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000Y1 -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000Y1
KR200312000Y1 KR20-2003-0001696U KR20030001696U KR200312000Y1 KR 200312000 Y1 KR200312000 Y1 KR 200312000Y1 KR 20030001696 U KR20030001696 U KR 20030001696U KR 200312000 Y1 KR200312000 Y1 KR 200312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piral shaft
air injection
discharge port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한
Original Assignee
김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한 filed Critical 김원한
Priority to KR20-2003-0001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0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탱크와;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저면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기주입 수평나선축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에 교차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과; 상기 수직연결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나선축과; 상기 수직나선축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연결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급연결관과; 상기 공급연결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이송하는 공급나선축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의 후방에 고정되어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수단; 및 상기 수직연결관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토출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은, 공기주입수단을 이용해 분사하는 고압의 공기로도 제거되지 않거나 상부에서 떨어져 이송관 연결부에 쌓이게 되는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 Grain Transporting Truck Equipped With Air Injecting Means and Outlet there of }
본 고안은 하부측의 이송관 연결부에 잔류된 사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이나 사료를 운반하는 방법은 아주 오래 전에는 종이나 비닐등과 같은 포장단위로 구분하고 개별적으로 화물트럭 혹은 기차등의 운송수단에 적재 이송하고, 이송된 곡물이나 사료 봉지를 분해하여서 곡물이나 사료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런데, 산업이 점차적으로 발전하므로 급식 시설이나 동물 사육 시설에서 대량으로 곡물이나 사료등을 운반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되므로 좀더 발전된 대량적인 운반시설이 필요하게 되면서 곡물 혹은 사료를 운반하는 운반트럭이 개발되어져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곡물 혹은 사료 운반트럭은 수톤내지 수십톤에 이르는 곡물 혹은 사료를 대량으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일반화물트럭을 특수하게 개조하여서 사료저장탱크를 구성하고, 이 사료저장탱크의 내부에 수직 혹은 수평 나선축을 구비하고 이 나선축으로 곡물을 연결관으로 공급하여서 사료 혹은 곡물(이하, 사료라고 통칭함)을 필요량만큼 토출구로 공급하여서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지닌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사료운반트럭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사료운반트럭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료운반트럭(1)의 구성은,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3)을 통해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탱크(2)와;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저면부분에서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6)를 이용해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하부수평나선축(5)과; 상기 하부수평나선축(5)에 서로 교차되는 전방부분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8)과; 상기 수직연결관(8)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나선축(9)과; 상기 수직나선축(9)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를 토출하는 배출구(4)를 구비한 공급연결관(10)과; 상기 공급연결관(10)의 내부에서 사료를 이송하는 공급나선축(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수평나선축(5)의 중심부분에는 축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조인트(7)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료운반트럭에서는 통상 사료의 잔류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그 이유로는 닭, 돼지 소 등과 같이 판이하게 다른 동물들이 섭취하는 사료들을 번갈아가면서 저장하게 되는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들은 각기 다른 동물들이 미세량만을 섭취하여도 치명적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하부수평나선축(5)과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바닥면 사이, 수직나선축(9)과 수직연결관(8) 사이, 공급나선축(11)과 공급연결관(10) 사이는 아주 미세한 틈새만을 갖도록 구성하여서 사료들이 되도록 누적되거나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하부수평나선축은 사료저장탱크의 바닥면과 접촉되면 안되므로적어도 몇 mm의 간격은 갖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량의 사료가 사료저장탱크 바닥면에 남아 있게 되며, 잔류된 사료의 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실용신안등록 제 273276호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을 제안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의 구성은,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3)을 통해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탱크(2)와;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저면부분에서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13)를 이용해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기주입 수평나선축 (12)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12)에 서로 교차되는 전방부분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8)과; 상기 수직연결관(8)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나선축(9)과; 상기 수직나선축(9)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를 토출하는 배출구(4)를 구비한 공급연결관(10)과; 상기 공급연결관(10)의 내부에서 사료를 이송하는 공급나선축(11); 및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12)의 후방에 고정되어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12)의 가운데 부분에는 축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조인트(7)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12)은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관로(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14)의 외주면에는 외측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과 사료저장탱크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인하여 사료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모두 토출시킨 후에도 잔류물이 남게 되며, 이를 공기주입수단을 이용해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의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서 바닥에 잔류된 사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저장트럭의 경우에도 공기주입수단을 이용하여 사료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데, 이는 각 이송관의 연결부가 수직으로 꺽여 있으며 각 나선축이 교차되면서 그 사이에 틈을 가지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 사료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남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중력의 영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관의 연결부에는 사료가 잔류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지만, 하부에 위치하는 사료 이송관의 연결부에는 상부에서 떨어지는 잔류물과 함께 교차되는 나선축들의 틈 발생으로 인한 잔류물이 