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22Y1 -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 Google Patents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22Y1
KR200285822Y1 KR2020020014987U KR20020014987U KR200285822Y1 KR 200285822 Y1 KR200285822 Y1 KR 200285822Y1 KR 2020020014987 U KR2020020014987 U KR 2020020014987U KR 20020014987 U KR20020014987 U KR 20020014987U KR 200285822 Y1 KR200285822 Y1 KR 200285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piral
shaft
cap membe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김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수 filed Critical 김석수
Priority to KR2020020014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22Y1/ko

Links

Landscapes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 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에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캡부재를 삽입요홈에 삽입, 고정하여서 나선부와 사료이송된 사이의 틈새부를 없애므로 사료가 나선부에 부딪치면서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사료이송관의 바닥면에 사료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또한, 상기 나선부가 닳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나선부의 수명을 증대하도록 하는 잇점을 지닌다.

Description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Cap Element Of Wiring Shaft For Transfering The Grain}
본 고안은 사료운반트럭의 사용이송용 나선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에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캡부재를 삽입요홈에 삽입, 고정하여서 나선부와 사료이송된 사이의 틈새부를 없애므로 사료가 나선부에 부딪치면서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사료이송관의 바닥면에 사료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이나 사료를 운반하는 방법은 아주 오래 전에는 종이나 비닐등과 같은 포장단위로 구분하고 개별적으로 화물트럭 혹은 기차등의 운송수단에 적재 이송하고, 이송된 곡물이나 사료 봉지를 분해하여서 곡물이나 사료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런데, 산업이 점차적으로 발전하므로 급식 시설이나 동물 사육 시설에서 대량으로 곡물이나 사료등을 운반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대두되므로 좀더 발전된 대량적인 운반시설이 필요하게 되면서 곡물 혹은 사료를 운반하는 운반트럭이 개발되어져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곡물 혹은 사료 운반트럭은 수톤내지 수십톤에 이르는 곡물 혹은 사료를 대량으로 이송하는 장치로서, 일반화물트럭을 특수하게 개조하여서 사료저장탱크를 구성하고, 이 사료저장탱크의 내부에 수직 혹은 수평 나선축을 구비하고 이 나선축으로 곡물을 연결관으로 공급하여서 사료 혹은 곡물(이하, 사료라고 통칭함)을 필요량만큼 토출구로 공급하여서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사료운반트럭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사료이송용 나선축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나선부에 사료가 틈새부분에 끼어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사료운반트럭(1)의 구성은,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3)을 통하여서 사료를 저장하도록 하는 사료저장탱크(2)와;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저면부분에서 미도시된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6)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1사료이송용나선축(5)과; 상기 제1사료이송용나선축(5)에 서로 교차되는 전방부분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8)과; 상기 수직연결관(8)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2사료이송용나선축(9)과; 상기 제2사료이송용나선축(9)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 혹은 곡물은 나선부(18)를 이용하여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14)를 구비하는 사료이송관(10)과; 상기 사료이송관(10)의 내부에서 사료(16)를 이동하도록 하는 제3사료이송용나선축(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수평나선축(5)에는 중심부분에 축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조인트(7)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제2,제3사료이송용나선축(5)(9)(12)은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바닥면, 수직연결관(8) 및 사료이송관(10) 사이에 아주 미세한 틈새만을 갖도록 구성하여서 사료(16)들이 되도록 이면 누적되어져서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료이송관(10)과 나선부(18) 사이에는 몇 mm정도의 틈새를 지니고 있으며, 이 틈새 사이에 미세한 크기의 입자를 갖는 사료(16)들이 끼어져서 부서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제3수평이송나선축은 사료저장탱크의 바닥면, 수직연결관, 사료이송관과 접촉되어지면 안되므로 일정한 간격을 지닌 구성으로서 적어도 몇 미리미터의 간격을 지니고 있으며, 이 간격으로 인하여 사료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모두 토출시킨후에도 전체적으로 모두 몇 kg정도의 사료가 사료저장탱크의 바닥면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사료의 종류에는 닭, 돼지 소 등과 같이 내용물이 판이하게 다른 사료들이 사료운반탱크에 번갈아가면서 저장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들이 다른 동물들에게 미세량만을 섭취하여도 치명적일 수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닭사료를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운반시킨후에 돼지 사료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잔류되어진 다른 종류의 사료를 완전하게 제거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제거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비용이 많이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나선부가 사료와 장시간 마찰되어지게 되면, 사료가 부서짐과 동시에 나선부가 쉽게 닳게 되는 단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에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캡부재를 삽입요홈에 삽입, 고정하여서 나선부와 사료이송된 사이의 틈새부를 없애므로 사료가 나선부에 부딪치면서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사료이송관의 바닥면에 사료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사료운반트럭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사료이송용 나선축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나선부에 사료가 틈새부분에 끼어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료이송용 나선축에 캡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캡부재를 단면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공기주입수단 22 : 고정체
