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330Y1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Google Patents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2330Y1 KR200312330Y1 KR20-2003-0004376U KR20030004376U KR200312330Y1 KR 200312330 Y1 KR200312330 Y1 KR 200312330Y1 KR 20030004376 U KR20030004376 U KR 20030004376U KR 200312330 Y1 KR200312330 Y1 KR 2003123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al conductivity
- heating
- heating container
- bottom portion
- heating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는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 내부에 열전도율을 지연시키기 위한 공간부(121)를 형성시켜 바닥부를 2개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그 공간부(121)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압력조절용으로 구멍(122)을 형성시켜 가열용기내의 조리음식의 끓음에 의한 넘침과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가열용기(100)의 열전도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수납부(130)에 담겨진 조리음식이 가열용기(100)에서 넘치거나 눌러 붙어 타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고 조리음식 고유의 향 발산이나 향기의 유지, 눋기에 의한 풍미의 발생 및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여 조리음식의 미각을 한층 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서서히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가열용기 내부에 고른 열온의 전달을 유도하도록 함으로서 과열에 의한 조리음식의 넘침이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조리의 편리성과 더불어 조리음식의 미각을 한층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용기는 요리법의 종류에 따라 음식물의 끓임, 튀김, 부침 및 수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요리법 등에 사용되는 용기이다.
이러한 가열용기는 금속 및 자기재질로 된 뚝배기그릇 등이 있으며, 그 형상은 통상적인 그릇형태를 띠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용기을 가열할 때 가열온도를 조금만 높이는 등 가열열의 변화를 주었을 경우 열전도율에 민감한 가열용기는 내부의 조리음식의 끓임에 의해 쉽게 외부로 넘치게 하거나 타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이러한 미세한 열에 민감한 가열용기에 가열온도 조절의 조작실수나 일정하지 않게 가열온도를 제공할 경우 음식 고유의 향이 발산되거나, 눋기에 의한 풍미의 발생이 억제되고 영양소등이 파괴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음식의 조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고체상태의 가열용기의 바닥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공간부를 통하여 수납부 내부에 열을 항상 일정하게 서서히 전달되도록 하여 조리음식의 넘침이나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열용기의 수납공간 내부에 고르게 열을 전달하여 음식전반에 골고루 열을 가열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음식의 영양소 파괴를 억제시키고 고유한 향과 맛을 한층 더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열용기 110 : 외측벽
120 : 바닥부 121 : 공간부
122 : 구멍 130 :수납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는 상기 가열용기의 바닥부 내부에 열전도율을 지연시키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시켜 바닥부를 2개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그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압력조절용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가열용기내의 조리음식의 끓음에 의한 넘침과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보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는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 내부에 열전도율을 지연시키기 위한 공간부(121)를 형성시켜 바닥부(120)를 2개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그 공간부(121)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압력조절용으로 구멍(122)을 형성시켜 가열용기(100)내의 조리음식의 끓음에 의한 넘침과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는 내부의 공간부(121)에 의해 바닥부(120)를 2개층으로 구획시켜 열전달이 하부측의 바닥부(120)에서 공간부(121)를 통하여 상부측 바닥부(120)측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열용기(100)의 공간부(12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부측 바닥부(120)에 다수개의 구멍(122)을 형성시켜 바닥부(120)를 가열시에 공간부(12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가열용기(100)의 균열이나 압력폭발에 의한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조리용 가열용기(100)는 수납부(130)에 조리할 음식을 담은 후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에 열을 가열하면 고체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는 가열되는 부분 즉, 하부측 바닥부(120)부터 순차적으로 뜨거워지면서 가열용기(100)의 외측벽(110)측으로 열을 전달한다.