남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료저장트럭의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관의 연결부에 사료가 잔류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은 결국 관이 서로 수직으로 연결된 부분에서 교차되는 나선축 사이에 틈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 연결부에 외부로 토출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사료의 잔류물을 제거시키는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주입 수평나선축의 공기토출구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도 하부측의 이송관 연결부에서는 나선축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공기의 힘이 미치지 못하고 상부에서 사료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으므로, 모서리에 잔류되는 사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료저장트럭의 하부 이송관 연결부에 토출구를 형성하여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료운반트럭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사료운반트럭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의 토출구를 닫은 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의 토출구를 연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2 : 사료저장탱크 33 : 뚜껑
34 : 배출구 35 : 공기주입 수평나선축
36 : 나선부 37 : 연결조인트
38 : 수직연결관 39 : 수직나선축
40 : 공급연결관 42 : 공급나선축
50 : 공기주입수단 60 : 토출구
61 : 레버 62 : 연결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은,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을 통해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탱크와;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저면부분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기주입 수평나선축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에 교차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과; 상기 수직연결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나선축과; 상기 수직나선축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연결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를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공급연결관과; 상기 공급연결관의 내부에서 곡물 혹은 사료를 이송하는 공급나선축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의 후방에 고정되어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수단; 및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과 상기 수직연결관 연결부 하단에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토출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를 관의 연결부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의 토출구를 닫은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의 토출구를 연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적용한 사료운반트럭의 전체적인 구성은 종래와 같이,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33)을 통해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탱크(32)와; 상기 사료저장탱크(32)의 저면부분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36)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에 교차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38)과; 상기 수직연결관(38)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나선축 (39)과; 상기 수직나선축(39)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연결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를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34)를 구비하는 공급연결관(40)과; 상기 공급연결관(40)의 내부에서 곡물 혹은 사료를 이송하는 공급나선축(42)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의 후방에 고정되어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수단(50); 및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상기 수직연결관(38)의 연결부 하단에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토출구(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연결관(38)과 상기 공급연결관(40)에도 공기토출구를 형성하여 수직연결관(38)과 공급연결관(40)으로 이동되는 사료를 수평으로 불어서 이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한 사료운반트럭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면, 사료저장탱크(32)에 사료를 저장한 상태에서, 모터 작동으로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을 회전하여 나선부(36)를 이용해 사료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수직연결관(38) 내부에 설치된 수직나선축(39)을 사용하여 위와 같이 이송되어져 온 사료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공급나선축(42)을 회전하여 공급연결관(40)으로 사료를 이동시켜 배출구(34)를 통해 사료저장소에 사료를 공급한다.
한편, 상기 사료저장탱크(32)의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모두 이송한 경우에는, 사료저장탱크(32)의 바닥면에 미세량의 사료가 잔류되는데, 이 잔류된 사료는 공기주입수단(50)을 작동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거한다.
이때, 대부분의 잔류물은 모두 배출되지만,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상기 수직연결관(38)이 교차되는 연결부에는 각 나선축 사이에 틈이 생겨 잔류물이 남게 되는데, 이러한 잔류물은 상기 토출구(6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직접 긁어내거나 공기등을 불어서 제거하면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한 사료운반트럭의 "B" 부분에 형성된 토출구를 확대한 사시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60)는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상기 수직연결관(38)의 연결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60)를 하부로 개방할 수 있도록 레버(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6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61)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의 외주면을 이루는 연결관(62)은 상기 수직연결관(38)과 교차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62) 하부에 상기 레버(61)가 고정 설치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60)가 열린 상태에서 레버(61)는 아래쪽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레버(61)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토출구(60)를 개폐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다른 형태나 구조의 레버를 설치하여도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사료운반트럭의 토출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사료저장탱크(32)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다른 곳으로 모두 이송한 후, 사료저장탱크(32)의 바닥면에 잔류된 사료는 공기주입수단(50)을 작동시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거하고,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수직연결관(38)이 교차되는 연결부에 잔류된 사료는 상기 토출구(6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직접 긁어내거나 공기를 불어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의 하부측으로 이송관이 교차되는 연결부에 외부로 개폐할 수 있는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고압 공기의 공급으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잔류물을 사용자가 직접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운반트럭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관 연결부에 잔류물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주입수단을 이용해 분사하는 고압의 공기로도 제거되지 않거나 상부에서 떨어져 이송관 연결부에 쌓이게 되는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