24 : 요홈부 26 : 측면구멍
28 : 스프링 30 : 환형봉
34 : 오링 36 : 테이퍼환형봉
40 : 제2스냅링 42 : 베어링
44 : 제1스냅링 46 : 연결부재
52 : 고정부재 60 : 중간판
62 : 지지판 70 : 공기주입 수평나선축
72 : 나선부 76 : 공기토출구
80 : 연결조인트 82 ; 연결구멍
90 : 압력공급기 92 ; 압력공급파이프
이러한 목적은,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을 통하여서 사료를 저장하도록 하는 사료저장탱크와;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저면부분에서 미도시된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1사료이송용나선축과; 상기 제1사료이송용나선축에 서로 교차되는 전방부분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과; 상기 수직연결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2사료이송용나선축과; 상기 제2사료이송용나선축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 혹은 곡물은 나선부를 이용하여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사료이송관과; 상기 사료이송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이동하도록 하는 제3사료이송용나선축으로 구성된 사료운반트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사료이송용 나선축의 나선부의 외주면에 삽입요홈이 삽입된 캡부재가 고정되어서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바닥면, 수직연결관 및 사료이송관 사이의 틈새부분을 상기 캡부재가 차단하여 사료가 잔류되거나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료이송용 나선축 캡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료이송용 나선축에 캡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캡부재를 단면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3)을 통하여서 사료를 저장하도록 하는 사료저장탱크(2)와;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저면부분에서 미도시된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6)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1사료이송용나선축(5)과; 상기 제1사료이송용나선축(5)에 서로 교차되는 전방부분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8)과; 상기 수직연결관(8)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2사료이송용나선축(9)과; 상기 제2사료이송용나선축(9)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 혹은 곡물은 나선부(16)를 이용하여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14)를 구비하는 사료이송관(10)과; 상기 사료이송관(10)의 내부에서 사료(16)를 이동하도록 하는 제3사료이송용나선축(12)으로 구성된 사료운반트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사료이송용 나선축(5)(9)(12)의 나선부(6)(18)의 외주면에 삽입요홈(22)이 삽입뒨 캡부재(20)가 고정되어서 상기 사료저장탱크(2)의 바닥면, 수직연결관(8) 및 사료이송관(10) 사이의 틈새부분을 상기 캡부재(20)가 차단하여 사료(16)가 잔류되거나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부(6)(18)의 외주면과 상기 캡부재(20)의 삽입요홈(22)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캡부재(20)를 나선부(6)(18)에 고정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부재(20)는,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혹은 불소계통의 수지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캡부재(20)의 삽입요홈(22)은, 끝단부로 갈수록 협소하도록 형성하여서 나선부(18)에 탄성적으로 벌려져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제1,제2제3사료이송용나선축(5)(9)(12)에 모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료이송용나선축(12)을 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사료 뿐만아니라 분말로 된 입자 이면 모두 이송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사료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의 조립 상태를 살펴 보게 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이송용나선축(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18)에 캡부재(20)의 삽입요홈(2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나선부(18)에 탄성적으로 끝단부를 벌려주고서 삽입하여서 접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20)이 끝단부분은 약간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이송용나선축(12)을 구동하여서 나선부(18)를 구동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료(16)들은 나선부(18)에서 이동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 상기 나선부(18)와 사료이송간(10) 사이에 끼어져 있던 사료(16)들의 경우에는 상기 나선부(18)의 외주면에 끼워져 있는 캡부재(20)에 의하여서 거의 오나전하게 이송되어진다.
특히, 상기 캡부재(20)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지므로 만약 캡부재(20)와 사료이송간(10) 사이로 사료(16)가 끼어 들더러도 사료(16)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캡부재(20)를 장기간 사용하다가 닳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는 캡부재(20)를 상기 나선부(18)에서 분리하여 내고서 새로운 캡부재(20)를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립해서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료 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에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의 캡부재를 삽입요홈에 삽입, 고정하여서 나선부와 사료이송된 사이의 틈새부를 없애므로 사료가 나선부에 부딪치면서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사료이송관의 바닥면에 사료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또한, 상기 나선부가 닳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나선부의 수명을 증대하도록 하는 잇점을 지닌다.