또한, 바닥부(120)가 열에 의해 뜨거워지면 열전도에 의한 물체 내부의 열전달속도는 물질 내부의 온도기울기(단위 길이당 온도차)에 비례하지만, 물질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 즉, 대류에 의해 열이동을 하는 공간부(121)를 거치면서 열전도율은 느리게 전달되면서 고체의 상부측 바닥부(120)로 열을 일정한 온도로 서서히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고체, 액체와는 완전한 다른 열전달 원리를 가지는 기체 즉,가열용기(100)의 공간부(121)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인 2개층의 바닥부(120) 사이에서 열분자가 교환 및 확산되면서 서로 운동에너지를 교환함으로써 하부측 바닥부(120)에서 열이 지연 및 감소되면서 상부측 바닥부(120)로 열이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부(121)에 의해 열전도의 확산과정이 느려지기 때문에 열전도는 2개층의 바닥부(120)의 열전도율이 상호 매우 낮은 값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하부측 바닥부(1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은 공간부(121)에 의해 열전도의 지연 및 열의 온도를 감소시켜 상측 바닥부(120)와 외측벽(110)이 상호 동일 내지 유사한 온도로 고르게 가열되어 가열용기(100)의 수납부(130) 내측면이 고른 온도분포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서 조리음식의 끓음에 의한 넘침이나 수납부(130) 바닥에 조리음식이 눌러 붙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온도 조절의 조작실수에 의해 일정하지 않게 가열온도가 가열용기(100)에 제공되더라도 열의 전달속도 및 온도를 지연시키는 공간부(121)의 의해 수납부(130) 내주연으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여 조리음식 고유의 향 발산이나 향기의 유지, 눋기에 의한 풍미의 발생 및 영양소파괴를 최소화하여 조리음식의 미각을 한층 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는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 내부에 열전도율을 지연시키기 위한 공간부(121)를 형성시켜 바닥부(120)를 2개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그 공간부(121)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압력조절용으로 구멍(122)을 형성시켜 가열용기(100)내의 조리음식의 끓음에 의한 넘침과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가열용기(100)의 열전도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수납부(130)에 담겨진 조리음식이 가열용기(100)에서 넘치거나 눌러 붙어 타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고 조리음식 고유의 향 발산이나 향기의 유지, 눋기에 의한 풍미의 발생 및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여 조리음식의 미각을 한층 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상기 가열용기(100)의 바닥부(120) 내부에 열전도율을 지연시키기 위한 공간부(121)를 형성시켜 바닥부(120)를 2개층으로 구획되도록 하되 그 공간부(121)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내부압력조절용으로 구멍(122)을 형성시켜 가열용기(100)내의 조리음식의 끓음에 의한 넘침과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율이 일정한 조리용 가열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4376U KR200312330Y1 (ko) | 2003-02-14 | 2003-02-14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4376U KR200312330Y1 (ko) | 2003-02-14 | 2003-02-14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9428A Division KR20040073738A (ko) | 2003-02-14 | 2003-02-14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2330Y1 true KR200312330Y1 (ko) | 2003-05-09 |
Family
ID=4933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4376U KR200312330Y1 (ko) | 2003-02-14 | 2003-02-14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233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4740Y1 (ko) | 2012-06-26 | 2013-01-21 | 김춘동 | 조리팬 |
-
2003
- 2003-02-14 KR KR20-2003-0004376U patent/KR2003123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4740Y1 (ko) | 2012-06-26 | 2013-01-21 | 김춘동 | 조리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3965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constitution of frozen foods in a microwave oven | |
JP2015503366A (ja) | 調理鍋、調理システム及び調理方法 | |
JPH11192167A (ja) | 均一温度調理装置 | |
US9572448B2 (en) | Dual pot | |
KR200312330Y1 (ko)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
KR200371963Y1 (ko) | 조리기구판 | |
KR20040073738A (ko) | 열전도율이 일정한 가열용기 | |
KR100610323B1 (ko) | 조리구이판 | |
JP2013022394A5 (ko) | ||
KR20190064952A (ko) | 조리용 용기 | |
JP2013022394A (ja) | 鍋蓋 | |
KR200162744Y1 (ko) | 다공성 세라믹이 내장된 대류전열식 남비 | |
KR20110073659A (ko) | 전자렌지용 밥솥 | |
KR200394229Y1 (ko) | 조리용기의 뚜껑 | |
CN207544903U (zh) | 锅具、锅具组件和厨房器具 | |
JP2005144013A (ja) | 食品加熱用容器 | |
KR102126775B1 (ko) |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 |
KR200179561Y1 (ko) | 이중 구이판 | |
KR102486358B1 (ko) |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 |
JPH0415141Y2 (ko) | ||
KR200390598Y1 (ko) | 이중 바닥을 갖는 내열 자기 | |
KR200324740Y1 (ko) | 음식물을 태우지 않는 조리용 후라이팬 | |
WO2006043741A1 (en) | Cooking implement | |
KR200324972Y1 (ko) | 이중 조리용 용기 | |
WO2020153444A1 (ja) | 調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