 목적에 따라 휠의 개별적인 높이 조절에 의해 바닥면에 닿는 휠의 수와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피트니스용, 어그레시브용, 하키용 및 오프로드용 등 다용도로 적절히 즐길 수 있는 피트니스용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 휠의 분리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
도 4은 본 고안 일실시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인 것으로,
(가)는 휠과 프레임의 분리도이고,
(나)는 휠과 프레임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가능한 휠 위치의 변화량을 보인 모식도로서,
(가)는 전·후 방향의 변화량을 보인 것이고,
(나)는 상·하 방향 변화량을 보인 것이다.
도 6은 정다각형 판상의 높이조절판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6각형상 높이조절판의 사시도이고,
(나)는 정4각형상 높이조절판의 사시도이며,
(다)는 정8각형상 높이조절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원판상 높이조절판을 보인 것으로,
(가)는 내측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높이조절판의 사시도이고,
(나)는 내측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높이조절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부츠 12. 부츠 샤시
13,31. 프레임 14. 휠
15. 브레이크 21. 베어링
22. 스페이셔 23. 와셔
24. 볼트 25. 너트형 볼트
31A. 프레임 본체 31B. 높이조절판
B. 프레임 블레이드 DH. 수직방향 휠 변위량
DV. 수평방향 휠 변위량 e. 돌기
H,H",h. 관통공 H'. 결합공
I. 베어링 내륜 O. 베어링 외륜
SO. 블레이드 외면 V. 조절판삽입홈
v. 요홈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휠축이 삽입 결합되는 판상의 높이조절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프레임에 결합된 다수 휠의 상대적인 높이를 용도에 맞도록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는 바, 타는 목적에 따라 피트니스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모든 휠의 높이를 동일하게, 묘기용 또는 하키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륜과 후륜의 높이를 중륜보다 높게, 오프로드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륜과 후륜의 높이보다 중륜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평탄한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는 각 휠의 위치와 휠간 간격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즐기는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본 고안 인라인 스케이트에서휠의 높이와 휠간 간격의 조절은, 각 휠축이 결합되는 상기 높이조절판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에 따라 이루어지는 바, 높이조절판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높이조절판은 원판을 포함한 정다각형 판의 형상을 하며, 그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편심 위치에 휠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구조로서, 휠이 결합되는 프레임의 평행한 블레이드 외면에는 상기 높이조절판이 삽입되는 조절판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판삽입홈에 높이조절판을 삽입 결합시 높이조절판을 회전시켜 삽입시키게 되면 회전된 각도 만큼 높이조절판에 형성된 결합공의 위치가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변화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휠의 위치 역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판의 형상이 다각형일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원판상일 경우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과정에서 휠을 통하여 부여되는 하중에 의해 높이조절판이 조절판삽입홈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이조절판을 원판상으로 할 경우에는 조절판삽입홈의 바닥면과 이에 밀착되는 높이조절판의 내면에 각각 서로 형합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와 요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절판삽입홈에 높이조절판이 삽입될 때 일측의 돌기가 타측의 요홈에 결합됨으로써, 외부 하중에 의해서도 상기 높이조절판이 조절판삽입홈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본 고안 일실시예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를, 도 4에 휠과 프레임의 분리 및 결합도를, 도 5에 본고안 일실시예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가능한 휠 위치의 변화량을 보인 모식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휠의 결합 구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성하는 프레임(31)은, 프레임에서 수직 방향으로 평행한 두 블레이드(B)의 대향면을 관통하며 프레임에 결합되는 휠의 수와 동수인 다수의 관통공(H")이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H")을 중심으로 하여 관통공(H")보다 큰 조절판삽입홈(V)이 두 블레이드의 외면(SO)에 형성된 프레임 본체(31A)와;
상기 조절판삽입홈(V)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 삽입되며, 중심에서 떨어진 편심 위치에 휠축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H')이 형성된 높이조절판(31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본체(31A)의 평행한 두 블레이드 사이에 베어링 등이 결합된 휠(21)을 넣은 상태에서 프레임 본체(31A)의 조절판삽입홈(V)에 결합된 높이조절판(31B)의 결합공(H')을 통하여 휠축의 역할을 하는 볼트(25)와 볼트형 너트(26) 등으로 프레임(31)에 휠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목적에 따라 상기 조절판삽입홈(V)에 삽입되는 높이조절판(31B)을 회전시켜 삽입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위치를 바꾸고자 하는 휠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휠의 최대 변위는 각각 DV및 DH가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31)에 대한 휠(2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판(31B)은 판의 형상으로서,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의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및 정다각형 판의 형상이 가장 좋다.