Claims (3)

  1. 상측 부분에 형성된 뚜껑을 통하여서 사료를 저장하도록 하는 사료저장탱크와;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저면부분에서 미도시된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서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부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1사료이송용나선축과; 상기 제1사료이송용나선축에 서로 교차되는 전방부분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과; 상기 수직연결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상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제2사료이송용나선축과; 상기 제2사료이송용나선축의 상측 단부에서 교차하여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끝단부 저면에 이송된 사료 혹은 곡물은 나선부를 이용하여 토출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사료이송관과; 상기 사료이송관의 내부에서 사료를 이동하도록 하는 제3사료이송용나선축으로 구성된 사료운반트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사료이송용 나선축의 나선부의 외주면에 삽입요홈이 삽입된 캡부재가 고정되어서 상기 사료저장탱크의 바닥면, 수직연결관 및 사료이송관 사이의 틈새부분을 상기 캐부재가 차단하여 사료가 잔류되거나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료이송용 나선축 캡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의 외주면과 상기 캡부재의 삽입요홈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캡부재를 나선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이송용 나선축 캡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부재는,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혹은 불소계통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이송용 나선축 캡부재.
KR2020020014987U 2002-05-16 2002-05-16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KR200285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987U KR200285822Y1 (ko) 2002-05-16 2002-05-16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987U KR200285822Y1 (ko) 2002-05-16 2002-05-16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22Y1 true KR200285822Y1 (ko) 2002-08-14

Family

ID=7312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987U KR200285822Y1 (ko) 2002-05-16 2002-05-16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6125B2 (ja) 計量装置
US20070289553A1 (en) Treat dispenser for animals
EP1106363A3 (en) Recording liquid feed path and container, recording liquid feeding device having the same, as well as, surface modifying method for this device
US1880840A (en) Screw feeding device
ES2071072T3 (es) Maquina para posicionar y alimentar recipientes automaticamente.
KR200285822Y1 (ko) 사료이송용 나선축의 캡부재
CN102248809A (zh) 介质输送辊、记录装置、介质输送辊的制造方法
KR200273276Y1 (ko) 공기주입수단을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EP0970607A3 (en) Device for supplying litter, poultry housing system and method for keeping poultry
CA2573086C (en) A grain and fertiliser conveyer
EP2010822A1 (en) Device at a container for combustible goods arranged to be transported by a conveyor from the container to subsequent management
US6041914A (en) Vibratory bowl for fragile parts
KR200312000Y1 (ko) 공기주입수단과 잔류물 토출구를 구비한 사료운반트럭
US5988357A (en) Low splash auger inlet
JPS59198220A (ja) 空気輸送装置における破損防止装置
JP2013079137A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装置
JP2005231797A (ja) バケットコンベアシステム
CA2221381C (en) Low splash auger inlet
KR20150005102A (ko) 밤 내피 제거장치
US20230380380A1 (en) Universal drinker base
US1181360A (en) Grain-saving device for threshing-machines.
KR20130002832A (ko) 분체 이송장치
KR200170709Y1 (ko) 로타리식포장기의분립체충전주입장치
JP6555153B2 (ja) 粉体搬送装置及び粉体定量供給装置
CN208103165U (zh) 一种榨油枯输送蛟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