  1.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33)을 통해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저장탱크(32)와; 상기 사료저장탱크(32)의 저면부분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36)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에 교차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38)과; 상기 수직연결관(38)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나선축(39)과; 상기 수직나선축(39)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연결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를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34)를 구비하는 공급연결관(40)과; 상기 공급연결관(40)의 내부에서 곡물 혹은 사료를 이송하는 공급나선축(42)과;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 (35)의 후방에 고정되어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수단 (50)으로 이루어진 사료운반트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수평나선축(35)과 상기 수직연결관(38)의 연결부 하단에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토출구(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60)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6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KR20-2003-0001696U 2003-01-20 2003-01-20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KR200312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696U KR200312000Y1 (ko) 2003-01-20 2003-01-20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696U KR200312000Y1 (ko) 2003-01-20 2003-01-20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000Y1 true KR200312000Y1 (ko) 2003-05-09

Family

ID=4940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696U KR200312000Y1 (ko) 2003-01-20 2003-01-20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0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78B1 (ko) 2006-09-16 2008-05-13 서태길 공기혼입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78B1 (ko) 2006-09-16 2008-05-13 서태길 공기혼입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6928B2 (ja)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200312000Y1 (ko)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CN214059011U (zh) 一种防堵料的板式喂料机
US20060090984A1 (en) Article orientating apparatus
JPS59198220A (ja) 空気輸送装置における破損防止装置
US9051137B2 (en) Cement silo loading system
KR101416336B1 (ko)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JPH05199975A (ja) 連続洗浄装置
JP2008265963A (ja) 種芋等供給機
KR200273276Y1 (ko)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US7363877B2 (en) Method of emptying a container, and use of the method
JP3894239B2 (ja) カプセル充填機
JPH0920429A (ja) 粉粒体圧送装置
CN213293859U (zh) 一种饲料原料卸料装置
US5988357A (en) Low splash auger inlet
CN214692258U (zh) 新型料仓卸料防止堵塞装置
CN218967769U (zh) 一种具有外部溜槽的双酚a产品料仓
KR200285822Y1 (ko)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CN216425727U (zh) 流化刮板输送机
CN217250475U (zh) 一种用于蓝猫饲料加工的高效提升机
CN217700543U (zh) 一种笼式空罐翻转吹扫设备
CN220108878U (zh) 一种饲料投放运输设备
CN215223840U (zh) 投喂器的拆卸运输机构
KR100555347B1 (ko) 분말상태의 수지를 벤트 호퍼로부터 압송하기 위한 장치및 압송방법
CN207090409U (zh) 一种膨润土传送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1104

Effective date: 200610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1130

Effective date: 20070816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04

Effective date: 200712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