이때, 정다각형의 경우는 4각형 더욱 바람직하게는 5각형 이상의 정다각형이 좋은 바, 3각형과 4각형의 경우는 높이조절판의 결합공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판의 최소 회전 각도가 각각 120°와 90°로서 최소 회전에 의한 결합공의 위치 변화량이 커 휠의 미세한 위치 조절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높이조절판을 원판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판이 외부 하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바, 조절판삽입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내측면의 테두리부의 원호를 따라 일정한 간격씩 이격되는 다수의 요홈(v) 내지는 돌기(e)를 형성시키고, 상기 요홈(v) 내지는 돌기(e)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절판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각 요홈(v) 내지는 돌기(e)에 형합되는 돌기(도면 미도시)나 요홈(도면 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원판상의 높이조절판이 조절판삽입홈 내부에서 외부 하중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휠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높이조절판과 조절판삽입홈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모든 휠에 적용할 수도 있으나, 전륜과 후륜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전륜과 후륜의 상태적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나머지 중륜의 위치도 상대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륜과 후륜에만 상기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휠 위치의 가능한 변위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휠에 상기의 구저를 적용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용도에 따라 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으며, 하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용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하향 개방형 "ㄷ"자형 단면을 갖는 프레임에 다수의 휠이 회전 가능하게 일렬로 결합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은, 평행한 두 블레이드(B)의 대향면을 관통하며 휠의 수와 동수인 다수의 관통공(H")이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H")을 중심으로 관통공(H")보다 큰 조절판삽입홈(V)이 두 블레이드의 외면(SO)에 형성된 프레임 본체(31A)와;
    상기 각 조절판삽입홈(V)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중심에서 떨어진 편심 위치에 휠축이 관통하는 결합공(H')이 형성된 높이조절판(31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31B)은 정다각형상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은 4각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31B)은 원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상 높이조절판(31B)의 내측 면과 이에 밀착되는 조절판삽입홈(V)의 바닥면의 테두리부 원호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요홈(v) 내지는 돌기(e) 중의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되는 돌기 내지는 요홈 중의 어느 하나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4-0000455U 2004-01-08 2004-01-08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48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55U KR200348069Y1 (ko) 2004-01-08 2004-01-08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55U KR200348069Y1 (ko) 2004-01-08 2004-01-08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069Y1 true KR200348069Y1 (ko) 2004-04-28

Family

ID=494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55U KR200348069Y1 (ko) 2004-01-08 2004-01-08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0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328A (en) Two-wheeled skateboard
US5303940A (en) Skate having angularly mounted wheels
US6065762A (en) Multidirectional in-line roller skate
US8608185B2 (en) Skateboard truck
WO1997002874A2 (en) Inline skateboard
WO2001064302A1 (en) Wheel assembly for in-line skates and skate-boards
US20090174163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KR100818786B1 (ko) 스케이트보드
KR200348069Y1 (ko) 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US6276696B1 (en) In-line roller skates
KR200390293Y1 (ko) 3라인스케이트
US5853179A (en) Roller skate attachment
US5676428A (en) Wheel assembly for in-line skate
CN101362018B (zh) 独轮溜冰鞋
US7063335B1 (en) In-line roller skate
KR10080664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CN205699348U (zh) 一种新型的单双轮更替的旱冰鞋
CN201558502U (zh) 花式轮滑鞋
KR20040599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KR100583443B1 (ko) 바퀴조립체
KR200377944Y1 (ko) 인라인 스케이트용 메인 프레임
KR100814085B1 (ko) 인라인스케이트
KR200314256Y1 (ko) 부륜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0208Y1 (ko) 피겨스케이팅용 인라인스케이트
CN2430195Y (zh) 中式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